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의학적 연극치료기법 연구-국내 최초 대학병원 내원 청소년기 우울증 환자 대상-

        김종현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3

        본 연구는 통합의학센터에 내원한 청소년기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기법 연구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는 2011년 2월 통합의학센터를 개소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연극치료를 의료행위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자는 홍유진 연극심리학박사와 이성재 의학박사가 협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분석하여 당시 세션에 적용된 연극치료기법을 정리하고 체계화하였다. 그 이유는 2년여 동안 S대 병원 정신과에서 상담과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던 우울증 환자가 통합의학센터에서 진행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홍박사의 주도하에 설계되었으며 8명의 보조치료사와 함께 2011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9개월간 시행되었다. 연극치료기법은 Landy의 투사적 모델과 역할모델, Johnson의 DvT모델, Jennings의 EPR모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치유명상, 미술기법, 음악기법, 동작기법 등 다양한 통합예술치료기법들이 적용되었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는 환자의 심리적 문제 중 우울감, 자존감, 불안감, 적대감, 신체화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증상의 변화는 초기-중기-후기 단계에 진행된 Aron Beck-우울척도와 Coopersmith의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통하여 증상이 호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한 증상을 호전시킨 연극치료기법의 적용, 치료과정의 동영상 분석, 관찰일지를 토대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병원에서 정식 의료행위로 채택된 첫 사례로써 다양한 통합예술치료기법이 적용된 최초의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치료가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신뢰성이 높은 병원이라는 장소에서 연극치료 진료를 받음으로써 자신의 심리문제에 보다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합예술치료적인 접근방법이 연극치료의 단일모델로 프로그램을 구성했을 때보다 환자의 심리 변화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생학문으로써 연극치료가 정식 의료행위로써 한 단계 더 도약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This is a study of a drama therapy technique intended for an adolescence depressed patient who came to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KUAH), Being the first medical center to adopt drama therapy as a medical practice in our country, KUAH opened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February, 2011. Through observation in a drama therapy program co-treated by Youjin Hong, a Ph.D in drama psychology, and Sung-jae Lee, a medical doctor in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the researcher noticed improvement in symptoms of a depressed patient after undergoing the program. It was interesting to see the patient who had rarely improved before with a treatment of counselling and medication in the psychiatry department of S University Hospital for 2 years change gradually throughout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systematized drama therapy techniques based on the medical treatment and daily record of the patient’s response from the drama therapy program conducted in the Center for Integrative Medicine in KUA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essions of the program and show the effect of drama therapy. The drama therapy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therapy techniques, and videos and daily records of the program. The drama therapy technique used in this program was led and designed by Dr. Hong. With the assistance of 8 therapist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1, for 9 months in total. It was based on Landy’s projective model and role model, Johnson’s DvT model, and Jennings’s EPR model.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from integrative arts therapy such as healing meditation, art therapy technique, music therapy technique, and movement therapy technique were applied. The focus of the drama therapy program was to make the patient recover from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elf-regard, anxiety, hostility, and somatization. The patient’s psych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by Aron Beck-Depression Inventory(BDI), Self-Esteem Inventories(SEI), an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This study was the first one to employ various integrative arts therapy techniques in a drama therapy program. Moreover, it was also new for a medical doctor to accept drama therapy as a co-trea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Considering the fact that drama therapy programs are commonly held in places outside the hospita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to respond to his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rust because he was treated in a hospital. The subject seemed to show more psychological changes due to the integrative approach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is study proposes innovative directions to future studies on drama therapy, a newly emerging research area which has not been developed yet.

