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 미디어/대인정보노출, 부정적 감정, 자기해석성향을 중심으로

        장우정,이선영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4

        코로나 19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코로나 19에 대한 집단 면역이 실현되기까 지 시간이 걸리는 현 상황에서 코로나 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예방수칙을 계속해서 잘 지키는 것이 최선책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안전해질 때까지 코 로나 19 예방행동(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수칙 지키기 등)을 지속적으 로 행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건강신념모델(지각된 취약성, 심각성, 이익, 장 애,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하면서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 코로나 19에 대한 미디어와 대인 정보노출, 개인적 특성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요인을 추가하여 확장된 건강신념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설문조사기관을 통 해 모집단의 성별, 나이, 거주지 구성비를 바탕으로 할당표집 하였고 총 299명을 연구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신념모델이 제시한 대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 애, 자기효능감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동에 대한 행위단서로서 미디어 정보노출과 대인 정보 노출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인 정보노출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19에 대해 지인 및 가족과 대화를 많이 할수록 코로나 19에 대 한 심각성 인식이 높고, 코로나 19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느끼며, 예방행동 지속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에 대한 대인정보 노출은 예방행동 지속의 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 로도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지각 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 19 예방행동을 지속할 의도에 영향을 주어 이 두 요인은 상호의 존적 자기해석과 예방행동 지속의도 사이를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강신 념모델을 확장하여 코로나 19라는 신종 감염병에 적용하여 설명력을 검증함으로써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확장하고 감염병 예방행동에 관한 후속연구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 이론적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실용적으로는 전염성이 강한 감염병에 있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부정적 감정, 대인정보 노출, 그리고 상 호의존적 자기성향이라는 개인적 특성이 감염병 예방행동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감염병에 대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개발 및 방역 정책수립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t a time when COVID-19 infections are continually occur and it will take time for collective immunity to COVID-19 to be realized, it is best for individuals to continue to follow precautions to prevent COVID-19.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 barrier and self-efficacy), this study added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ested suggested model.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ompany using quota sampling by gender, age and reside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9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suggested by the health belief model. Negative emotions toward COVID-19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t was found that only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more conversations about COVID-19 with acquaintances and family members, the higher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ac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f COVID-19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and in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through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fluenced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indicating that these two factors mediated betwee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prevention behavior.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applied it to a new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In practical terms,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ults can help develop and devise campaigns for COVID-19 prevention and als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cation messages and quarantine policies for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Effect of Media Use, Social Circumstances, and Optimistic Bias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Sook Kim,Jin He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11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 정부와 의료기관 대응에 대한 평가, 다른 사람의 대응에 대한 평가, 낙관적 편견이 코로나 19 예방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을 분석하기 위해 202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1,0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 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 로 검증되었다. 미디어 이용과 예방행동의도와 관계에서는 인터넷 포털의 이용이 높을수록, 정부 홈페이지의 이용이 높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이용이 많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의 대응에 대한 평가와 예방행동의도 와의 관계에서는 의료기관의 대응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났으며, 다른 사람들의 대응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낙관적 편견이 낮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d the influence of media use, social circumstances and optimistic bias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he hypotheses of the paper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the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dia use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Second, the effects of social circumstances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were analyzed. Finally, the effect of optimistic bias o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was analyzed. Those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a survey of 1000 adults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and older people were more likely to show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he uses of internet portal services and the government home page were positively related to but face-to-face communic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he evaluations of medical center response, and others response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Finally, optimistic bias was negatively related to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 KCI등재

