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원발 간세포암종의 유전자 발현 분석

        이영춘 ( Young Chun Lee ),허원희 ( Won Hee Hur ),최정은 ( Jung Eun Choi ),박련숙 ( Lian Shu Piao ),홍성우 ( Sung Woo Hong ),배시현 ( Si Hyun Bae ),최종영 ( Jong Young Choi ),윤승규 ( Seung Kew Y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6

        목적: 원발 간세포암종에서 특이하게 과발현되는 특정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은 간세포암종 발암 기전의 연구나, 암의 조기진단 및 암 특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유전자 치료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활용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에서 특이하게 과발현되는 특이 유전자를 밝혀내고 이 유전자의 발현율을 여러 시료에서 확인하여 간세포암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 간세포암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았던 3명의 간세포암 환자의 간 적출물에서 간세포암종 조직과 암주변의 비 간세포암 조직 3쌍을 채취한 후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간세포암종 조직에서 과발현되거나 소실된 유전자 혹은 저발현되어 있는 유전자를 겔로부터 DNA를 용출하여 이를 클로닝한 후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유전자의 서열을 유전자 검색프로그램에 넣어 그 유전자의 이름이나 특성들을 탐색하였다. 이후 새로 규명된 유전자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1쌍의 간세포암종 및 비간세포암종 조직과 인간 암세포주인 간세포암종 세포주[HepG2, Hep3B, Huh7], 자궁암 세포주[HeLa], 대장암 세포주[HT1299], 섬유육종 세포주[HT1080], 폐암 세포주[A549]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단백 대사, 유비퀴틴 의존성 단백 대사, 탄수화물 대사, 지방대사, 유전자복구, 염증 반응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21종의 유전자들을 탐색하였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간세포암종 조직과 비간세포암종 조직에서 발현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탐색하였고, 이러한 유전자의 특성 규명은 간세포암종의 발암 기전을 규명하거나 조기 간세포암을 진단하는 바이오 마커의 개발 혹은 분자표적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치료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investigation of a specific tumor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needed to examine the carcinogenesis and to select the patients for treatment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genes related to HCC. We also examined the expression level of these genes in cancer cell lines and tissue specimens. Methods: Three pairs of HCC tissue and non-neoplastic hepatic tissue around the HCC were collected from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for HCC.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ase-PCR (DD RT-PCR) using GeneFishing(TM) PCR was used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gene expression between in HCC tissue and non-neoplatic tissue. Up- or down-regulated genes in HCC tissue were identified through BLAST searches after cloning and sequencing assays. Real-time RT-PCR assay was employed to detect the expression rate in 11 HCC tissues and human cancer cell lines. Results: Differentially expressed 21 genes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classified as genes involved in protein metabolism, ubiquitin-dependent protein catabolism, carbohydrate metabolism, lipid metabolism, DNA repair, and inflammatory response. Conclusions: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CC, and these gen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hepatocarcino-genesis, development of biomarker, and target therapy for HCC.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61-368)

      • Convenient Quantitation of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MRP) mRNAs by Reverse Transcription-PCR

        Choi, Cheol-Hee,Kim, Hyang-Suk,Lee, Tae-Bum,Sue, Youn-Koung,Rha, Han-Sik,Jeong, Jae-Hwan,Lee, Hong-Young,Do, Nam-Yong,Park, You-Hwan,Min, Young-Don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0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5 No.1

