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

        임재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que of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is a fundamental issue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imation & webtoon. Such research projects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organizations, including related academic associations. As a fusion science and composite art that applied the human-society, science-technology, culture-arts, the need and purpose of systematically exploring the study according to academic and artistic genres has emerged. First,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the period circle, the king's control, an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era, and applied with the criticism tasks. It was identified as an ancient, middle-aged, modern, and modern Web-image history by integrating it with world history in the long and close relationship of the times, the ruling system of the royal ruling forces, and the history course of the education ministry. Secon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social and scientific stages, economic development stages, and subject categories to determine critical tasks. In ter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history of the field was divided into ancient, traditional, and modern, with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ir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scientifically researched into the classification of prehistoric archaeological, geology, and anthropological periods. Stoneware by archaeological remains → Bronze Age → Iron Age and Paleozoic Era → Mesozoic → Neoclassical Phase. We explored the period by dividing it into plants and animals in stratified fossils, modern humans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phenomena. Fourth,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were applied to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ith cultural and artistic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and industrial convergence technology. We extracted content such as cultural garden-style storytell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events and mythological leg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 reproductions of screenings, game character products, learning contents, Finally, Web-imagists sought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in the humanities-society, science-technology, and cultural-artistic fields as a comprehensive art in all academic fields. However, the history of cartoons could not be developed in detail and analytically, so many logic was summarized by reference and diagram, but did not elaborate. It is hoped that cartoon research will be activated by presenting as a draft proposal of Korean Web-image chronology and critical research tasks. 만화영상이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 등을 응용한 융합과학과 복합예술로서 학문적 영역과 예술적 장르에 따라 세계사와 한국사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시대구분의 탐구가 필요하다.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는 만화영상의 연구개발에 관한 당면한 현안과제이다. 첫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인문학적으로 시대원근, 왕조정권, 역사교육적 시대를 구분하고 비평과제를 준용하였다. 시대의 멀고 가까움과 왕권 지배세력의 통치체제와 교육부의 역사교과과정에 세계사와 통합하여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일반적인 만화영상사를 규명하였다. 둘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사회과학적으로 사회발전단계, 경제발전단계, 주제분류로 시대를 나누고 비평과제를 가름하였다. 사회경제 발전적 측면에서 고대적→봉건적→근대시민적 사회발전단계와 원시공산→고대노예→중세봉건→자본주의→사회주의의 경제발전단계 그리고 사회사·문화사·정치사·경제사의 특정분야적인 만화영상사를 고찰하였다. 셋째, 한국만화영상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선사 고고학ㆍ지질학ㆍ인류학적 시대구분을 모색하고 비평과제를 탐구하였다. 고고학적 잔존물에 의한 석기→청동기→철기의 선사시대로부터 유사시대까지와 지질학적 현생누대의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단계에 지층 화석에서의 동식물과 현생인류 그리고 인류학적 문화 현상의 만화영상사를 탐색하였다. 넷째, 한국만화영상사를 문화예술적으로 문화원형적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적 융합기술로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적용하였다. 문화예술과 관련한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적 전통문화, 역사사건, 신화전설 등의 콘텐츠와 상영공연물, 게임캐릭터 제품, 학습물 콘텐츠 등의 재현 그리고 문화산업적 기술을 융합한 만화영상사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만화영상이 모든 학문 영역의 융합과학과 다양한 예술 분야의 종합예술로서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만화영상사를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여 많은 논리를 참고 도표로 집약하였으나, 엄밀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만화영상의 역사적 특수성과 세계만화영상사의 보편성과 통합한 만화영상사 연표와 비평적 연구과제를 시안으로 제시하여 만화영상사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映像資料를 활용한 多文化家庭의 傳統文化 교육 방안 연구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의 재편으로 인한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유학생, 국제결혼, 중도입국청소년 등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우리보다 먼저 다문화를 먼저 경험했던 여러 나라들의 선례에 비추어 볼 때 영상자료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이 매우 유익한 방법임을 제시해 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우리에게는 1960년대부터 국립무형유산원과 KBS, 아리랑TV 등에서 제작한 전통문화 관련 영상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공동체문화, 연희문화, 의식주문화, 한의 문화로 범위를 획정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영상들을 제시해 보았다. 공동체문화와 관련된 영상으로는 농악, 달집태우기, 줄다리기, 불천위제사, 전통혼례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다. 다음으로 의식주문화와 관련해서는 누비장과 조선왕조궁중음식, 대목장, 제와장 등의 영상 작품들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셋째, 연희문화와 관련된 영상은 남사당놀이와 줄타기, 아리랑, 하회별신굿탈놀이, 북청사자놀음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는데, 이 영상들은 우리 조상들이 놀이와 극을 통해 삶의 활력을 찾았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의 한류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는 한의 문화인데 한과 관련된 영상은 씻김굿과 판소리, 위도띠뱃놀이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다. 이와 같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교육함에 있어 영상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문화적 충격을 극복하고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안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 has been rapidly head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ted children causing from the industry reorganization. However, there was no depth discussion about an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even if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being adapted to a Korean society. Therefore, a study offers several methods for effectiv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using video materials based many cases of experienced countries about multi-culture before Korea. As everyone knows, Korea has many video materials produc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KBS and Arirang TV since 1960’s. The study extends Korea’s traditional culture to community culture, a play, food, clothing, shelter and bitter memories called Han with resonable video materials. Related to community culture, a study provides videos of traditional Korean farmer music ‘Nong-ak’, sheaf burning, tug-of-war, ancestral rites and traditional marriage. Regard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a study covers Nubijang, Royal cuisine, Daemokjang and Jewajang(Roof Tile Making). The study presents ‘Namsadang Nori’, tightrope, Arirang, Hahoe Pyolshingut Mask Dance and Bukcheong Saja noreum dance which would be effectiv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Lastly, the study consists of ‘Han’ with video materials such as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Pansori and a ceremony before boating. If Korea makes the best use of these video materials for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would be deeply supportiv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accustomed with Korean society beyond th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영상물 수출에 있어서 인문학적 전략

