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嬰陽王代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隋關係

        김진한(KIM Jin-han)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3 No.-

        지금까지 高句麗의 對隋關係에 대해서는 양국간 전쟁에 초점을 맞추어 그 배경에 대한 검토가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고구려의 입장에서 대외정책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거나 고구려 내정을 통해 양국관계를 살펴보려는 노력은 부족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런 점을 인식하고 隋文帝및 煬帝의 집권 시기 및 정책적 중점을 고려하여 ?陽王代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고구려의 대수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三國遺事』紀異편에 소재한 金庾信의 출생설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설화를 590년대 전반 고구려 국정, 특히 대수정책을 둘러싼 이견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양왕 전기 고구려의 대수정책은 강경노선으로 기울었다. 이러한 대수강경론이 등장한 이면에는 東突厥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정세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는 판단과 고구려적 질서를 지켜나가고자 하는 인식이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영양왕은 내부반발을 잠재우고 遼海諸國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遼西攻略을 단행함으로써 수의 고구려원정을 유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양왕은 1차 高ㆍ隋戰爭을 통해 확고한 입지를 다졌으며 국정운영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대외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영양왕 후기 정국과 대수전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598년 제1차 高ㆍ隋戰爭이후에도 고구려의 對隋政策은 강경노선을 견지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영양왕이 있었다. 이러한 정국흐름 속에서 대수정책은 1차 전쟁을 통해 드러난 여러 변수를 고려하며 전방위외교에 총력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고구려의 對南方政策은 한수 유역과 가야를 둘러싼 百濟ㆍ新羅양국의 적대관계를 이용하여 국경을 맞대고 있는 신라를 견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백제 및 倭와 通好하였다. 고구려는 북방에 위치한 돌궐에도 사신을 파견하는 등 수에 대한 대비책에 만전을 기하였다. 수 양제는 체제정비를 바탕으로 수중심의 국제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외팽창정책을 취하며 세 차례에 걸쳐 고구려원정을 단행하였다. 고구려는 수의 공세를 잘 막아내었으나 오랜 전쟁으로 국력이 소진되었으며 경제기반마저 무너져 내렸다. 이제 영양왕에게 주어진 과제는 안으로 경제기반을 복구하여 민심을 수습하는 것이며 밖으로는 대수관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이는 영양왕에 대한 또 다른 시험대였다. Between Koguryo and Sui major wars broke out four times. Many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use this led directly to the fall of the Sui dynasty. Until now most research covers the military background of the Sui expedition to Koguryo. The reign of King Yeongyang of Koguryo will be divided into two periods in consideration of the Sui reigning emperors. I wish to examine Koguryo-Sui relations through this perspective. Chapter two examines the tale about Kim yusin(金庾信)’s birth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This tale is an indication of the differences of opinion in Koguryo concerning relations with the Sui dynasty. Koguryo during the reign term of King Yeongyang took a hard-line policy toward the Sui. Thereupon Koguryo delivered an attack against Liaoxi(遼西). At once Sui Wenti(文帝) led a large force and invaded Koguryo territory. The Sui expedition force failed not only because of the monsoon season and supply problems but also because of the Turks(突厥). Chapter three discusses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latter reign term of King Yeongyang and the war with the Sui. King Yeongyang took a hard-line policy toward the Sui all through in his reign. On Such a framework Koguryo devoted all its might to omnidirectional diplomacy. Koguryo made use of animosity between Baekche(百濟) and Silla(新羅). Namely, Koguryo entered into friendly relations with Baekche and Wae(倭), thereby restraining Silla. Koguryo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Turks(突厥) and coping with the Sui Dynasty. As a result, Sui Yangti(陽帝) attacked Koguryo three times, all ending in complete failure. Thereby Sui was on the road to collapse. Also as a result of prolonged warfare, Koguryo’s national power declined and its economic foundation was weakened. As a result, Koguryo was likely to thrust into the vortex of political instability during the end reign of king Yeongyang.

