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활용에 대한 민간비영리조직 (NPO)의 활동 분석 및 과제

        박철희(Park, Cheol-He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6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은 일반적으로 공공역역에서 담당하여 왔으나, 보존이 필요한 역사적 건축물의 양적 증대와 다양화로 인하여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건축물 보존?활용과 근린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활동 중인 미국의 히스토릭 보스턴사(HBI)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NPO의 활동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HBI의 활동은 국내 NPO활동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첫째, 보존과 정비가 필요한 역사적 건축물을 취득하여 정비, 복원한 후에 이를 다시 매각 또는 임대하여 활용하고, 매각된 대금을 다시 역사적인 건축물을 보존?활용하는데 사용하는 회전기금 사업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존지역권 제도의 도입을 통해 보존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활용을 근린공동체의 재생, 강화, 활성화와 연계시킬 필요가 있으며, 넷째, 역사적 건축물 보존과 활용에 있어 다양한 기관과 협력을 위한 전문성 확보 및 보존사업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지역의 리더들과 함께 해야 하며, 향후 국내에서도 HBI와 같은 역사 NPO의 활동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in Korea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sector. Recently, however,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buildings to be preserved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historic buildings induced the private sector to take a part in the preservation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NPO?s activity in Korea on the preservation by analyzing the cases of Historic Boston Incorporated(HBI) which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historic buildings and activating local community by utilizing those buildings. The activity of HBI provides following implications on domestic NPO activity. First, on-going stewardship, in which the profit from selling or leasing the preserved buildings is reinvested to preserve and reuse historic buildings, needs to be brought in. Secondly, the efficiency of preserving historic building business should be improved by adopting the preservation easement. Third,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building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regeneration, reinforcement and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Fourth, regional leaders must participate in preserving and reusing historic building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preservation business.

      • KCI등재

        역사적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계획기법 -서양의 연구동향 및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영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is to research technical measure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buildings focu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s and case studies of the west. These measur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passive measures for saving energy and increasing comfort, the most cost-effective energy saving strategies, and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Firstly, the passive measures are divided into the elements and systems. The passive elements are awnings and overhanging eaves, porches, shutters, storm windows and doors, and shade trees. There are also the natural ventilation systems such as the historic transoms, roofs and attics to improve airflow and cross ventilation to either distribute, or exhaust heat. Secondly, the most cost-effective energy efficiency strategies are the interior insulation, airtightness and moisture protection, and the thermal quality improvement of windows. The energy efficiency solutions of modern buildings are the capillary-active interior insulation, the airtightness and moisture protection of interior walls and openings, and the integration of the original historic window into the triple glazing. Beyond the three actions, the additional strategies are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and the illumination system. Thirdly, there are photovoltaic(PV) and solar thermal energy, wind energy, hydropower, biomass, and geothermal energy in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These energy systems work effectively but it is vital to consider its visual effect 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본 연구는 역사적 건축물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서구의 제반 지침 및 연구업적에 대한 것으로, 건축계획적 기법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것이다. 이들 기법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쾌적성을 증대하기 위한 기존의 ‘패시브 기법’을 비롯하여,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비용 효율이 높은 ‘에너지 효율 증진 전략’, 그리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최근의 ‘신재생에너지의 도입’으로 3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시브 기법’에 있어서, 햇빛과 바람을 수용, 혹은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패시브적인 건축요소들로는 두꺼운 벽체, 처마 돌출부와 차양, 포오치와 발코니, 셔터(블라인드, 휘장, 커튼), 덧 창호, 차광나무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사량과 열을 조절한다. 또한 패시브적인 시스템으로는 채광정을 비롯하여 오르내리창, 교창, 다락 및 지붕의 해치와 도머 창이 있는데, 이들은 자연 채광뿐만 아니라, 열을 배분하고 소모하기 위해 공기 흐름과 맞 통풍을 불러일으키는 자연환기 시스템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둘째, ‘에너지 효율 증진 전략’에 있어서, 역사적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증진을 위한 변경기법들로는 내부단열, 기밀성 및 방습, 창호의 교체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투습성 증기에 의한 모세관 활성 내부단열 시스템, 틈새 보호 및 목재 보 단부의 기밀성 개선, 그리고 3중 박층 유리의 별도 창호 설치와 같은 기법으로 실행되고 있다. 이때 개방된 기존의 환기 경로라든가 물을 빼고 통풍시키는 구멍, 그리고 공기 인출구(air inlet and outlet)를 가능한 유지하도록 한다. 셋째, 역사적 건축물에 도입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들로는 태양열,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이 있다. 태양열 에너지는 지붕 외관을 손상시키는 태양열 집열판 보다는 벽체 개구부용 태양열 패널과 창호, 그리고 지붕재로서 태양열 타일 및 슬레이트가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풍력과 수력 및 지열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공간 및 부품들은 역사적 건축물의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설치되었으며, 빈티지 요소로서의 수력에너지이라든가 외견상 예전의 벽난로를 연상시키는 바이오매스 보일러 등은 역사적 건축물의 특성을 배가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역사적 건축물 재생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1945년 이전에 지어진 국내사례를 중심으로-