        김성필,장미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8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의 영상물 유통 현황을 살피면서 한국 영상문화콘텐츠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추이를 기술한다. 이로써 한류 문화라든가, 한국 영상물 전체의 세계 시장 유통에 있어서 어떤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는지를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한국영상문화 콘텐츠물이 양적으로 성장하여 그 추세가 줄어들기 시작하는 2005년에서 2007년까지의 양적 통계와 데이터를 통하여 질적인 결론을 유도하고 이를 분석하는 고전적인 통계 분석의 절차를 가진다. 분석결과, 정부는 해외에 수출된 한국영상콘텐츠의 후속 문제에 관하여 무심하다. 새로이 수출될 영상물의 질을 점검할 생각도 재고할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 교육 또한 기능적이고 상업적인 면모를 지녔으며, 영상물의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말의 잔치로 끝나고 있었다. 즉, 영상물의 존재론이 없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상물의 질적 차원을 인문학적으로 해결하고, 영상콘텐츠를 상품이 아니라 지역시장 소비자의 삶과 꿈이란 점을 이해하여 현장의 직접적인 요구로부터 거리를 취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토록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상콘텐츠물의 세계화란 미국화가 아니라, 세계지역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한국만의 영상콘텐츠물을 만들도록 제안한다. 현대의 영상물은 쓸모 혹은 니즈가 아니라, 소통이며, 욕망과 꿈의 구성물이다. 유통도 그런 성격을 벗어날 수 없다. 한류로 대표되는 한국 영상콘텐츠의 가격대과 유통 네트워크가 서서히 확보되고 있다. 이제 콘텐츠의 질을 재고하고 새로운 홍보기법을 구상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것이 곧 문화적 마케팅이다. 문화적 마케팅은 영상물의 마케팅과 동일하다. Contemporary visual products rely not on consumers' needs or utility but on their desire and dream to relate with distribution too. This study examines the first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Korean visual products(1995-2007) responding to an world demand and observes of its merites and faults for the purpose of managial readjustment. The method is an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lready offered and used by related official etablissements. Interpreting the data in cross checking technic and by others sources more confidential, this analysis goes beyond simple official interpretation of the data. As results, this brought some important conclusion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official policies. The decline of Korean visual products in mid-21 century is caused by not only lack of the ability to detect all the ingredients in products, but also their cantered sensitivity to gains as well as distribution network only which escape a vision of longevity, which is linked to desire and dream. Lack of vision of consumers' aesthetical and desire, that decline would be natural in the future. These conclusions make us to consider how the contemporary visual products in Korean society would define the aesthetic values more common for the world and how varying levels of exposure to these values can result in variations by countries, cultural background, and education.

