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의 조성에 관한 고찰 :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여

        손진상(Shon, Jin-Sa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성적역사문화도시는 지난날 한 나라의 정치·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 있는 옛 도시를 총칭하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도시이미지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문화도시, 역사도시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사회적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가의 정체성 확립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보전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동시는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도시로 문화유적이 자리잡고 있고 역사적·전통적 삶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도시이다. 그러나 미흡한 점도 많다. 그것은 안동이 역사도시라고 자신할 만큼 다양한 시대의 역사유적을 보존·관리하지 못했고, 문화도시에 걸맞는 공간 및 시설과 활동이 아직 부족하다. 이는 역사문화경관을 문화재가 있는 지역으로 인식하는 편협한 시각이 지배적이었던 우리나라의 기존 문화재보존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역사문화도시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관리되어 왔고, 문화재가 아닌 것은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하여 문화재주변의 난개발을 막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동시의 역사문화유적을 정비·보존하고 도시공간을 재정비하여 안동시를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여 관리하는 데에는 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적 역사문화도시 조성 및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법적·제도적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도시를 실현하여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주민참여가 더욱 중요하다. City of history & culture is a center of politics and culture of one country on the past including concept of ancient city that has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alue. In 21st century city of history & culture is introduced as image of city become brand. With changing of social paradigm each country in the world try to forward a project about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ong city is a traditional city that has original form of confucian culture. Also it can be representative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ife style. But Andong city has weekness that is problem of protecting and managing historical heritage in various period. This perspective go along with policy that has narrow minded cognition that consider historical & cultural scenery as place with cultural property. Systematic device for city of history & culture is managed b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nd make historicity and cultural heritage an object. This kind of logiclet things that are not cultural property develop. Development thoughtless could be done around area of cultural property as the result of above reason. Therefore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for policy of protecting cultural property will be needed for managing and promoting Andong as city of history & culture. Managing and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fixing structure of city are also needed with above mentioned measure. In this research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is presented to establish historical identity with restoring historical frame and promote image of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reviewing systematic way of managing & promoting city of history & culture. Inten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community particapation are much important than applying systematic device through law to make a regional improvement through becoming city of history & culture

      • KCI등재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강창화 ( Chang Hwa Kang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유적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2012∼2013년 현지조사를 통해 선흘곶자왈에는 다양한 역사문화유적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숯가마 80기(돌숯가마 2기, 1회용 숯가마 78기)를 비롯하여 숯막(움막) 50기, 노루텅(석축함정) 7기, 경작지 20개소, 물텅(통) 10개소가 주를 이루며, 이외에 신앙 유적(신당 및 포제단) 2개소와 동굴 유적 1개소도 포함된다. 이들 유적은 인위적으로 축조하여 사용한 시점은 다르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과거 또는 현재를 살아가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관련 유적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선흘곶자왈 내에서도 역사문화유적이 특정지구에 대거 밀집된 곳이 말하자면 단위생활지구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돌숯가마 1기를 비롯하여 1회용 숯가마 12기, 숯막 1기, 경작지 6개소, 머들, 머들 + 경작지 경계 돌담 41개소, 노루텅 3기 등이 분포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적은 조선시대 말∼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에 축조하여 사용한 것이 있는 반면, 조선시대말∼1960년대 중반까지, 혹은 해방 이후∼1960년대 중반 사이에 축조하여 사용해온 유적들도 있다. 그리고 경작지는 1894년 이후부터 1950년대 말 사이에 주민들이 직접 개간하여 사용해온 유적이다. 이처럼 단위생활지구에는 사용 시기가 서로 다른 역사문화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사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셋째로, 선흘곶자왈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들 중에서 대표성과 원형 유지의 정도를 고려하여 5종류의 유적을 세부 측량과 함께 실측하였다. 이들 유적의 측량과 실측을 통해 유적별 단면도, 평면도 및측면도를 제시한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들 유적의 실측 자료는 앞으로 제주의 여러 곶자왈에 분포하는 동일한 유적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piece together an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in Seonheul Gotzawal, Jeju,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n-site inspection(2012∼2013) discovered many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Seonheul Gotzawal in Jeju. The historical sites mainly include 80 charcoal kilns, 50 charcoal burner`s sheds(hut), 7 stone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20 units of farmlands, 10 ponds(well), as well as two religious remains(shrine and community altar) and one cave site. The obvious fact is that the historical sites are the living heritage of the residents of Seonheul-ri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lthough the remains have been used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when they were established. Second, the particular district whe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were concentrated within Seonheul Gotzawal can be considered to be the living unit district.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strict had one stone charcoal kiln(the charcoal kiln made of stone), 12 disposable charcoal kilns(the charcoal kiln to be discarded after using one time), one charcoal burner`s shed, six units of farmlands, Meodle(the pile of stones and pebbles stacked at one place, which were useless for farming), 41 units of stone walls that served as boundaries of Meodle and farmlands and three stone 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The historical remains include those established in the perio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s well as those established and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id-1960s or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to the mid-1960s. The farmlands were also historical sites that were cultivated and used by the residents from 1894 to the late 1950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mains used in different periods are concentrated in the living unit district, the district serves as critical evidence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one side of the life of the residents in Seonheul Gotzawal. Third, the study actually surveyed and measured five types of remains on the spot in detail, given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distributed in Seonheul Gotzawal. This holds great significance as the research revealed the section, floor plan and side view with measurements and actual survey of the historical sites for the first time. The actual measured values of the historical sites are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basi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ame types of historical remains distributed in many Gotzawal areas in Jeju.

