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 일반성 대 특수성 쟁점과 교육맥락 변인과의 관련성

        윤초희(Cho Hee Y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3

        우리의 마음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가? 지식은 자연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비춰주는 ``거울``인가? 혹은 인식하고 있는 주체에 의해 채색되고 특정 맥락 내에서만 타당성을 갖는 구성적 본질을 갖는가? 학습자들은 이러한 앎의 과정과 앎의 본질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의 여러 측면들 중에서 여전히 논쟁이 되고 있는 영역 일반성 대 특수성 문제를 제기하며, 문제해결의 단초를 제공할수 있는 발달적 관점을 고찰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신념의 영역 특수성이란 특정 지식 영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적 전제로 인하여 영역에 따라 상이한 신념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영역 일반성 또는 영역 특수성 여부가 학습자의 발달수준이나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즉, 지식 영역을 구분하여 마음과 실재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아동기의 일반적 신념에서 시작하여, 청소년기 상대주의적 사고의 출현과 더불어 영역 일반성과 특수성이 분리되기 시작하고, 다시 대학에서의 전문적인 훈련에 의한 세련된 신념이 전공 영역뿐만 아니라 타 영역에도 일반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시도이다. 연구를 위해 경성학문(공학) 전공자와 연성학문(사회과학) 전공자 474명을 표집하였으며, 영역 특수한 신념 검사와 영역 일반적 신념 검사에서의 수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나타난 영역 특수한 신념의 하위 변인들 간의 높은 상관과 영역간의 유의한 평균 차이는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 요인을 모두 지지한다. 또한 발달패턴에 대한 분석결과는, 인식론적 신념이 특정 분야에서 강조되는 방법론이나 교수방식의 영향을 받고 이러한 교육맥락 효과는 영역 특수한 신념을 더욱 강화시키는 한편, 영역 특수한 신념은 학년이 증가하면서 다른 영역에도 어느 정도 전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Does the mind reflect the world as it is? Is knowledge so-called a ``mirror of nature``? Or is it a constructive entity which is shaped by those doing the knowing and has validity only within certain contexts. What perspectives do learners have on this knowing process and the nature of knowing? This study raises the still-controversial issue of the domain generality versus specific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reviews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which may provide a key to the issue. The domain specificity refers to the notion that epistemological beliefs vary across domains as the domains employ different methodology and paradigmatic assumptions. Several authors claim that the presupposition of a dichotomy is inappropriate since domain generality-specific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level and expertise. Children`s epistemological beliefs tend to be domain independent. As they approach adolescence and relativistic thinking about matters of the social domain emerges, their domain specific beliefs begin to separate from domain general beliefs. As their expertise in their own disciplinary areas develops, they may generalize their domain specific beliefs to other domain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testify this hypothesis. For this purpose, 474 1st to se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measures of domain general and domain 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e high correlations among the sub factors and th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domain specific beliefs support both the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assumptions. The results of developmental patterns indicate that epistemological beliefs are influenced by methodological assumption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emphasized in a given area, and that this educational context effect reinforces domain specific beliefs, which, in turn, may be generalized to other domains as expertise develops.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성에 대한 수행집단간의 비교연구