        목적: 항암제에 대한 다약물내성의 출현이 임상 화학요법시 실패의 주된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많은 내성 암세포에서 다약물내성관련단백(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MRP)이 다약물내성 기전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 단백의 유전자 발현의 분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MRP mRNA를 측정하기 위한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PCR, RT-PCR)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T-PCR방법을 이용하여 MRP mRNA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MRP를 과발현하는 세포주인 HeLaJ2c내성세포와 이 세포의 야생형(wild type)인 HeLaS3세포를 모델세포로 이용하여 RT-PCR방법의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정량성을 높히기위하여 b-actin mRNA를 내인성 대조물질로 사용하였다. MRP와 b-actin mRNAs의 세포내 함량의 큰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각의 PCR 증폭 kinetics를 측정하여 증폭이 plateau에 도달하기전의 PCR cycle 수를 선택하였다. 감도와 정량성을 높이기 위해서 동위원소를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정량할 수 있도록 MRP와 b-actin의 PCR조건은 같으면서 PCR산물의 크기는 서로 다르도록 primer쌍을 고안하였다. 이 RT-PCR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암세포주와 백혈병환자의 시료에서 MRP mRNA의 상대적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RT-PCR방법에 의한 MRP mRNA측정결과 Northern blot분석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재현성과 감도가 우수하였다. 이 같은 RT-PCR 방법으로 다양한 암세포주 및 백혈병환자의 암시료에서 다양한 정도로 발현되는 MRP mRNA를 간편하게 정량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선된 RT-PCR방법은 정량성이 높고, 편리하며, 감도가 뛰어나고, 재현성이 높아 임상시료를 포함한 암세포에서 MRP mRNA를 정량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저칼륨혈증 흰쥐 신장에서 Cyclooxygenase-1, 2 발현의 변화

        류소라(So Ra Ryu),이송은(Song Eun Lee),조혜정(Hye Jung Cho),남광일(Kwang IL Nam),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안규윤(Kyu Youn Ahn)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6

        산-염기 평형장애나 전해질 불균형은 요세관에서 HCO3- 재흡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칼륨 제한시 대사성 알칼리증을 유발시키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ion transporter 발현의 변 화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저칼륨혈증시 cyclooxygenase (COX) 발현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흰쥐 신장에서 칼륨제한 식이 시기에 따라 COX-1과 COX-2의 신장내 발현 및 분포의 변화를 RT-PCR, Western 분석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한 것이다. RT-PCR 소견에서 COX-1, 2 mRNA는 각각 예견된 크기인 약 306 bp, 356 bp 근처에서 관찰되었고 칼륨제한식이 2주째에 현저히 발현이 증가되었다. Western 분석 소견에서 COX-1 단백은 70 kDa 정도이고 칼륨제한 식이 3일군에서 정상 식이군에 비해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COX-2 단백은 72 kDa 정도이고 칼륨제한 식이 3일군에서 정상 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정상 식이군과 유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소견에서 COX-1 단백은 전 집합관에서 발현되었으나 속질쪽으로 갈수록 더 현저하였다. 그 외 토리내혈관사이세포, 혈관내피세포, 속질사이질세포, 유두상피세포 및 콩팥깔대기세포에서도 관찰되었다. 칼륨제한 식이군에서 면역반응 부위는 정상 식이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면역반응성은 3일군의 겉질집합관과 바깥속질 집합관에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시기에는 면역반응성이 전 집합관에서 증가하였고 바깥속질집합관 속 줄무늬층과 속속질집합관 상부 1/3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COX-2 단백은 겉질먼쪽곧은세관과 치밀반점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칼륨제한 식이군에서 면역반응 부위는 정상 식이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면역반응성은 Western 분석 소견에서와 같이 칼륨제한 식이 3일군에서만 증가하였고 그 이후에는 정상 식이군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저칼륨혈증시 신장 COX-1, 2 mRNA나 단백발현은 증가하나 체내 칼륨 흡수조절은 이들의 발현부위로 보아 COX-2보다는 COX-1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 number of acid-base or electrolyte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or increased HCO3- reabsorption in the renal tubules. There has been a general agreement that potassium depletion induces metabolic alkalosis and affects the expression of the several ion transporters in rat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lterations of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COX-1, 2 mRNAs and proteins in the kidneys of normal and K-depleted rats using RT-PCR,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Predicted size of COX-1 mRNA was 306 bp. It’s expression was increased in K-depleted rats, particularly LK 2W, but decreased in LK 3D. Predicted size of COX-2 mRNA was 356 bp and it’s expression was increased in K-depleted rats, particularly LK 2W.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COX-1 protein, ~70 kDa at molecular mass, was increased in potassium-depleted rats, particularly LK 2W and decreased in LK 3D, compared with normal rat. COX-2 protein, ~72 kDa at molecular mass, was only increased in LK 3D and others were comparable with normal rat. In immunohistochemistry, COX-1 was detected in entire collecting duct, intraglomerular mesangial cells, arterial endothelial cells, medullary interstitial cells, papillary epithelial cells, and pelvic epithelium. Signal intensity of the collecting duct was more increased toward the papillary tip. In K-depleted rat,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of COX-1 protein was identical to that of normal rat. However, the signal intensity of LK 3D was only decreased in cortical and outer medullary collecting duct and that of LK 2W was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inner stripe of outer medullary collecting duct and proximal 1/3 inner medullary collecting duct. Immunoreactivity of COX-2 of normal rat was detected in the cortical thick ascending limb and macula densa. In K-depleted rat,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of COX-2 protein was identical to that of normal rat, but the signal intensity was only increased in LK 3D r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hypokalemia enhances the expression of COX-1, 2 mRNAs and proteins and the regulation of K reabsorption depends on COX-1 rather than COX-2 by the portions of expression.