      • KCI등재

        영상언어와 문학

        정명교 한민족어문학회 2009 韓民族語文學 Vol.55 No.-

        Image is the most powerful medium in this era and the cultures by image are occupying the dominant area in the contemporary field of cultures. Bu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image cultures shows that the newly emergent image culture replaces consecutively the previous one and pushes the olds to the boundary, moreover, to the loss of their vital force. The digital image culture arrives at the zenith of this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operates as a decisive moment of transforming the nature and the function of image. Now, with the digital image, image culture not only arranges the past and fulfills the present, but also possesses in advance the future, and therefore, it incarnates the idea of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human behavior. But strictly, these possibilities are realized as fantasm. That is, digital image culture intervenes in the reality as the imaginary phantasms in the name of the real. The twofold outmoded cultures, that is, on the one hand, the literature, the core of analog cultures, and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of being outmoded of image cultures themselves induce the radical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cultural situation and urge us on the groping for the true culture. 이 논문은 오늘날 이미지가 지배적인 문화적 매체로서 작동하고 있는 양상의 근원을 살피고 그 진화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점점 문화의 주변으로 밀려나고 있는 문학이 현재 의 영상문화의 지배 현상을 반성적으로 사유함으로써 영상문화와 문학의 공존의 길을 찾을 수 있는지를 탐문한다. 그러한 탐색의 결과로서 첫째, 영상문화가 연속적인 매체의 교체를 통해서 발전했으며, 그 교체과정은 후발 영상문화의 성공과 앞선 영상문화의 몰 락이라는 이중적 양상을 통해 전개되었고, 둘째, 오늘날 지배적인 영상문화는 엄격한 의미에서 디지털을 매질로 하는 문화로서 재래적인 영상문화와 근본적으로 다른, ‘분해와 합성’이라는 존재태를 가지면서, 미래의 선취와 가능성의 무한이라는 환영을 제공하면서, 현재의 끝모르는 향유 속으로 문화향수자를 몰아가고 있으며, 셋째, 이러한 환영의 지배 가 유발하는 정신적 왜곡과 이데올로기적 은페에 대해, 문학과 더불어 ‘몰락한’ 영상문화 가 함께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작용을 가할 수 있음을 추론하였다.

      • KCI등재

        문화영상물 속 지역문화에 대한 기억과 재구성 방식

        조관연(Cho Gwan-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글로벌마켓에서 유통되는 문화영상물에 국한해서 살펴본다면, 예전과 달리 문화권별 그리고 시기별로 존재하던 차이점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또한 개별 분과 학문의 최신 연구 성과들이 문화영상물의 주제와 내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문화영상물의 주제와 내용도 성찰적이면서 연성화 그리고 개인화되어 가고 있다. 포스트모던 담론과 문화영상물의 산업적 특성이 이런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지만, 제작방법론을 둘러싼 담론도 이런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글은 전 세계 시청자를 겨냥해 제작된 문화영상물들의 형식과 내용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었는지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문화영상물 제작의 시조로 여겨지는 로버트 플래허티, 학술과 교육용영화 제작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한 독일의 ‘학술영화연구소’ 그리고 장 루쉬의 제작방법론이 갖고 있는 각기 다른 장단점들이 무엇이며, 이들이 어떻게 현재 제작되고 있는 문화영상물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남긴 유산은 현재 글로벌 마켓에서 유통되는 문화영상물 제작에서 아직도 중요한 지침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영상물의 트렌드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exists a certain tendency in high standard of cultural films being distributed all around the world, which has changed over time. Due to the globalization in recent years, the space and time are being compressed and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goods is being accelerated, and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films are experiencing decrease in its diversity, becoming gradually homogenous. In addition, the content and perspective of film also have a tendency to link with the academic discours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Despite this tendency, the factors affecting the format of film production methodology are heritages from a variety of existing production methodologies. These heritages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 new trend has been created in the current production of cultural films, combining each advantage of the heritages. In this trend, the ‘participating camera,’ in which the director and the characters interact, and the artistic reconstruction of the events from Flaherty are accepted as a principal production guideline. IWF, on the other hand, is contributing to the trend with strict research method, verifiable contents, and the accurate delivery of the contents through technical enhancement. The ideas from Rouch are employed as a production methodology, including camera as a tool for awakening truth, and ethics, reciprocity, and introspection of film production. In order for the cultural films produced in Korea to be distributed in the global market, a creative accommodation of this type of production methodology is needed.