        식품안전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책임귀인을 중심으로

        김활빈(Hwalbin Kim),최지혜(Jihye Choi),노기영(Ghee Young Noh)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식품안전에 대한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신문, TV, 인터넷, SNS,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책임귀인(개인책임귀인, 정부책임귀인, 기업책임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1,000명으로부터 얻은 응답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측면에서 TV, 인터넷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은 예방적 행동의도에만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인쇄신문 이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책임귀인 측면에서는 정부와 기업 책임귀인은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책임귀인이 정부 책임귀인보다 예방적 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이 책임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TV와 인터넷 이용은 정부와 기업 책임귀인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문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개인 책임귀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TV 이용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SNS 이용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정부 책임귀인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식품안전 관련 위험인식과 예방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또한 식품안전 관련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공공 헬스를 담당하는 실무자가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ood safety has been a serious health problem worldwide. This exploratory study investigates what factors can influence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food safety. Drawn on two theoretical frameworks – attribution theory and framing theory, we explored two key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channels (newspapers, TV, Internet, SNS, &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individual, government, & industry).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nationwide online survey with an interview of 1,000 respondents in South Korea.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V, Interne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attrib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Also, our findings showed that TV and Internet u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attribution. Reading newspaper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reased individual attribution, while watching TV decreased it. Using SN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lso increased government attribu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food safety. Our findings may provide health practitioners and administrations with useful insights of how successful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be designed in the strategies or media messages for food safety.

      • KCI등재

        미세먼지 공포소구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지각된 위협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한진(Hanjin Jang),노기영(Ghee-Young Noh)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4

        미세먼지는 단기간의 흡입으로 갑자기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신체에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미세한 미세먼지를 장기간 흡입할 경우 코의 점막을 통해 미세먼지가 걸러지지 않고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여 건강에 피해를 주게 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미세먼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행동이나 태도에는 상당히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을 개선시키고 미세먼지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위험에 대해 좀 더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세먼지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의 중요성을 높여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확장된 병행과정모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을 이용하여 지각된 위협과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수준에 따른 공포소구 메시지의 효과를 알아보려 한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공포소구의 강도에 따라 수용자가 느끼는 위협과 효능감의 지각 및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된 매개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실험물은 미세먼지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공포소구 강도를 저효과, 중효과, 고효과로 설정하였으며, 저효과 이미지 3장, 중효과 이미지 3장, 고효과 이미지 3장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600명이였으며,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저효과 이미지에 노출된 설문 참여자가 200명, 중효과 200명, 고효과 200명이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과 반응효능감 수준이 높아질수록 지각된 위협의 매개효과는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에는 지각된 위협-예방행동의도의 연관관계는 커지고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는 지각된 위협-예방행동의도의 연관관계는 작아져서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위협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효능감이 높을 때, 지각된 위협-예방행동의도의 연관관계는 증가하고, 반응효능감이 낮을 때 지각된 위협-예방행동의도의 연관관계는 작아져서 반응효능감과 지각된 위협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위협은 자기효능감이나 반응효능감과 함께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미세먼지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공포소구의 강도가 고효과일 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EPPM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이면서, 기존의 EPPM 매커니즘을 조절된 매개효과 방법론으로 재확인하고 확장한 연구결과이다.

      • KCI등재

        20대 중국인들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 공포감의 변인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마샤오통(Ma Xiaotong),황성욱(Sungwook Hwang),이은순(Eunsoo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2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을 적용하여 20대 중국인들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변인들에 부가적으로 자기효능감, 공포감의 변인을 추가하고, 지각된 건강상태, 지식수준, 성경험 여부의 통제변인을 포함하여 좀 더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건강신념 모델에서 지각된 민감성은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장애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자기효능감과 공포감은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통제변인으로 지각된 건강상태와 성경험이 예방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들은 건강신념모델이 중국 젊은이들의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데에도 타당한 모형임을 암시하였다. 즉, 서구가 아닌 중국 문화권에서의 건강신념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향후 중국에서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메시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are influential in promoting the preventive inoculation of cervical cancer for young Chinese peopl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Particular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four main variables of the HBM(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fear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After performing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ex,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fear positively influenced the vaccinatio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barrie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high external validity of HBM in the Chinese health communication phenomen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diverse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practitioners effectively plan a preventive communication campaign in China.