      • KCI등재

        6~7세기 고구려의 대외 정책과 국왕 ‘親征’

        방용철(Bang, Yong-Chul)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고구려의 역사 발전 과정에서 국왕의 군사권 지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일찍부터 부여 및 중국 세력의 핍박 아래 성장하였고, 첫 도읍이었던 환인일대의 척박한 자연 환경으로 약탈적 경제 활동이 불가피하였다. 특히 「廣開土王陵碑」에 강조된 親征 기사를 고려하면 광개토왕대를 거치며 왕의 친정 행위는 더욱 부각되었다고 볼 수 있다. 6~7세기에 걸쳐 고구려 왕의 친정 기사는 총 6건이 확인된다. 이 가운데 安臧王의 五谷之原 전투와 陽原王의 獨山城 공격, 百合野 전투는 대남방 친정으로서 백제와의 대결에 힘을 기울였던 정책을 보여준다. 이는 광개토왕 및 장수왕대의 대남방 전략을 계승한 행보이다. 다만 양원왕대의 거듭된 패전으로 남쪽 영역이 크게 축소된 만큼 백제와 신라를 ‘屬民’으로 규정하고, 군사력을 통해 이를 관철시켰던 전통적 전략과 인식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한편 서북방 세력과의 대결은 국가의 명운을 좌우할 만한 사안이었으므로 국왕의 친정 역시 방어전의 성격이 뚜렷하였다. 平原王의 拜山之野 전투, 嬰陽王의 遼西 急襲과 平壤城 방어전은 모두 서북방 세력의 침공 의지와 파급 효과를 초반에 차단하려는 의도가 확인된다. 이는 적극적인 군사 조치로 평가할 수 있겠지만 攻勢라기보다 守勢的 성격이 분명한 만큼 ‘拒守之策’의 일환으로 이해함이 옳겠다. The king s command of military power was a natural phenomenon in the course of Goguryeo s history development. From early on, it grew under the suppression of Buyeo and Chinese, and due to the unproductive natural environment around Hwanin(桓仁), the first capital city, predatory economic activities were inevitable. Especially, considering the article about King s involvement in war highlighted in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廣開土王陵碑), it can be shown that through the reign times of King Gwanggaeto, the king s such activities had more important meanings.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a total of six articles on Goguryeo s King s involvement in war were confirmed. Among these, articles on King Anjang s involvement in Ogokgiwon(五谷之原) battle and King Yangwon s involvement in Doksanseong(獨山城) and Baekhabya(百合野) battle show the policies focused on the fight with Baekje through the involvement in war toward southern area. These foreign policies were what inherited the strategy of Gwanggaeto and Jangsu ages. However, as the southern area was greatly reduced due to the continued defeat of Yangwon age, the modification of the traditional strategies and perceptions that defined Baekje and Silla as ‘subject people(屬民) and carried it through military power became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as the fate of Goguryeo depended on the fight with northwestern powers, king s involvement in war had defensive traits. King Pyongwon s involvement in Baesanziya(拜山之野) battle, King Yeongyang s surprise attack against Liaoxi(遼西) and the defensive war in Pyongyangseong all showed the strong will to block invasion and influence of northwestern powers from early on. Although this can be evaluated as an active military measure, it needs to be understood as a strategy to block and defend outside invasion(拒守之策) because King s involvement had defensive traits rather than offensive.

      • KCI등재

        평원ㆍ영양왕대 고구려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최성은 ( Choe Songeun ) 한국고대학회 2020 先史와 古代 Vol.- No.63

