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과적인 유아연기교육을 위한 방안연구

        이범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5 연기예술연구 Vol.7 No.1

        드라마와 영화 C.F등 아역연기자들의 활동이 많아지고, 예능프로그램들은 역시도 유아들의 활동을 대 상으로 한 프로그램들이 성행하면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미래의 직업관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반증하듯 효과적인 유아 연기 교육을 위한 기관이나 단체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대 상으로 한 연기교육과 연극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효과적인 유아 연기 교육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 고자 한다. 이에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기 교육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교육이 실제 연기자 양성을 위해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interest of Korea’s cultural content is higher than ever. Now ‘Korean wave’ speaks for the cultural status of global Korea. In this manner, the interest of culture and art makes high preference of becoming an entertainer, for example a TV actor, a singer and etc. in Korea. A number of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to be a children actor or an actor want to be visit an acting institution more increasingly. A growth period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object, share each other’s feeling, chage physically and emotionally so education in this time have a huge effect on the growth and it is main factor of making personality when they grow up. Therefore, the systematic acting education for children needs to be considered seriously because of the points abov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ack of recognition and practical problems in the acting education for children and to find improvement plans by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연기교육 필요성과 교육과정 탐색

        김종두,육진희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연기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다음과 같 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양성과정에서 독립된 교과목으로 연기는 다루어지지 않 고 있다. 대부분의 교육과정이 영유아에 대한 이해나 법령, 지도법 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현행 교과체제에서 볼 때, 보육교사의 직업에 대한 투철한 소명의식이나 영유아를 대하는 방법론에 대한 부분 은 모두 교사론이나 지도법으로 통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보육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에서 학생들이 연기를 배울 수 있는 독립된 교과목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의 성품과 인성도 보육교사의 자질로서 중요하지만, 영유아들에게 보이는 얼굴표정이나 목소리, 제스처 등도 매우 중요하 다. 따라서 투철한 직업의식을 가지고 자기만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어린이집 교실에서 영유아들과 상호작용하는 보육교사는 주어진 배역을 수행하는 배우의 역할에 충실하게 할 책무가 있다. 셋째, 영유 아시기에 형성하여야할 중요한 요인은 인성과 감성이다. 이것이 성품의 바탕이 되어 일생을 살아가게 된 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연기역량 강화는 영유아들의 품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넷째, 보 육교사들의 인터뷰 결과는 연기교육의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연기 교과의 이수는 보육교사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기 역량강화는 보육과정도 도움을 줄 수 있고, 이 는 곧 유아들의 정서함양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할 수 있다. The study seeks to explore the need for acting in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and to conclude that: First, acting is not cov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pre-career teacher's training process. Most curricula revolve around understanding of infants, statutes, and guidance, and in the current curriculum, it appears that all aspect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how to treat infants are integrated into teachers' or cartograph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an independent subject to which students can learn to act in the curriculum of child care teachers. Seco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are important as qualities of nursery teachers, but facial expressions, voices and gestures seen in infants are also very important. Therefore, nursery teachers who interact with infants an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ich can be called their own space with a strong sense of work, are responsible for keeping up with the actor's role in performing a given role. Third, personality and emotion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must be formed in infantile life. This is the basis of character and leads one's life. Therefore, strengthening the acting ability of child care teachers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character of infants and children. Fourth, the interview results of nursery teachers show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acting education. The transfer of acting lessons from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can improve their ability as child care teachers, and the strengthening of acting skills can also help the child care program, which in turn serves directly to foster the emotions of infants.

      • KCI등재

        SNS를 활용한 연기교육 콘텐츠의 구성요소와 발전방안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이영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7 No.1