        이정규 한국영재학회 2003 영재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의 교육현장에서 창의성의 영역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을 전체학생 집단, 고창의성 집단, 저창의성 집단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서의 영역성을 비교 규명하는 것이다. ‘능력-분화가설’에 기초하여, 4개 영역간의 상관관계, 영역-일반성의 변인과 영역-특수성의 영역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영역-특수성에 대한 영역-일반성의 상대적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가설과는 오히려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저창의성 집단에서는 영역-특수성을 지지하였으나, 전체학생과 고창의성 집단에서 영역-일반성과 영역-특수성의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났다. 오히려 영역-일방성과 영역-특수성이 상호 보완 또는 통합되는 영역-상보설이 지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pute over creativity domain at schools in Korea.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eativity domain among all subjects, a group of high level performance, and a group of low level performance in creativity. Based on ability-differentiation hypothesis, correlation among 4 domains, correlation between divergent thinking variables of domain-generality and 4 domains of domain-speciality,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have been computed. The results are opposed to the hypothesis. The group of low level performance is related to domain-speciality. The group of high level performance, however, has relationships neither domain-generality nor domain-speciality. Instead of differentiation between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ality, the results support the domain-complementarity.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학문별 차이점 규명 : 교육학, 경영학, 공학의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박춘성(Park, Choon-sung),도수정(Do, Soo-Jung),손영화(Son, Young-Hwa),조지현(Jo, Ju-H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 간 공통점은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 분야별 차이점은 영역 특수성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의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 총 119편에서 창의성 관련 키워드를 찾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학문별 창의성에 대한 공통 키워드는 ‘새롭고, 사고, 산출, 절차, 독특한, 해결’ 등이었다. 둘째, 각 학문에서만 나타난 창의성을 대표하는 개별 키워드는 교육학은 ‘지식, 인지능력’, 경영학은 ‘다양한’, ‘가치’, 공학은 ‘사회’, ‘시스템 ’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문별 공통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별 개별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의미를 구분 지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rough analysis on domestic creativity-related studie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It was performed in assumption that academ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long to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respectively. For this, creativity-related keyword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119 paper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fields published from 2005 to 2021 on academic database. The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common keywords on academic creativity, ‘new’, ‘thinking’, ‘output’, ‘procedure’, ‘unique’ and ‘resolution’ were obtained. Second, in individual keywords representing creativity in each field, ‘knowledge’ and ‘cognitive ability’ were found in education while ‘diverse’ and ‘value’ were discove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 engineering, ‘society’ and ‘system’ were obtained. Third, academic common and individual keywords were understood as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each.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eaning of doma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creativity, focusing on academic creativity-related keywords.

      • KCI등재후보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고찰

        조현아,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창의성의 연구와 관련해,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논쟁은 최근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고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논쟁을 중심으로 과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름대로의 대답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에 대한 상반된 논의를 검토한 후, 각 입장에 따른 객관적 ‘측정’ 방법과 주관적 ‘측정’ 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본고는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데에만 그친 것은 아니다. 나아가 양자의 논의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첫째로 창의성의 ‘영역’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맥락에 의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관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영역’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측정’과 관련해서는 대안으로 제시된 새로운 ‘영역’에 입각한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양자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무엇보다도 이원론적 논의의 극단성을 지양하고자 시도하였다. 본고는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이 부분적 존재가 아닌 총체적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즉,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은 일반성, 특별성, 객관성, 주관성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및 공간적 상황에 따라 때로는 그 중 하나, 혹은 그 전체로서 발현될 수도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고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하여 이러한 논쟁들이 종결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이러한 논쟁들은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는 창의성의 ‘영역’이 아직도 명확히 개념화되어 있지 않으며, 창의성의 ‘측정’에 대해 여전히 여러 제한점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사실은 있다. 모든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창의적이라는 사실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보여줄 수행이나 산물 모두가 창의적일 수 있다. 세계화․정보화․지식화 사회에서 독특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세계를 주도한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사회나 기업, 학교에서는 이제 획일적인 한 가지의 정답만을 요구하지 않는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이 아닌 창의적인 해답을 요구한다. 창의성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Concerning the study of creativity, the dispute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are still spreading. We are trying the answer about the question of what is creativity, focusing on the recent topical issues. For the purpose, we observed the recently discussed concepts of creativity, and reviewed the opposite opinions between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 methods according to them. Not only did we review the already-existing opinion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but also tried to propose the solutions about both two disputes. Firstly, as for the domain of creativity, we proposed an alternative by establishing the model related to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considering its social context. Secondly, as for the test, we also proposed an alternative test method based on the mentioned model. To overcome both two disputes, we tried not to endanger the extremity of dualistic disputes, and gave all eyes to the fact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partly being but a whole one. In other words, we noticed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being obviously distinguished by generality, specificit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but one to be realized at a time by one of them, or at another as a whole. That\ s the way we could propose alternatives. Nevertheless, we don\ t believe that those disputes will come to an end soon. They are still and will still be, because the domain of creativity doesn\ t still have its exact concept, and the test of creativity also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there is one obvious fact. It is the fact that everyone is potentially creative. It can be possible that all their behavior or products can be creative.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is too certain that the world is being led by unique, innovative idea. Societies, companies, and schools don\ t require a uniform given solution any more, but they require a creative on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we need the deeper study on creativity.