      • KCI등재

        사회인지 관점에서 본 연극치료의 역할 경험 : 대인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정은선(Jung, Eun S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인지심리학의 대인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연극치료 역할 경험의 사회인지적 요소를 살펴보고 연극치료가 내담자의 사회인지의 발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극치료의 사회인지 관점의 필요성을 점검하고, 사회인지의 의미와 범주화, 대응추론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인정보처리 모델 중 이중처리 모델과 연속체모델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또한 연극치료 분야의 역할 모델과 연극치료 과정에서 역할 경험에 내포된 사회인지적 요소를 연극치료 사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연극치료가 내담자의 사회인지적 발달이나 회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극치료는 내담자에게 극적 역할 즉, 현실의 역할을 극적 은유로 치환한 새로운 범주를 제시하여 자신과 타인의 각각의 속성과 관계성을 새롭게 각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역할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재범주화, 역할 구현을 통한 사회적 범주의 활용, 극적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대상 인지의 정교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극치료는 사회인지의 발달이 촉진될 필요가 있는 내담자에게 치료적으로 조직화된 극적 환경을 제공하여 부족한 사회적 경험을 효율적으로 경험하고 평가하여 사회인지를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social cognitive element of drama therapy role experience based on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and to explore how the drama therapy contributes to the counselee 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For thi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needs of drama therapy s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and observed the social cognitive meaning and categorization and the concept of correspondent inference. And the researcher observed in brief the dual process theory and continuum model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Also, observing through the drama therapy case the social cognitive element implied in the role experience in the role model and drama therapy process, the researcher explored how the drama therapy contribute to counselee 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or recovery. The drama therapy presents to the counselee the new category that replaced the dramatic role, namely the reality role in dramatic metaphor,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hat can awaken each property of his and of the other, and its relationship. This is made by the objective cognitive elaboration process through the social recategorization based on the role, the utilization of social category through the role realization and the interaction of dramatic situation. The drama therapy provides the dramatic setting therapeutically organized to the counselee who should promote the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so that he could experience and evaluate efficiently the deficient social experience, and reorganize the social cognitive.

      • KCI등재후보

        제의적 연극치료 연구 -제닝스와 존스를 중심으로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7

        The theatre has itself the effect of curing. That is why the dramatherapy actively uses the theatre as a medium of therapy. There are diverse types of dramatherapy models since the theatre is a composite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ritual model as one of these models. The ritual dramatherapy underlines the role of curing in the rite based on the shamanism. Our purpose is to clarify a theoretical aspects on which the ritual dramatherapy is founded. In this study, we first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manism and dramatherapy; which points of shamanism is related of the dramatherapy. Then, we explicated that the ritual dramatherapy pursuits the embodyment, not the representation. Lastly, we sough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is model through some clinical cases of Jones and Jennings. The ritual dramatherapy of Jones focuses on the daily rite instead of the shamanism. This is similar to the thought of Evreinov or Turner that all aspects of our daily life are theatrical. Meanwhile, the ritual dramatherapy of Jennings reconciles the opponents through new language and objects. The conflicts and anguishes are reached to the metaphysic integration, in other words to the state of healing, through the destruction. However, this study deals with mainly the theory, so that clinical cases of only two researchers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work, we will explore the Korean ritual model using the elements of shamanism. The shamanism is not just on the primitive ages. Today, Korean society somewhat contains collective mental problems and we need a certain rites. If we show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ritual model through the clinical cases,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society as “Salpuri”. 연극은 자체적으로 치료의 효과가 있다. 연극치료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연극예술을 치료를 위해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술치료의 한 종류다. 연극의 종합 예술적 특성만큼이나 연극치료는 모델이 다양하다. 그 중 하나가 연극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제의에 초점을 맞추고 제의의 치료적 성격을 강조한 제의적 연극치료 모델이다. 본 연구는 제의적 연극치료란 무엇인지 이를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규명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제의적 연극치료의 개념과 범위,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제닝스와 존스의 이론과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제의와 연극치료의 공통점을 밝혀 어떻게 제의가 연극치료와 연계가 가능한지 탐색하고, 제의적 연극치료가 추구하는 연극적 방식이 재현이 아닌 체현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제의적 연극치료의 실제에서는 제닝스와 존스가 임상에 적용시킨 방식을 살필 것이다. 존스의 제의적 연극치료는 제의의 범위를 넓혀 일상에서 벌어지는 의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일상의 모든 양태가 연극적이라는 예브레이노프 및 터너의 견해와 유사하다. 제닝스의 제의적 연극치료는 잔혹연극의 이론을 기반으로 연극의 제의성을 탐구하여 새롭고 낯선 언어와 오브제를 사용하여 대립물의 대화와 화해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취한다. 갈등이나 고통은 파괴를 거쳐 형이상학적 통합이라는 내적 치료에 이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두 전문가의 이론과 사례만을 제시하고 있다. 차후 연구에서 스노우와 미첼의 연구 나아가 본 연구자의 임상에서의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면 제의적 연극치료의 모델의 효용성을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의는 과거의 원시적인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엄연히 치료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심리적 효과를 연구하여 연극치료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의적 연극치료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 살, 원)풀이가 필요한 한국사회에서 제의적 연극치료는 상당히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 한국형 제의적 연극치료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 KCI등재

