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영재교사는 뭐가 다를까?

        이인호(In-Ho Lee),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영재교육을 '잘'하고 있는 교사들의 사례를 통해 영재교육의 내부를 들여다봄으로써 현장에서 영재교육을 '잘'하기를 희망하는 교사들에게 나름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출발점이다. 중등영재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적 정의적 자질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분석하여 범주화 하고, 이를 기준으로 '좋은' 중등영재교사를 추천 받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으로 2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 후 참여관찰, 심층면담, 인터뷰, 설문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영재교사의 교직생활 특징을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 선정된 두 명의 '좋은' 중등과학영재교사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좋은' 영재교사가 되기 위해선 시행착오의 시간이 필요하며, 영재교사 선정 시 현재의 전문성과 함께 발달 가능성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영재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교 내 활동에 머물지 말고 영재 연수 및 연구회 활동, 다양한 과학 활동에의 참여를 권장해야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good' secondary gifted science teachers' characteristic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to provide some directions to teachers who want to create better environment for their gifted students. Twenty-nine secondary gifted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of open-ended questions on the intellectual and affective qualities that the teachers for gifted education are supposed to have. Snowball sampling method in which the survey answer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for the selection criteria was used to recommend two gifted teachers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two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nd analys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er's school life. In addition,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good gifted teachers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become a 'Good' secondary gifted science teacher, he/she should undergo trial and error, and potential possibilities and affective qualities, not present professionalism,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selection of the teachers for the gifted education. Also, gifte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be a member of a study group and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an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원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김정례,김선자,박종욱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운영방식이 다른 영재교육 기관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C지역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지원 기숙형 영재교육원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 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7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두 영재교육원 간의 교육 분야, 교육 일정, 교육 방법의 차이에 따라 보조교사의 영재성과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다수 보조교사는 주요 역할인 수업 관찰에서 어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며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재교육 현장에서 장기간의 실제적 지도 경험을 가진 보조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재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훈련 방법에 대한 개선책을 찾아보고 영재교육원의 운영 방향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liaison teachers in the gifted education organization’s different operating styl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thoughts of these teach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inquiry survey was performed for 74 liaison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observational activities in the university annex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the dormitory based gifted students education center supported by education of administration in Chungbuk Province.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7 teachers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s liaison teachers in the university annex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the dormitory based gifted students education center was different from important element of the gifted and qualification of the teacher for gifted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 parts, education schedule and education methods of two the education centers, which were performed during the semester,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the liaison teachers. The necessity of the systematic training on the observational skills and class contents were suggested as the essential support system for liais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gifted education organizations operating styles, the activities of liaiso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ifted education emphasizes the long term actual guide experience at the education field for the gifted.