      • KCI등재

        학업정서의 영역성 탐색:

        송인섭(Song In sub),최지혜(Choi Ji hey)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학업 정서의 영역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즐거움, 불안, 지루함의 정서에 초점을 두고 영어, 심리학, 경제학의 서로 다른 학습 영역에서 이들 정서의 영역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업 정서의 영역성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정서와 학습 영역의 2국면 자료로 이루어진 CFA-MTMM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 정서의 영역 특수성이 지지되었고, 영역 일반성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업 정서가 영역 특수적인 방식으로 체계화됨을 의미한다. 더불어 학업 정서의 영역성 연구에 있어 영역 복합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경쟁 모델의 비교를 통해 영역 특수성에 비해 영역 복합성이 자료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때 정서와 학습영역 모두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를 위해 방법론적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omain issue of academic emotions. The authors analyzed the domain characteristics of emotions and focused on experiences of enjoyment, boredom, anxiety in the domain of English, Psychology, Economics. The sample consisted of 104 university students. Confirmatory multitrait-multimethod factor analysis of the 2-faceted dataset (emotions and domains) corroborated assumptions of domain specificity. Results support the domain specificity of academic emotions. The domain generality wes not supported in these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 that academic emotions are largely organized along domain-specific lines. Addition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domain-complexity in academic emotions. A comparison of competing models suggests that domain complexity model fits the data better than domain specificity model.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both the domain and emotion when teaching the students. Methodolog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영역 특수성에 따른 작업기억의 훈련 효과: 메타분석

        서희영,김초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4

        Working memory(WM)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cognitive tasks. Accordingly, WM training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cognitive functions. However, it has been under debate on the effects of the training program. In this study, we performed meta-analyses to test whether WM training programs can improve other cognitive functions based on the domain-specificity of WM. In doing so, we classified previous studies as “congruent” or “incongruent” according to whether the domains of training program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measurement tools. As categorized general cognitive task involving measurement task about attention, inhibition, verbal ability and intelligence as well as WM task according to domain specificity, we examined improvement of general cognitive ability when the specific WM domain in the cognitive function was trained. Then,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ased on statistics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meta-analyses wer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measurement periods an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Chi square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domain-specificity could be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train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domain congruenc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ining effects. The effect sizes were greater when training and measurement domains were consistent than when those were inconsistent, for both of the immediate and follow-up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ongruency was greater in the patient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omain-specificity of WM train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effects of the WM training programs. 작업기억은 다양한 인지 과제에서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이로 인해 인지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그 훈련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의 영역 특수성을 바탕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기존 훈련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작업기억 영역과 측정 도구들이 요구하는 영역의 일치 여부에 따라 연구들을 분류하였다. 이 때, 작업기억 과제뿐만 아니라 주의, 억제, 언어능력, 지능과 같은 일반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도 작업기억 영역 특수성에 따라 분류하여, 일반 인지 능력이 포함하고 있는 작업기억을 구체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이 인지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후, 각 연구들이 보고한 통계치를 바탕으로 효과크기를 구하고, 측정 시기와 참가자 특성을 고려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영역 일치 여부가 훈련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칠 변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작업기억의 영역들의 일치 여부가 훈련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한 영역과 측정한 영역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보다 일치할 때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이는 지연 측정을 수행했던 연구들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영역 일치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는 환자 군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기억의 영역 특수성이 훈련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2 사고개발 Vol.8 No.1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특수성의 이슈는 창의력이 모든(또는 거의 모든) 지식 영역에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인가, 또는 어느 정도로 영역 특수성 때문에 제한될 수 있는 지를 질문한다. 보다 전통적인 시각에서는 창의적 사고기능은 창의관련의 거의 모든 창의관련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라 보고 있고 전통적인 여러 창의력 이론과 창의력 검사들은 이러한 입장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영역/과제에서의 창의적 성취를 다루는 적지 아니한 수의 연구들은 창의력은 영역 특수적 내지 세부 영역 특수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특수성에 이슈에 대한 선행의 연구와 이론들을 분석적으로 종설해 보았으며. 다음으로 Torrance의 창의력 검사 TTCT의 언어검사와 도형검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슈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의 종설과 TTCT 검사의 분석을 바탕하여 잠정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아울러 이러한 결론이 창의력의 교수-학습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함의들을 몇 가지의 제안으로 제시하였다. 창의력은 전적으로 영역 보편적인 것도, 그리고 전적으로 영역 특수적인 것도 아니며, 그리고 창의력의 전이는 의도적으로 그리고 외현적으로 강조되지 않으면 쉽게 자동적으로 전이되는 것이 아니다. The issue of domain-generality vs.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sks the question of whether creativity is general or specific or to what degree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domain specific. The more traditional perspective is that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rather general-purpose abilities which could be applied to any (or almost any) creativity-relevant domains/tasks and this view is predominantly presumed in many traditional grand theories and creativity tests including TTCT. However, recent studies, particularly those researches dealing with specific tasks and employing the creative performance shows that creativity might be very domain-specific. The claim that creativity is domain-specific appears to be of theoretical interest and of practical importance, specifically in deciding the teaching approaches and selecting the contents.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related theories and researches relatively intensively. Then it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bal-test and Figural- test of Torrance's TTCT (r=.43). And, finally, it proposed several tentative recommendations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reativity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Creativity seemed neither completely domain-general nor completely domain-specific. And simple transfer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rom one domain/task to other one appeared unlikely unless there had been varied practices in a variety of domains (and domain topics and topic genres) and sufficient practices.