      • KCI등재

        치아 우식증에 따른 치수내 유전자 발현 변화에 관한 분석

        오소희,김종수,Oh, So-Hee,Kim, Jong-Soo 대한소아치과학회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3

        치아 우식증은 범발성 질환이고 이에 대한 생체반응은 단순하지 않으며 질병 과정과 숙주의 활성 모두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세포학적, 분자학적인 면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치아와 우식이 진행된 치아로부터 얻어진 치수 안의 유전자 발현을 규명하고 우식 병소에서 일어나는 치유 및 재생에 관계되는 분자와 면역 세포들 사이의 분자 생화학적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우식치아와 건전치아의 치수를 이용하여 cDNA 미세배열(microarray) 분석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분석, 그리고 면역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DNA 미세배열 분석 결과, 건전치아군인 대조군에서는 143개의 유전자가, 우식치아군인 실험군에서는 377개의 유전자가 1.6배이상 발현되었다. 2.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에서 14개의 유전자를 선택하였고 cDNA 미세배열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3. TGF-${\beta}1$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건전치에 비해 우식치의 상아모세포와 치수에서 특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Deep caries may induce pulpitis and the pulpal tissue interacts with microbial invasion. The immune response to protect the pulpal tissue can be mediated by cellular signal molecules produced by the pulpal cells. The understanding of these processes is important to find future therapeutic method for the diseased pulp. The pulp tissue from sound teeth was set as control group (n=30) and the pulp tissue from decayed teeth was set as test group (n=30).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pulp of each group and it was used for cDNA microarray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he expression of TGF-${\beta}1$ was studied by immunohistochemis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DNA microarray analysis identified 520 genes with 6-fold or greater difference in expression level with 143 genes more abundant in health and 377 genes more abundant in disease. 2. The RT-PCR analysis was done for randomly selected 14 genes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result of cDNA microarray assay. 3. TGF-${\beta}1$ was highly expressed in the carious pulp and it was found in odontoblast by immunohistochemistry. In conclusion, many cytokin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hanged their expression in the diseased pulp(/M/>1.6).