        고구려가 정치적으로 안정되었던 25대 평원왕(559~590)과 26대 영양왕(590~618)이 재위했던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까지 약 반 세기 간의 불교조각을 통해서 중국 南北朝와 倭에 대한 고구려의 불교문화 교류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평원왕 18년(576) 북제에 갔던 고구려 승려 義淵은 法上의 가르침을 받고 귀국하여 고구려 불교를 一新하였다고 알려져있다. 의연은 북제에서 여러 불교 典籍을 가져왔으며, 이때 북제 불상도 고구려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평원왕 12년(570)에는 왜국에 사절을 보내 외교적 관계를 시작하였으며 영양왕 6년(595)에 왜로 건너간 慧慈(?~622)는 20년간 聖德太子의 스승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僧隆과 雲聰(602년)을 비롯해서 慧灌(605년) 및 曇徵과 法定(609년) 등도 왜로 건너가 수준 높은 고구려 불교를 알린 기록이 있다. 불교문화를 앞세운 對倭교섭에서 ‘금동불상’은 고구려 왕실이 왜 조정에 보내는 중요한 예물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현재 전하는 飛鳥時代불상들 가운데는 고구려 불상들과 이 상들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불상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평원ㆍ영양왕대의 고구려 불교조각으로 소형의 在銘일광삼존불상들이 전해오고 있는데 소형의 상들을 통해 당시 불교조각의 전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으나 6세기 불교조각은 5세기 후반의 고식적인 요소와 6세기의 새로운 요소가 섞여 있는 복합적인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 전해오는 大津石山寺금동불입상, 法隆寺헌납보물 143호 금동삼 존불상, 飛鳥寺금동장육불좌상[飛鳥大佛]을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石山寺금동 불입상과 法隆寺헌납보물 143호는 고구려에서 전래된 불상으로 판단되며, 飛鳥寺금동장육 불좌상(飛鳥大佛)은 고구려에서 전해진 불상의 範本을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의 두 상에서는 古式요소와 새로운 요소가 混在하는 점을 근거로 하였다. 飛鳥寺 금동장육불상에서는 착의형식의 일부분이 발해초기 이불병좌상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적인 요소를 보이는 점과 飛鳥寺가람배치가 고구려의 일탑삼금당식이라는 점, 飛鳥寺건축에 고려척[고구려척]이 사용된 점, 영양왕이 飛鳥寺불상의 주조에 황금 삼백냥을 보낸 기록을 들어 飛鳥寺창건과 불상조성에 고구려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monk Faxiang(法上), an eminent figure of the Daśabhūmikā school of Buddhism. When Uiyeon returned to Goguryeo in the year 576 or 577, it is assumed that he brought back a few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from Northern Chi, and that he renewed Goguryeo Buddhism. In 570, King Pyeongwon sent an envoy to Japan to start diplomatic relations and, years later, King Yeongyang sent the monk Hyeja, who stayed for twenty years in Japan as a teacher of Prince Shotoku. Many other Buddhist monks of Goguryeo were sent to Japan, and they developed the Buddhist culture of Asuka Japan. Several extant Buddhist images dated to King Pyeongwon and Yeongyang periods, though small in size, show that old traditional stylistic features of the la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are mixed with new aspects of the style of the sixth century in a single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three Buddha images in Japan gilt-bronze image of Ishiyama-dera(石山寺) at Otsu, No. 143 gilt-bronze Buddha triad of Horyuji(法隆寺) now in Tokyo National Museum, and gilt-bronze Great Buddha image of Asuka-dera(飛鳥寺) are stylistically and iconographically examined in comparison to the Buddhist sculptures of China and Kore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rom this investigation,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 Ishiyama-dera image and No. 143 of

      • KCI등재

        고구려의 修史와 『留記』·『新集』-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Ⅰ)-

        이재석(Lee, Jae-Seok)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4

        본고는 고구려의 修史에 관해 『유기』와 『신집』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지배체제의 정비와 왕권의 권위 고양이란 측면에서 국사의 편찬을 주목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고구려의 대외적 위기의식 속에서 『유기』와 『신집』의 修史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주목하여 고구려 왕실과 귀족 지배층의 결집의 매개 수단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였다. 『신집』은 『유기』를 핵심으로 하는 古史의 축약본이었다. 약 200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兩者가 다시금 시대 상황과 매개될 수 있었던 공통의 논리는 국가적 위기에 대응하는 고구려 사회의 결집의 당위성이었으며 그 연원에 대한 역할을 史書가 담보해내고 있었던 것이다. 『유기』의 성립과 관련하여 “國初始用文字”와 『유기』의 편찬이 각각 별개의 時點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지적하여 4세기 중후반 소수림왕의 시대에 『유기』가 편찬되었다는 통설을 지지하였다. 아울러 고구려의 금석문ㆍ씨족 전승, 유사 케이스로서의 왜국 사례 및 기존의 복수 王系에 대한 단일화 정리가 『유기』 편찬의 동시기인 소수림왕대에 이루어졌다는 연구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유기』의 구성 내용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유기』는 왕권에 대한 복속ㆍ봉사의 유래와 내력을 담은 고구려 귀족 지배층의 씨족 전승 및 대왕가의 치세의 기록을 포함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추모왕 및 국초의 개별 시조 집단의 복속 전승은 고구려 지배체제 형성의 시원으로서 자리매김 되어 궁극적으로 왕실과 귀족 지배층의 결집의 유래를 설명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고구려 사회에서 國初의 전승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이유도 그것이 바로 고구려 지배체제의 근간(유래)을 설명하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4세기 중후반기의 『유기』는 6세기 말 본격적으로 대수 항쟁에 들어가자 다시금 『신집』이라는 축약본의 형태로 소환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e study reviewed the history books of Goguryeo, 〈Ryugi留記〉 and 〈Sinjip(新集)〉. Existing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maintenance of the ruling system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in terms of elevating the authority of the royal authority. However, I noted that "Ryugi" and "Sinjip" were formed in Goguryeo"s external sense of crisis, especially emphasizing the nature of Goguryeo"s royal family as a medium for the unity of the aristocracy. I supported the conventional theory that Ryugi was compiled in the mid- to late 4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Sosurim. In addition, 〈Ryugi〉 is estimated to include records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the Goguryeo aristocracy and the reign of the king"s family, which includes the origin and history of subjugation and service to the royal authority. 〈Sinjip〉 was a history book that abbreviated 〈Ryugi〉. Although there was a time gap of about 200 years between the two historical books, it played a role in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the unity of the Goguryeo ruling class in response to the common situation of the heightened sense of national crisis. That was why 〈Ryugi〉, which was compiled 200 years ago, reappeared in the name of 〈Sinjip〉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yang in 600 years of A.D.