      • KCI등재후보

        영재담당 초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

        최병연(Choi Byung Yeon),이면우(Lee Myon U)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미국 P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토요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수업 관찰, 교수-학습과정안 및 수업 평가서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담당 초임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을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첫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육이 영재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잠재력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사는 안내자, 촉진자, 도우미, 역할 모델, 멘토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학습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나 학부형의 피드백으로 학습 여부를 판단할 뿐 특정한 준거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점검하지 않았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을 유능하고 성공적인 교사라고 지각하였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전공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해서 과목을 개설하고 수업 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대부분의 자료를 인터넷, 도서관, 영재교육연구소의 자료실 등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은 전문가에 의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질문이나 피드백 제공, 학급관리 기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vice teachers"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who took part in Saturday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n U.S.A.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ach subject and observed their classroom.<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vice teachers considered gifted education as a valuable tool for helping Gifted/Talented students develop to their full potential. Also, they believed that gifted education is an excellent learning opportunity for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levels. Second, participants perceived the gifted teachers as a role model, a guider, and a facilitatior of students" learning. Third, teachers had difficulty in judging whether lesson was successful or not. They did not have concrete criteria to confirm their students" learning. Fourth, subjects considered them as a successful teacher and planed on staying the gifted area of teaching. Fifth, teachers obtained teaching ideas and materials from the internet, books, and other teachers. Finally, participants" teaching was evaluated positively by experts as a whole, but some of their teaching skills, such as classroom management and feedback skill,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조환옥,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and to compare teacher professionalism factors that teachers recognize themselves with those that students demand for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Teachers hoped that gifted students would gain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classes, but students wanted to obtain accurate and high level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considered content factor and instructional strategy factor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professionalism factors, but the gifted students cited understanding factor of science-gifted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ing professional level and professionalism facto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urned out understanding factor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So, it is believ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tudents will help raise awareness about teachers’ level of professionalism. Also,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s have greater expectations of contents of the gifted-education as they think that the gifted-education help their academic advancement. 이 연구는 중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수업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을알아보고, 영재교육 교사가 스스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교사 전문성 요인과 영재학생이 영재교육 교사에게 바라고 있는 교사 전문성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영재수업을통하여 학생들이 가장 얻기를 바라는 능력이 창의적 사고력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은 정확한과학지식 개념을 획득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영재교육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요인 중에서영재교육내용과 영재교육방법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영재학생이 교사에게바라는 전문성 요인으로 영재학생이해 요인을 꼽았다. 영재교육 교사가 스스로에 대해 평가한전문성 수준과 전문성 요인 간에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차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영재학생이해 요인이 나타나 자신의 전문성 수준을 낮다고 생각하는 영재교육 교사에게 영재학생이해 영역에 대한 지식을 투입하면 자신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도움이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영재수업이 자신의 학문적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영재교육내용에서 높은 기대를 하였다.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여상인 ( Sang Ihn Yeo ),진현숙 ( Hyun Suk J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이 연구는 세 명의 초등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영재교육 교수방법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세 명의 교사는 모두 영재교육연수를 이수하였으며, 주위로부터 영재교육 전문성이 높다고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두 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이고, 한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은 1년이나 교직경력은 11년이었다. 참여 교사의 수업지도안, 수업관찰, 교사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수업자료와 면담자료는 전사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 교사들은 영재교육을 위한 여러 가지 교수-학습 모형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가장잘 알고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에 활용할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원에 대하여 교사들은 주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교수-학습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학생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보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을 재구성하였지만, 실제 영재수업에서는 충분히 발현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three elementary teachers for science-gifted students in teaching method. All teachers have received in-service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nd have been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Two teachers have instructed the gifted for more than five years, one teacher have instructed the gifted for one year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eleven years. For for this study, each teacher`s lesson plans were collected, videotapes were recorded during lessons, and in-depth interview for each participant were conducted. All recod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Som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 for the gifted were identified from the class instruction of participants. They had knowledge of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especially Renzulli`s three pod enrichment model. And they mainly used the materials developed by KEDI for the gifted. Also they had capability to be able to reconstruct them, but their lesson plans did not be realized well in their class. Some implications from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such as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in the classes of the gifted in science.

      • KCI등재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에서의 유능한 영재교사 발언 사례 연구

        조경미,여상인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low of teacher-student verbal interactions and the types of discourse in the science gifted classes of three effective teachers. The three effective teacher were recommended by the expert of a gifted education or science education expert.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in their classes, and all the classes were videotaped. The collected videotape materials were transcribed, and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ies and an AF program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video cl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pecific flow of verb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provided by the effective gifted teachers, but the kind of positive verbal interaction that the students responded diversely to their questions or lectures took place. Second, the most prevalent type of utterance in the classes of them was lecturing, and the remark of direction and criticism scarcely took place. And lots of non-directive remarks were found such as emotional acceptance, praise, encouragement or acceptance of ideas. As a result, the effective science gifted teachers made more nondirective remarks such as emotional acceptance, prais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of ideas than directive remarks such as direction or criticism, and their non-directive remark made it possible to elicit more extensive responses from their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수업 관찰을 통해 교사·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의 발언 유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능한 영재교사는 영재교육전문가, 과학교육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이렇게 선정된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 3인의 수업에 참관하여 관찰과 녹화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전사한 후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류틀을 기초로 교사와 학생의 발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영재수업에서 일정한 언어 상호작용 흐름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의 질문이나 강의/설명 발언 후 학생들이 넓은 반응을 보이는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의 흐름이 나타났다. 둘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발언 유형 항목은 강의/설명이고 지시나 비판의 발언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의 비지시적 발언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능한 과학영재교사는 지시나 비판의 지시적 발언보다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 같은 비지시적 발언의 사용으로 학생의 넓은 반응을 이끌어내는 긍정적인 언어상호작용을 하고 있었으며, 영재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확산적 질문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황정훈,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re differences on their perception among the science teachers whose institutes are different. Their institut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the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uch as Science High-School, gifted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district education authority, and general secondary schools. For the study, 266 science teachers were sampled from the schools in Busan Metro-city, Ulsan Metro-city, and Kyoungnam Province, and then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who were going to participate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answered affirmatively, and they thought it seemed worthwhi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were not going to participate in it, answered negatively, mentioning shortage in specialty or extra work overload. Secondly, onl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too much preferred by science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roughout the country. Thirdly,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on the constitution of a class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among the teachers of form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teach science part time when it is needed in the district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aim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who teach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m.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과학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정규 과학영재학교 소속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교사, 및 일반 중 고등학교에 있으면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지 않는 과학교사들 간에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었으며, 층 266명 과학교사의 설문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학교 교사의 13%가 과학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수기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을 선호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대학 부설 연수 기관,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연수원, 교육청 연수원 등에 대한 선호도는 모두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해서도 정규 과학영재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교사, 교육청 영재교육원 출장 교사는 각각 자신들이 속한 기관의 교사들이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 정도에 그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 전문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대부분 과학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과학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비율에 대해서도 70% 이상의 과학교사들이 3%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비율도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서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은 반 수 정도가 1% 이내라고 생각하고 있다.

