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강상류 및 영동지방, 섬강‧평창강유역의 관방유적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영월 정양산성과 강릉 강문동토성을 중심으로-

        김진형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Among the fortresses in South Korea,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gang, the Yeongdong region, and the Seom-gang‧Pyeongchang-gang basin has historical backgrounds such as the border area between Goguryeo and Silla, frequent invasions by Mongols and Japanese pirates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nvasions by Japanese raid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gang correspond to the southern of Yeongseo region, Gangwon-do and the northern region of Chungcheongbuk-do. Along the stem of the Namhan-gang, it runs from Taebaek to Jecheon, and 41 fortresses are located in cities and counties except Taebaek.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which runs from the north, and has a total of 51 fortresses, despite having a not wide flat land. The Seom-gang‧Pyeongchang-gang Basin is a part of the southern part of Gangwon-do. Mountains are distributed in nine places in the rugged mountainous terrain, In particular, there are three fortresses distributed in Chiaksan, which attract attention as they have been built from ancient times to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well-arranged fortresses, Jeongyang mountain Fortress in Yeongwol and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in Gangneung excavated are as follows. A total of 12 excavations were conducted from 2010 to 2022 on Jeongyang Mountain Fortress in Yeongwol. Among them, the western wall of the inner castle was the tallest at 16.3m including the auxiliary wall. By arranging the contents of the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eriod of operation of Jeongyang mountain Fortress in Yeongwol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was excavated and surveyed from 2012 to 2013. The overall topography is east-high, west-low,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is different for each section.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in Gangneung can be seen as the period of operation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bove, the fortresses distribu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gang, the Yeongdong region, and the Seom-gang‧Pyeongchang-gang basin were organized, and among them, the contents of the excavation survey of Jeongyang mountain Fortress in Yeongwol and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in Gangneung were briefly reviewed. However, there are still conflicting views among scholar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the site,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ruins (ti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so a more systematic investigation and closer examination of this area is required. If these problems are solved one by one,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남한에 있는 성곽 가운데 남한강상류(강원도-태백, 정선, 영월, 충청북도-제천, 단양), 영동지방(강원도-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삼척), 섬강‧평창강유역(강원도-평창, 원주)은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지역, 고려시대 몽고, 왜구 등의 잦은 침입, 조선시대 왜구의 침입과 같은 역사적 배경이 있다. 남한강상류는 영서지방의 남부지역과 충청북도 북부지방에 해당한다. 북쪽부터 태백-정선-영월-단양-제천으로 이어지며, 태백시를 제외한 시군에 성곽이 41곳이 위치하고 있다. 영동지방은 북쪽부터 이어진 태백산백의 동쪽에 위치하여, 넓지 않은 평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 51곳의 성곽이 분포하고 있다. 섬강‧평창강유역은 강원도 남부지방 일부이다. 험한 산악지형에 9곳에 산성이 분포하며, 특히 치악산에는 3곳의 성곽이 분포하고 있어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축성이 이뤄지고 있어 주목된다. 성곽 가운데 발굴조사된 영월 정양산성과 강릉 강문동토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월 정양산성은 2010~2022년까지 총 12차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중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는 총 9차례 진행되었으며, 그 중 발굴조사를 통해 내성 서쪽 성벽이 보축성벽을 포함하여 16.3m로 가장 높다. 기저부조성, 여장시설, 성벽의 상면마감, 석심토축 등이 조사되어 성벽의 초축 및 증축, 구조에 대해서 많은 부분 밝혀졌다. 출토유물은 크게 토기류, 기와류, 철기류 등 다종다양하며, 발굴조사 된 내용을 정리하면 영월 정양산성은 5세기 후반~조선시대 전반으로 운영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강릉 강문동토성은 2012~2013년까지 토성의 전체를 발굴조사하였다. 전체적인 지형은 동고서저이며, 구간마다 성벽의 축조 방식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A‧B지구는 성토작업→상면 정지작업→외측에 토제시설 조성→성토작업 등이 수차례 반복된다. C지구는 지형적으로 A‧B지구와는 다른 독립된 듯 한 양상을 보이며, 기반암 정지작업→성토작업→토축조성의 순서의 축조공정을 확인할 수 있다. 강릉 강문동토성에서는 유구 및 유물로 살펴본 운영시기는 4세기 말~6세기 전반으로 볼 수 있다. 이상으로 남한강상류, 영동지방, 섬강‧평창강유역에 분포하는 성곽을 정리하고 그 중 영월 정양산성과 강릉 강문동토성의 발굴조사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초축, 주변유적과의 관계(시기), 축조방식 등 학자들 마다 견해가 엇갈리기 있기 때문에 보다 이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런 문제들이 하나씩 풀린다면 성곽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철기~삼국시대 강원 영동지방의 철기 제작 공정 전통 -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심재연 ( Sim¸ Jae-yoa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8