      • 동아시아 합작영상콘텐츠와 문화코드의 고려의 필요성 : 기존의 한,중,일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이경용,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오늘날 문화콘텐츠산업이 동아시아 3개국을 포함한 세계시장속에서 국가차원의 전략 산업중 하나로 자리 잡으면서, 그 의미와 위상이 각 국가의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세계시장을 겨냥한 주요한 수출, 수입을 뛰어넘는 가치를 가진 미래지향적인 산업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 속에서 문화콘텐츠 부문에서 영상콘텐츠는 특히나 중심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동아시아의 한류(korean wave)의 현상이 태동되어 진 것은 드라마인 방송영상콘텐츠의 역할이 중요했다고 볼 수가 있다. 영상콘텐츠가 동아시아 시장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역시나 ‘문화 근접성’의 역할이 클 것이다. 하지만 지리적인 근접성이 가지는 특수성은 역시나 동아시아 내부만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의 주요 3개국인 한, 중, 일의 그동안의 합작영상콘텐츠를 분석하고 앞으로 문화코드를 고려한 합작영상콘텐츠의 제작을 통하여 그 동안 동아시아 내부에서의 한계를 가진 근접성에 따른 상호작용을 뛰어넘어 세계의 다양한 시장에서의 상호적 발전 관계를 위해 동아시아적 가치를 가진 합작영상콘텐츠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보여 진다. 문화적 맥락에 따라 즉 앞으로의 영상콘텐츠의 방향성은 문화코드에 따른 구체화 되어진 콘텐츠 공급 및 방식이 요구 된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이 논문의 한계는 구체적 방법론 제시에는 취약하고 앞으로의 심층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는 논문이지만 그동안의 합작영상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문화코드 연구의 가치성 및 미래지향성을 제시하는 것에는 의미가 있으리라고 생각이 되어 진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

        이효신,윤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콘텐츠로서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의 특징을 이해 하고 영상에 내재 되어 있는 한국문화 내용을 파악한 후 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하 는 데 있다. 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영상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 1’은 한국 홍보영상이며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화콘텐츠이다. 본 연구에서는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영상’과 ‘판소리’로 나누어 내용 을 분석하고 분석 틀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영상 속에 담긴 한국의 대표 문화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통 판소리의 구성요소에 따라 밴드 [이날치]에 의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판소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튜브 플랫폼에서 리뷰, 패러 디되고 있는 밈 문화 현상을 판소리의 향유방식과 비교하여 판소리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모형을 구성한 후에는 이 모형에 따라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활용한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문화 수업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화콘텐츠에 내재 된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들은 낯설고 접근하기 어려운 판소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문화콘텐츠를 접하고 소통하며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타 문화를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 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as cultural content, identify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inherent in the video, and propose a method of educating it. The video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hich is creating a syndrome around the world, is a Korean promotional video and a cultural content that reinterprets pansori in a modern way. In this study,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as divided into “video” and “pansori”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esent an analysis frame so that learners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image of Korea’s representative culture contained in the video. Pansori reinterpreted modernly by the band [Inalchi]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raditional pansori. Additionally, it was intend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pansori by comparing the meme culture phenomenon reviewed and parodied on the YouTube platform with the pansori enjoyment method. After constructing a Korean cultural education model using cultural contents, the reality of education using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is model. Through the Korean culture class presented in this study, foreign learners will be a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Korean culture inherent in cultural content. Additionally, learners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unfamiliar and inaccessible pansori, and will have the ability to consider and communicate other cultures in the process of accessing, communicating, and recreating cultural contents through online platforms.