        SNS를 활용한 교육콘텐츠는 시청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PC뿐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궁금한 정보 나 내용이 검색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습적 효과가 있다. 본 연구자는 그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유튜브 콘텐츠가시청자와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연기교육 유튜브 콘텐츠를 일반인들도 시청하기에 적절하도록 하며, 학습자에게 학습동기와 흥미 를 유발시키고 더 나은 유비쿼터스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1. 유튜 브에서 제공하는 연기교육콘텐츠의 수용시기와 현황은 어떠한가? 2.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연기교육콘텐 츠의 내용과 구성적 특징은 어떠한가? 3.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 방식은 어떠하며, 교육적 효과가 있는 가? 그에 따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높은 조회수와 구독자수, 연기교육 내용, 교수자 -학습자의 관 계성을 보여주는 유튜브 3개 채널에 게시된 약 347개 영상이 연구대상이 되어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기교육 영상 콘텐츠의 ‘제작의도', ‘콘텐츠가 다루는 주요 내용’, ‘구성 및 특성', ‘교수자_학습자와의 소 통방식’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교수설계 평가표에 의해 각 콘텐츠의 적절성, 편리성, 상호작용성, 영상의 디자인 및 기술적 효과, 명확성, 창의성, 전문성 등의 평가문항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의 성공적인 자기주도 학습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적절하고 체계적인 학습과정이 제시되었는지, 교수자 와 학습자간의 신속하고 정확한 피드백이 이루어졌는가 등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유튜브에서의 연 기교육 콘텐츠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관심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것이 과연 연기학습 자료로서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와 학습자와의 소통 방식, 특징 등을 분석하여 앞으로 지속가능성이 있는지 를 밝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Education contents using SNS have a learning effect in that they can deliver information through audiovisual viewing and search for information or contents that they are curious about not only on PCs but also on mobile devices. This study will study how YouTube content, which is the most popular among acting education content using SNS, affects viewers and learners. This makes acting education YouTube content appropriate for the general public to watch as well, arousing learners with learning motivations and interests and providing a better ubiquitous environment. 1. What is the timing and current status of acting education content provided on YouTube? 2. What are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features of acting education content offered on YouTube? 3. What is the mode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nd has educational effect? Research methods for th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About 347 videos posted on three YouTube channels showing the high number of viewers, subscribers, acting education cont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were studied. The analysis criteria are to be focused on ‘production intent’ of the video content of the acting education, ‘main contents handled by the contents’,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how to communicate with professors_learners’. The professor design assessment table presented assessment questions such as appropriateness, convenience, interactivity, design and technical effects of images, clarity, creativity and expertise of each content. The emphasis was placed on whether appropriate and systematic learning processes were presented to lead to successful self-directed learning by learners, and whether quick and accurate feedback was made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The content of acting education on YouTube is growing, and attention is growing as well. What it covers as acting learning materials,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t will be a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by analyzing expressions and others.