      • KCI등재

        미디어 이용이 신종 감염병에 대한 위험인식과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 처리 전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활빈,오현정,홍다예,심재철,장정헌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광고연구 Vol.0 No.119

        This study examines how individual media us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n have an influence on risk perceptions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of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general public forms its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route of “media use (mass media and the Internet) → information processing (reflective reasoning) → orientation (risk perception) → respons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Drawn on the O1-S-R-O2-R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we explored the case of H1N1 Influenza.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as a part of the KFDA’s project in 2011 (N = 1,001).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media use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were significantly mediated by information processing and risk perceptions. Respondents who were more frequently gaining information from massmedia and the Internet tended to perceive greater risks and increas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risk and health communication literature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O1-S-R-O2-R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with one of major health topics. In addition, the findings can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health practitioners during the health crisis. 이 연구는 개인의 미디어 이용과 정보 처리 전략이 신종 감염병에 대한 위험 인식과 예방행동 의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일반 대중은 “미디어 이용(매스미디어 이용, 인터넷 이용: S) → 정보 처리 전략(성찰적 숙고: R) → 심리 상태 변화(위험 인식: O2) → 예방행동 의도(R)”의 경로에 따라서 관련 예방행동 의도를 형성한다. 본 연구는 O1-S-R-O2-R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을 적용하여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 큰 위기였던 신종플루의 사례를 2011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 과제에서 수집했던 데이터(N = 1,001명)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디어 이용과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는 정보 처리 전략과 위험 인식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미디어를 통해 위험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될 때, 정보 처리 전략을 통해서 위험 인식을 하며, 이에 따라 예방행동 의도가 높아졌다. 이 연구는 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사용된 O1-S-R-O2-R 모델이 감염병 이슈와 같은 건강 관련 분야에서도 유용한 이론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미디어를 통한 위험 인식과 예방행동 의도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했다.

      • KCI등재

        코로나19 감염 예방 광고의 인포그래픽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구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코로나-19는 팬데믹 현상으로서 감염예방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어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광고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수준에 있기 때문에 예방 광고의 표현 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인포그래픽과 어린이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에 대해 288명의 수도권 거주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검정과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인포그래픽 광고가 어린이 이미지 광고보다 이해도와 심각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관여도는 어린이 이미지 광고가 인포그래픽 광고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해도와 관여도로 나타났으며, 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각성과 이해도로 나타났다. 심각성은 이해도보다 행동의도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포그래픽이 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표현 요소라는 것을 말해 준다. 본 연구는 관여도가 높은 상황의 예방 광고의 표현 요소가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해 주며 실무자들에게는 효과적인 표현 전략을 제시해 준다. As the coronavirus COVID-19 is pandemic, infection preventing is rais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Accordingly,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the coronavirus COVID-19 are very important. As studies on the advertising for preventing the coronavirus COVID-19 are underdeveloped, it is urgent to analyze creative strategies of prevention advertising empirically. A survey with 288 adul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for advertisements adopting infographics and child images.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was analyzed by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ographic ad was higher in understanding and severity than the child image ad. However, the child ad was higher in involvement than the infographic ad.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the ad were understanding and involvement, while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were severity and understanding. Severity had a more strong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an infographic is an effective creative element affecting the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the coronavirus COVID-19.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psychological process for creative elements of prevention advertising in high involve situations and provides effective creative strategies for practitioners.