        학교폭력치료와 좋은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모형

        정순모 ( Soon Mo J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3

        이 글의 목적은 연극치료상담사 역시, 학교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통한 학교개선활동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정규교사의 한 사람으로서 간주되었을때, 그 연극치료 상담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할역량모형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선행연구된 좋은 교사의 역할역량에 견주어 시론적으로 제안하는데 두고 있다. 여기서 모형이란 프로젝트 선정 및 선정프로젝트에 부합되는 교육공학적 계획설정 역량으로서 설계의 세부사항들이 지시하는 행동방향과 최종구조물의 종류 등을 결정해주는 청사진을 말한다. 연극예술적 장점들을 학교폭력치료수단으로 활용하는 연극치료상담교사의 핵심역할역량인 상담(교수)역량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좋은 학교교사의 교수역량과 마찬가지로, 우선 치료상담 목표의 선택역량, 그리고 내용영역과 함께 세부학습목표도 두루 충족시켜주는 보편적 접근법인 전략선택역량, 그리고 다수의 특징들로 구성되는 세부접근법으로서 치료모형선택역량, 마지막으로 다수의 모형들과 전략들을, 내담자(학생)에게 관련시키는 방식과는 별도로 인간으로서 치료상담교사가 치료현장에 불러일으키는 핵심주제선정역량(Eggen & Kauchak, 2006, pp.16~17) 등이 된다. 이런 방식을 확장하면, 학교폭력치료를 통한 좋은 학교만들기에 동참하는 연극치료상담사가 차별적 내담자(학생)들을 위해 가져야 할 핵심역량(군)은, 우선 차별적 목표들에 효과적 접근방법론을 찾는 역량, 그리고 목표도달을 위한 프로젝트로서 핵심역할역량활용 청사진인 모형선택역량 등이 된다. 결국 차이에 생명감과 연대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자끄 데리다의 해체론 또는 아르또의 잔혹연극론과 상통하는 이유와 절차를 고려하여, 이글에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연구문제1. 연극치료상담교사가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문제들, 특히 폭력학생의 미래삶(생명)을 치유한다는 점에서 국가존망과도 직결된 < 좋은학교 만들기 >, 더 나아가면 21세기 더 좋은 평생학습사회(Better Life-Long Learning Society)운동과 어떤 관계가 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2. 평생교육이 만인의 필수교양으로 전제되는 21세기 평생 또는 초중고 수업공동체 및 주변 학습공동체에서 연극치료상담교사들이 맡는 좋은학교 좋은수업공동체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연구문제3. < 좋은학교 좋은치료상담교사 >의 핵심역할과 핵심역할역량(군)은 어떤 것이며, 그들 간의 가설적 종합모형은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 21세기 한국초중고의 좋은 학교 만들기 운동 >에 동참한 < 교육(학습)치료교사로서의 연극치료상담사 >가 갖춰야 할 핵심역할역량과 핵심역할역량(CoreRoleCompetencies, CRC), 그리고 이 특징적 핵심역할역량간에 구성되는 가설적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어떤 것이 될 수 있는가? 연구문제4. 이 핵심역할역량모형(CoreRoleCompetenciesModel, CRCM)은 학교폭력의 유형학적 특성에 부합되는 연극치료상담모형은 구체적으로 예시가능한가? * 이 4개 연구문제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본문 < Ⅳ.연구문제(1)(2)(3)(4)와 연구결과 >와 함께, 그림 < 3 >< 4 >< 5 >과 표 < 1 >에 제시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the CoreRoleCompetencies(CRC) affecting the high-performances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engaging in MakingGoodSchools through Korean First-Secondary SchoolViolencePrevention in the society of life-long learning as a core competency of all the people in 21st century, and propose an hypothetical CoreRolesCompetenciesModel(CRCM) of GoodDramaTherapeuticTeachers(GDTT). Finally, as a way of adapting the CRCM of GDTT, connecting nine types of learning styles for each nine types of multi-intelligencies of Howard Gardner, we will make and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many sorts of violences in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including SchoolViolences taking place in and around the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which will help to capture the nature of violent act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nd possible motivations for the viol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collective violence in various schools. Th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patterns of violence through a typology will overcome many of the limitations in therapcouncelling schoolviolences in Korean first-secondary schools.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don’t tell about the Competencies, CoreCompetencies, CoreRoles, CoreRoleCompetencies etc. of the general Drama Therapists. In this dissertation, as research methods, a CoreCompetenciesModel already researched in my another edu. doctorat thesis is utilised. A CoreCompetenciesModel was analyzed and tested through Path Analysis of the Corefactors affecting good schoolteachers`` role competencies in korean first-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fter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on the good teachers’ competencies in the various learning communities, by the 7 Focus Group``s Discussion-centered Modified Delphi Technique. Here, the first theoretical reason of re-using a educatioal CoreCompetenciesModel in a therapeutic councelling is grounded on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the educator(teacher, professor) as a craftsmann(artist) and the artist as a educator(teacher, professor). the second reason is the fact that a student and a councelling therapist are all the same but different human beings. the third reason is the fact that the human beings responds differently. So teachers and students are different. And artistic therapists and his visiters are also different, so all are all differnt from one another. And all respond all differently. That subjet is related with < destruction > of Jacques Derrida & < the body without organs > of Antonin Artaud. So, the research subjects for achieving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four projects and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see especially figure< 3 >,< 4 >,< 5 > and < table 1 > of them), are also proposed in < Ⅳ. the major outcomes of the four research projects(1)(2)(3)(4) >.

