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영산회괘불도(靈山會掛佛圖)의 청문자상(聽聞者像) 출현에 관한 연구 (-진천 영수사와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도〉를 중심으로-)

        김선희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9 No.3

        〈영산회괘불도(靈山會掛佛圖)〉는 『법화경(法華經)』에서 서술하고 있는 석가모니불의 기사굴산(영취산) 법회 장면을 그림으로 표출해낸 것이다. 조선시대 〈영산회괘불도〉에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청문자상(聽聞者像)’이 화면에 나타나는 등 많은 변화의 모습이 보인다. 현재까지 알려진 조선시대 괘불도는 1622년 제작된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도〉를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독존도 형식, 군집도 형식 그리고 삼신불도, 삼세불도, 삼신삼세불도 등의 형식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어 그려졌다. 조선시대 청문자상이 등장하는 불화는 총 9점이며, 그중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도〉(1653년)와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도〉(1658년)에는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청문자 도상이 등장한다. 17세기〈영산회괘불도〉는 임진왜란(1592~1593년) 등의 혼란했던 시기가 지나고 점차 사회가 안정을 찾으면서 불교계에서도 불안했던 민심을 달래기 위하여 수륙재나 영산재 등의 의식이 성행하였다. 이는 이전의 왕실 혹은 귀족 중심이던 불교가 서민 대중 속으로 깊이 파고들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런 시대 상황에서 <영산회괘불도>에 청문자상이 등장하고 있음은 대중에게 불교를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청룡사 〈영산회괘불도〉(1658년) 제작에 참여한 박란(朴蘭)은 도화서 화원으로 추측되며, 이는 왕실에서도 불화 조성에 기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충청도 지역 화원으로 활동하던 명옥(明玉)과 법능(法能)은 영수사 〈영산회괘불도〉(1653년)를 제작했으며, 5년 후 청룡사 괘불도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도상이 17세기에 경기지역과 충청도 일대에 조성된 배경은 『법화경』변상판화 각수로 참여했던 명옥을 비롯한 많은 화사들이 경전간행불사에 참여하면서 승려형 불화초본을 공유하여〈영산회괘불도〉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영수사와 청룡사〈영산회괘불도〉는 불교회화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교조적(敎條的)으로 답습하던 도상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 일반회화의 유창한 선묘와 유연한 색채를 받아드려 불교회화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화면의 구성은 이전부터 그려오던 군집도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그중 영수사 괘불도(1653년)는 승려형의 청문자상으로 바뀌는 기점으로 표현 내용이 다양해지고 구성이 훨씬 더 복잡해진 것이 특징이다. 반면 청룡사 괘불도(1658년)는 화면에 크기에 따라 내용을 축소하거나 수인을 변화시키거나 생략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작품으로는 안심사(1652년)ㆍ화엄사(1653년)ㆍ비암사(1657년)ㆍ청룡사〈영산회괘불도〉(1658) 등이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영수사와 청룡사 <영산회괘불도>에 나타나고 있는 청문자상은 당시 화원 간의 교류의 소산(所産)이라 하겠다. 이는 이전 시기 불화와 이후 18세기 불교회화와의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불교회화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김정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9 강좌미술사 Vol.52 No.-