      • KCI등재

        연기교육 방법론 확대방안 연구 - 리차드 셰크너의 ‘라사박스(rasaboxes) 연기 훈련법’을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국내의 연기교육 방법론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리차드 셰크너(Richard Schechner, 1934- )의 ‘라사박스(rasaboxes)' 연기 훈련법을 소개하는 데 있어 그 원리와 미학을 고찰하는 연구로써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연기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이다. 현재까지 미국 중심의 발전된 연기법을 겨우 답습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특히 다채로운 미디어콘텐츠나 현대공연예술에 발맞춘 새로운 연기교육 방법의 연구가 전혀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연기교육환경 자체가 열악하고 그에 관련한 연구가 뚜렷하지 못하며, 전문적인 연기 교육자가 부재한 현실의 폐해 때문이다. 또한, ‘신체적 행동 방법론'을 정립하며 신체의 활용을 강조한 스타니슬랍스키의 후기 연기교육이 그의 초기 연기이론이었 던 ‘정서 기억법' 비해 국내에 제대로 파급되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물러있다. 급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다양성이 추구되는 연기훈련이 수반되지 않은 연기는 배우에게 발전 가능성을 가져다줄 수 없다. 그 결과, 국내의 연기예술은 발전과 혁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로 머무르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국내에 소개하려는 연기교육 방법론은 동양의 시학이라 불리는 인도의 나티아 사스트라 에 제시된 라사미학을 토대로 미국 아방가르드 연극계와 이후로도 연기훈련을 선도한 라사박스 연기 훈련법이다. 셰크너와 미국의 동부 연안 예술가그룹으로부터 고안된 라사박스 연기 훈련법은 배우의 정서 반응을 기초로 하는 스타니슬랍스키의 이론과는 반대로 배우가 감정을 즉각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재현하는 방법을 지향한다. 또한, 이는‘진실’과 같은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표정이나 표현까지 풍부하게 발전시킬 수가 있는 효과를 말한다. 신체적 체현이나 표현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사박 스 트레이닝의 결과로 인간의 감정적 관련 사항들을 스스로 발견해내는 능력을 강화 해주는 훈련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렇게 기존과 다른 연기 훈련법을 국내의 교육현장에 소개하는 과정을 통해 연기교육의 방법론을 확장을 시도한다. This study is a part of the expansion of Korea’s methodology of acting education by introducing the “Rasaboxes Exercise” devised by Richard Schechner and is a discussion of whether this technique can practically be used in an educational setting as a methodology of acting training. Despite Korea’s culture and arts content currently gathering the attention of the world, Korea’s acting education still hasn’t evolved much from Russia’s early practices of Stanislavski’s theories. While Korea has barely imitated the acting techniques developed in America, studies on new acting education methodology that go hand-in-hand with the diverse media content and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re not being done at all. Also, Stanislavski’s later acting training that established “The Method of Physical Action” and emphasized the usage of the body is stagnant and has not been circulated in Korea as much as his early training methods of “Emotional Memory.” Acting that doesn’t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times and that isn’t accompanied by systemized acting training that pursues diversity leaves no room for improvement for actors. As a result, Korean performing arts is in a difficult situation where it is hard to look forward to development and innovation. The Rasaboxes Exercise, which was devised by Schechner and East Coast Artists in America, is the opposite of Stanislavski’s theory that is based on an actor’s emotional reaction in that it seeks to have the actor immediately and freely control and reenact a certain emotion. Also, it shows that a variety of expressions and facial expressions can be richly developed even without the use of factors like “truth.” Because it doesn’t emphasize physical embodiment or expression, Rasaboxes Exercise results in an actor’s strengthened ability to discover his/her own emotions and things related to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methodology of today’s acting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is new acting training method to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스타니슬랍스키의 에튀드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의 효용성 연구

        오동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4 애니메이션연구 Vol.20 No.1

        애니메이션의 연기적 요소는 연극이나 영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중요한 미학적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 연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습 기반의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은 꼭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에튀드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는 실제 애니메이션 연기 분야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 형식과 내용의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써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 방법론적으로 애니메이션 연기 워크숍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성과를 교육의 ‘목표’, ‘설계와 내용’, ‘교육적효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대부분 참여 학습자의 ‘인물 분석 역량’, ‘인물 창조 역량’, ‘연기적 표현 역량’이 개선됐다는 사실을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의 성과는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 분야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애니메이션 연기를 체계적으로 교육할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부재한 국내 교육 현장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성과는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방법론적 토대로써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구 방법론적으로 유의미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연기 교육을 진행하고, 그에따른 교육적 효과가 입증된 애니메이션 연기 교육 형식과 내용은 애니메이션 분야의 대학 교육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의 재직자 교육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cting elements of animation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aesthetic component for successful storytelling, just like in plays or movies. Therefore, practice based animation acting education to strengthen animation acting capabilities can be said to be a necessary field.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imation acting education using Stanislavski’s Etude is very meaningful as it analyzes the educational format and content that can be used in actual animation acting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methodologically analyzed animation acting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goals’, ‘design and content’, and ‘educational effects’.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that most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character analysis competency,’ ‘character creation competency,’ and ‘acting expression competency’ were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ly used in the field of animation acting education.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domestic education field where there is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capable of systematically teaching animation acting and the absence of a systematic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thodological basis for building an animation acting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연기와 연기교육에서 융ㆍ복합의 의미