      • KCI등재

        <梁普通元年(520)永陽昭王蕭敷墓誌銘>考 - 墓誌文의 譯註를 겸하여 -

        양진성 중국사학회 2024 中國史硏究 Vol.- No.147

        <梁普通元年(520)永陽昭王蕭敷墓誌銘>은 梁 武帝의 次兄인 蕭敷의 墓誌로 오늘날 原石은 전하지 않는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宋代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粧帖(剪裱本)이 유일하다. 이에 본고는 이 剪裱本의 圖版과 淸代 이래로 현재까지의 학자들이 남긴 釋文과 題跋을 종합하고 이를 비교, 검토하여 기존 釋文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본고는 확정된 釋文을 대상으로 한국어 번역과 注解를 진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련 문헌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묘지문에 담겨 있는 南齊, 梁代의 역사적 정황과 제도를 복원하는 한편 古代 墓誌의 정형화 과정에서 이 墓誌의 출현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蕭敷는 梁이 건국되기 전인 南齊 明帝 建武4년(497)년에 사망했다. 따라서 그가 王號를 받은 것은 그의 동생 蕭衍이 황제가 되고 난 이후의 일이다. 즉 그가 永陽昭王에 追封된 것은 502년이다. 그런데 그의 墓誌는 520년에 제작되었다. 墓主의 사망시점과 墓誌의 제작시점이 이렇게 차이가 나게 된 까닭은 520년 蕭敷의 부인인 永陽太妃 王氏의 죽음 때문이다. 蕭敷와 달리 그의 부인 王氏는 太妃로 進封되어 天壽를 누리다가 520년에 사망했고, 당시의 장례제도에 따라 그녀의 시신은 남편의 무덤에 合葬되었다. 이를 위해 蕭敷의 무덤이 잠시 개방되었고, 이때 당시 황제인 武帝는 형을 추억하면서 墓誌의 제작을 명령했다. 武帝는 당대 최고의 文士이자 고위 관료인 尙書右僕射 徐勉에게 墓誌銘의 작성을 특별히 勅書로서 명했다. 이 때문에 이 墓誌를 필자는 ‘奉勅撰墓誌’ 규정했다. 이를 통해 武帝가 이 墓誌의 제작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다. <蕭敷墓誌> 이전의 남조 墓誌들은 정형화 된 唐代의 墓誌들에 비해 그 구성과 형식이 불완전하고, 독창적이고 새로운 시도들도 종종 확인된다. 반면 <蕭敷墓誌>는 序, 誌, 銘의 엄격한 분리, 標題 하의 撰者의 姓名 표기 방식 등이 모두 唐代의 정형화 된 墓誌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늦어도 <蕭敷墓誌>가 등장한 普通元年(520)부터 남조에서는 묘지명이 정형화의 단계에 돌입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蕭敷墓誌>에 기술된 역사적 사실이 갖는 사료적 가치도 매우 높다. 正史에 疏略한 그의 官歷은 墓誌에 상세한데 이를 통해 劉宋에서 南齊를 거치면서 東宮 소속의 관리인 太子洗馬의 위상이 提高되고 이것이 후에 梁 武帝의 18班制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梁書 「武帝紀」에는 무제가 詔書를 내려 蕭敷를 왕으로 追封한 일만 기록되어 있고 그에게 정확히 얼마의 食邑을 내렸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蕭敷墓誌>에 인용된 追封詔書에는 武帝가 그에게 食邑 二千戶를 내린 것으로 되어 있고 이는 당시 생존하여 왕이 된 무제의 다른 동생들, 즉 蕭敷의 형제들과 같은 수치다. <蕭敷墓誌>를 통해 당시 親王에게 하사된 식읍은 당사자의 생존여부, 서열의 고하와 관계없이 이천호로 동일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高句麗건국신화의 전개와 변용