      • KCI등재

        중국의 인문유적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신찬호(Shin Chan Ho)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1

        중국은 현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문화유산 및 그 환경도 상당한 위협을 받고 있다. 적지 않은 역사문화도시, 고대 건축, 고대 유적 및 명승지 등이 과도한 개발과 불합리한 이용으로 중요 문화유산이 훼손되고 있다. 문물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소수민족 집단거주 구역도 환경의 변화로 민족 또는 구역문화의 특징이 소실되고 있다.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국제적 교류를 추진하기 위하여 국가문물국(国家文物局), 건설부, 세계은행은 2000년 공동으로 북경에서 “기회와 도전 -문화유산보호국제포럼- (机遇与挑战 -文化遗产保护国际研讨会-)”을 개최하고 회의에서 통과된 “북경공동인식(北京共识)”을 통하여 문화유산보호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2005년 12월 22일 국무원은 “문화유산보호를 위한 강화 통지(关于加强文化遗产保护的通知)”를 공포하였다. 이 통지에서 문화유산은 재생할 수 없는 자원으로 인문유적의 보호를 강화하였다. 중국의 문물보호 입법은 1930년 “고물보존법(古物保存法)”과 1931년 “고물보존법시행세칙(古物保存法施行细则)”으로부터 볼 수 있다. 1949년 신(新) 중국이 성립되면서 국무원(国务院)은 유적지 및 명승지의 보호에 관한 정령(政令)을 공포하였고, 1982년 “문물보호법(文物保护法)”이 공포되었다. 중국은 인문유적(人文遗迹)보호에 관한 체계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지만 인문유적에 대한 독자적인 입법이 없이 문물의 일종으로 입법에 반영되어 있다. “환경보호법(环境保护法)”이 공포된 이후 입법은 점차 인문유적을 문물과 별개로 하여 2008년 7월 1일 국무원이 “역사문화 유명도시·유명진·유명촌보호조례(历史文化名城名镇名村保护条例)”를 공포하였다. 중국 인문유적의 입법체계는 문물보호법을 바탕으로 관련 환경법으로 보충하여 보호대상의 확대와 제도의 보완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문유적에 대한 특징 및 입법연혁,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In China, as modernization has quickened, cultural heritage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considerably threatened. In many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ancient buildings and remains, and scenic spots,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damaged by excessive development and unreasonable use. In the enclaves with relatively rich cultural assets,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 group and area culture have disappeared by a change of environment.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and promote international exchange, the State Bureau of Cultural Relics,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he World Bank held Chance and Challenge - International Forum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 and expressed the will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Beijing Association Consciousness that passed in the meeting. On December, 22, 2005, State Council promulgated Reinforcement Notice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 In this notice, cultural heritage is non-reproductive resource, so this asks the preservation of human remains more. 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egislation in China started from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in 1930 and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in 1931. As New China was established in 1949, State Council promulgated a government ordinance of the protection of historic sites and scenic spots, an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as promulgated in 1982. China began to form a system of human remains protection, but without an independent legislation of human remains, it is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as a kind of cultural properties. After promulgating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 a legislation gradually divided into human remains and cultural properties, so State Council proclaimed Regulation on the Protection of Famous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Towns, and Villages on July, 1, 2008. The legislative system of human remains in China replenishes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ith the relat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so expands objects to protect and redeems the scheme.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s legislation history,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of human remains in China.