      • KCI등재

        영상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영상문화변화에 관한 연구

        최원호(Choi Won Ho)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07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상매체가 발명되어 영상문화가 발생된 이래, 영상의 디지털화에 따라 영상문화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디지털 영상환경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영상콘테츠와 영상매체의 디지털화를 따른 영상문화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 디지털 영상문화이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제작과 전송의 효율성을 위해 도입된 영상콘테츠와 영상매체의 디지털화는 매체의 이동성, 개인화를 가속화하여 콘텐츠를 세분화, 전문화시키고 있으며, 상호작용성을 통한 능동적 수용자의 강화는 적극적 수용에서 제작의 참여까지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콘텐츠의 다양화와 매체의 유비쿼터스화는 언제 어디서나 영상을 접할 수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정보와 지식의 유통 창구로써의 영상은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영상을 접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분화된 영상콘텐츠는 능동적 수용자를 통해 목적화되고 있으며, 수용자의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기술과 매체, 콘텐츠의 발전에 따라 영상의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지식과 정보는 영상화됨으로써 가치가 상승하고, 확대된 영상문화 속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수용되고 있다. 일상생활 속에서 더욱 지속적으로 증가할 디지털 영상매체는 지식과 정보는 물론, 의사전달과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선사시대 이래 영상을 기록하고했던 인류의 염원은 기술적 성취에 따라 가능해졌고, 인간 감각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시각적 영향력은 매체와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라 변화된 영상문화 속에서 더욱 강화됨으로써, 디지털 영상문화는 보다 권력화되어 사회와 문화 등 인류의 진보와 변화를 주도하는 가치의 척도가 되고 있다. This is to study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future digital media culture by studying the transition of media culture which is going through major turning point. due to the effect of digitalization on medium and media contents. for this, there were two research subjects designated and they are, first, "what effect does digitalization of media production and media medium contribute to media contents?" and second, "how is the media culture changing by the digitalized media contents?" In the fist research subject digitalization of media production was pursuing the communication of presence by delivering the virtual world in high definition and high sound and contributing diversification and generalization. Also, by providing multi media interactive service for digital user, digital media contents were producing various fomats and details of media contents such as two way service by specification of receiving medium. In second subjet mobile communication of digital media contents through digital media medium such as DMB, Telematics were expanding the range of media contents consumption and materializing the ubquitous of media contents. Also, for the digital media contents based on interactive function were expanding the selection range for users and these expansions user"s selection range led the users to participate in the media contents production with diversity of contents and it is now possible to have semantically different media contents by its users. Not only that, it is deepening the personalizing and the mobility of broadcastiong reception along with diversity of medium and by predicting there changes in reception environment of media contents not only change the life styles, schedules of broadcasting, modification of profit of profit struture of broadcastiong and leading the changes of media culture. In other words, media culture of digital era is demanding the segmenta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y two way disposition of contents through personalizing, diversification and unification of digital media medium and through this, media culture which leads the popular culture was creating new culture with opportunity called digital.

      • KCI등재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이찬욱(Lee Chan Wook),이채영(Lee Chae 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문화콘텐츠 개별 작품에 대한 대중의 흥미와 관심은 단순하게 수치화된 산업계의 수익 결과만으로는 온전한 파악이 불가능하며, 그 결과에 내재된 심층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에야 가능하다. 이러한 심층적인 부분은 곧 한 국가의 문화적 무의식 ― 생활습관, 행위의 규범, 판단의 기준, 느낌, 직관, 가치관 등 여러 문화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 ― 이라 할 수 있는 문화코드(Culture Code)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처럼 문화콘텐츠 산업 연구는 문화코드 분석과 필연적으로 결부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한국이라는 지역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21세기는 글로벌, 글로컬 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 제작ㆍ유통ㆍ판매ㆍ소비의 과정이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세계 시장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에, 한국의 문화코드 분석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코드를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기획ㆍ제작ㆍ유통과 관련된 전 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 개별 문화콘텐츠 작품을 기반으로 한 문화코드 분석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으나, 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영상콘텐츠로 한정하고, 먼저 문화코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서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분석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분석 방식을 한국의 영상콘텐츠, 그리고 문화 산업 교류가 활발한 미국ㆍ일본ㆍ중국의 영상콘텐츠에 대입하여 문화코드 분석 과정의 실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어 이러한 분석 방식이 적용된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상콘텐츠 기반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문화코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에 따른 개별 영상콘텐츠 작품의 수요도를 고려하는 것은, 앞으로의 영상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실패를 최소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public interests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solely by looking at revenues or other figures provided by the industry. A deeper understanding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underlying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underlying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Culture Code”, which refers to an interaction of a range of behaviors, lifestyles, evaluation standards, emotions, instincts, values and other cultural elements that naturally define a nation’s cultur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code analysis, and the focus of this field of research should not be limited to Korea.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a global and “glocal” era in which production,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expanding beyond national boundaries. Likewise, market penetr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ikely to broaden even mor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global trend, analyzing both Korean and other nations’ culture codes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Korean contents. Moreover, this method of analysis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Although discussions regarding culture code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ommon, discussions regarding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analysis is not the case. This study focuses on i) setting video contents a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and ii) the methods by which culture codes can be analyzed. Thus, traditional narrative theories were critically examined and an independent system of analysis was developed. This method was applied to Korean video contents and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where cultural exchanges are actively taking place. The purpose of applying such method was to understand each country’s processes of culture code analysis. A system of analysis and extraction was develope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on which the previously mentioned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ystem need to be utiliz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process, considering the consumer demand on video contents in various areas will minimize errors and fallibilities that can occur in content production and overseas market penetration.