      • KCI등재

        인간치수세포에 Mineral Trioxide Aggregate와 수산화칼슘 제재 적용 시 유전자 발현 양상 비교

        김용범,손원준,이우철,금기연,백승호,배광식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5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mineral trioxide aggregate 제재인 white ProRoot MTA (wMTA)와 수산화칼슘 제재인 Dycal을 인간치수세포에 적용한 후 치수세포의 분화와 증식, 석회화,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 그리고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군은 wMTA와 Dycal을 테플론 튜브(내경 10 mm, 길이 1 mm)에 담아 4시간 경화시킨 후 일차세포배양한 인간치수세포에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빈 튜브만을 적용하였다.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후 total RNA를 추출하고 oligonucleotide microarray 방법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위의 결과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재확인하였다. 결과: wMTA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24,546개의 유전자 중 43개 유전자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예. BMP2, FOSB, THBS1, EDN1, IL11, COL10A1, TUFT1, HMOX1) 25개 유전자의 발현이 50% 이하로 감소하였다(예. SMAD6, TIMP2, DCN, SOCS2, CEBPD, KIAA1199). Dycal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239개 유전자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예. BMP2, BMP6, SMAD6, IL11, FOS, VEGFA, PlGF, HMOX1, SOCS2, CEBPD, KIAA1199) 358개 유전자의 발현이 50% 이하로 감소하였다(예. EDN1, FGF). 결론: wMTA를 적용한 치수세포에서는 분화와 증식 그리고 석회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Dycal을 적용한 치수세포에서는 분화와 증식 그리고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 Dycal이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더 많이 발현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gene expressions concerning of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mineralization and inflammation using Human-8 expression bead arrays when white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calcium hydroxide-containing cement were applied in vitro to human dental pulp cells (HDPCs). Materials and Methods: wMTA (white ProRoot MTA, Dentsply) and Dycal (Dentsply Caulk) in a Teflon tube (inner diameter 10 mm, height 1 mm) were applied to HDPCs. Empty tube-applied HDPCs were used as negative control. Total RNA was extracted at 3, 6, 9 and 24 hr after wMTA and Dycal application. The results of microarray were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Out of the 24,546 genes, 43 genes (e.g., BMP2, FOSB, THBS1, EDN1, IL11, COL10A1, TUFT1, HMOX1) were up-regulated greater than two-fold and 25 genes (e.g., SMAD6, TIMP2, DCN, SOCS2, CEBPD, KIAA1199) were down-regulated below 50% by wMTA. Two hundred thirty nine genes (e.g., BMP2, BMP6, SMAD6, IL11, FOS, VEGFA, PlGF, HMOX1, SOCS2, CEBPD, KIAA1199) were up-regulated greater than two-fold and 358 genes (e.g., EDN1, FGF) were down-regulated below 50% by Dycal. Conclusions: Both wMTA and Dycal induced changes in gene expressions related with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pulp cells. wMTA induced changes in gene expressions related with mineralization, and Dycal induced those related with angiogenesis. The genes related with inflammation were more expressed by Dycal than by wMTA. It was confirmed that both wMTA and Dycal were able to induce gene expression changes concerned with the pulp repair in different ways.

      • KCI등재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법을 이용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양상