      • KCI등재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창의적 특성과 지각된 창의적 환경 요인에 대한 탐색

        이선영(Seon Young Lee),민지연(Jin Yeon Min),최차현(Cha Hyun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4

        창의성은 개인내적 특성인 동시에 개인이 속한 조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개인의 창의적 특성들이 영역과 직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기업영역과 비기업영역의 전문가 297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담당하는 직무에 따라 최고경영자, 중간관리자, 실무자로 구분하여 이들의 창의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메일을 통한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창의성과 실제로 과제를 수행하는 필요한 창의적 능력간의 차이, 창의성을 조장하는 환경 요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이 속한 영역에 따라 개인의 창의적 특성들은 차이를 보였는데 가령,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정교성과 종결저항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독창성과 추상성에서 취약한 특성을 보인 반면, 비기업영역 전문가들은 그와는 반대로 독창성과 추상성에서 높은 점수, 정교성과 종결저항에서 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직무유형에 따라 상이한 창의적 특성들(예: 최고경영자와 중간관리자는 독창성과 종결저항이 강점, 정교성과 추상성이 약점인 반면, 실무자는 반대의 특성을 보임)을 보여 개인의 창의적 특성이 자신이 속한 영역과 영역 내에서 담당하는 직무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창의적 특성들과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창의적 특성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창의성을 조장하는 환경요인에 대해서도 직급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및 과제 특수적 속성을 기업조직 전문가들을 주요 대상으로 확인해봄으로써 창의성의 다면적 속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창의성 증진 및 교육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제수행에 필요한 창의성 및 창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 영역(조직)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개인내적 특성으로서의 창의성뿐만 아니라 과제특성에 적합한 창의적 특성과 환경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함으로써 공교육 현장에서 창의성교육을 계획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인이 잠재적 능력을 보이는 영역과 영역에서 담당하는 과제특성에 기반한 창의적 요소들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Creativity is not only an intrapersonal characteristic and/or ability but also an outcom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systems. Using the figural version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this study examined creativ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s in business and non-business domains order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creativity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omains and specific tasks with the domain. About 300 adults who were employed in business and non-business areas (e.g., public service, research and education, arts, medicine, journalism, law) and attended a 16-week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responded to TTCT. Of these participants, 25 adults responded to a follow-up email survey that examined their perceptions of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needed for overall work environment and specific tasks they were in charge of. Major findings included that individuals` cre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differed by the type of domains. On TTCT, businessmen had strengths in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and weaknesses in originality and abstractness of titles, while it was the opposite for those in non-business domains. For businessmen, different cre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asks they were engaged in. For example, CEOs, administrators, and managers had higher scores on originality and closure and lower scores on elaboration and titles, compared to staff members who showed their strengths in elaboration and titles and weaknesses in originality and closure. Perceptions about creative work environment and abilities varied by the individuals who were engaged in different tasks. Als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dividuals` perceived creativity and actual creative abilities they used for at work. This study proved the multidimensional nature, such as the domain and task specific aspects of creativity and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creativity need to be considered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omains and tasks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s.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박병기(Byung Gee Bak),정영주(Young Ju Ch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 목적은 박병기 채선영(2006)이 2 6 요인구조로 개념화하고 개발한 영역일반적 인식론적 신념 척도 SOPE를 수정하고 재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SOPE는 12개의 요인 중 일부분에서 신뢰도가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목적은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은 두 개의 과제를 포함하였다. 