      • KCI등재

        제의연극과 연극치료 - 치유형식으로서 제의연극의 현재적 양상과 특성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9

        본 연구는 제의연극을 매개로 하는 연극치료의 양상과 그 특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는 연극이라는 예술적 지반을 통한 치료, 즉 연극치료의 원류 혹은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도 연관된다. 이를테면 연극 치료학은 연극학과 어떤 연계성을 지닐 수 있는가라는 계보의 문제이기도 한 셈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의기원설을 주축으로 하는 인류학적 접근의 연장선상에 있는 연출가들, 특히 그로토프스키의 연극여정을 통해 제의연극의 특성을 논의한 후, 그와의 접점에서 연극치료에서 실행되는 치료형식으로서의 제의연극에 대한 정의와 양상을 신화와 원형, 그리고 신화의 서사적 구조인 통과의례를 통해 살피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제의연극에 기반하고 있는 클레어 쉬레이더의 ‘신화드라마’와 스티브 미첼의 ‘자기표현의 연극’의 치료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언급한 내용들을 구체 화한다. 그 결과 연극사적 층위에서의 제의연극이 동시대 연극치료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용, 재생(renewal), 계승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탈연극’으로의 큰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로토프스키가 추구한 본질은 ‘연극은 왜 하는가?’라는 철학의 문제와 연계된다. 그의 대답은 영성의 회복이었고, 따라서 그의 연극 여정은 원형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자유롭고 창조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통합적인 자기(self)에 도달하고자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았다. 제의연극 형식의 치료를 수행하는 주요치료사들의 작업 역시, 삶과 예술의 경계가 와해되는 지점에서, 상실한 참여자의 창조성을 ‘재생(regeneration)’시켜 그들 개인의 제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참여자를 독려하는데 그 궁극의 목적을 둔다. 근본적으로는 신화의 힘과 통과의례에 대한 동일한 이해를 전제로, 연극 본유의 제의 기능에 대한 인식과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들은 일맥을 이룬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학의 계보가 제의를 토대로 하는 일련의 ‘성스러운 연극’에 연원함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한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그로토프스키의 연극여정에서 연극치료의 전조적 현상과 그 가능성을 읽어내는 가운데, 제의연극/치료의 실제적인 프러세스를 조우시킴으로써 연극사적 층위의 바로 그 지점에 연극치료의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drama therapy using the ritual theatre form as a vehicle for therapy. It is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an identity and a background of drama therapy. A genealogy of it is related to a history of theatre, so to speak. In anthropological approaches based on the origin of the ritual, this study tries to illuminate the works of some avant-garde directors, their viewpoints and especially to illuminate for Grotowski`s journey of theatre/performance among them. And this thesis studies the definition of ritual theatre in drama therapy and today`s aspects of the ritual theatre forms in drama therapy through myths, archetypes, and the rite of passag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onomyth/hero-myth which Joseph Campbell suggested. Through Steve Mitchell``s ‘Self-Expressive Theatre’ and Claire Schrader``s ‘Mith-a-Drama’,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of therapy in practice.