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Requirements Matrix through the Concept of “Correct Consecutive Connections”

        Gim, Ho Un(김호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3

        Gim and Kim (1998)은 투입ㆍ산출(IO)모형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직ㆍ간접 투입요구량(Γ<SUP>f </SUP>행렬의 원소 γij<SUP>f</SUP>와 Γ<SUP>g</SUP> 행렬의 원소 γ ij<SUP>g</SUP>) 사이에 존재하는 수리적(혹은 경제적) 일반적 관계를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그러나 Sancho (2012)는 Gim and Kim (1998)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는 부문 사이에서 존재하는 연속적 연결(consecutive connections)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다만 Sancho (2012)의 이러한 언급에 앞서서 Gim and Kim (2005, 2008a, 2008b, 2009)은 매우 지속적인 다양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테면 (1) 유발계수행렬이 4가지(I, A, T, R) 요인별 행렬로 분해가 이루어지며, (2) 부문 사이에 존재하는 “올바른 연속적 연결” 개념을 통하여두 직ㆍ간접 투입요구량 사이에 존재하는 “보완된 일반적 관계”(complemented general relation)를 새롭게 증명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결과를 다양한 분야에 경험적으로도 활용하였다. 이제 새롭게 밝혀진 “보완된 일반적 관계”를 통하여, (1) 두 개념(Γ<SUP>g</SUP> 행렬의 원소 γij<SUP>g</SUP>와 레온티 에프 역행렬(C<SUP>f</SUP>)의 대각항의 원소 cjj<SUP>f</SUP>) 사이에는 연속적 연결이 잘 이루어지며, (2) 또한 두 행렬의 원소를 곱한 형태 γij<SUP>g</SUP> cjj<SUP>f</SUP>는 경제학적으로도 그 의미가 분명하게 밝혀지게 되었다. 더욱이 레온티에프 역행렬(C<SUP>f</SUP>)의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유발계수행렬 체계를 일반화함으로써(<그림 1> 참조) 새로운 산출ㆍ산출(OO)모형과 최종수요ㆍ최종산출(FF) 모형을 각각 유도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 모형(IO, OO, FF)에서 “올바른 연속적 연결” 개념이 각각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새롭게 개발된 OO모형과 FF모형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IO모형에서는 전혀 분석할 수 없었던 다양한 인과변수 사이의 의존관계와 파급효과 등도 손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Sancho (2012) showed that the first general relation between two different notions of direct and indirect input requirements (γij<SUP>f</SUP> and γ ij<SUP>g</SUP>), proposed by Gim and Kim (1998), is actually faulty. However, Gim and Kim (2005, 2008a, 2008b, 2009), prior to Sancho’s comment, verified continuously the requirements matrices can be decomposed by factors and also proposed the complemented general relation on the basis of the correct consecutive connection. Through the complemented general relation, we definitely point out that there is a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γij<SUP>g</SUP> and cjj<SUP>f</SUP> and moreover the product γ ij<SUP>g</SUP> cjj<SUP>f</SUP>makes sense economically, where cjj<SUP>f</SUP> is the diagonal element of the Leontief inverse. By using a complete framework of the requirements matrices, we can finally derive a new output-output (OO) and final demand-final output (FF) models, which are of great use in calculating the various impacts among the assorted cause and effect variables.

      • KCI등재

        “연속적 연결” 개념을 고려한 기간산업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IO, OO, FF모형을 통한 산업연관효과를 중심으로

        김호언(Gim, Ho Un),이춘근(Lee, Choon Ke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1

        Essentially, the concept of the correct consecutive connections, originally proposed by Gim and Kim(2008a), must be satisfied in the area of interindustry analysis such as balance equations, solutions of the equations, matrix products, etc. For instance, it is clear that there is a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total output requirements matrix or the Leontief inverse and the final demand , but tha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total requirements matrix and the total output in the solution of the IO model; that is, should not be multiplied by.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on the development of key industry indicator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review the traditional measures introduced by Rasmussen(1957) to verify key sectors in interindustry analysis. And then, we can get a more accurate indicator to reflect the economy-wide effects of key industries. (2) We critically introduce the major critics’ arguments which were pointed out by many researchers, so far, in key industry indicators. (3) By using the concept of net backward linkage, we newly propose the net key sector, which is more meaningful and practicable in the models of IO, OO, and FF. Moreover, the numerical illustrations have been done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net key industry indicator.