한 과제는 영역성 탐색의 선결조건으로서 영역특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역사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과제는 인식론적 신념이 영역일반적인지, 영역특수적인지, 아니면 영역복합적인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생 389명(남 189, 여 200)이었다. SOPE의 수정은 박병기 채선영(2006)에 제시된 12개 요인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모든 문항을 재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수정된 척도는 전문가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성을 검토 받은 후 재수정하였다. 과학과 역사의 두 가지 영역특수 척도는 재수정된 SOPE의 문항들에 과학과 역사의 학문적, 교과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은 상관행렬분석, 평균차이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세 가지 통계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SOPE-r은 신뢰도와 내용타당도에 있어서 양호한 척도로 인정받을 만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두 가지의 영역특수 척도 SOPE-hd와 SOPE-sd도 양호하였다. 영역성 탐색의 결과는 일률적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소박한 수준의 인식론적 신념에서는 영역복합성이 지지된 반면, 세련된 수준에서는 영역일반성이 지지되었기 때문이다. 말미에는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영역성 탐구의 향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modify the SOPE (Scale of Personal Epistemology), a domain-general scale of 2 6 structure developed by Bak & Chai(2006). The SOPE has 12 sub-scales, and low reliability problem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plor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purpose includes two kinds of task. One task was to develop, at least, two scales of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e other task was to judge whether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re domain-specific, domain-general, or domain- complex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were 389 highschool students in a city of Korea. The items of SOPE were thoroughly modifi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12 sub-scale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modified items were remodified after they were checked by 3 experts. Remodified scale was named SOPE-r. Science and history were chosen as specific domains. Two kinds of domain-specific scale, named SOPE-hd and SOPE-sd, were developed by adopting the 2 6 structure of SOP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the results of three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s of SOPE-r, SOPE-hd, and SOPE-sd had high reliability. Conclusions on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not clear. In the naive-level of epistemological beliefs, domain-complex was most appropriate. While in the sophisticated-level, domain-generality was highly appropriat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towar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1에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1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하였던 학생의 일부 (71명)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창의적 수행평가가 3년이라는 기간동안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내는가의 문제와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창의성의 영역문제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의 수행평가를 사용할 경우와 자기보고 형식을 사용할 때에 창의성의 영역 문제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특수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특수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함께 이 연구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아동의 창의적 수행평가가 적절한 신뢰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이고 타당한 창의성 평가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창의성에서의 영역문제가 어떠한 접근 방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제기되었고 그에 따른 논의가 전개된다. This study is composed of 2 parts. Study 1 empirically examined (1)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measured by three product-based assessments (story-telling, collage-making, and math word problems) in three domains, and (2)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general creative thinking skills, measured by two divergent thinking tests, and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Study 2 is a three-year follow up study of the study 1. Study 2 followed up some (71)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tudy 1. In study 2,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involving story-telling, collage making, and math problem making were examined during the three-year time period. In addition, study 2 tried to look at the methods effect of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comparing self-report scale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ition that creative ability in young children is rather (but not absolutely) domain-specific.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compares favorably with stability figures for other creativity test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method effect in explaining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Implication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children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