        김종두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배우를 양성하는 연기분야에서 어떻게 융·복합을 이루어 나갈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탐색을 통한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다양한 문헌을 검토한 결과로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었다. 연기교육은 학습자와 교육자가 일체화되어 작품에서 요구하는 배역을 완성하기 위한 과정의 결과물이다. 연기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영화, 음악, 미술, 무대, 디지털 등 세계 예술문화를 이끌어가는 토대를 만드는 융합예술이다. 더욱이 최근에 커다란 흐름으로 대두되고 있는 유투버를 양성 하는 것이다. 이는 곧 경제활동과도 직결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연기가 바탕이 되는 예술은 그 장르를 불문하고 경제성장의 토대로 이어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연기분야에서 융·복합이란 연기 영역의 범주에 포함되는 영역의 통합이 아닌 작품을 만드는 모든 분야를 통합한다는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 다. 즉, 배우가 조명에 대한 기술적 지식을 습득해야 하고, 촬영 또한 배우의 표정연기를 이해할 수 있어 야 한다. 새로운 작품을 만들기 위한 기초 작업에서부터 감독과 작가의 선택과 결정이 아닌 지역과 문화 에 관련된 전문가들과 모두 협업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기교육에서 융·복합의 의미는 배 우지망생들을 가르칠 때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질(끼), 목소리, 외모, 신체 등 모든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분해하고, 자신이 가진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기본적 자질을 습득시켜, 배우에게 주어진 배역에 필요로 하는 연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신체적 요 소와 정신적 요소를 융합하는 과정이 연기교육에서 융·복합의 의미이다. 훌륭한 배우는 기초가 바탕이 되어야 하듯이 학문적 기초를 튼튼히 하는 것이 훌륭한 배우를 양성하는 토대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 영역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융·복합의 의미를 명확히 인식시켜 변화의 초석 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study looked at how convergence can be achieved in the field of acting that trains actors. The research method was made up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exploration of litera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various literature. Acting education is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integrating learners and educators to complete the roles required by the work. Building an acting education system is a convergence art that creates the foundation for leading global art culture, including film, music, art, stage and digital etc. Moreover, it is to train YouTubers that have recently emerged as a big trend. This means that it is direct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so it should be noted that art based on acting leads to economic growth regardless of its genre. In the field of acting, convergence and convergence should mean the integration of all areas of making a work, not the integration of areas within the category of acting. In other words, the actor must acquire technical knowledge of lighting, and the filming should also be able to understand the actor's facial expressions. From basic work to making new works, it needs to be done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related to both the region and culture, not the choice and decision of directors and writers. In acting education, the meaning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means to break down all elements of basic talent, voice, appearance, and body required when teaching aspiring students, and to teach them to show their characteristics to the fullest. The process of merging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into acting education to maximize the acting skills required for a given role by acquiring the basic qualities of these factors is the meaning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in act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연기교육과 인문교육의 통합적 교육방법 모색 : 자기성찰을 위한 실천적 연기교육을 중심으로

        김수기(Kim, Soo Gi),이선형(Lee, Sun Hyung),이헌용(Lee, Heon Yo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최근 들어 인문학에 관한 관심의 증가는 교양으로서의 단지 인문학적 지식의 증가를 원해서가 아니라, 자신에 대한 성찰 없이는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가 어렵다는 것은 자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기 때문일 것이다. 인문학을 통한 자신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은 인간의 실존적 의미를 찾게 하고 삶을 긍정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준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에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자기 존재의 내적인 균형과 조화를 지니기 위해서는 인문적 사유는 필수인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예술교육의 변화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자기에 대한 본질적 성찰이 없이는 진정한 예술가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타인을 이해하고 사회 속에서 바람직한 인간으로서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첫째, 연극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 청년들이 안고 있는 사회ㆍ심리적 문제를 파악하였다. 둘째, 연극교육에서 인문학이 필요성을 은유를 중심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셋째, 연기교육에서 자기실현을 위한 인문교육의 필요성과 자기실현을 위한 인본주의 (Humanism) 교육철학의 수용을 위한 실천적 연기교육을 연구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문제들을 짚어보고 이를 토대로 자기성찰을 위한 연기교육과 인문교육의 통합적 교육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aise exter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in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f oneself and human beings enable us to find the real meaning of human being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life to be positi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asons why humanities is necessary in theater education through metaphor, and to establish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an bring the already inherent introspective and self-healing elements into the center of arts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our educational reality by presenting the following three sub-themes and discuss theatrical education based on humanities: research topic 1 : a study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Korean youth, research topic 2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humanities in theater education, research topic 3 : the meaning of expansion and integration of humanities education in acting education - focusing on practical acting education towards self-realization. To this end, we looked directly at the exter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aced by Korean youth today and explained why metaphorical humanities were needed in theater education. Also, we sought practical ways to reflect on ourselves in acting-oriented theater education.