        철기시대 강원 영동지방에 분포하는 마을의 자체적인 철기 제작 증거는 기원후 2세기경부터 확인된다. 그리고 중심 마을은 동해 송정동유적, 강릉 병산동유적이다. 이후, 영동지방은 4세기 중·후반경부터 신라화가 진행되었지만, 물질문화의 변동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주거 형태는 전통적인 주거 형태와 방형 신라 주거가 공존하였다. 철기 제작 기술도 강릉 병산동유적에서 (반)환원괴를 정련하여 철 소재와 철기를 만드는 정련단야와 단련단야 공정이 지속되고 있어 획기적인 변화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선철은 주조용해공정의 존재를 논의할 수도 있지만, 제철 복원 실험 결과, 괴련철 생산 체계에서 우연히 생성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철기시대부터 병산동 마을은 강릉지역 철기 생산 중심지였는데 신라진출 이후에도 한시적으로 지속되었다. 병산동 마을에 거주하던 단야 장인이 초당·강문동, 송정동, 안인리 마을을 순회하면서 철기 제작 및 수리를 담당하였다. 이후, 신라화에 따라 조성된 고분 중에 일상용 철기를 제작하는 단야 장인의 존재가 확인된다. 이처럼 삼국시대 강릉지역은 신라화 이후에도 철기 제작에 필요한 철 소재 수요는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환원괴의 반입은 유지되었다. 왜냐하면 자체적으로 철 생산을 하는 비용 보다, 외부에서 반입하는 것이 부가가치가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철 생산 장인의 분묘가 확인되지 않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강릉지역은 신라의 영역화에도 불구하고 철기 제작 기술은 철기시대 전통이 지속되었다. Iron Age, The existence of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Gangwon- Yeongdong Region is confirmed from around the 2nd century AD. Traces of iron making are found in most villages, but the main villages are the Songjeong-dong site in the Donghae city and the Byeongsan-dong site in Gangneung city. It was thought that the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Gangneung area would change according to the Silla Dynasty from the middle and late 4th century,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Iron Age, Yeo·Cheol-Shaped(여·철자형) dwellings and square-shaped Silla dwellings coexisted. In terms of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t cannot be said that a revolutionary change has occurred as the process of refining and danrying iron materials and iron tools by refining (semi)reduced ingots at the Byeongsan-dong Village in Gangneung continues. And pig iron may discuss the existence of a casting and melting process, but as a result of the iron making restoration experimen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were produced during a bloomery smelt. Byeongsan-dong Village has been the base for making ironware in the Gangneung area since the Iron Age, and its function wa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Shilla process. At that time, itinerant blacksmith living in Byeongsan-dong village would have been in charge of making and repairing ironware in Chodang·Gangmun-dong, Songjeong-dong, and Anin-ri villages. Even after Silla’s effective control over the Gangneung area was complete, the demand for raw materials for iron making did not change rapidly. For this reason, iron was not produced in the Yeongdong region, and the import of (semi) reduced ingots(≒ wrought iron) produced outside, that is, in the Yeongnam region, was maintained. This is because importing of externally produced products was more economically effective than in-house iron production. For this reason, it is presumed that iron production-related relics are not found in Silla tombs, and the existence of black smiths is confirmed in a small number.