      • KCI등재

        유발계수행렬에서 발생하는 추정오차 문제에 관한 연구: IO, OO, FF모형을 통한 과대추정을 중심으로

        김호언 ( Ho Un Gim ),이춘근 ( Choon Keun Lee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투입·산출(IO)모형이 갖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와 순승수 개념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레온티에프 역행렬(C<sup>f</sup>)의 요인별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발계수행렬을 통하여 각종 경제분석(승수효과, 연관효과, 파급효과 등)을 수행할 때에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논리적 인과관계에서 연속적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심각한 추정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유발계수행렬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 성과에 대하여 유념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자 한다. (1) 산업연관분석의 유발계수행렬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 문제의 본질을 경제 이론 및 경험적 분석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2) 여러 형태의 추정오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투입·산출(IO)모형, 산출·산출(OO)모형, 최종수요·최종산출(FF)모형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3) 개별 유발계수행렬을 통한 인과관계식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를 실제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추계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와 선행 연구와 구별되는 본 논문의 차별적인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인과변수 사이에서 존재하는 추정오차는 과대추정과 과소추정으로 대별하여 분석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과대추정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 IO모형의 균형식, OO모형의 균형식, FF모형의 균형식을 토대로 하여 추정오차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는 것이다. (3) 세 모형(IO, OO, FF)에서 총산출 증분(△x)과 최종산출 증분(△o)에 따른 이중계산, 과대추정, 과대추정 비율 등을 실제로 추계하는데 본 과제의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경험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는『2013년 산업연관표』30기본부문으로 하였다. 개별 분석 모형에서 추정오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투입·산출모형에서는 외생적인 최종수요(△f) 대신에 총산출(△x)을 C<sup>f</sup>역행렬에 후승하게 되면, (2) 산출·산출모형에서는 외생적 총산출(△x) 대신에 최종산출(△o)을 C<sup>g</sup>역행렬에 후승하게 되면, (3) 최종수요·최종산출 모형에서는 외생적 최종수요(△f) 대신에 최종산출(△o)을 C<sup>gf</sup>행렬에 각각 후승하게 되면, 경제변수 사이의 연속적 연결도 되지 않으며 이중계산에 의한 과대추정이 존재하게 된다.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re is a consecutive connection in the interrelation of intersectoral interdependence between elements in the Leontief inverse L = (I-A)<sup>-1</sup>=C<sup>f</sup> and final demand f, bu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elements in L and total output x. Through the exact concept of consecutive connection, we then introduce the four requirements matrices in the models of input-output (IO) and output-output (OO): the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 Γ<sup>f</sup> and Γ<sup>g</sup> for final demand f and gross output x and the two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C<sup>f</sup> and C<sup>g</sup> for final demand f and total output x,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Leontief inverse L and the buildings of models without having the estimation error and consecutive connection problem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1) We primarily clarify the nature of estimation error problem, in all its aspects, especially in economic theory and empirical analysis, which occur in the various requirements matrices of interindustry analysis. (2) We secondly illustrate the specific examples of estimation error in the different double countings based on the consecutive connections between the intersectoral relations through the diverse cause and effect models of IO, OO, and FF. (3) We empirically calculate the varied estimation errors happen in the cause-and-effect equations drawn from each requirements matrix based on a new circulation system of production in the three economic variables (final demand f, total output x, and final output o). The basic data for computing estimation error is the 2013 national IO tables compiled by the BOK on the basis of 30 endogenous sectors of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

        투입유발액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에 관한 연구: 투입모형을 통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호언,이춘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1