      • KCI등재

        영화제작교육에 있어서 연기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에 관한 연구

        류훈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In the early days of film education, theater and film were not separated but bound to one depart- ment, and integrated education was provided. Then, it has undergone a major change since the mid-1990s, which is very rela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Korean films since the 1990s. As the in- dustrial possibilities of film opened and the producer system took over, the number of universities ed- ucating film across the country increased exponentially as the production system was systematized un- like before. Moreover, Chung-Ang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which previously established theater and film departments, also separated theater education and film education. Accordingly, the- ater majors and film majors were distinguished in the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and schools were established to establish independent departments such as theater/film departments or acting/film departments from the beginning. Film education was named by various names such as film major, film major, film major, film department, and film art department, and depending on the internal circum- stances of each university, plays are grouped with dance or musicals, and movies are taught with ani- mation or broadcasting. During this process, acting education is mainly dedicated to the theater de- partment for various reasons, and the film department opens and educates subjects related to production.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acting education in the theater field no longer covers all parts of camera act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rapid development of camera tech- nology and grip equipment, sound/recording technology, and revolutionary changes in CG and VFX technology.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lack of acting education in film education in universities are also long-standing concerns of film professors. For this reason, there is also a fre- quent problem that acting skills are not achieved at all in students majoring in directing. When direct- ing a short film, it is common for the director to rely entirely on the actor's acting skills to watch as they act and shout "Okay!" if they do not miss their lines or stutter. In this situ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expect that directing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of the film department, will be prop- erly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necessity of acting educa- tion based on the film curriculum of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suggest alternatives. 영화교육의 초창기에 연극교육과 영화교육은 분리되지 않은 채 하나의 학과에 편제되어 통합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교육 형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는 90년대 이후 한국영화산업의 비약적 발전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이 열림과 동시에 프로듀서 시스템이 자리를 잡아가며이전과 달리 제작시스템이 체계화되면서 교육기관의 관심이 집중되었고 이에 따라 영화를 교육하는 대학의 수는 전국적으로 매우 빠르게 늘어났다. 이 추세를 반영하듯 기존에 연극영화과를 설치하고 있던 중앙대, 동국대등에서 연극교육과 영화교육을 분리하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연극영화과 혹은 연극영화학부라는 전통적인 학부(과) 체계가 급변하면서 연극전공과 영화전공을 구별하여 각자의 교과과정을 구축하거나, 처음부터 연극과/ 영화과 혹은 연기과/영화과로 나누어 독립된 학과를 설치하는 학교들이 생겨났다. 각 대학들은 영화전공, 영화영상전공, 영화과, 영화예술학과, 영화영상학과 등의 이름으로 편제하여 영화교육을 시행하였고, 내부적 사정에 따라 연극은 무용이나 뮤지컬과 함께 무대예술교육으로 묶이고, 영화는 애니메이션이나 방송과 함께 통합하여 영상예술교육의 형태로 묶이는 등, 전통적인 이름으로 존재해온 ‘연극영화과’는 다양한 분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연기교육은 주로 연극과에서 전담하게 되고, 영화과에서는제작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영화기술의 발전, 가령 카메라 기술과 각종 그립장비(grip equipments) 등의 비약적 변화, 음향/녹음 기술의 성장, CG와 VFX 기술의 혁명적 성장 등에 의해 더 이상 연극분야에서의 연기교육이 카메라 연기의 모든 부분을 커버하기에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뿐 아니라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연기술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을 도리 또한 없다. 또한 대학에서의 영화교육에서 연기교육을 결여할 때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 역시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영화 교수자들의 고민이 되었다. 영화제작교육을 진행하다 보면 연출전공 학생들에게 출연 배우들에 대한 연기세공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사실을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단편영화를 연출할 때, 연출자가 오롯이 배우의 연기력에 백퍼센트 의존하여 그저 그들이 연기하는대로 지켜보고나서 대사를 틀리거나 더듬지 않으면 그냥‘오케이!’를 외쳐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영화과의 가장 중요한 교육 중 하나인 연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관련 전공을 설치한 전국 대학들의영화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목 현황과 연기교육의 반영 정도를 분석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근거를 통해 설명한 후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영화배우 양성을 위한 영화연기 교육 시스템 연구