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Grotowsky`s ritual theatre is almost similar to a ritual theatre of drama therapy in basic viewpoints from Jung`s thoughts and the anthropological approaches except for clinical settings. They all have suggested that leader/therapist should help participants to be facilitated an integrated self through regeneration of lost creativity in the performative structure above all. Also, they have intended to recognize and to recover the function of ritual in the theatre under the understandings of the efficacy of ritual/myth. But patients in drama therapy are needed to recover lost personal creativity, and then evoke and confront archetypes against personal trauma/wounds, to complete group ritual and then solo ritual for its performativity in consecutive order, so the ritual theatre in a field of drama therapy is just different from it on the level of theatre in that wa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present ritual theatre as a vehicle for drama therapy has been continued to be with the flow of ‘holy theatre’ that promised the play as the cure of souls.

      • KCI등재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에 관한 사례 연구

        김지선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

        본 논문은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 사례를 중심으로 제작 과정 및 상연과정을 구조화하여 공연에 참여하는 연극치료사(연출, 배우, 안내자)와 관객에게 미치는 치료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 제작 및 상연 과정에 참여한 연극치료사(연출가, 배우, 안내자) 20명과 청소년 및 쉼터 청소년과 이주여 성, 미혼모, 빈곤모자가족, 우울증 여성 등의 소외여성과 연극치료 및 치료 적 공연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과 예술치료 및 상담치료 종사자 등의 관 객 899명이다.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여 참여 자로 임한 연구자가 직접 체험한 과정을 연극치료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밝히는 내러티브 방식을 취했다.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 분석을 통해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치료적 공연은 연극치료 작업과 같은 형태, 즉 극장 체험(웜업)-연 극보기 표현하기(본 활동)-만남 나눔(마무리)의 구조를 취하며, 거기서 관 객은 수동적 관찰자가 아니라 직접적인 참여자로서 무대의 주인공이 된다. 둘째,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은 연극치료사의 역량 강화 및 성 장의 계기로 작용한다. 연극치료사(연출자, 배우, 안내자)는 개인의 실제 이 야기를 허구의 보편적인 이야기로 확장하고 또한 관객과 직접 만나 소통하 면서 연극치료사로서 직관력과 포용력과 순발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치료적 공연의 상연에 참여한 관객은 자기 인식 및 회복을 경험했 다. 일반 연극 공연에서와 달리 객석에 앉아 수동적으로 극을 소비하는 대 신 능동적으로 공연 과정에 개입하여 자기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고 변형하 는 치유의 여정을 겪어냈다. 넷째, 치료적 공연은 일반 연극 공연과 연극치료 작업이 창조적으로 어 우러진 새로운 공연 양식을 창출했다. 관객이 연출자 및 배우와 함께 적극 적인 행위 주체로서 극적 현실을 공동 창조하고 다채로운 의미를 생산해내 는 흥미로운 연극 형태를 가능케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은 기존의 극장 연극과 연 극치료 이론을 근거로 여러 가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나은 치료적 공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관객의 공감과 극적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이