      • KCI등재

        중국의 고고유적지공원과 선사유적지박물관 현황과 실태

        오일환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1

        In this study, the present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national prehistoric archaeological parks and archaeological site museums are examined focusing on the great historic site protection and management policies for the prehistoric archaeological sites in China. China, while constructing large-scale housing complexes under a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 complexes under industrialization, is strengthening its policies to protect historic site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rough major archaeological researches and by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sites. As these businesses were conducted together with protection policies on great historic sites and large-scale investigations on cultural relics and on movable relics, national archaeological parks were designated and museums of great historic sites were constructed. In Korea, various businesses are being promoted under several names for prehistoric archaeological sites, but they are being conducted with a focus mainly on making excavation report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c material for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prehistoric site museums of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중국의 고고유적지에 대한 대유적지보호관리정책을 중심으로 국가고고유적지공원과 유적지박물관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 구석기와 신석기유적지박물관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중국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대규모 주택단지와 산업화에 따른 공업단지 등을 조성하고 중요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와 함께 근현대 문화유산의 훼손을 방지하는 유적지 보호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북경올림픽을 계기로 대규모의 문물조사와 대유적지보호와 관리정책을 실시하면서 국가고고유적지공원을 지정하였고 대유적지박물관을 건설하였다. 중국은 이러한 국가적 중점사업으로 역사문화유산을 중국문화의 소프트파워로 활성화하고 세계유산을 문화관광산업으로 발전시키면서 관광콘텐츠자원으로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여러 명칭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발굴조사 보고서 중심의 현장보존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접근성이나 자연생태환경과의 조화와 주변 관광자원의 연계를 비롯하여 콘텐츠활용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선사고고유적지와 유적지박물관의 발전방안과 활용에 대한 비교연구의 기초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문화유적 트레킹을 통한 관광자원 활성화 방안 -김천시 청암사 인현왕후길 중심으로-

        김홍길 한국사진지리학회 202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조선 제19대 숙종의 계비인 인현왕후(1667∼1701)가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강등되어 폐서인이 되어 갑술옥사로 다시 왕후로 복위하는 3년 동안 은거 중에 복위를 기원하기 위하여 경북 김천시 증산면 불영산(佛靈山) 청암사에서 수행했던 기록이다. 김천시 증산면 청암사에서 해발 800 M 수도암까지 9 Km 이상 왕래하면서 수행을 했던길을 김천시가 옛 문헌을 찾아 복원한 옛길이 현 인현왕후 길(8.1 Km)이다. 해발 500 M∼800 M 사이의 고도를 넘나들지만 가파르지 않은 산길과 계곡이 끝없이 이어져 있는 역사문화유적지를 통한 트레킹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김천 청암사에서 수도암까지 관광자원을 조사 연구하여 지역의 관광자원 개발 및 홍보, 산림환경의 훼손 방지, 숲길 이용자의 편리성 등을 제고를 하였다. 따라서 역사문화유적 자원인 인현왕후길에 대한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시설 제정비와 접근방법에 대한 다양성, 무흘계곡과 연계한 문화자원, 홍보를 통한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연구 함으로써 향후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관광자원 활성화에 목적이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ory of Queen Inhyeon (1667-1701), the second wife of King Sukjong, the 19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who was demoted to Gisahwan-guk (己巳換局), became a deposed official, and was finally reinstated as queen after three years of seclusion. This is a record of a practice of prayer conducted at Cheongamsa Temple, Bulyeongsan Mountain, Jeungsan-myeon, Gimcheon, Gyeongsangbuk-do. The current Queen Inhyeon Road (8.1 km) is the old road that Gimcheon City restored after finding old documents. It is the road that was used to travel from Cheongamsa Temple in Jeungsan-myeon, Gimcheon to Sudoam (800 m above sea level). We studied trekking routes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with altitudes between 500 M and 800 M above sea level. They also have endless mountain paths and valleys that are not steep. Second, by researching tourism resources from Cheongamsa Temple in Gimcheon to Sudoam, we developed and promoted local tourism resources, prevented damage to the forest environment, and improved convenience for forest road users. Therefore, by continuing studies on Queen Inhyeon Road,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resource, w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in the future by studying the diversity of facility budgets and approach methods, cultural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Muheul Valley, and storytelling through publicity. A key purpose is to revitalize tourism resources.