        정민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9 No.1

        영화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도로 발전한 기계 문명 속에서 할리우드의 스타 시스템을 대두로 하여 최고의 문화 산업 콘텐츠로서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에 천만 관객을 넘어선 영화가 줄지어 나올 정도로 영화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그런 만큼 국민들의 눈높이도 높아져서 다양한 장르 의 영화와 수준 높은 영화를 필요로 한다. 관객에게 친숙하며, 다양한 장르로서 표현되는 영화예술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는 것이 바로 배우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배우를 양성하고 교육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 영화학과의 연기 훈련 시스템을 면밀히 분석해보고, 할리우드 배우로 유명한 사나다 히로유키(真田 広之), 칸다 마사 테루(神田 正輝), 사토 류타(佐藤 隆太) 등을 배출해낸 60여년 전통의 니혼대학교[日本大学] 영화학과의 연기 훈련 시스템 을 비교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매체적 특성을 갖고 있는 영화 연기를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 고, 이에 따라 연기에 대해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바라며, 영화연기 교육의 입지 마련 및 성장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has been only 100 years since film was made, yet the film industry has made sensational growth. While the development and growth mechanism of the film is in progress, the fact is that the acting for film is not able to keep up with the speed of the change that film made. This study is to make an observation of Nihon University in Japan that divides film department into direct, recording, sound, visual theory and film acting. Nihon University has special acting course followed by a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n Korea, most university focuses on producing or staff 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acting in the film department. Students who are majored in film should be educated basic film mechanism and basic of acting, for example tone, voice, movement and etc. for at least 4 year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owever, in Korea, those kind of the curriculum is absolutely insufficiency. At Nihon University, they teach Japanese dance. Yet universities in Korea, some teach traditional mask play as folk art for only one semester. Traditional mask play is a synthesis art combining Music, dance, language and acting. If the camera mechanism goes parallel with the traditional mask play, it could be very useful programme to learn a variety of acting basic skills. Universities in Korea should prepare the detailed curriculums for the traditional mask play so that the students comprehend the basic skills through the traditional mask play systematically. Lastly, hoping to affect positive effect on the acting training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영화연기의 융합예술교육론

        김종국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4

        This article points out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art education due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ilm acting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strategy of film acting program as a convergence art educ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a certain limit to seeking the theory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its necessity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domestic film acting is not adequately reflected in education. Nonetheless, the transition to the convergent film acting education is a demand of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learner, and it is an unavoidable trend in the educational reality.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educational goals and talents, and not to merely integrate between majors and departments, but to try real convergence. Project-oriented practice and learner-centered programs linked to industrial sites should be operated. Of course, human, mater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nvergence art education of film acting should be based. Film acting is a way of cultivating talented people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seeking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education, and is suitable for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educational practice encompassing individuality and diversity of learners. This article does not address the learner's point of view about film acting education,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possibility of conversat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art education theory. This will be useful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as a precondition for establishing film acting education of consilience and empathy. 이 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교육환경의 내외적 변화에 따른 융합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당면과제, 현행 영화연기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융합예술교육으로서의 영화연기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화연기의 정체성 및 방향이 교육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그것의 필요성만 가지고 융합교육론을 모색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복합 영화연기교육으로의 전환은 산업계와 학습자의 요구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교육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전공 또는 학과 간의 단순한 통합이 아닌 진정한 융합이 이뤄져야 하며, 산업계와 연계된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와 학습자 중심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영화연기의 융합예술교육을 위한 인적, 물적, 재정적 지원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영화연기는 삶과 교육 간의 소통을 모색하고,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이며, 학습자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포괄하는 교육적 실천이라는 융합교육의 방향에 적합한 교과이다. 이 글은 영화연기교육에 관한 학습자의 관점을 다루지 않았지만, 융합예술교육론의 관점에서 대화적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통섭과 공감의 영화연기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전제로 향후의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