      • KCI등재

        강원 영동지방 정미의진의 활동과 전황(戰況)

        임호민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39

        Gangwon district is the core area of Hanmal-euibyeong,where outstanding righteous army,including Yu Inseok and Min Geungho,was turned out.The active nature of righteous army in Gangwon than any other places was because, first, Confucianists in the area had strong Cheoksa, anideology which expels wickedness. Second, as cooperating with large number of mountain hunters, Gangwon strengthened fighting power.Next,they took the advantage of mountainous areas to successfully carry out guerrilla warfare.And lastly,since the army had built armories, it could supply the gun powder on its own. On June1907, Gojong,then-king of the Joseon Dynasty, secretly dispatched a number of emissaries to The Second Hague Conventions, which resulted in accelerat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The Japanese Empire forced Gojong to abdicate the throne and to conclude Junmi7 Treaty, another unequal treaty. The empire ordered the Dynasty to dismiss the military, the last bastion in Joseon. In opposition, Jonmi-euibyeong broke out on a large scale. It lasted for 2 months in Yeongdong area of Gangwon. People from various classes, like the dismissed soldiers, intellectuals, and Confucianists, joined in this anti-Japanese struggle. As dismissed soldiers involved, the militant movement became nationwide and the fight strategy improved. Also they secured more weaponary and diversified army’s members. The Japanese Empire knew it would be impossible to take over Korea completely unless they took control of Gangwon,both the core zone and foundation of righteous army.Therefore, Japanese’s large-scale-suppression in Gangwon occurred.Since this righteous army was a major setback for establishing colonial rule in Korea, it was necessary to repress the army above all things. This was Namhan Dae TobeolJakjeon, a military operation over Korean. Namhan Dae TobeolJakjeon, which started on September 1909,was an operation to completely get rid of righteous army located in suburbs. According to reports by Hankook Jucha gun, Japanese had stationed their garrisonsin Wonsan,Gangneung for Donghaean, Yeongseo for Wonju, Chuncheon, and other places,having them to fight against Korean army, which proves that they had prepared the military action far before it was publicl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army leaders and soldiers responded with massive troops organized with small military units. As Japanese suppression got into their stride,the righteous army shifted their strategies,for example,to attack Japanese guards or police out-stations. Keywords: Gangwon, Hanmal-euibyeong,Min Geungho,Jonmi-euibyeong, Namhan DaeTobeolJakjeo 강원도는 의병운동 진원지로서 유인석·민긍호 등과 같은 쟁쟁한 의병장을 배출하였다.이곳 의병활동이 다른 어떤 고장보다 활발하게 전개된 이유는,첫째,강원도 유림들이 지니고 있었던 척사이념이 남달리 철저했다는 사실,둘째지역적인 특성과 맞물려 산포수가 많아 전투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셋째 산악지대를 이용한 유격전으로 무기 등 열세적인 조건을 극복한 점,마지막으로 활동지역에 직접 무기제조장을 설치하여 병기를 자체적으로 생산·공급할수 있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1907년 8월 초 강원 영동지방의 정미의병은 1907년 6월 헤이그 제2회 만국평화회의 밀사사건을 계기로 일제가 한국식민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편으로같은 해 7월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정미7조약이 맺게 하였고,결국 한국의마지막 보루인 군대 해산령까지 내려지게 되자,해산군인과 지식인,유학자 등다수의 인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항일투쟁으로 해산 군인이 참여함으로써의병운동이 전국화가 되었고,의병전술이 향상되거나 무기가 확충되고 의병구성원도 다양화되었다. 이에 일본은 이와 같은 의병의 진원지이자 세력기반인 강원도 지방에서의의진을 소탕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이른바‘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을 수립하여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1907년 8월부터 작성된 한국주차군 보고서에 따르면,강원도 지역의 경우, 원산을 거점으로 동해안은 강릉,영서지방은 원주,춘천 등지에 일본군 수비대를주둔시켜 해당 지역 의병 토벌을 주도하도록 하였다.이는 1908년 6월 15일~7월10일 사이에 펼쳐졌던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보다 앞서 일제는 영동지방 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단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의병장들과 참여의병들은 정미의병 초기에는 대규모 병력과 부대단위로 조직화된 의병투쟁을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한 토벌이 본격화되면서 특히 강원도 경우 일본군 수비대 및 경찰분견소를 기습하는 형태로 투쟁형태가 변화되었다. 주제어 : 정미의병, 영동지방,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 강릉, 해산군인