      • KCI등재

        마약 예방 캠페인 효과의 기제: 지각된 메시지 자극가와 자극 추구 성향의 역할

        백혜진,고하은,이진 한국PR학회 2024 PR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진행되고 있는 ‘No Exit’ 마약 예방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지각된 메시지자극가(PMSV)와 자극추구성향(SST)이 마약 예방 의도와 캠페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메시지 이해도와 메시지 흥미도가 PMSV와 행동 의도를 매개하는지와 SST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권, 경기도권, 경남권 총 5개 대학 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No Exit’ 캠페인 메시지 중 하나에 무작위로 노출되었고, 이를 본 후 PMSV, 메시지 이해도와 메시지 흥미도, 행동 의도 등에 응답하였다. 가설 및 연구문제의 검증은 Hayes(2013)의PROCESS macro 모형 4번과 8번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성별, 연령, 캠페인 유형, 마약 경험 지인 여부는 통제 변수로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PMSV는 메시지 이해도 및 메시지 흥미도, 캠페인 참여의도 모두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지만, 마약 예방 의도에는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MSV와 마약 예방 의도와의 관계는메시지 이해도와 메시지 흥미도 둘 다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MSV와 캠페인 참여의도와의관계는 메시지 흥미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ST의 조절 효과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및 함의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PMSV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사회적 자극성이 높은 주제를다루는 공공 캠페인의 메시지 효과를 검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자극성이 높은 주제를 다루는 공공 캠페인에서 메시지를 재단하는 데 있어 메시지 자극가를 고려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No Exit’ drug prevention campaign on social media. It investigated how perceived message sensation value (PMSV) and sensation seeking tendency (SST)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message understanding and message interes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MSV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if SS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relationship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96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hown one of the four ‘No Exit’ campaign messages in Instagram format. To test the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Hayes’ PROCESS macro models 4 and 8 were used. In both models, gender, age, campaign condition, and campaign awareness were controlled. Results PMSV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message understanding and message interest, and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However, PMSV did not directly affect intention for drug pre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MSV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was influenced by both message understanding and message interest,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MSV and intention for drug prevention was only influenced by message interest. Neither moderating nor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message sensation value (MSV), which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It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MSV in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campaigns targeting young people.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campaign designers should take MSV into consideration when creating messages for public campaigns that deal with highly sensational topics.

      • KCI등재후보

        위험지각과 건강예방조치가 크루즈관광객의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팬데믹 전후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윤효진,이충기 한국관광연구학회 2024 관광연구저널 Vol.38 No.2

        요약: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Pandemic) 시기에 크루즈관광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목표지향적 행동모델(MGB: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에 COVID-19 위험지각, 비약물조치(방역)와 약물조치(백신접종) 변수를 새로이 추가하고, COVID-19 기간과 종식후로 나누어 그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COVID-19 위험지각은 태도에 부적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태도는 위험지각이 열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켜 주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약물조치와 약물조치는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열망과 행동의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약물조치는 열망과 COVID-19 기간 및 종식후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엔데믹(Endemic) 시기에도 여전히 방역은 크루즈 관광객의 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열망은 COVID-19 팬데믹 기간과 종식 기간 모두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MGB 요인중 부정적 기대정서와 긍정적 기대정서가 열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은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크루즈 관광객은 주변사람들이 크루즈 여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지해 줄수록 크루즈관광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라는 것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ruise tourists by adding new variables of COVID-19 risk perception,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PIs, vaccination), to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ruise tourists based on the perio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aftermath. The results showed that risk percep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attitude, which played a mediating role in alleviating the negative impact of risk perception on desire. NPI and PI were found not only to have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also to mediate between desir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particular, NPI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sire and behavioral intention during and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proving that quarantine is still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ruise tourists even during the endemic period. Desire appeare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oth during and after the pandemic. In particular, among the MGB factors, negative an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were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esire. Lastly, subjective norm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suggesting that cruise tourists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cruise tourism when people around them support cruise travel more positively.

      • KCI등재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미디어이용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지앙슈에진(Jiang, Xuejin),황하성(Hwang, Has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미디어 이용(TV, 인터넷 포털, 정부 홈페이지)이 위험인식과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미디어 이용과 위험인식 사이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공개한 〈코로나19 관련 정보 이용 및 인식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포털과 정부 홈페이지를 통한 코로나19에 관련한 정보 이용은 예방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TV를 통한 코로나19 정보 이용은 예방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인식은 뉴스 미디어 이용(TV, 인터넷 포털)과 예방행동 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V나 인터넷 포털을 통해 정보를 이용할수록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아지고, 나아가 예방행동 의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셋째,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질병 관련 정부 홈페이지 자료 이용과 위험인식 사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정부 홈페이지 자료 이용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VID-19-related media use(internet portal, TV, government homepage data) on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esides, it also examines whether COVID-19-rel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risk perception. The study used the second data from Korea Press Foundation.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the exposure to COVID-19-related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portals and government homepage data had positive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hile the use of information through TV does not affect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Second, risk perception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media use(internet portal, TV)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when people are exposed to the COVID-19-related news media more, the higher risk perception they will have, afterwards their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ill be higher. Third, the COVID-19-rel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 through government homepage and risk percep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government information on risk perception was much stronger for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