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증수용체/리간드를 타깃으로 한 비만성 염증/대사질환 제어

        유리나 대한비만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3 No.2

        Obesity-induced inflammation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cause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insulin resistance,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Various inflammatory components involved in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re known, but the biomolecules and mechanisms underlying the obesity-related inflammation/metabolic diseases remain to be elucidated. Cell surface membrane receptors TNFRSFs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and their counterpart ligands provide important inflammatory signals through their interaction, and thus have been exploited for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some of the inflammatory receptors/ligands are associated with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eases. In this mini-review, the role of four different inflammatory receptors/ligand (CD40/CD40L, 4-1BB/4-BBL, FN14/TWEAK, HEVM/LIGHT) interac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ir potential for therapeutic targets against obesity-related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eases.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은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 동맥경화와 같은 비만성 대사질환의 발생원인 또는 촉진자 역할을 한다. 비만성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여러 가지 염증 구성요소들이 알려져 있음에도불구하고 비만성 염증/대사질환을 유도/조절하는 생체분자와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다. 면역세포 표면에 존재하는막 수용체인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TNFRSF)와 그 리간드들은 염증반응 유도/조절에 중요한 신호를 제공하며,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타깃 분자로 활용된다. 최근 이들 염증수용체/리간드가 비만성 지방조직 염증반응을 조절하며, 이들 분자들의 상호작용의 차단이 비만성 염증/대사질환의 개선을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미니리뷰에서는 비만성 염증/대사질환에 관여하는 네 종류의 염증수용체/리간드(CD40/CD40L, 4-1BB/4-BBL,FN14/TWEAK, HEVM/LIGHT)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분자들이비만성 염증 및 대사질환 제어를 위한 타깃이 될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Quercetin의 지방조직 염증개선 효과

        김추숙,유리나 대한비만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3 No.3

        Background: Obesity-induced adipose inflamma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quercetin, a naturally occurring phytochemical, can attenuate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obese mice. Methods: Male C57BL/6 mic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control (RD, N=6), high fat diet (HFD, N=6), or HFD supplemented with 0.05% quercetin (HFD+Que, N=6) groups and treated with their respective diets for 9 weeks. The inflammatory cytokine proteins were measured by ELISA, and macrophage populations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The inflammatory receptors and downstream signaling molecules were measured by qPCR and western blot, respectively. Results: We show here that in an HFD-fed mice model, quercetin supplementation reduced adipose tissue weight without affecting HFD-induced body weight gain. Quercetin supplementation reduced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TNF-α, MCP-1, MIP-1α) and macrophage accumulation (F4/80) in adipose tissue of an HFD-fed mice. Quercetin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receptors (CCR2, TLR4, TNFRSF9) and the activation of downstream inflammatory signaling molecules (JNK, NF-κB) in adipose tissue.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quercetin can reduce adipose inflammatory responses in mice exposed to HFD by inhibiting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flammatory receptor expression and their signaling pathway. Quercetin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HFD-induce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배경: 비만으로 유도되는 염증은 지방조직으로 대식세포의 침윤과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수반하며, 인슐린 저항성, 제2형당뇨, 비알콜성 지방간, 심혈관계 질환 등 비만성 대사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품에 널리 존재하는 플라보놀 유도체인 quercetin은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비만성 지방조직 염증조절 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식이 quercetin 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지방조직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8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는 정상식이군(RD), 고지방식이대조군(HFD), 0.05% 식이 quercetin 투여군(HFD+Que)으로 나누어 9주간 각 실험식이를 제공한 후, 지방조직을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식세포의 축적 정도는 면역학적 염색으로 분석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수준은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염증수용체 발현과 세포 내 염증신호경로는 각각 qPCR과 westernblot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고지방식이 모델에서 식이 quercetin 투여가 체중 증가량에는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조직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TNF-α, MCP-1, MIP-1α)과 대식세포의축적(F4/80)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식이 quercetin 투여군에서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염증수용체의 발현(CCR2, TLR4, TNFRSF9)과 세포 내 염증신호경로 활성화(JNK, NF-κB) 정도는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식이 quercetin 투여군에서 억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식이 quercetin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대식세포 침윤, 염증수용체 및 염증신호전달 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조직 염증반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quercetin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지방조직 염증을 제어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말기 암환자에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와 혈장 내독소와의 연관성