      • KCI등재

        조선전기 영동지역의 전세조공물

        박도식 강원사학회 2020 江原史學 Vol.0 No.34

        This paper aims to examine on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of Yeongdong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is, it also hope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ibut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original tribute(元貢物) and a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田稅 條貢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original tribute was a tribute to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paddies and fields and to pay them to the authorities in Seoul(中央各司),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was a tribute to collect the necessary goods for life such as cotton, ramie, cooking oil and honey them to the authorities in Seoul. These land taxes(田稅) mainly received from grain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Various mode of transportation were used to transport these items to Hanyang. The ship was most appropriate transportation of large quantities of goods especially the rice grains which have many mounts and are difficult to transport through land route since traversing with rough peaks Yeongdong region in Gangwon-do. On the other hand, some areas have paid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such as cotton honey spec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Services were held within the royal family. The Sangwonsa Temple as a representative temple maintained the situation from the activ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in Yeongdong region King Sejo also ordered to lower the rice, cotton, pig iron expenses and materials required to rebuild the Sangwonsa Temple. Moreover, the year after rebuilding the Sangwonsa Temple, he gave a Sansanjeeon(蒜山堤堰, Laying an Embankment in Gangneung) to the Buddhist monk Sinmi(信眉). The preference for the Sangwonsa Temple is not limited to land, but it also exempted a special sergeant in the Naesusa(內需司, the king's private office) slaves, miscellaneous services(雜役) and labor services(徭役), and the salt kiln tax(鹽盆稅) owned by the temple. the Buddhist monk Hakyul(學悅) was forced to distribute and repay the cotton to the private sector, and those who can not pay back within the deadline was also received interest. 본고는 조선전기 영동지역의 전세조공물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전기의 공물 연구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선전기 공물에는 원공물과 전세조공물이 있었다. 원공물은 논밭의 결수를 통계하여 잡물을 계산해 중앙각사에 납부하는 공물이었고, 전세조공물은 면포·마포· 유밀 등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징수하여 중앙각사에 납부하는 공물이었다. 전세는 주로 쌀·보리·밀·콩 등의 곡물류를 수취하였다. 이들 현물을 한양으로운송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운송수단이 사용되었다. 특히 산지가 많아 육로 운송에어려움이 많은 미곡과 같은 대량의 물품을 운송하는 데는 선박이 가장 적절한 수단이었다. 특히 강원도 영동지방은 험난한 큰 고개를 넘어야 했기 때문에 輸納의 어려움이 다른 도에 비해 매우 컸다. 그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조공물로 布類를 납부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조선초기에는 왕실과 관련된 사원들을 중심으로 불사가 이루어졌다. 영동지방에서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으며 사세를 유지시켜 간 대표적인 사원은 상원사였다. 세조는 상원사를 중창할 때 이에 소요되는 경비와 자재로 米穀·綿布·正鐵 등을 내리기도 하였고, 상원사를 중창하고 낙성법회가 있었던 그 다음해에 상원사에산산 제언을 사급하였다. 상원사에 대한 특혜는 토지에 국한되지 않고, 내수사 노비특사와 각종 잡역과 요역, 사원 소유의 염분세를 면제해 주었다. 학열은 민간에게면포를 강제로 나누어주고 갚게 하였는데, 기한 내에 갚지 못하는 자에게는 이식을 계산하여 받기도 하였다.