      • KCI등재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미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영재교육 현장에서 영재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상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영재교육 지속여부를 조사하였다. 전국 6개 시?도 교육청 소속 117명의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Survey of Teaching-Related Events Signaling Stress(McHardy, 1982)에 반응하도록 하였으며, 영재교사의 성과 지도 학교급에 따른 영재교육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영재교육 지속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재교사의 성과 지도 학교급에 따라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형 및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직무 지속여부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특징 및 직무스트레스와 영재교육 지속여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향후 영재교사 직무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고민석(Min-Seok Ko),박병태(Byoung-Tai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2

        본 연구는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학급에서 학생들을 추천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현장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력과 성별, 영재교육경험에 차이가 있는 8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크게 영재판별의 어려움,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 교사의 소신대로 추천하기 어려움의 3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영재판별의 어려움으로는 담임교사마다 영재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고, 영재성에 대한 이해 부족을 들 수 있었다. 학부모 관계에 대한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학부모의 높은 기대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는 학부모 추천을 불신하거나 또는 학부모 추천결과를 그대로 수용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소신대로 추천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는데 이로 인해 담임교사는 객관적인 자료에 더 의존하고 모범적인 학생을 영재로 추천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소외된 영재가 배제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담을 통해 영재관찰 추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교사들은 영재성에 대한 이해와 확신,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한 분위기 형성, 동료추천 활용, 영재행동체크리트의 구체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what difficultie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experience in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based on interviews, of eight teachers’ experience with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lengths of their careers, genders, and differences in their experience with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ir teaching. This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hree categories of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 in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namely, the difficulties at discerning gifts, the difficulties in relations with parents, and the difficulties to make nominations based on the teacher’s own observation and conviction. The difficulties stems from the fact that each teacher has a different notion or conception of what a gifted student is and that he or she may not possess adequate knowledge or understanding of students’ gifts. The difficulties concerning relations with parents shows that the system of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acts as a burden on teachers with respect to their dealings with parents, given the high interest and enthusiasm of Korean society for education in general. Teachers, in other words, either did not trust parents’ nominations of their own children or completely accepted parents’ nominations without further questions. Given the difficulties for teachers to nominate based on their own observation and conviction, they tended to nominate exemplar students as gifted students, trusting how objectively well they academically perform. This had an effect of leaving excluded actually gifted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also used to explore what better alternatives could be used to discern and nominate gifted children. The interviewed teachers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certain guarantees of children’s gifts, for a trustworthy and fair atmosphere for the related processes, for peers’ nominations,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for gifted children’s behavior or signs.

      • KCI등재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박지은,이봉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전국단위로 이루어진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과정에 참여한 총 335명의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영재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 담당교사로서 겪는 어려움, 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이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4.3%의 교사가 영재교육 담당교사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문적 지식과 능력 항목에서 69.0%의 교사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재에 대한 지도에서 어려운 정도를 분석한 결과 영재 프로그램의 선정 및 개발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은 현장에 적합한 체험형태의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참여교사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연수를 요구하였다.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gifted educ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questioned 335 teacher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bout their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with respect to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difficultie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conditions for better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very low; second, they had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ird, the teacher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demanded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which would be focused on experience relat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on interactions between trainee teachers. (122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