      • KCI등재

        한민족의 기원 모색을 위한 알타이 지역 역사문화유적 여행상품개발 방안 연구

        이준태 ( Lee Jun-tae ),윤병국 ( Yoon Byeong-ku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한민족의 기원을 문명사적 시각에서 접근해보기 위해 알타이문명의 전래와 그것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알타이문명론은 기존의 동아시아 문명의 중국 중심적 역사 인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동아시아 문명과 북방유목민족 문명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되어져야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인들이 알타이라는 말에 대해서 정서적으로 매우 친근감을 느끼는 것은 ‘알타이 산맥’, ‘알타이 어족’ 등 알타이 관련 용어들이 매우 친숙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민족의 조상이 3-4천 년 전에 알타이 지역에서 유래하여 한반도에 정착했다는 학설이 일반화 되었고 이 지역은 한국인에게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져 한국인의 몽골 지역으로 여행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한 연유로 한국인들에게 알타이 지역이 한국과의 민족적 연대감을 느낄 수 있는 지역으로 재인식되고 있는 만큼 네 곳의 알타이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역사문화유적 방문 여행 상품을 계발하여 해당국가와 한국간의 관광교류가 활성화시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ltai civilization impacted to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approach the origin of Koreans from civilizational perspective. The Altai civilization points out the dispute of existing China-Centric East Asia History and the new needs of perceiving a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civilization and the North nomadic tribe civilization. Koreans are familiar with the Altai due to the words of the Altai mountains and the Altaic languages. The theory of Korean origin (began 3000-4000 years ago in Altai region) has been generalized. Moreover, this region has been the hometown deep in mind to Koreans. As a result, Mongolia has been a popular tourist attraction to Koreans. Due to the these facts, this research provides the needs of development of new travel product of 4 Altai regions visit which tourists can experience the history, culture, and heritage that enables Koreans to feel solidarity of the Altai. And also, it encourages revitalizing the tourism rel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countries.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의 감성문화지도 시각화 연구 - 섬진강유역 역사문화유적을 대상으로 -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15 국토지리학회지 Vol.49 No.1

        In the future society, the creation, exchange, consump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are expected to skyrocket at an unexpected speed. In preparation for this,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and culture and the reprocessing of these are required. For instance, a study on the emotional structure of an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otional system of Korea are warranted. Moreover, we should prepare for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nd to share to society the benefits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an elevated culture by the reflux to the field of educat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collect and analyze cultural heritage with emotional elements which remains an understudied field at present. Emotional factors are extracted and rearranged on the axes of time, space, and subject to draw emotional cod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d visualize an emotional map that can figure out the emotions unique to an area. This can be done through analyz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pread throughout the areas along the Seomjin River where the cultures of Youngnam and Honam coexist. As a result, this study will transcend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cultural phenomenon and therefore,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he qualitative method.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ould expand the academic field of study on emotions. 미래사회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속도로 빠른 문화의 창조 및 교류, 소비, 그리고 향유가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역사 및 문화의 정보화를 비롯한 재가공이 요구된다. 이를테면 지역 감성구조의 탐구와 한국 감성체계의 정립 등을 추진하여 활용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역사문화정보에 대한 활용 기회를 확충하고, 교육 현장으로의 환류를 통해 지식정보사회의 혜택과 한 차원 높은 문화를 공유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사례가 미흡했던 감성적 요소를 지닌 문화유산에 대한 수집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감성코드 작성을 위해 감성인자를 추출하고, 시간·공간·주제를 축으로 재배열하였다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궁극적으로 영호남의 문화가 공존하는 섬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의 분석을 통해, 지역 특유의 감성을 밝혀낼 수 있는 감성지도 제작 및 시각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문화현상의 정량적 표현을 극복하고, 정성적 표현방식의 탐구에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감성연구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경주 월성의 역사공간 이미지 및 관광객 이용행태 분석