      •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住居址 硏究

        朴榮九 ( Park Young-koo ) 중부고고학회 2004 강원고고학보 Vol.3 No.0

        본 연구는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유물의 특색에 대한 검토작업을 통해 편년을 설정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은 하천과 바다가 合水되는 지역과 湖岸의 구릉지대에 위치하여 해안선을 따라서 확산ㆍ정착되었으며, 이러한 분포양상은 신석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적이 하천이나 호수 주변의 낮은 사구지대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장방형과 방형이고, 장축방향은 대체로 보아서 등고선 방향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내부시설은 대부분의 주거지에서 기둥구멍, 제습용 홈, 저장공이 확인되며, 노지는 확인되지 않는 주거지가 많다. 한편 저장공이 성행한 점이나 이러한 저장공안에 저장공 토기를 묻어 두는 것은 신석기시대 주거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습용 홈과 옥외로 연결된 배수시설은 영동지역 주거지들의 지역적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은 주거지의 형태나 내부구조의 특성에 있어서는 모두 유사하나 출토되는 유물의 조합상과 공반 관계의 검토를 통해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I 기 교동단계는 교동유적 뿐이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청동기시대 유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으로 주거지는 장방형과 방형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내부 시설로는 기둥구멍, 탄화기둥, 위석식노지, 저장공과 청동기시대 중 가장 오래된 탄화미가 출토되었다. 교동 주거지에서 보여지는 서북지방 각형토기단계의 순수 이중구연토기와 이중구연에 단사 선문ㆍ거치문 등이 시문된 토기 및 목항아리와 동북지방의 신석기시대 이래의 전통인 순수 심발형토기, 鉢, 대부소호 등의 토기 조합상과 두만강유역 동북지방계통의 석기조합상을 가진 교동단계는 현재까지 남한지방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없다. 교동유적은 가락동 유형의 유적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가락동 유형의 연대관이 소급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연대는 B.C 1.300~ 1.000년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Ⅱ기 조양동 단계 토기의 특징은 단사선문과 구순각목문, 공열문 등의 장식적 요소를 갖춘 이중구연토기를 들 수 있다. 조양동 단계는 이중구연 토기가 성행하는 단계로 순수 이중구연토기단계에서 이중구연 토기요소와 공열과 구순각목이 결합이 성행하던 시기로 전환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조양동단계는 가락동유형 보다는 늦고, 기존의 흔암리 유형보다는 시기가 약간 올라가는 B.C 1000년 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Ⅲ기 방내리 단계는 조양동 단계에 성행하던 이중구연토기요소가 퇴화되고 공열토기가 성행하는 단계로 공열과 이중구연, 단사선문, 구순각목이 시문된 토기가 출토되는 단계 (A군 주거지)와 이중구연의 장식적인 요소와 구순각목이 소멸되고 순수공열토기만 출토되는 단계(B군 주거지)로 나눌 수 있다. 연대는 조양동 단계와 비슷한 단계(A군 주거지)는 흔암리유형과 비슷한 B.C 1000-800년 경으로 상정해 볼 수 있고 공열토기가 성행하는 단계(B군 주거지)는 B.C 800-700년 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Ⅳ기 포월리 단계는 순수공열과 새로이 호형토기가 공반되는 단계로조사 예가 많지 않아 정확한 시기설정과 성격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장식적 요소가 강하게 남아 있는 이중구연의 심발형토기를 주류로 하는 조양동토기와 공열문이 성행하던 방내리토기 보다 후행하는 토기단계로 B.C 700 - 600경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Ⅴ기 지리 단계는 점토대토기 단계 유적으로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양상에 대한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여겨진다. 현재 점토대토기 단계 유적의 조사 예가 증가하고 있어 전반적인 문화성격에 대한 규명은 차후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ronologize The Bronze Age Dwelling sites in the Yeongdong area, eastern part of the Gangwondo province, by considering characters of the excavated settlements and findings. The Bronze Age relics in the Yeongdong area are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rivers and the sea. or at the hills seen a long lakeshore. These patterns of distribution are more or less different those of the New Stone Age and the Iron Age whose relics are located at the sand dune of rivers or lakes. The plan of settlement patterns are made up of such forms as “Rectangular or “Square, and the settlements direction of settlements are likely to converge the contour line of hill, inner structures consist of post-hole, groove for moisture removing, storage pit, however few dwelling sites only include the hearth. The fact that storage pit and a kind of pottery for buried in them storage were prevalent in the Yeongdong area in the bronze age demonstrates that the features of the New Stone Age dwelling site were inherited to following period without discontinuity, in addition the groove for removing moisture and drainageway connected to outdoor are also the remarkable example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Yeongdong area. Despite a couple of similarities show in the plan of settlement pattern and the inner structur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e five stage : 1) The first Gyo-dong stage, 2) The second Joyang-dong stage, 3) The third Bangnae-ri stage. 4) The forth Powol-ri stage, 5) The fifth Gi- ri stage. This classification wa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remains refreshing each stage. 1) It seems to me difficult to compare the relief of with those of other stage or regions in south korea. Gyo-dong stage was the earliest stage which was for many recorded in south korea, carbon dating shows that this stage was ranging from circa 1300 BC to 1000 BC Gyo-dong relics represent the plans rectangular or square of settlement patterns, including the post-hole, the hearth surrounded by stones, the storage pit and the oldest fired rice grains. Gyo dong stage have pottery compounding shape that is potteries with double mouth rim of top-shaped pottery stage in north-west region, potteries and mounted jars with neck of patterned horizontal bands of oblique and saw-tooth design double mouth rim. and deep bowl potteries, bowls, mounted burnished small pots were made from the New stone age in north-east region, also have stone tool compounding shape that is lineage of north-east region in the basin of the river. Duman. 2) The pottery of Joyang-dong stage was characteristic of the with double mouth rim have ornamental element horizontal bands of oblique, notched strip on rim, rim-perforated and so on. In this aspect, Joyang-dong stage(circa BC 1000) could be located in between Garak-dong assemblage, and the Hunam-ri assemblage. 3) Bangnae-ri stage could be devide in two periods, the style of pottery in the first stage(A群 住居址-BC 1000-800), is similar to style of the Joyang-dong stage, however only the rim- perforated pottery could be identified in the second period.(B群住居址-BC 800-700) 4) In the Powol-ri stage (roughly 700 BC to 600 BC) the rim-perforated pottery was gradually replaced with the emergence of the pot even if the rim-perforated pottery still predominated. In other words the style of pottery in the powol-ri stage demonstrates that the style of pottery was simplified overtime. 5) Jt-ri stage emergence of applique rim pottery which helped to guess the cultural level of the at the late bronze age in the Yeongdong area. However the more sufficient resources should be discovered and analyzed available in understanding the ji-ri stage to broaden the horizon of archaeological knowledge.