        정원주(JUNG Weon-joo)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3 No.-

        고구려 건국신화는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건국신화를 통해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을 신화화함으로써 고구려 왕실과 그 계승자의 정통성과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구려에 예속된 다양한 기원을 가진 주민들의 신화와 역사를 고구려 신화 속에 흡수함으로써 고구려가 그들 지역과 주민들의 역사를 이은 그 지역의 패자임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고구려의 자긍심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이러한 합치점을 통해 고구려내의 다양한 종족들을 고구려의 권위 속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은 5세기「광개토왕릉비」와『위서』에서 주몽신화로 등장한다. 그 내용은 부여의‘동명신화’와 유사한 내용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몽이 북부여에서 출자했음을 알리고 있다. 이는 고국원왕 시기에 실추된 왕실의 권위와 국력의 약화를 회복하고 부여를 이어 예맥계사회와 동북아 지역의 주도권을 잡을 존재임을 대내외에 알리는 것으로 고구려 정부의 공식입장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주몽신화는『유기』의 편찬시기로 보이는 소수림왕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양왕 시기에 편찬된『신집』을 통해서는 이미 멸망해 그 영토와 왕실마저 고구려에 귀부한 부여의 정통을 고구려가 이었음을 드러내는 건국신화인 동명성왕신화를 만들어 비로소 주몽이 동명이 되는 부여계승의식을 표방하였다. 이는 양원왕 이후 약해진 왕권의 회복과 강력한 적대국인 수나라의 위협에 맞서 국민적 단합을 꾀함과 동시에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The birth myth of Koguryo can be read into two cases. First, it is aimed at exerting the authority of Koguryo and its Royal famil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y making Jumong(朱蒙), the founding father of its nation, a hero in myth. The other is the purpose of announcing as the supreme ruler who had inherited the history of all the places and their people that Koguryo had conquered, putting their myths and histories in its birth myth. These were not just for the part of its pride, but for the aims of unifying various peoples under the ruling of Koguryo. Jumong Mythology(朱蒙神話) that Jumong was born by influencing from the spirit of the sun, escaped from Buyo and founded the nation was written in Yu-gi(留記), which was made in the reign of the king Sosurim(小獸林王). This was the formal declaration of its royal office and was made in order to restore its honor, to regain its national strength, and to take the lead in Northeast Asia in succeeding to Buyo, which had had the hegemony over these areas just before. And then it had been modified and added more mythological elements in Sin-jip(新集), which was made in the reign of the king Yeongyang(?陽王). Buyo had already ceased to exist and its royal family had come to Koguryo as exiles. And Koguryo that had possessed the greater part of its territory made the Dongmyongseongwang Mythology(東明聖王神話) and claimed the successor of Buyo that Koguryo had succeeded the legitimacy of its history. This purpose was seeking the unity of peoples who had various historical backgrounds within Koguryo’s territory against the Sue Empire, but at the same time, solidifying the hegemony over the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고구려 벽화고분의 현황과 피장자(被葬者)에 대한 재검토