        정회현(Hoe Hyun Jung),윤호민(Ho-Min Yoon),최윤선(Youn Seon Choi),이준영(June Young Lee),연종은(Jong Eun Ye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말기 암환자의 대부분은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며 주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이 선행되어 다발성 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 MODS)을 미리 시사하게 된다. 내독소는 다발성 장기부전과 쇼크를 발생시키고 여러 사이토카인과 급성 반응기 물질(acute phase reactant)의 분비를 자극한다. 이 연구에서는 말기 암환자에서 전신성 염증 정도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일개대학병원에서 2009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호스피스병동에 입원 또는 외래 방문환자 중 총 5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발성 장기부전을 시사하는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정의에 따른 각 요소의 개수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들의 상관관계와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존재여부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기암 환자의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Lymphocyte (r=−0.332, P<0.01), CRP(r=0.300, P<0.05)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ymphocyte, ESR, CRP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에서 혈장농도가 올라가긴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다른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의 중증도에 따라서 염증인자 중 Lymphocyte, CRP는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각 염증인자들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고 다른 염증인자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Background: Most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ied of multiple organ failure (MOF) preced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Serum endotoxin known as the cause of multiple organ failure and shock, stimulates the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and acute phase reactant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by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Fifty-nine out of sixty-six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referred to palliative care center,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09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lasma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in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Results: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RP were increased (r=.300, P<0.05) whereas lymphocyte was decreased(r=−.332, P<0.01). The plasma endotoxin and ESR do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onclusion: Lymphocyte, and CRP correlate with the degree of systemic inflammatory condi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owever, the plasma endotoxin concentration does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the states of systemic inflammation as well as with other inflammation indices.

      • KCI등재

        Risk Factors for Inflammatory Dry Eye in Young Adults in Twenties

        Jung-Eun Park,Min-Hye Park,Koon-Ja Lee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1

        목적 : 건성안의 핵심적인 원인으로 염증이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각막굴절교정술이 염증성 건성안(inflammatory dry eye syndrom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는 20대 성인 81명(162안)을 대상으로 염증 생체지표인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MP-9: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활성도와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단법으로 제시된 ‘안구표면질환지수(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결막충혈’ 검사법으로 염증성 건성안을 감별진단하였다. 각막굴절교정술 및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에 따른 유병률과 위험요인은 χ2-test 검정과 하였고, 위험비(odds ratio, OR)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으 로 검정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0 이하로 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염증성 건성안 유병률은 MMP-9 검사, ’OSDI, 결막충혈’ 검사 기준 각각 77.15%, 64.31% 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군의 염증성 건성안 비율은 검사법 기준으로 각각 85.23%, 75.00%로 미착용군의 67.57%, 52.70% 보다 높았고, 염증성 건성안 발생 가능성이 2.77배(OR 2.77, 95% CI 1.29~5.99), 2.69배 (OR 2.69, 95% CI 1.39~5.23)로 높게 나타났다. 각막굴절교정술을 받은 군의 염증성 건성안 비율은 검사법 기준 각각 81.25%, 75.00%로 수술을 받지 않은 군의 76.71%, 63.69%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 었다(p=0.682), (p=0.370). 결론 : 20대 한국 성인의 염증성 건성안 비율은 매우 높고,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염증성 건성안의 발병 확률은 미착용안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관리교육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As inflammation is suggested as a core drive factor for dry ey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ntact lens wear and corneal refractive surgery on inflammatory dry eye were investigated in Korean twenties. Methods : Eighty-one adults (162 eyes) in their twenties who had no ocular disease were evaluated by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test as known biomarker for inflammatory dry eye and 'OSDI/conjunctival hyperemia' test for screening of inflammatory dry eye. We analyzed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inflammatory dry eye based on two inflammatory dry eye tests, and analyzed them using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050. Results : The prevalence of inflammatory dry eye evaluated by MMP-9 and OSDI/conjunctival hyperemia tests in all subjects was shown 77.15% and 64.31%,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inflammatory dry eye in contact lens wearer group with two tests was 85.23% and 75.00%, respectively, and that in the non-wearer group was 67.57% and 52.70%, respectively. The risk of inflammatory dry eye in contact lens wears was 2.77 times (OR 2.77, 95% CI 1.29~5.99), and 2.69 times (OR 2.69, 95% CI 1.39~5.23) higher than non contact lens wearers,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inflammatory dry eye in corneal refractive surgery group compared with non operativ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682 and p=0.370, respectively).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alence of inflammatory dry eye in Korean twenties was very high, and the odds ratio of inflammatory dry eye was 2 times higher than contact lens wearers. Therefore, the contact lens care education for contact lens weareres would be necessary to prevent inflammatory dry eye.