      • KCI등재후보

        연구보고 : 고고학에서 영상의 자원화와 영상커뮤니케이션

        조우택 ( Woo Tack Cho ),최성락 ( Sung Rak Choi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오늘날 영상은 우리의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역사적인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현대인들의 인식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문화자원(cultural resources)이며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다. 이 글의 목적은 영상이 지닌 주요한 가치와 매체 기능을 전제로 고고학연구에 있어 응용 가능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있는 여러 분야의 연구 성과나 경향을 소개하고 검토하도록 한다. 먼저 주목할 것은 학문적·사회적 기록의 자원으로서 영상의 기능이다. 고고학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성과 목적을 지닌 영상기록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이며, 이는 곧 문화자원과 직결된다는 인식의 전환과 사고의 확산이 요구된다. 또한 산재되어 있는 가치 있는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문화자원으로 연계시키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그 대안 가운데 하나로 영상아카이브를 주장하며, 이를 구축하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영상아카이브는 영구적으로 영상기록을 보존하기 위한 기록보관소일 뿐만 아니라 연구자와 대중들에게 정보의 창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의 접근성(public access)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표준화된 기술 체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상기록이 아카이브를 통해 전체적으로 통합 관리될 때 문화자원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영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앞으로 영상은 고고학과 대중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중요한 매개이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전과 매체의 진보로 도래한 뉴미디어·디지털 환경 속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의 방향과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접근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다방향커뮤니케이션(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환경에서의 대중을 지향하는 영상의 활용은 이전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고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융합하는 학제 연구는 아직 미진한 단계이지만 향후 우리가 추구하는 문화 복원, 고고학적 상상력, 그리고 지식 소통의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영상은 고고학연구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당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영상과 영상문화, 영상콘텐츠와 영상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Visuals have the value of preserving the past, and it is influential to people s perception and values; making it the ultimate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resources with educational merit. This study will explore the strong points of visuals and how it can be utilized in the study of archaeology. For this, I will review achievements and trends in other fields of study. Function of visuals as academic and social resources is the first aspect that we should consider. With the right organization and objective, video recording can be a useful tool in the study of Archaeology, especially during field works. Which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ultural resource. We also need to think about strategies to collect scattered video recordings and to preserve them. One way of doing this is building an visual archives. Visual archives will give both physical means to preserve the records and a place for academics and the public to look up information.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the archives should have an easy public access and standardized technical system. Individual video recording will increase its usefulness as a cultural resource when they are managed together in one system. Next,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function of visuals as a communication, as it can work as a mediator between Archaeology and the public. Technological advances brought new media and digital environments which in turn diversified course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ts methods. Applying visuals to the public in a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needs to be approached in a different light. Interdisciplinary study of archaeology and visual communication will actualize cultural reconstruction, archaeological imagination and strengthen power of knowledge sharing. Utilizing visual images have a great potential to improve quality of archaeological research.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s to understand the imaging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