        정호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9 No.-

        그동안 고구려 벽화고분은 국내에서는 107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집안지역 36기, 환인지역 1기, 무순지역 1기로 중국지역내에 존재하는 벽화고분의 수는 38기로 파악된다. 그리고 북한지역의 벽화고분의 수는 그동안 76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4기의 벽화고분을 더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순천지역의 검산동 고분과, 평양의 진파리 고분군내의 쌍실무덤, 진파리 7호분 傳단군릉이 이에 해당된다. 이렇게 보면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은 중국지역 38기 북한지역 80기 등 총 118기에 이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벽화고분의 피장자에 대한 접근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피장자 문제를 『三國史記』, 『三國遺事』, 일본측 사료인 『日本書紀』, 『新撰姓氏錄』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피장자 문제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던 안악 3호분은 동수묘라는 입장에서 묘지로 파악되는 묵서와 '聖上幡'사이의 역사적 괴리를 설명해 보고자하였다. 이에 따라 안악 3호분의 묘지묵서에 나타난 관직이 허구적이다는 견해를 따라 대행렬도와 성상번의 묵서도 허구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대행렬도와 '聖上幡'이라는 묵서는 생전 생활이 내세에 그대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점에서 그려진 것이 아니고 내세에서 생전보다 더 나은 삶은 바라는 염원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고구려 벽화고분 가운데 계세사상을 표현한 것 이외에도 내세에서의 보다 나은 삶에 대한 소망을 담은 벽화고분들은 王자 도안이 새겨진 벽화고분이나 황룡이 그려진 벽화고분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평양천도 이후인 장수왕부터 시작되는 고구려 왕호도 대체로 葬地名 왕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일대에 산재한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는 위계적으로 볼 때 대형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여 문헌기록을 살펴보았는데, 장수왕릉은 평양지역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으로는 傳동명왕릉이 아닐까 생각된다. 동명왕릉 지구내 진파리 고분군도 고구려 왕릉의 축조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파리 1호분, 4호분, 7호분은 각각 안장왕, 문자명왕, 조다의 무덤으로 이해하였다. 『삼국사기』를 통해 볼 때 안원왕대부터 몇 왕은 장지명 왕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원왕대부터 왕릉 조영지가 각기 다른 개별지역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평양 일대의 대형 석실봉토분 가운데 6세기 이후로 편년되는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평양일대 6세기 이후의 벽화고분으로는 개마총, 내리 1호분, 진파리 1호분, 진파리 4호분, 진파리 7호분, 호남리 사신총,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이 확인 된다. 아마 이들 가운데에서 일부가 왕릉으로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호남리 사신총을 안원왕으로 추정하였고, 그동안 왕릉으로 거론되어 온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 모두를 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은 어려울 듯 하며, 강서대묘만을 평원왕릉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더욱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고구려왕릉의 위치비정 문제를 더욱 신중하게 접견해야 할 것으로 믿는다. Until now the remaining numb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was believed to be one hundred and seven.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total remaining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in China is thirty-eight : thirty-six in Jian area, one in Huanren area and anotherr one in Pusoon area. The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believed to be seventy-six. And four more can be added to this number: kumsandong tomb in Sunchon area, double room tomb of jinpari old mound in Pyongyang, jinpari tomb number 7 and dankun royal tomb. Accordingly currently confirmable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amount to one hundred and eighteen including thirty eight remaining in China and eighty found in North Korea. Especially mural painting tombs with external formation as a stone-filed tomb and internal construction as a stone chamber are being found : under mountain castle julchun tomb, underwoomoutain number 1041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3319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8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25 tomb. The fact that wall paintings are discovered in stone-filed tombs gives important suggestion related to the origin of mural painting tombs. Approaching the burier of mural painting tomb is a difficult problem. This paper has tried to verify the buri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by looking through the records of 'samguksagi', 'samgukyusa' and historical records from Japan. Since the names of burial ground of Koguryo king s are recorded in samguksagi, not able differences can be ascribed to maladministration of the royal tomb. Anak number 3 tomb had a lot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burier of the tomb. In the perspective of dongsu's tomb, it tried to illustrate the historical estrangement between ink-written writings of the burial ground and '聖上幡'. Accordingly with the belief that government official position found in ink-written writings of anak number 3 tomb is false,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can also be considered a falsehood.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are not drawn to show current livings to be extended again in future life but to show after death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Besides mural painting tombs which express the gaesae idea (A 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other mural painting tombs which show hope for better life after-death. Those wishing for better life after-death can be found in '王' character designed mural painting tombs and yellow dragon drawn mural painting tombs.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Koguryo kings followed the names of the burial site starting from the Jangsu King. This paper has look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with a perspective that big-sized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in Pyeongyang area are mostly royal tomb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Jangsu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existing in Pyeongyang area. And to be more specific, it may be dongmyung royal tomb. Jinpari old mound in the area of dongmyung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n the construction area of koguryo royal tomb. Therefore jinpari number 1, 4 and 7 can be understood as the possession of Anjang king, Munjamyung king and Joda. Samguksagi confirms that several names of the kings originated from their burial site names starting from Anwon king. From Anwon king, royal tomb construction areas were divided to different individual areas. Therefore big-sized seoksil bongtoe-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found in Pyeongyang area has high possibility of being a mural painting royal tomb which was built after sixth century. Currently confirmed mural painting tombs built after sixth century are gaema tomb, naeri number 1, jinpari number 1, jinpari number 4, jinpari number 7, honamri sasin tomb, gangseo big tomb, gangseo middle tomb and so forth. Among these some may be built into royal tomb. This paper has assumed honamri sasin tomb as the Anwon king. Moreover it is hard to discuss both gangseo big tomb and gangseo middle tomb as a royal tomb. Only gangseo big tomb can be said as a king pyongwon's tomb. Hereafter, koguryo royal tomb location problem should be conducted with a more diversified examination.