      • KCI등재

        운동과 염증지표

        조재혁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xercise program that can positively improve the level of inflammation by examining how exercise affects the inflammatory index through several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inflammatory index. There is this.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oderate-intensity aerobic exercise can reduce the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such as CRP, TNF-α, and IL-6. It can be confirmed that CRP, CPK, IL-6, and TNF-α levels at rest are reduced by reducing body weight, insulin resistance, and intravascular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decreased cytokine production in cells, so cardiovascular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etc. For prevention, long-term moderate aerobic exercise may help reduce the inflammatory respons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inflammatory response have observed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inflammatory index during or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exercise with the type or intensity of exercise in which the level of the inflammatory index does not change or shows small fluctuations in the amount of increase.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vel of the inflammation index at rest through physical adaptation to the level of the inflammation index increased by exercise after long-term training,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inflammation index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운동과 염증지표의 관계를 살펴본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운동이 염증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긍정적으로 염증지표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등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CRP, TNF-α, IL-6 등의 염증지표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부분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중등도 강도 수준의 운동은 지방, 근육 단핵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생성 감소로 인한 체중, 인슐린 저항성 감소와 혈관 내 염증반응을 감소시켜 안정시 CRP, CPK, IL-6, TNF-α 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의 예방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중등도 유산소 운동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운동과 염증반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상당수의 연구는 운동 중이나 운동 직후 염증지표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여 염증지표 수준이 변화가 없거나 증가량이 작은 변동폭을 보이는 운동의 형태나 강도로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 말하고 있으나 장기적 트레이닝 후 운동으로 증가된 염증지표 수준에 대한 신체적응을 통해 안정시 염증지표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향후 염증지표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장기간 살펴볼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2시간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른 흰쥐의 혈청 및 장딴지근의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