        Paintings of Hwaeomsa temple is a representation of Assembly at the Vulture Peak of Yeongsanjae's main Buddha Shakyamuni, with a width of 731 cm and a length of 1,009 cm, which is made up of 24 ramie cloths for which about 90 peoples along with Hyojong's second eldest daughter Princess Sukan(1636~1673) and her husband Hong Deukgi (1635~1673) supported. On the occasion of the composition of Hwaeomsa temple banner paintings, Byeokam clan led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such as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Bosalsa temple (1649), Anshimsa temple (1652), Yeongsusa temple (1653), and Biamsa temple (1657). The reason that a plural number of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of the same iconography, Yeongsanhoe, were composed in the Chungcheong and Honam regions in the short period between 1649 and 1657, is that not only did the Yeongsanjae, the ceremony to the dead, become the largest Buddhist ceremony of the late Joseon period, but related ritual collections were published as well. Here Gakseong wrote a preface, and the "Ojongbeomeumjip" compiled by his disciple Jiseon had a great influence. Since then, Buddhist services of Byeokam clan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leading to the prosperity of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role of Gakseong in establishing and spreading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very great. 벽암 각성(1575~1660)은 청허 휴정(1520~1604)의 淸虛系와 함께 조선후기 불교계의 양대계파인 浮休系 성립의 기반을 구축한 승려였다. 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란으로 피폐해진 민심을 사찰의 중창과 佛事를 통해 위로하면서, 조선후기 불교미술 조성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각성은 1636 년(인조 14)에 화엄사를 중창하고 이어 하동 쌍계사, 완주 송광사 등 대가람을 중창하였으며, 1646 년(인조 24) 이후 화엄사에 주석하면서 1653 년에 화엄사 영산회괘불도 조성을 주도하였다. 화엄사 영산회괘불도는 24 폭의 모시를 이어 만든 가로 731cm, 세로 1009cm 의 거대한 화폭에 靈山齋의 주불인 석가모니의 설법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효종의 차녀 淑安公主(1636~1673)와 남편 洪得箕(1635~1673)를 비롯한 90 여 명의 연화질과 시주질이 참여하여 조성하였다. 화엄사 괘불도의 조성을 즈음하여 각성을 중심으로 한 벽암문도는 보살사 영산회괘불도(1649), 안심사 영산회괘불도(1652), 영수사 영산회괘불도(1653), 비암사 영산회괘불도(1657) 등 영산회괘불도 조성을 주도하였다. 이처럼 1649 년~1657 년 사이의 짧은 기간 안에 충청, 호남지역에서 靈山會라는 동일한 도상의 영산회괘불도가 다수 조성된 것은 靈魂遷度儀禮인 靈山齋가 조선 후기의 최대의 불교의식으로 자리잡게 되었을 뿐 아니라 관련의식집이 다수 발간되었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각성이 서문을 쓰고 제자 智禪이 편찬한 五種梵音集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후 벽암문도의 불사는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18, 19 세기 영산회괘불도의 성행을 이끌어냈다. 따라서 조선후기 영산회괘불도의 성립과 확산에 있어 각성의 역할이 매우 지대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 연구

        신광희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2

        The painting of Yeongsanhoe Gwaebul-do at Gaeamsa Temple in Buan is a representative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that shows an aspect of Buddhist ri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s was led by monk painter Eui-gyeom, and is also famous as a work that shows his ability and personality. Therefore, this painting has already receiv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with ritual texts, painting style, and the meaning of Sanskrit characters have been known. This paper dealt with two contents in addition to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ne is the analysis of the initial sketch, and the other is Uigyeom's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production method. Gaeamsa Yeongsanhoe Gwaebuldo is an extra-large Buddhist painting with a total size of 1,321.0cm in height and 917.0cm in width, and is painted on hemp cloths. This painting was produced under the leadership of Uigyeom in 1749, and has the largest total area among the extant gwaebulhwa. It is also the only work of which a initial sketch remains among the Buddhist hanging paintings produced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very important that Gaeamsa Temple, that is, that a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has survived to the sketch. This is because, comparing the colored picture and the sketch, one can more specifically check the iconography, the process of coloring, and one aspect of the production method. Also, Yeongsanhoe Gwaebul-do of Gaeamsa Temple is the last of five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painted by the great painter Uigyeom of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Uigyeom inherited the preceding iconographies while producing Gaeamsa Yeongsanhoe Gwaebul-do, he transformed the postures of Buddha and Bodhisattvas, the coloring, and the shape of patterns. In particular, he painted it so that it could be seen from a distance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and at the same time, he painted even the smallest details in detail. Uigyeom is believed to have painted this painting at Gaeamsa Temple. And he used the method of dividing the base material cloth into two parts, copying the sketch, connecting the cloths, and then coloring them. In addition, Sanskrit characters are found all over the bod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it is possible that Uigyeom wrote these Sanskrit characters. Yeongsanhoe Gwaebul-do and the initial sketch of Gaeamsa Temple are important enough to be called standard works for the study of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more, it is of great value in understanding the trend of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조선 후기에 야외에서 행해진 불교 의식의 성격을 엿보게 해주는 대표적인 대형불화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 그림은 조선 18세기의 걸출한 불화승 의겸이 주도해서 그린 작품으로, 그의 활동 후반기 역량과 개성이 집약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이러한 이유로기존에도 이 그림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그 결과 의식집과의 연관성, 의겸의 화풍, 점안범자의 의미 등 다각도의 측면에서 그 의미가 조명되었다. 본고는 기존에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2가지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하나는 동일 초본의 분석이며 다른 하나는 의겸의괘불화 제작 방식이다.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전체 크기가 세로 1,321.0cm, 가로 917.0cm에 달하는 초 대형불화로 삼베 바탕에 채색되었다. 1749년에 의겸의 주도로 제작되었으며 현존하는 괘불화 중 전체 면적의 크기가 가장 크다. 또한 조선 17-19세기 괘불화 중 유일하게 초본이 남아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렇듯 초대형 규모의 불화가 초본까지 온전하게 남아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논문에서는 채색본과 초본을 비교하면서 도상 및 채색의 진행 과정, 화법의 완성도, 그리고 제작방식의 일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18세기의 위대한 화승의겸이 그린 5점의 괘불화 중 마지막 작품이다. 의겸은 개암사본을 제작하면서 선행도상을 계승하면서도 자세, 채색, 문양 등을 변용하면서 개암사본만의 개성을 확보했다. 특히 괘불화라는 주제에 맞게 현현성이 두드러지는 동시에 필선이 유려하고 문양이 곱고 아름다우며 눈에 잘 보이지않는 아주 작은 부분까지도 세밀하게 표현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의겸은 개암사 괘불화를개암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등초 단계에서 바탕감을 크게 둘로 나누어 작업하고 이후 연접한 후 채색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또한 불·보살의 신체 곳곳에 범자가 확인되는데, 범자 위에채색을 올린 부분이 많은 것으로 미루어 의겸이 점안 범자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 개암사 <영산회괘불도>는 함께 남아 있는 <영산회괘불도 초본>과 더불어 조선후기 괘불화 연구의 기준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더 나아가 조선불화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도 가치가 큰 역작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의균(義均)작 불화의 파형와문(巴形渦紋) 연구