        임현진 ( Hyun Jin Lim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4

        (연구배경 및 목적)건축물은 연속적이고 문화적이며 역사적인 성격을 지 닌 실제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축물에 깃들어 있는 과거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보존하여 후손에게 그 가치를 전달하는 것은 살아있는 유 물이 되며 역사의 상징이 된다. 따라서 역사적 건축물 재생이 현대에서 끝 나는 것이 아닌 미래세대에 미칠 영향까지 생각해야하며 국제기구에서 논 의 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정책들을 토대로 지속가능성에 대 한 개념과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요 정책들안에서 공통 맥락을 찾아 환경적 가치, 미래 지향 성, 형평성을 토대로 ‘삶의 질 향상’, ‘경제의 효율’, ‘사회의 평등’을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결과)광복이라는 역사적 시점에 한정된 사례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특성을 도출해 내기에 한계가 있었지만 자연을 끌어들여 대중과 가까워질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 는 것, 공간의 재생 용도를 경제의 잠재력을 가진 요소에서 찾는다는 것, 과거의 역사를 지닌 건축물을 재생하는 것은 역사 자체를 보존하는 것을 원초적인 근본이유로 삼아야 한다는 공통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building with continuous, cultural, and historical features plays an important role. Conservation of historical and important events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give it value, and generations to come can enjoy its relics and historical symbolism. Regener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affects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research regarding methods for ensuring sustainability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ies is appropriate. (Method)The framework for this study is the common context of major policies on sustainability and adopted standards for “better life quality,”“efficiency of the economy,” and “equality of the society” based on environmental values, future orientation, and fairness. (Results)National symbols of historical times have not typically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sustainability; however, a common theme could be introduced in regeneration of these buildings. For instance, linking a historical building with the public could be accomplished by introducing nature, discovering a contemporary use of the space for its economic potential, and, fundamentally, preserving history.

      • KCI등재

        상주와 나주의 감영 ‘복원’ 프로젝트와 그 방향

        이훈상(Lee, Hoon-sang)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이 연구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상주와 나주에서 추진 중인 감영 ‘복원’ 프로젝트를 사례로 아카데믹한 역사 연구와 퍼블릭public 역사 사이의 바람직한 조우를 모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최근 국가나 지자체의 주도 아래 조선시대 관아나 읍성 등 역사적 건축물의 ‘복원’ 프로젝트가 확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아카데믹 제도 속에서 활동하는 역사 연구자들에게는 새로운 접근 방식과 역할을 촉구하는 한편 지자체 등은 기획 초기부터 역사 연구자 등과 적극 대화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복궁이나 숭례문, 통제영 등이 최근 복원되었으며 지금도 국가나 많은 지자체 등이 각종 역사적 건축물을 ‘복원’하거나 ‘복원’을 기획 중에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복원’ 프로젝트에서 역사 연구자들에게는 응당 고증 이상의 것을 기대하지 않으며 역사 연구자들 대부분도 ‘복원’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한다. 각종 역사적 건축물의 ‘복원’이 역사적 재현과 직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원’과 같은 공공 영역의 정책은 아직도 역사학계의 공론의 장에 포섭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론은 이 같은 현실을 문제로 삼으면서 역사적 재현과 관련된 다양한 공공 영역의 정책도 아카데미 역사 연구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구도 위에서 상주와 나주의 감영 ‘복원’ 프로젝트를 비판적 논의 대상으로 다루어 보았다. 그리하여 퍼블릭 역사의 장이 확장하여 가는 현실에 대응하여 ‘지방’의 시점을 반영한 아카데믹한 역사 연구의 새로운 수행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representation of history in the restoration projects of provincial office buildings of the Joseon Dynasty in Sangju and Naju City. Majority of historians tend to take historic restoration in the public sphere as granted without further questions. However, this study contends that restoration projects need a more serious discussion among historians in terms of representation of history. It also proposes that historians respond to the changing situation in which the number of restoration project of historic buildings gradually increases in public sphere. With this, the paper discusses in detail how to approach the restoration project of provincial office buildings from the viewpoints of the locale in order to make it not just for historic restoration but for historical representation.