        김신영(Shin-Young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2

        본 연구는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라 혈청과 뼈대근육에서 나타나는 친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뼈대근육의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라 나타나는 염증성 반응의 변화와 이를 대표할 수 있는 표지인자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은 12주령 ICR계 수컷 생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허혈 후 재관류 시간에 따라 재관류 0, 0.5, 1, 2, 4, 8, 16, 24시간군으로 분류하였고, 허혈 처치는 왼온엉덩동맥(left common iliac artery)을 2시간 동안 혈관집게로 차단하였다. 재관류 시간경과에 맞추어 실험동물을 마취시킨 후 심장의 오른 심방에서 채취한 혈액의 혈청과 장딴지근 조직액에서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Eotaxin, IFNγ, IL-1α, IL-1β, IL-2, IL-3, IL-5, IL-6, MCP-1, MDC, MIP-1α, RANTES, TARC, TCA-3)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4, IL-10)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른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뼈대근육 내 재관류 0시간군에서,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재관류 0, 1, 2, 4, 8, 16시간군에서 사이토카인들 사이의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고(p?.05),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혈청 내 재관류 4시간군에서 사이토카인들 사이의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p?.05).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재관류 시간은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에서는 혈청 내 재관류 2, 4, 16시간군이었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에서는 혈청 내 재관류 4시간군이었다(p?.05). 본 연구를 토대로 허혈 후 사이토카인들의 변화 양상은 재관류 시점에 따라 뼈대근육보다는 혈청에서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혈청에서 재관류 4시간군에 관찰되는 IL-6와 재관류 16시간군에 관찰되는 MCP-1은 다른 사이토카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임에 따라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대표하는 표지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ammatory changes and their mai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time-period of postischemic reperfusion injury confirmed by analyzing changes of both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keletal muscle and serum. By using 12-week-old male ICR strain mice were grouped into sham control and 8 different time-periods of reperfusion groups (0, 0.5, 1, 2, 4, 8, 16, 24 hours). Left common iliac artery of each mice in the reperfusion group was devascularized by a vascular clamp for 2 hours. Once anesthesia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blood serum was obtained from right heart atrium on the difference time-period of reperfusion (0-, 0.5-, 1-, 2-, 4-, 8-hour, respectively). Then, tissue fluid was collected in calf muscles (gastrocnemius muscle)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by cervical dislocation. By using these serum and tissue fluid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used to analyze both pro-inflammatory cytokines (Eotaxin, IFNγ, IL-1α, IL-1β, IL-2, IL-3, IL-5, IL- 6, MCP-1, MDC, MIP-1α, RANTES, TARC, TCA-3)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L-4, IL-10). Consequen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levels in the skeletal muscle of 0- hour reperfusion group (p?.05) and those in the serum of 0-, 1-, 2-, 4-, 8-, 16-hour reperfusion groups (p?.05). In the serum of 4-hour reperfusion group, the presence of anti-iflammatory cytokines was significant from other groups (p?.05). By the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erum of 2-, 4-, 16-hour reperfusion group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erum of 4-hour reperfusion group were considerably different (p?.05). To sum up, changes of cytokine levels according to the time-period of reperfusion were considerably different in the serum rather than the tissue fluids from the skeletal muscle. In particular, IL-6 and MCP-1 in the serum showed higher density in 4- and 16-hour reperfusion groups so that they could be considered as the main indicator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 KCI등재

        한국 40세 이상 남성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식사염증지수 간의 관련성 연구: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진아,이심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3 No.4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obs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dietary inflammatory index (DII) in Korean male adul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267 Korean male adults aged over 40 years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6-2019.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quartiles of dietary inflammatory index score. Results: Individuals with high DII score had poor health habits such as drinking, smoking, activity limitations. The intake of anti-inflammatory items except mono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as the DII item score increased. The higher the score of DII, the lower the forced expiratory volumn in 1 sec (FEV1), forced vital capacity (FVC), FEV1/FVC which are lung function measures. The prevalence of COPD increased in the highest quartile of the DII score.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dietary inflammatory index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ung function and COPD. The promotion of a healthy diet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ay help to prevent COPD in male adults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한국 4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식사염증지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40세 이상 남성 4,267명을 식사염증지수의 점수에 따라 사분위로 분류한 후 집단별 일반적 특성, 식사염증지수 항목별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폐 기능 및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의 유병 위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염증성 식사군은 항염증성 식사군에 비해 학력과소득 수준이 낮고, 흡연율과 활동의 제한율이 높았다. 항염증성 영양소와 식품의 섭취량은 단일불포화지방산과 알코올을제외하고 식사염증지수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사염증지수 점수가 높을수록 forced expiratory volumn in 1 sec (FEV1), forced vital capacity (FVC), FEV1/FVC 값은 감소하였으며 염증 식사군이 항염증성 식사군보다COPD 유병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1.38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한국 40세 이상 남성의 식사염증지수는 폐 기능 및 COPD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성인 남성의 COPD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방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 기전