      • 유적을 통해서 본 이사부 출항지 검토

        이상수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2 No.-

        최근에 신라장군 이사부의 동해안 출항지가 새로운 논점으로 제기되면서, 지금 까지 ‘강릉출항설’과 ‘삼척출항설’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산국을 복속한 이 사부의 동해안 출항지에 대한 실체적 규명의 필요성이 시급히 요구됨에 따라, 이 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는 방안의 일환으로서 강원 영동지방의 강릉․동해․삼척지역 으로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여 역사고고유적을 바탕으로 접근해 보았다. ‘강릉출항설’에 대한 검토 결과, 안목항(지금의 강릉항)은 남대천 하구의 바깥쪽 에 위치하고 암석해안으로 구성된 규모가 매우 작은 포구이기 때문에 대규모 兵 船의 출입에는 매우 부적합한 장소로 판단된다. 또한 남대천 하류역의 일대는 주 변이 모두 사구지대와 저습지로 형성된 관계로 당시 하천의 정확한 고환경을 알 수 없으나 그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삼척출항설’에 대한 검토 결과, 오 십천 하구와 하구 남쪽에 접한 오화리산성의 구조와 지리적 입지, 산성내 출토유 물을 고려하면 그 가능성에 설득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대체로 삼국시대 5C ~ 7C대의 신라고분들이 군집을 이루고, 據點城 내지 治所 城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지역은 영동지방에서 비교적 큰 하천에 속하는 강릉 연 곡천ㆍ남대천ㆍ군선천ㆍ주수천 일대, 동해 전천 일대, 삼척 오십천ㆍ마읍천ㆍ가곡천 (호산천 포함) 일대로 파악된다. 신라가 동해안 지역 중에서 가장 먼저 삼척에 군 사적 전진기기의 성격을 띠는 州를 설치한 것은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에 주 목하여, 동해 연안해로(해상교통로)를 독점적으로 확보 ․ 지배하여 동해안 영동지방 의 진출과 북방교역의 전진기지로서 最適地가 바로 삼척이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실직지원에서의 말갈세력 격파, 실직원에서의 고구려변장 살해, 실직성의 습격, 니하성 축성 등 일련의 기사를 통해서 泥河가 고구려와 말 갈세력의 주요한 삼척 침입루트로 파악되며, 실직성 습격에 따른 니하성의 축조는 실직성(삼척)의 지정학적 중요성, 즉 해상루트와 관련된 핵심적인 전진기지로서 신 라나 고구려 입장에서 모두 중요한 지역이었다고 이해된다. 이사부 출항지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요건으로서 대규모의 신라군선이 정박할 수 있는 넓은 자연항포구와 그에 수반되는 군시시설로서 성곽의 존재성으 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수군 기능과 관련하여 신라군사가 주둔했던 신라성 곽들을 제시해 보았다. 그 가운데서 하천의 하구에 가장 가까이에 소재하는 오화 리산성이 입지와 규모면에서 볼 때 예국고성을 제외한 다른 산성보다도 훨씬 뛰 어나고 압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산성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단정을 내릴 수는 없지만, 삼척 오십천 하구 그리고 그에 접해 있는 오화리산성이 이사부가 우산국 정복을 위해 출항했던 당시 출항지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항포구와 유적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as the EastSeaoutportofIsabu,a general of the Silla period, is being issued as a new point, ‘A View of Departure from Gangneung’ and ‘A View of Departure from Samcheok’ have come to the fore till now. Since the need for the substantive investigation into the East Sea outport of Isabu who submitted Usan-guk (Island) is urgently required, as a part of seeking the solution for this, this study approaches based on the historical archaeological sites by limiting the spatial extent to Gangneung, East Sea and the Samcheok area of Yeong-dong in G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the review on ‘A View of Departure from Gangneung’, it is concluded as an inappropriate place for the entrance of warships on a large scale because Anmok Port (now Gangneung Port) was located outside of the mouth of Namdaecheon River and it was a very small port in scale that was composed of rocky shore. In addition, because the lower Namdaecheon were formed of a sand dune and a swampy place, it is not able to find out the exact paleoenvironment of the river in those days but is considered as the possibility of departure is low. As a result of the review on ‘A View of Departure from Samcheok’, it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is persuasive by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Ohwarisanseong (Ohwari castle on a hill) which was bounded by the mouth of Ohsipcheon River and the south of the mouth and excavated remains in the Castle. The areas where the Silla tombs from the 5th century to 7th centur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were generally congregated and base castle or Chisoseong(castle for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ere existing are identified as Gangneung Yeongokcheon, Namdaecheon, Gunseoncheon, the whole Jusucheon region, the whole Donghae Jeoncheon region, Samcheok Osipcheon, Maeupcheon and Gagokcheon (including Hosancheon). The reason why Silla placed an administrative local district characterized as an advance military base first in Samcheok among East Sea area is that Samcheok was the best place for entering to Yongdong province of East Sea and an advance base for northern trade by keeping an eye on the importance of geopolitical location and securing and controlling the East Sea Coast (sea lane) exclusively. Niha River was identified as a main invasion route of Goguryeo and Malgal power into Samcheok through a series of articles such as defeating Malgal (Mohe) power in Siljikjiwon, the murder of Gogu and Ryeobyeonjang in Siljikwon, the attack of Siljik Castle and the construction of Niha Castle that are written in『Samguk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and the construction of Niha Castle due to the attack to Siljik Castle was the key advance base related to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Siljik Castle (Samcheok), in other word a sea route, and it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area for both Silla and Goguryeo. The existence of a wide natural harbor port where a large scale of Silla warships can be anchored and the castle as accompanying military facilities for essential requirement with regard to problem solving of Isabu’s outport is identified. Based on this, the Silla castles where the Silla military were stationed regarding the naval capability we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location and size, Ohwarisanseong Castle which is located nearest to the mouth of river is more outstanding and overwhelming than others except Yegukgoseong Castle. Wecannot conclude carelessly in the condition of no excavation process for castle remains but the Osipcheon estruary of Samcheok and Ohwarisanseong Castle that adjoins the estuary are assumed as the port and the historic sit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outport that Isabu departed for the conquest of Usanguk Islan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배병호,이호준 한국생태학회 1999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2 No.1