        Recently, Gim (2015) and Gim and Kim (2008a, 2009) continuously proposed ‘the complementedgeneral relation’ on the basis of the correct consecutive connections that must be satisfied amongthe sectors in the models of input-output, output-output, final demand-final output (FF),and input (I). Based on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from the estimation error andconsecutive connection problem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shortly asfollows. (1) We first and foremost verify the essence of estimation error problem, from every aspect,especially in economic theory and case analysis, which occur in the various input requirements of theinput model between two input requirements and three economic variables (final demand, gross output, and final output). (2) We in the second place logically clarify how the estimation error will happen in the inputrequirements for final demand and gross output, respectively, when the final demand is the cause variable and the gross output is also the cause variable. (3) We practically make the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error, which occur in the inputrequirements for final demand and gross output, respectively, through the empirical dataabout Korea. The raw data for calculating the estimation error is the 2013 national IO tables onthe basis of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 and two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최근에 Gim(2015)과 Gim & Kim(2008a, 2009)은 투입·산출(IO)모형, 산출·산출(OO)모형, 최종수요·최종산출(FF) 모형 등에서 만족해야만 하는 부문 사이의 연속적 연결 개념을 토대로 하여‘보완된 일반적 관계’를 새롭게 밝혔다. 유발계수행렬의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논리적 인과관계에서 부문 상호간에 연속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와 각종 제약조건(수요제약, 공급제약, 정부지출제약)을 고려하지 않을 때에 추정오차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유발계수행렬과 연속적 연결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 성과에 대하여 유념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자 한다. (1) 투입유발액에서 발생하는 추정오차 문제의 본질을 경제이론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한다. (2) 최종수요에 대한 투입유발액()과 산출물에 대한 투입유발액()에서 최종수요가 원인변수일 때와 총산출이 원인변수일 때에 각각 추정오차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논리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3) 두 투입유발액(와 )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추정오차를 실제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여 사례분석을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범위와 선행 연구와 구별되는 본 논문의 차별적인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오직 두투입유발액(와 )에서 나타나는 추정오차 문제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2) 특히세 경제변수(최종수요 , 총산출 , 최종산출 )와 두 투입유발액(와 )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정오차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3) 투입( )모형에서 최종수요 증분(△)과 총산출증분(△)에 따른 이중계산(혹은 계산 제외), 과대추정, 과소추정, 과대추정 비율, 과소추정 비율 등을실제로 추계하는데 본 과제의 차별적인 성격을 부여할 수 있다. 사례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는『2013년 산업연관표』에서 30 통합 기본부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투입모형에서 추정오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예제는 다음과 같다. (1) 최종수요가 원인변수일 때 최종수요에 대한 투입유발액()과 산출물에 대한 투입유발액()을 각각 추계할 수 있다. 이 때 외생적인최종수요 증분(△) 대신에 총산출 증분(△)을 유발계수행렬에 후승하게 되면‘이중계산’에 의한과대추정이 발생하게 된다. (2) 총산출이 원인변수일 때 최종수요에 대한 투입유발액()과 산출물에 대한 투입유발액()을 또한 추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생적인 총산출 증분(△) 대신에 최종수요 증분(△)을 유발계수행렬에 후승하게 되면‘계산 제외’에 의한 과소추정이 나타나게 된다

      • KCI등재

        유발계수행렬에서 “경제적 불합리”는 왜 발생하는가?: 유발행렬의 성격과 특징을 중심으로

        김호언 ( Gim Ho Un ),이춘근 ( Lee Choon Keu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3