        고승희 ( Koh Seung 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이 논고는 팔공산 화파인 의균 작 불화에 표현되는 다양한 문양 가운데 불상 중심 문양으로 많이 그려지는 파형와문대해 고찰해보고 조선 17 세기 중반~18 세기 전반 불화의 파형와문의 변천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의균은 17 세기 후반에서 18 세기 초반에 걸쳐 팔공산 동화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불화승이다. 1686 년 작 대비사 영산회상도에 처음 이름을 올린 다음 13 년간의 공백을 가진 뒤 1699 년부터 시작하여 1703 년, 1707 년, 1708 년 등 모두 네 시기에 걸쳐 수화승으로서 동화사 및 파계사와 보경사 등의 불화를 본격적으로 조성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조선시대 17 세기 중반-18 세기 전반 불화에 나타나기 시작한 ‘파형와문’은 ‘의균’ 에 의해 조성된 1699 년작 동화사 극락전 아미타회상도부터 1703 년 조성의 동화사 동화사 금당 중전 아미타후불도에 걸쳐 완성을 보는 새로운 무늬로 등장했다. 이 무늬는 1653 년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도로부터 비롯되어 1686 년의 대비사 영산회상도와 1695 년 조성의 적천사 괘불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런데 파형와문은 의균 유파인 1724 년 조성의 법화사 영산회상도의 쾌민으로 이어지고 있으나 그 이후 조성된 불화에서는 현저하게 빈도수가 줄어들면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무늬로 파악된다. 이처럼 약 70 여 년 동안 의균 화파의 불화에 의해 표현된 파형와문은 18 세기 전반 이후에는 잘 표현하지 않는 유형의 문양이어서 불화의 편년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문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파형와문은 그 연원을 불교의 卍자 문양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어 이 점에 중점을 두고 좀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해두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tly drawn ‘Waveform volute pattern(巴形渦紋)’ with Buddha-centered design among many patterns expressed in Buddhist paintings by ‘Ui-Gyun(義均)’ an artist from Palgongsan school. The study has also researched the transition process of ‘Waveform volute pattern’ of Buddhist paintings from mid-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Chosun dynasty. ‘Ui-Gyun’ is a Buddhist monk painter who was based in Donghwasa temple in Palgongsan, Daegu and active from late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His name appeared in the painting of the VulturePeak Assembly of Daebisa temple in 1686. After having 13 years of gap, he began working as the leading monk painter for the Buddhist paintings of Donghwasa temple, Pagyesa temple and Bogyeongsa temple in 1699, 1703, 1707, and 1708. The ‘Waveform volute pattern’ that began appearing in Buddhist paintings in mid-17th century ~ early 18th century became a new complete pattern by ‘Ui-Gyun’ from the Memoir of Amitabha at the hall of Paradise of Donghwasa temple painted in 1699, to the Buddhist Painting behind Amitabha Buddha at the main building of Donghwasa temple painted in 1703. This pattern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Hwaeomsa temple in Gurye (1653), Memoir of Yeongsanhoi at Daebisa temple in Cheongdo (1686), and the Hanging Painting at Jeokcheonsa temple (1695). Although the ‘Waveform volute pattern’ was continued by the ‘Ui-Gyun’ school’s ‘Kwae-Min(快敏)’ who painted the Memoir of Yeongsanhoi at Beophwasa temple (1724), its frequency of appearance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Buddhist paintings after that, and it became hard to be found. The ‘Waveform volute pattern’ expressed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Ui-Gyun’ school over about 70 years is a pattern that was hardly expressed after the early 18th century and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ttern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Buddhist paintings. Especially, since some suggested that the source of the ‘Waveform volute pattern’ can be found from the Buddhist cross (‘卍’) pattern, a need for a detailed study on this aspect is rai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