      • KCI등재후보

        新浦市 절골터 金銅板 銘文 검토

        이승호(李丞鎬)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1988년 6월 함경남도 신포시 오매리의 절골 유적에서 발견된 「新浦市 절골터 金銅板」은 죽은 왕의 영혼이 도솔천에 올라 미륵에 참배하기를 기원하고자 조영한 탑에 부착되었던 塔誌이다. 그간 금동판의 명문에 대해서는 『조선유적유물도감』에 처음 유물의 실물 사진과 함께 판독문이 소개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근래에 출간된 『북녘의 문화유산』에서 유물에 대한 선명한 사진자료와 판독이 새롭게 제시되면서 명문 분석에 보다 용이한 조건이 마련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금동판 명문에 대한 판독을 다시 시도하고 명문 내용에 대한 분석도 함께 진행하고자 하였다. 그간 유물의 명문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유물의 제작 시기를 알려 주는 “▨和三年”의 연대 비정이었다. 지금까지 선행 연구에서는 이를 양원왕 2년(546)으로 비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永康七年銘 金銅光背」 명문의 ‘永康’을 고구려 양원왕대 연호로 보아 영강 7년(원년 545년)을 양원왕 7년(551)에 비정하는 것이 유력한 견해임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의견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금동판의 제작 시기가 영양왕 즉위 15년(604)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유물은 7세기 전반 당대 고구려 지배층의 미륵신앙과 내세 의식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6세기 후반~7세기 초반 高句麗의 南進과 對新羅 領域向方