        유발계수행렬은 레온티에프(W. Leontief)가 최초로 개발한 산업연관분석에서 원인변수와 결과 변수 사이의 다부문승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계수행렬을 의미한다. Gim & Kim(G & K, 1998)은 개방형 정태 투입·산출모형에서 ① 두(최종수요 f와 산출물 x) 직·간접 투입요구량 사이에 존재하는“일반적 관계”와“보완된 일반적 관계”(G & K, 2009), ②“연속적 연결의 문제,”③유발계수행렬의 요인별 분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발계수행렬은 두 투입유발계수행렬(Г<sup>f</sup>와Г<sup>g</sup>)과 두 생산유발계수행렬(C<sup>f</sup>와 C<sup>g</sup>)로 크게 구분된다.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과 결실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유발계수행렬의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투입 및 생산유발계수행렬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2) 유발계수행렬에 경제적 의미를 부여할 때“경제적 불합리”는 왜 발생하는가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비록 수학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산업연관균형식, 계수행렬, 역행렬 등에서 경제학적인 합리적 설명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이 있기 때문이다. (3) 실제 모의실험을 통해서 유발계수행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불합리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투입(I)모형, 투입·산출(IO)모형, 산출·산출(OO)모형, 최종수요·최종산출(FF) 모형 등에서“경제적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우선적으로 ① 투입계수행렬(A)과 산출계수행렬(B)의 계수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② 역행렬의 존재와 합리적인 경제적 의미 부여가 가능하고, ③“거시경제의 안정에 관한 조건”과 부문 사이의“연속적 연결”등이 제대로 지켜져야 한다. 투입모형에서는Г<sup>f</sup>와Г<sup>g</sup>의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의미가 경제적으로 불합리하게 나타나며, IO, OO, FF모형에서는 C<sup>f</sup>, C<sup>g</sup>, C<sup>gf</sup>의 역행렬이 존재하며 경제적인 합리적 설명도 가능하다. 따라서 투입모형에서는 인과변수 사이에서 일방관계가 나타나며, IO, OO, FF모형에서는 두 인과변수 사이에서 쌍방관계가 존재하게 된다. 이론적 분석에 대한 사례 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2006년 미국 투입계수행렬(A)과 최종 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C<sup>f</sup>)을 사용하였다. An absurdity is a thing that is extremely unreasonable, so as to be foolish or not taken seriously. The economic absurdity is that what is being dealt with in economics does not conform to traditionally extablished theories or logic. The requirements matrix in interindustry analysis serves as a multi-sector multiplier among the different cause and effect variables. Newly, Gim & Kim showed the following outcomes concerned with the issues of interindustry analysis: (1) the complemented general relation between the two input requirements matricesГ<sup>f</sup>andГ<sup>g</sup>for final demand f and gross output x , respectively, (2) the concept of correct consecutive connections in the interrelation of intersectoral interdependence, and (3)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 A, T and R) in the Leontief inverse C<sup>f</sup>=(c<sub>ij</sub><sup>f</sup>). According to the newest findings and achievements from “the economic absurdity” in the models of I, IO, OO, and FF, the explicit goals of this paper can be condensed as in the following. (1) In the proper sense of economic rationality, we verif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ed input and output requirements matrices through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of the requirements matrix. (2) When we want to attach economic significance to the requirements matrix, we theoreti - cally clarify the causes on why “the economic absurdity” occur in the requirements matrix. (3) Through the real simulation test, we pratically do a case study on “the economic absurdity” that occurs in the input and output requirements matrix. The basic data for the simulation is the 2006 matrices of technical coefficients (A) and total requirements (C<sup>f</sup>) for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유발계수행렬의 요인별 분해를 통한 경제적성격 규명에 관한 연구

        김호언 ( Ho Un G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일반화된 산업연관균형식의 해는 부문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 때문에 원인변수는 최종수요이며, 결과변수는 총산출일 경우에만 오직 인과적 상호 의존관계가 성립한다는 제약을 내포하고 있다. 투입ㆍ산출(IO)모형이 갖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와Oosterhaven & Stelder가 창안한 순승수 개념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최종수요에 대한 생산유발계수행렬 의 요인별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① 행렬의 요인별 분해 결과에 대한경제적 함의를 규명하며, ②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생산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의 성격을 파악하고, ③ 개별 생산 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의 차별적인 특성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행렬은 단위행렬, 투입계수행렬, 기술적 간접행렬, 연관적 간접행렬로 분해된다. 이들 4가지 요인별 행렬의 조합을 통하여 총 11가지 종류의생산 및 투입유발계수행렬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11가지 형태의 유발계수행렬을 통하여 다양한 경제변수 사이의 인과적 의존관계를 추계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Gim and Kim (2005, 2008a) showed that the element of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or Leontief inverse matrix),can be decomposed into four different parts as the final demand , the direct , the technical indirect , and the interrelated indirect effects.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search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 (2) Through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we clarify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in the varied output and input requirements matrices; (3) We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requirements matrice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 KCI등재