      • KCI등재

        불안장애 증상완화에 관한 연극치료 고찰 : 성인 개인 작업 사례 중심으로

        박미리(Park, Mi R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연극치료 임상 작업의 진행 과정과 결과에 객관성과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는 구조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불안장애 성인의 증상 완화를 위한 연극치료 사례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불안장애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치료 개인 작업은 어떤 외적 환경이 적절할 것인가? 둘째, 불안장애 증상은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 셋째, 불안장애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연극치료 개입이 효과적인가? 연극치료 작업의 외적 환경은 치료환경과 생활환경의 긴밀한 관계맺음과 소통, 참여자와 유사한 증상을 경험한 보조치료사와의 협업이 이상적임을 알았다. 또한 불안장애의 일반적인 증상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드러나는 행동은 표면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지만, 연극치료에서 다양한 역할 연기를 경험하는 가운데 일상과는 다른 내면의 모습들이 그대로 드러남을 알았다. 또한 인지행동치료에서 핵심문제로 다루는 부정적인 자기상, 정서 부조화, 감정표현 불능증 등은 연극치료의 체현투사역할의 단계를 경험하고 자기연민의 감정을 회복함으로써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tructure which presents objectivity and validity to the progress and result of drama therapy. To achieve this main aim, it examines qualitative analysis of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symptoms in adult with anxiety disorders. Following questions are discussed: which external environment would be appropriate in individual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anxiety disorder symptoms; how anxiety disorder symptoms are presented during drama therapy sessions; which drama therapeutic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to alleviate anxiety disorder symptoms. Findings suggest that an ideal external environment for drama therapy involves a close link and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and living conditions. It was also essential to cooperate with assistant therapist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with clients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General anxiety disorder symptoms showed similar patterns in drama therapy sessions. However, some distinctive inner self-images of clients were also found during various role-playing experienc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self-images, cognitive and emotional dissonance, and Alexithymia, widely discussed in cognitive behaviour therapy, could be benefited by experiencing embodiment-projection-role in drama therapy and recovering self-pity.

      • KCI등재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를 바탕으로 한 연극치료의 상징분석과 진단적 가능성 모색