      • KCI등재

        역사적 건축물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홍기(Kim, Hong-Gi)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9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o identify how Kurashiki City uses the historical buildings and contributes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of the historical building use and its characteristics since they had been designated as an aesthetic area. Firstly,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s of the uses of historical buildings on regional revitalization, the changes of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ourists of Kurashiki City, since it had been designated as an aesthetic area in 1969, were analyzed based on statistic data. Next, the uses of historical buildings were studied and their temporal changes were analyzed. As a result, considering that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tourists in the aesthetic area of Kurashiki City have not decreased for the past 30 years since it had been designated as a conservation district of traditional buildings but exceeded 3 million, it can be said that the aesthetic area contributes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ince it had been designated as a conservation district of traditional buildings, the number of tourists increased,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sidential houses and a rise in the number of stores.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적 건축물의 활용에 관한 사례분석

        박종혜(Park, Jong-Hye),신경주(Shin, Ky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5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that a variety of conversions can be made in terms of the spatial function through the situation analysis and in-depth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conversion of historic building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technique were conducted as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er selected 105 cases of conversion-type buildings by recombining and reanalyzing them to space functional changes; the SPSS PC+ 18.0 program was used as the analysis tool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verview of the architecture, building history, spatial functional changes, space program, conservation value, and the conserved parts by selecting 9 cases in Korean and foreign countries that have been recently conver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cases was conversion into the cultural function (63.8%). 2) There were cases for conversion into the commercial function, business function, accommodation function and educational function besides cultural function. 3) As a result of spatial program, the attempt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building generally by applying the complex space with more than two functions could be seen. 4) The buildings with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alue were conserved most of the outer wall and some portion of internal parts; the buildings with symbolic value were renovated largely, while preserving symbolic parts; and the buildings with practical value were renovated in a way that maintains the structural parts while changing the interior space to be suitable for their function.

      • KCI등재

        歷史的 建築物의 防災安全을 위한 기초연구

        이지희,김화중,추연희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2

        Fire was and remains a great threat to historic buildings of wood. This threat is omnipresent and often results to irreparable property losses especially cultural heritages. Fire of historic buildings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a life safety, historical heritages and architectural & cultural values by pursuing for fire safety in the historical buildings.This study shall employ a literature review and fire protection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shall focus on the observations of characteristics noted in fire codes. A method is proposed to investigate fire codes related historical buildings, reported fire history Fire Codes and Regulations for modern buildings are not always applicable on the historic buildings. Old buildings, and some new buildings with architectural, historical or cultural importance may have values which cannot be measured on a monetary scale. Their protection against the damage caused by fir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basic moral duties of society. It is strongly recommended , therefore, legislation for fire safety in historical buildings must be extended to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active" fire protection measures, to provide safety in real historical building in real fire situation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based Codes and the Fire Safety Engineering approach seems to be a rather reasonable and effective way to deal with these historical buildings.

      • KCI등재

        역사적 도심 내 현존하는 옛 건축물의 유형 및 분포 특성 - 청주시 성안동과 중앙동을 대상으로 -

        김태영 한국농촌건축학회 2022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ld buildings that have been built more than 50 years ago, targeting the areas of Seongan and Jungang-dong, the historic urban area of Cheongju. Their typ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First, the old buildings existing in downtown Cheongju account for 21.4% of 1,070 out of the total 5,000 buildings. Among them, wooden buildings before the 1950s accounted for 60% of them, resulting in severe aging. 2) Second, by use, 728 detached houses and 276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ccount for 93.8% of the total, with 16 offices and 12 religious facilities. By structure, there are wood 65%, masonry 30%, and reinforced concrete 5% (54 buildings). By number of floors, the first floor 90%, the second floor 7.3%, and the third floor or higher 2.7% (30 buildings). The roof material is 51.6% of earthenware, followed by slate, cement, and slab. 3) Third, the old buildings are scattered all over the streets, and are concentrated in Namju-dong, Nammun-ro 1-ga-dong, Seoun-dong, and Sudong at the foot of Uamsan Mountain, a former refugee village. Also old buildings are distributed in Seoun-dong and Seokgyo-dong where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s) are concentrated, in Namju and Nammunro 1 ga-dong blocks connected by alleys, and in cul-de-sac all over th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