        産業聯關模型에서 經濟的 波及效果의 過大推定은 왜 發生하는가? 새로운 “産出?産出模型”을 통한 代案을 中心으로

        김호언 한국경제학회 2008 經濟學硏究 Vol.56 No.1

        The concept of net multipliers, as introduced by Oosterhaven and Stelder(2002), accepts outputs as entries instead of final demand to avoid the overestim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sector at hand. However, this new concept only makes the real meaning of the multipliers meaningless and trivial. It was clearly shown by Gim(2007) and de Mesnard(2007) that net multipliers have th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with no causal relation between the cause(endogenous or exogenous outputs) and the effect(total output requirements). And also it is obvious that there is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Leontief inverse [기호] and the final demand f, but tha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inverse [기호] and the total output x.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lear interrelation of the Leontief inverse with final demand and total output and to propose another alternative input-output multipliers based on “the output-output model,” developed by the author, which can solve overestimation and consecutive connection problems naturally together. I hope that the findings and results obtained from the output-output model can also be utilized in many different input-output areas. 개방형 정태 투입·산출모형에서 레온티에프 역행렬은 외생적인 최종수요 변화 에 대한 내생부문의 (직·간접)산출요구량을 추계하는 데 매우 유익하게 사용되 고 있다. 그러나 최종수요가 아니라 산출물의 변화에 대한 (직·간접)산출요구량 을 계산하기 위하여 레온티에프 역행렬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내생 중간수요에 대한 이중 계산으로 경제적 제반 파급효과가 과대추정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 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파급효과의 과대추정은 왜 발생하는가?”에 대해 서 원인 규명을 하고자 한다. 최근 이러한 과대추정에 대한 대안적 승수로 개발된 “순승수” 개념의 한계와 부문 사이의 “연속적 연결”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자 한다. 아울러 경제학 문헌에서 나타나고 있는 파급효과에 대한 과대추정 및 연 속적 연결에 대한 오해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제적 오해 사례에 대한 새로운 대안 모형으로서 “산출·산출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산출·산출모형은 레온티에프 역행렬의 요인별 분해를 통하여 총산출과 최종산출 사이의 새로운 승 수적 인과관계를 밝힌 것이다. 따라서 산출·산출모형을 통하여 산출물에 대한 제반 파급효과를 과대추정 및 연속적 연결에 대한 우려없이 편리하게 추계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성효(Sung Hy Hong),송정기(Jeong Key Song),김종수(Jong Su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귀농귀촌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여러 지자체에서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많은 귀농귀촌인이 새로운 지역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해당 귀농귀촌인 개인적 측면과 더불어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을 발생시킴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진안군 귀농귀촌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귀농귀촌의 특성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힌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귀농귀촌인이 남성이거나 연령이 많을수록 혹은 귀농귀촌시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진안군에 계속 거주할 확률이 높으며, 가구주 단독으로 귀농귀촌하는 경우에 비해 부부가 함께 이주하는 경우에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더불어, 귀촌에 비해 귀농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귀농귀촌의 유형, 즉 I턴과 U턴 간에는 지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지역 내 귀농귀촌이 증가하여 귀농귀촌관련 지원 및 한정된 자원의 배분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는 경우에 지속성은 현저히 낮아진다. Recently a lot of people migrate to rural areas.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with the help of local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s policies. However, in some cases migrants fail in settling down and move to another area which causes not only private but also social costs. This paper using micro-level data on migrants in Jinan empiricall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returning to farm and rural and its du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ssibility for migrants to remain in Jinan rises when they are male, older, or with more family members. Relative to the case of the household move alone into Jinan, couples are likely to stay there longer. In addition, while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duration between I-turn and U-turn, migrants for farming relative to non-farming tend to maintain the status longer. Also, a rise in competition for a related subsidy and restricted resources distribution as more people migrate to Jinan remarkably lowers their tendency to stay in Jinan.

      • KCI등재
      • KCI등재

        "건설부문"의 경기변동이 전 부문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김호언(Gim, Ho-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2 No.2

        In 2009, recently, Gim and Kim developed a new “Output-Output(OO) model” and table,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he Input-Output(IO) model and table, to solve the consecutive connection and homogeneous solution problems naturally together through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output C<SUP>g</SUP> derived from the decomposition by factors in the Leontief inverse C<SUP>f</SUP>.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e evaluate the role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sector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s varied economic indicators. (2) We perform an economic impact analysis affected on the whole industrial sector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construction sector through the newly developed Output-Output model by the authors. (3) We present some simulation tests on economic impact effects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ector on the basis of 2007 Input-Output Tables compiled by the Bank of Korea. The simulation test on the total output (△x) was done by the assumptions of three different types: ① the existence of economic growth (rate) in the construction sector only, ② the existence of equalized growth rates in the whole sector, and ③ the existence of unequalized growth rates in the entire sector. Moreover,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SRCC), γs, are specially computed to observe the relevant structural 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sector among the final output requirements (γ s), the labor requirements for the change of final output (△L(△0)), and the income requirements for the same change of final output (△Y(△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