        조희진 ( Hee Jin Cho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연극치료 작업에서 이미지와 상징의 흐름과 구조 파악의 분석틀로 사용하여 보고, 그것이 연극치료에서 진단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다양한 이미지들은 그의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적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진단과 연극치료 작업의 방향 설정 및 치료사의 개입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이용하여 연극치료 실제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흐름과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3월 9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된 총 9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에 참여한 연구자 본인이다. 작업 전체를 하나의 큰 흐름으로 볼 때 프로그램이 대상의 내면에 대립되는 이미지들을 통합하고 성장시키는 종합적 구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체적인상상계의 구조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환자는 상상계의 어느 한 영역에 고착되어 있거나 왜곡된이미지를 보여줄 가능성이 많은 반면, 건강한 사람은 때에 따라 다양한 상상의 영역을 오가며 이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이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를 진단하고 개입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보와 작업의 목표 및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큰 구조적 틀을 제공하는 중요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심리학 이론의 선형적이고 유형화된 틀을 벗어나 인간 존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론적 맥락의 진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역동성과 다의성으로 인해 논리적인 학문영역에서 배척당하고 문학이론으로 치부되어온 상상계의 방법론이 실제인간 심리를 다루는 치료 영역에서도 그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구조들을 통한 연극치료 작업 분석 결과, 연극 활동에서 상상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이 심리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utilize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as an analysis frame of the image and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n, to examine its feasibility how it could be utilized in the drama therapy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various images expressed by a participant is crucially symbolic information to show the participant’s inner side, it is an essential point for a participant’s diagnosis, a design of the drama therapy and therapist treatments in the drama therapy. This study thus is to analyse participant’s images and to figure out its flow and frame in the actual work via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An object of this study is a researcher’s own who participated 9 times drama therapy from March 9th to June 2nd in 2010.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 detail imaginary structure was progressed in the working process. In overall process, it can be shown that this study made conflicting images proceed into a synthetique construction to integrate and develop them. Throughout the analysis, it can be known that a patient tend to set in an area of the imaginary and show distorted images, while a sound person is able to freely explore over the imaginary and suitably express it. As previously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is able to be a systematic approaches to precisely diagnose participants and come up with a frame of detail information and an accurate working aim to a therapist in a drama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s: 1) To come up with the sematic context basis to precisely understand human beings beyond the linear and stereotypic territory of previous psychological theories 2) To offer proof that a methodology of the imaginary, that is only keeping alive within a literary theory apart from the logical academy areas due to its being polysemy and dynamic, could be applicable as a treatment in the psychological area. 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ighly imaginary usage process in a drama activity based on a result from a drama therapy via the Gilbert Durand’s imaginary structures systematic and logical.

      • KCI등재

        도교양생(?生)사상으로 본 연극치료

        이라오이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도교 양생학(?生?)은 중화민족의 천 백여 년 역사 발전 과정 속에서 축 적된 지혜이며, 풍부한 심리학적 자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한 과학성 과 현실적인 가치의 이념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국 전통 문화의 현대인의 심리 건강에 대한 응용가치를 발굴해 내는 것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다. 문 헌자료를 수집하고 종합한 기초상에서 도교 양생학과 현대 연극치료를 비 교하였는데, 이를 통해 두 사상과 방법에 일치하는 점을 많이 발견하였다. 도교는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종교로서 이것의 심리사상은 중국 심 리사상의 유산들 중 진귀한 내용이다. 도가는 음양이론의 기초에서 자연철 학의 심화, 내재화를 생명철학으로 삼고 '아명재아부재천(我命在我不在天)', ' 지족지지(知足知止)', '형신합일(形神合一)', '포박수진(抱朴守?)'등 중요한 양 생사상이념을 발전시켰고 이러한 이론의 기초에서 '내단술(?丹?)', '존사기 공(存思?功)', '축유부주법(祝由符?法)' 등 심신수련기술을 발전시켰다. 국 제적인 비교연구를 통해 도가양생사상에서의 일부 관점과 연극치료의 건강 이념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과 양은 중국 고대 철학의 한 범 주로, 쌍방의 상호작용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인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영 원한 운동변화에 있어 일정한 조건에서 상호전환이 가능하다. 연극 치료의 본질은, 연극치료사가 연극을 매개체로 하여 환자의 균형을 잃은 심리 상태 를 균형 잡힌 심리상태로 '전환'하도록 돕는 것으로, 그것의 본질은 '음양의 전환 ' 이다. 연극치료의 본질은 음양의 전환이며 음양의 전환에는 두 가지 기본적인 형식이 존재한다: 순세(??)치료와 역세(逆?)치료. 음양이론의 변증법 사상에 의하면, 사물의 발전과정에서는 모두 어느 극에 도달하게 되 는 데 이때, 반드시 반대 방향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음양이론의 심리건 강에 대한 이해의 정수는 “균형” 이란 두 글자에 담겨 있다. 이것은 개인과 자연, 개인과 사회 및 개인 자신이 완전함과 조화를 유지하는 관계를 의미 하며, 이는 곧 심리적인 건강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저명한 연극치료사 로 버트 랜디(Robert Landy)가 연극치료의 목적이 다른 요소들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 이라고 언급했던 것과 일치하다. 음양의 불균형