        본 연구는 영동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집유형을 밝히고, 이들 식생의 천이계열과 자연성을 검토하였으며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62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지역의 소나무림은 소나무군집하에 전형아군집, 신갈나무아군집, 진달래아군집, 붉나무아군집 등 4개 아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들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흉고직경 별 빈도분포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조사지역 소나무림의 토양 환경은 타 지역 소나무림에 비하여 매우 빈약하였으며 특히 pH는 평균 4.87로 강산성을 띠고 있으며, 각 하위군간에도 토양환경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군집유사도의 분석에 따라 소나무림의 천이계열을 추정하였으며, 이들 식생의 녹지자연도는 전형아군집과 진달래아군집이 7등급, 신갈나무아군집이 8-1등급, 붉나무아군집이 8-2둥급으로 각각 사정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syntaxonomy of the pine forest in Youngdong region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62 quadrats, Pinus densiflora fores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associations: Typical subassociation, Quercus mongolica subassociation,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association, Rhus chinensis subassociation. Many differences in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tratum structure, vegetation coverage and of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f class distribution were found among the communities. Soil properties of the pine forest on the study area was relatively poor compared with other pine forests, especially, soil pH was strongly acidic with 4.87. Soil conditions among the subassociations appeared different. Future succession of pine forest by the similarity index of communities was proposed. Estimated degree of green naturality for Typical subassociation and Q. mongolica subassociation correspond to 7th grade, and R. mucronulatum subassociation, 8-1st grade, and R. chinensis subassociation, 8-2nd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