        김준석,김재민,최식경,조연종,김수정,김정아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3

        Background: We wanted to understand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children hospitalized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stratified by sex, age, season, multiple infections, and clinical symptoms. Methods: Out of 1,331 children hospitalized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who underwent the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between October 2015 and June 2017, viral infections were detected in 921, and these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Of the 1,331 patients, 667 (50.1%) were 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months. Of the 921 (69.2%) children with viral infections, 443 (48.1%) were mal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related difference. Additionally, 698 (52.4%) were infected by a single virus: 194 cases of human rhinovirus (HRV) (14.6%), 181 cases of adenovirus (ADV) (13.6%), and 159 cases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RSV B) (11.9%). Infections by two or more viruses were detected in 222 cases (24.1%). The common combinations of viruses were HRV and ADV in 37 (16.7%) cases, RSV A and ADV in 17 cases (7.7%), and RSV A and RSV B in 15 cases (6.8%). Regarding the seasonal patterns, HRVs and ADV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year. Metapneumoviruses were detected more often during spring, and RSVs were detected more often in November and Decemb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a single center was analyzed during 21 months,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may be useful for epidemiology and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연구배경: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환아에서 성별, 연령별, 계 절별, 중복감염, 임상양상 등에 따른 원인 호흡기 바이러스의 유행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10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 하여 Multiplex RT-PCR검사를 시행한 소아 1,331명 중 검사결과 바이 러스가 검출된 9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331명 중 남아는 667명(50.1%)으로 연령 중앙값은 55개월이 었다. 바이러스가 검출된 소아는 921명(69.2%)이며, 이 중 남아는 443명(48.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성별차이는 없었다. 단일 바 이러스 감염은 698건(52.4%)으로 라이노바이러스 194명(14.6%), 아데 노바이러스 181건(13.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 159건 (11.9%)이었으며, 2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검출된 중복 바이러스 감 염은 222건(24.1%)이고 가장 흔한 바이러스 조합으로는 라이노바이 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가 37건(16.7%),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 형과 아데노바이러스가 17건(7.7%),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 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이 15건(6.8%) 순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검출률을 보면 라이노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는 연중 검출되었고 메타뉴모바이러스는 봄에,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11–12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결론: 최근 21개월 동안 단일기관에서의 호흡기 바이러스감염의 유행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결과는 급성 호흡기 감염의 역학, 치료와 예방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위암에서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다중 표지자 분석

        유문원,이혁준,최수민,유지은,허근,김영국,양한광,Yoo, Moon-Won,Lee, Hyuk-Joon,Choi, Soo-Min,Yu, Ji-Eun,Hur, Keun,Kim, Young-Kook,Yang, Han-Kwang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2

        목적: 위암 세포주 및 조직에서 다중 표지자 mRNA 발현을 정량적 RT-PCR 검사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이들 표지자를 이용하여 위암의 복강내 미세전이 진단이 가능한가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개의 인체 위암 세포주와 10개의 위암 조직을 대상으로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ytokeratin 20 (CK20), Dopa decarboxylase (DDC), L-3-phosphoserine phosphatase (L3PP)의 네 가지 mRNA를 이용한 정량적 RT-PCR 다중 표지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2개의 인체 위암 세포주 중 CEA는 4개(33%), CK-20는 1개(8%), DDC는 6개(50%), L3PP는 12개 세포주 모두(100%)에서 과발현되었다. 10개의 위암 조직 중 CEA는 9개, CK20은 3개, DDC는 9개, L3PP는 10개 조직 모두에서 과발현되었다. L3PP는 모든 위암 세포주와 조직에서 과발현을 나타내었으나 과발현 정도는 비교적 낮게 측정된 반면, CEA와 DDC는 일부 위암 세포주 및 조직에서만 과발현을 나타내었지만 파발현 시 충분한 발현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위암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암 특이적 유전자를 이용한 다중 표지자 분석은 단일 표지자 분석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CEA, DDC, 및 L3PP의 세 가지 mRNA가 후보 유전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diagnostic validity of peritoneal dissemination of gastric cancer cells by performing multiple genetic marker analysis via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gastric cancer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Quantitative RT-PCR was performed on 12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10 gastric cancer tissues with four mRNAs of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ytokeratin 20 (CK20), dopa decarboxylase (DDC), and L-3-phosphoserine phosphatase (L3PP). Results: Out of the 12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we tested, CEA was overexpressed in four cell lines (33%), CK20 in one (8%), DDC in six (50%) and L3PP was expessed in all the lines (100%). Out of the 10 gastric cancer tissues we tested, CEA was overexpressed in nine tissues, CK20 in eight, DOC in nine and L3PP was overexpressed in all the tissues. L3PP was overexpressed in all the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tissues, but the levels of overexpression were lower than those of CEA and DDC. Conclusion: Multiple genetic marker analysis can compensate for the weak points of single marker analysis when testing gastric cancer, and three mRNAs of CEA, DDC and L3PP can be used as candidate gen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