      • KCI등재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사례 연구

        현미자 ( Mi Ja Hyeon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캠프에서 이루어진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작업 결과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PIL 사전사후 검사에 비추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캠프의 공연과 조별작업은 삶의 의미 찾기라는 부제 하에 진행되었고 그것을 위해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죽음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부각되었다. 죽음은 삶을 돌아보게 해주고 자신의 인생을 보다 책임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사전 사후 검사도 인생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묻는 삶의 의미척도 검사(PIL)를 진행하였다. 본론에서는 PIL 검사 항목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보여준 참여자의 변화를 상세히 서술하고 캠프에서 이루어진 PIL 사전 사후검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93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105점으로 12점이 올랐다. 참여자 A는 자신의 삶으로부터 도피하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연극치료 작업에서도 진지하게 자신을 보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나중에는 ‘의지’라는 단어를 처음 알게 되었다고 말하며 자신의 인생을 책임있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A는 자유를 다룬 세 가지 항목(13,14, 18)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동일하게 1점씩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자살을 다룬 항목에서는 2점의 변화가 보였다. 자유와 책임과 자살에 관한 생각에서 일관되게 생각이 바뀌었는데, 이는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던 데서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으로 나아간 점과 일치한다. 참여자 B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74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89점으로 15점이 올랐다. 각 항목별 사전 사후검사결과와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모습과 일치하였다. 소외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자아 경계를 약하게 만들면서 타인(어머니)의 일부가 되어 어머니를 위해 사는 B는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하였다.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는 책임회피에서 책임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타인의 소망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것을찾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 PIL 검사를 항목별로 분석하여 그 결과가 연극치료작업에서의 참여자의 변화와 동일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연극치료 작업과검사 방법에 있어서 삶의 의미를 찾는 일관된 관점을 적용한 점, 2박 3일의 캠프에서의 세세한 변화를 기록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drama therapies aimed at helping subjects find a meaning in life on potential teenage suicide cases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Purpose In Life (PIL) test. The program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Finding a Meaning in Life,” for which the topic of the whole drama therapies focused mainly on “death.” Thinking of death makes people look back on their lives and helps them consider life in a more responsible way. The test used in the program was the PIL test, which measures subjects’ meaning and satisfaction in life. The body of the study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visions used in the PIL test and the test participants’ changes during the drama therapy. The participants’ behavior was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IL test. Participant A scored 93 points on a 20-question pre-test, which rates each answer on a 7-point scale and the figure rose by 12 to 105 points on the post-test. Participant A has the tendency to stay away from or avoid his/her life, which in turn made him/her refuse to face himself seriously in the drama therapy. He/She, however, said that he/she knew the word “willingness” for the first time in the therapy, and was observed to have acknowledged his/her responsibility in life. In the post-test, participant A scored one more point on the category measuring “freedom” (13, 14, 18, respectively), and scored 2 more points on the category of “suicide” than in the pre-test. The test results found that participant A changed his/her attitude toward “freedom,” “responsibility,” and “suicide.” This matches up with the observation that he/she shifted from avoid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during the course of the drama therapy. Participant B scored 74 points on a 20-question pre-test, which rates each answer on a 7-point scale and the figure grew by 15 to 89 points on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n each answer confirmed what participant B was observed in the drama therapy. Participant B has a poor ego boundary, making himself/herself pat of others, such as his/her mother, and living his/her mother’s life. Participant B, in the drama therapy, was given a training of making his/her own voice heard in order to help him/her overcome alienation. Those participants attending the program designed to help them find a meaning in life shifted themselves from escap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and began making their voices heard in order to find what they want instead of what others want them to do. Those participants attending the program designed to help them find a meaning in life shifted themselves from escap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and began making their voices heard in order to find what they want instead of what others want them to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