        장창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5 No.-

        In 568, Silla occupied the Hamheung reigion in Hamgyeongnam-do. In 570~80, Goguryeo overcome the situation through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improvement of system in King Pyeongwon(r.559~590).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Goguryeo has been changed. As the Sui Dynasty united China in 589, Goguryeo which shared borders with Sui, came to encounter some serious threats. But Goguryeo seek compromise relationship with Sui. Also Goguryeo negotiations with Wae. This situation provided that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 in the 590s. King Yeongyang(r.590~618) dispatched an general named Ondal for recover the territory west of Geripnyeong and Jungnyeong. Ondal went through Jungnyeong route at Adanseong[located in Danyang-gun, Chungcheongbuk-do]. But the battle at Adanseong Fortress in the 593~594 was failured, and Supreme commander Ondal was killed in the battle. Since Silla advanced the North Hangang basin, occupied the Chuncheon [Gangwon-do] rigion. In 603.8, Goguryeo reattacked territory of Silla which named Bukhansanseong Fortress[located in Gwangjin-gu, Seoul]. But that battle also ended in a Victory for Silla. After the battle of Bukhansanseong Fortress, King Jinpyeong(r.579~632) abolished Namcheonju[Ichon-si in Gyeonggi-do]. Instead He reestablished Bukhansanju at north of Hangang. It means that Silla constructed the defense line in Hangang basin. Since territorial battle at the North Hangang basin between Goguryeo and Silla has continued. 고구려는 6세기 중반의 위기상황을 570~80년대 체제정비와 대외관계의 개선으로써 타개해 나갔다. 평원왕은 태자 책봉을 통해 왕위계승 분쟁을 사전 차단했으며, 전렵 활동으로 군사권을 공고히 했고, 승관제를 정비함으로써 왕권을 뒷받침하는 이념적 토대를 구축했다. 또한 長安城을 축조했고, 완공 이전에 천도를 단행하여 방어체제에 만전을 기했다. 고구려와 隋의 관계는 590년 수 文帝의 새서와 嬰陽王(590~618)의 화답이 이어지면서 592년 무렵 우호적으로 전환되었다. 남방에서는 577년 이후 위덕왕이 대신라 보복전을 전개하여 신라 서변의 추풍령로를 압박하였다. 고구려는 570년대 이후 왜와도 관계를 개선하였다. 591년 11월~595년 7월까지 왜는 九州[筑紫]에 2만군을 주둔시켰다. 이는 신라군을 남쪽 방면에 묶어두는 효과를 거두었다. 영양왕은 온달을 보내 신라에게 빼앗겼던 鷄立嶺과 竹嶺 서쪽의 땅을 되찾고자 했다. 온달 南征軍과 신라군의 격전지는 阿旦城[단양군 영춘면 온달산성]이었다. 전투의 시기는 장안성 공사 완공 이후와 수와의 관계를 고려해 593~594년으로 추정했다. 온달은 영서와 중부내륙을 남북으로 이어주던 죽령로를 경유해 단양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아단성 전투의 패배로 도리어 신라가 죽령로를 통해 북진하는 기회를 맞았다. 신라는 7세기 초반까지 북한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핵심 거점인 춘천 지역까지 장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고구려는 603년 8월 北漢山城[아차산성]을 공격하였지만 신라군에 패했다. 신라는 북한산성 전투의 승리를 계기로 604년 南川州를 폐지하고 北漢山州를 다시 설치하면서 한강 이북의 방어체계를 본격적으로 마련했다. 그러나 608년 2월 고구려군의 반격을 받고 牛鳴山城[춘천 일대]을 내주고 말았다. 다만 우명산성 전투로 되찾은 고구려의 죽령로 영유에 대한 주도권은 지속되지 못했다. 612~614년 고구려가 수와 국운을 건 전쟁을 치루는 틈에 신라가 고구려의 영토 500리를 차지했던 것이다. 이로써 고구려가 608년에 차지한 우명산성은 신라에 다시 귀속되었고, 신라는 한강 본류 방면에서도 북한산성을 교두보로 하여 북방진출을 가속화했다.

      • KCI등재

        高句麗 嬰陽王代의 新羅攻擊과 國內政治

        崔豪元(Choi Ho Won) 한국사연구회 2012 한국사연구 Vol.157 No.-

        King p’y?ngw?n’s ascension to the throne during the late 6th century coincided with Kogury?’s overcoming of the crisis it had experienced in terms of its power during the mid-6th century via the strengthening of its royal authority and settling of public sentiment. Thereafter, during the reign of King Y?ngyang, Kogury? attacked Silla. While this first attempt is best remembered for marking the rise of Ondal, who had first been appoi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p’y?ngw?n, as a new power figure, this attempt ultimately ended in failure. Kogury? subsequently attacked Liaoshi in 598 however, this campaign also failed amidst a counterattack on the part of the Sui(隋) dynasty. Having led the campaign against Liaoshi. King Y?ngyang found himself in a precarious political position following its failure. However, he was abl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initiating a second round of attacks on Silla in 603. In 608, King Y?ngyang was able to achieve some victories on the battlefield against Silla. However, King Y?ngyang’s policy came unde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ssure following the Sui dynasty’s decision to dispatch a second expedition to Kogury? in 612. On thedomestic front, strong resistance emerged amongst the aristocrats to the attempts to further invigorate the royal authority. The strong dependence of the figures appointed and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during the reigns of King P’y?ngw?n and Y?ngyang on royal authority meant that their political power vis-a-vis the aristocrats was quite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campaign against Silla facilitated Silla’s overture tothe Sui dynasty and in essence caused the latter’s expedition to Kogury?. The combined forces of Silla and Sui were able to wrest some 500-ri of territory from Kogury?. This denouement was the result of the weakening of the ability to resist against external shock occasioned by the stretching of its front line defense to the breaking point amidst a two-pronged attack by Sui and Silla. As such, although King Y?ngyang made efforts to continue the policy course set by King P’y?ngw?n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his efforts were frustratedby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His attack on Silla implemented as part of this policy also ended in failure because of the Sui dynasty’s invasion of Kogury?. These results greatly influenced his attempt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