        이혁종(Lee, Hyuek-Jong) 대한운동학회 2008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0 No.1

        본 연구는 비만에 의해 증가된 지방내의 염증 반응이 혈관내피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기전과 염증으로 인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그리고 혈관내피세포와 지방내의 다른 세포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지방 조직은 단순한 에너지를 축적하는 장기가 아니라 신체 전반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내분비적 기능 및 면역 기능에도 기여한다. 특히 비만은 중등도의 만성적인 염증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제2형 당뇨,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으키는 위험인자이다. 비만과 관련된 염증은 지방내의 대식세포의 숫자를 증가시키고 염증 유발성 싸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대식세포를 통해 분비된 다양한 염증 유발성 싸이토카인은 지방내의 혈관내피세포를 활성화 시켜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조직 내로 침투시킨다. 침투된 백혈구 중 특히 단핵세포는 다시 대식세포로 조직 내에서 분화하여 염증성 싸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만성적 염증 유발에 기여하게 된다. 혈관내피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염증 유발성 싸이토카인으로써는 TNF-α, IL-6 그리고 IL-1 등이 있으며,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는 백혈구를 침투시키기 위해 각종 adhesion molecule을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지방 조직내의 혈관내피세포의 염증 반응은 많은 세포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합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한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endothelial cell(EC) activation induced by inflammation which is occurred in adipose tissue of obese patients. Low-grade of systemic inflammation is intensively linked with excessive development of adipose tissue and leads to onset of several disease like insulin resistance, Type2 diabetes or atherosclerosis. Also it is associated with recruitment of more macrophage into the fat tissue. Macrophage in adipose tissue is regarded as a major source for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activates many cells including adipocytes and EC etc. Once ECs are activated by TNF-α, IL-6 or IL-1, adhesion molecules(ICAM-1. VCAM-1, MCP-1 etc) expressed on endothelial cell recruit leukocytes by binding their ligands of leukocyte. Infiltrated monocytes are differentiated to macrophage in the tissue and express many inflammatory cytokines again. After all, the activation of EC in adipose tissue is related with various stimuli which is occurred through the cross-talk between all the cells in adipose tissue.

      • KCI등재

        한국 여성의 폐경 후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 연구: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진아,이심열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dietary inflammatory index(DII)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3,947 Korean postmenopausal women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6~2020.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quartiles of dietary inflammatory index score. Individuals with high DII scores had poor health habits such as drinking, smoking,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skipping meals. The higher the score of the DII, the higher the PHQ-9 score and the depression odds ratio, which are depressive screening tools(p for trend <0.01). Among the anti-inflammatory items, DII, MUFA, PUFA, n-3 fatty acids, and n-6 fatty acids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as the DII item score increased(p for trend <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etary inflammatory index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promotion of a healthy diet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ay help to prevent depression in postmenopausal women. 본 연구는 한국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식이성 염증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20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식이성 염증지수 수준에 따른 식행동, 항염증과 염증유발 항목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식이성염증지수와 우울증과의 관계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염증성 식이군은 항염증 식이군에 비해 혼자서 거주하는비율이 높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았다. 건강행태 요인으로 염증성 식이군은 흡연율이 높고 신체활동율과 삶의 질이 낮으며, 식행동 요인으로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결식률과 가족 동반 아침식사 비율, 영양표시 인지율이 낮았다. 식이성 염증지수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 선별도구인 PHQ-9 점수와 우울증 교차비는 증가하였다. 식이성 염증지수의 항염증 항목 중 MUFA, PUFA, n-3계 지방산, n-6계 지방산 항목은 식이성 염증지수 점수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연구는 폐경 후 여성의 우울증 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과 항염증성 식사 섭취 지침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 SCOPUSKCI등재

        Dextran Sulfate Sodium 장염 동물 모델에서 Benzoxazole 유도체인 B-98의 장염 예방 효과 및 T세포 분획 변화

        송은미 ( Eun Mi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이종수 ( Jong Soo Lee ),김성은 ( Seung Eun Kim ),심기남 ( Ki Nam Sh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유권 ( Kwon Yoo ),박혜영 ( Hae Young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1