        강태호 ( Tai Ho Kang ),박종구 ( Joung Koo Park ),반상 ( Xiang Pan ),김상구 ( Sang Gu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경주 월성은 신라시대 궁궐이 있었던 역사적 상징성이 있는 궁궐터로 왕경 경주의 대표적인 역사유적이다. 본 연구는 경주 월성을 대상지로 역사공간 이미지와 관광객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두 단계로 실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행태, 시간,공간별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경주 월성의 주된 이용행태는 서서 하는 행위, 앉아서 하는 행위, 놀이/유흥 순으로 나타나고, 일반적인 역사문화유적지와 비교해 이용행태는 매우 단조로운 것을 알 수 있다. 경주 월성의 이용활성화를 위하여 주 진입로의 역할기능을 강화하면서 탐방객들을 월성 내 타 공간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각 동선코스를 사전에 안내하는 표지판, 야간조명, 식생정비, 도로정비 등을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visitors` ima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Wolseong palace in Gyeongju. This area has been a royal palace during Silla periods. So many scholars dedicate to the protection of this historical-cultural heritage.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two main steps, such as on-site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in summer and autumn. Collected data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o describe visitors` behavior, time, space, and then process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hortage of programs and facilities. The result shows most visitors consider Wolseong palace as a pathway for walking. Hence better functions should be developed to attract more visitors but with least effect to historical remains. The founding is that increasing programs for history exploration, enhancing lighting installation, facilities, plant arrangement, road condition and so forth would be suggested.

      • KCI등재

        휴대용 GPS를 활용한 역사문화지도 위치 정확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지도를 중심으로 -

        장문현,이정록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3

        This research offers the precise point acquisition and conversion plan, and a mapping program deduced from the process of building a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of the Youngsan river area. In particular, the portable GPS used during the field investigation was consisted of a wide range of error tolerance, making it difficult to bring an accurate local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focused on deducing the solution for location accuracy and error in point conversion that occurs during the manufacturing of a historical and cultural map. As a result, this study offers an original conversion model fit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te location measurement using portable GPS. Furthermore, it has greatly reduced the error tolerance of the structurally indwelling portable GPS. The generally known 10~15m error tolerance was reduced to an average of 3.7m, and it resulted in gaining about 63% of improved location accuracy in comparison to the error tolerance. 본 연구는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도출된 유적의 정확한 좌표획득과 변환, 그리고 지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지조사에 활용된 휴대용 GPS는 허용오차 범위가 넓어 정확한 위치파악의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역사문화지도의 제작과정에서 유발되는 위치 정확성과 좌표변환 오류의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GPS를 활용한 역사문화유적의 위치 정확성 향상을 위해 독창적인 변환모델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구조적으로 내재된 휴대용 GPS의 오차허용 범위를 대폭 축소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10~15m의 허용오차를 평균 3.7m 이내로 축소하였고, 오차허용 범위 대비 약 63% 가량의 향상된 위치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 KCI등재

        Qualitative GIS 기반의 감성 발현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 영산강 및 섬진강유역의 역사문화유적을 중심으로 -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2

        Recently, interests on emotion and the discussion on its application have emerged in many areas. The revelation of emotion forms difference ‘spatial ax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historical and cultural trend. Moreover, it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how public and social communities mak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grow toge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rive and systematize various sensitivity factors, which are inherent in a spatial contex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unique emotional factors and their revelation patterns in the study area through grafting historic ruins within a water system and GIS techniques. This has not been studied enough.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d an efficiently way to collect, store, analyze, and express emotional factors and their elements distributed in a geographic space. Moreover, it allowed us to effectively identify the revela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emotional factors around a water system. 최근 감성에 대한 관심과 활용성에 대한 논의가 여러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다. 감성의 발현은 지리적 환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성향에 따라 상이한 공간상의 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공공 및 사회적 커뮤니티 공간 등의 영역들이 어떠한 감성메커니즘으로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일정 공간에 내재된 다양한 감성인자들을 도출하여 체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미비했던 수계권의 유적과 공간정보 기술의 접목을 통해 대상지역의 고유한 감성인자 및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지리적 공간상에 분포하는 감성인자와 그 요소들을 수집·저장·분석 및 표현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하고, 수계권을 중심으로 주요 감성인자들의 발현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