        목적: 염증성 장질환의 염증반응에 많은 염증매개물질들이 관련하는데 이중 leukotriene은 강력한 염증 매개체로 leukotriene의 생성을 억제하는 5-lipoxygenase (5-LO) 억제제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기대되어 왔다. 최근 새로운 5-LO 억제제로 benzothiazole 유도체인 B-98이 개발되어, 이번 연구는 이 약제를 장염 동물 모델에 투여하여 임상 양상 및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고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CD4+ T세포 분획의 변화를 측정하여 B-98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57BL/6 마우스를 정상 대조군, dextran sulfate sodium (DSS) 장염군, B-98 저용량 투여군(20 mg/kg), B-98 고용량 투여군(100 mg/kg)으로 나누고 3% DSS을 복용시켜 장염을 유발하였으며, B-98은 하루에 한번씩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장염의 평가는 disease activity index (DAI), 장길이, 조직학적 점수 체계(histologic colitis scoring system) 를 이용하였다. 대장 조직의 IL-6를 RT-PCR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고 소장 고유층 세포를 분리하여 CD4+ T세포를 유세포 분석하였다. 결과: B-98 투여군에서 DSS 장염군에 비하여 DAI, 조직학적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장 길이도 더 긴 경향을 보였다. DSS 장염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IL-6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했으며(p<0.05), B-98 투여군에서 IL-6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DSS 장염군에서 Th1 세포, Th9 세포, Th17 세포의 분획이 증가하였고 B-98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5). 결론: DSS를 이용한 장염 모델에서 새로운 5-LO 억제제인 B-98를 이용하여 장염의 염증 소견이 호전되고 IL-6가 감소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장염 모델에서 B-98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DSS 장염 모델에서 Th1, Th9, Th17 세포 분획이 증가하였으며 B-98 투여시 감소하여 치료 효과가 Th1, Th9, Th17 세포의 면역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염증성 장질환의 염증반응에 많은 염증매개물질들이 관련하는데 이중 leukotriene은 강력한 염증 매개체로 leukotriene의 생성을 억제하는 5-lipoxygenase (5-LO) 억제제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기대되어 왔다. 최근 새로운 5-LO 억제제로 benzothiazole 유도체인 B-98이 개발되어, 이번 연구는 이 약제를 장염 동물 모델에 투여하여 임상 양상 및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고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CD4+ T세포 분획의 변화를 측정하여 B-98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57BL/6 마우스를 정상 대조군, dextran sulfate sodium (DSS) 장염군, B-98 저용량 투여군(20 mg/kg), B-98 고용량 투여군(100 mg/kg)으로 나누고 3% DSS을 복용시켜 장염을 유발하였으며, B-98은 하루에 한번씩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장염의 평가는 disease activity index (DAI), 장길이, 조직학적 점수 체계(histologic colitis scoring system) 를 이용하였다. 대장 조직의 IL-6를 RT-PCR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고 소장 고유층 세포를 분리하여 CD4+ T세포를 유세포 분석하였다. 결과: B-98 투여군에서 DSS 장염군에 비하여 DAI, 조직학적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장 길이도 더 긴 경향을 보였다. DSS 장염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IL-6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했으며(p<0.05), B-98 투여군에서 IL-6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DSS 장염군에서 Th1 세포, Th9 세포, Th17 세포의 분획이 증가하였고 B-98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5). 결론: DSS를 이용한 장염 모델에서 새로운 5-LO 억제제인 B-98를 이용하여 장염의 염증 소견이 호전되고 IL-6가 감소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장염 모델에서 B-98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DSS 장염 모델에서 Th1, Th9, Th17 세포 분획이 증가하였으며 B-98 투여시 감소하여 치료 효과가 Th1, Th9, Th17 세포의 면역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