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

        송영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2

        급속한 1인 가구의 증가 및 고령화의 진행에 따라 우리 사회의 노인 1인 가구의 증가율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려 2014년 기준 전체 노인인구 중 23%를 차지한다. 그 중 여성 노인 1인 가구는 약 104만 명으로 전체 노인 1인 가구의 3/4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런데, 여성 노인 1인 가구는 여성, 노인, 독거라는 사회적 약자로서의 인자를 모두 갖춘 계층으로, 특히 혼자 사는 데 있어서 아플 때 간호문제, 경제적 불안감, 심리적 불안감・외로움을 가장 힘든 점으로 들고 있다. 이것은 각 건강 영역, 경제 영역, 사회 영역으로 대별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각 영역별로 나타난 구체적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는데 있다. 먼저 건강 영역에서, 주로 치매 등 정신적 제약으로 인해 의사능력이 결여 내지 부족한 경우의 수발자 문제이다. 정부지원정책의 주요 골자는 치매 검진사업,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한 치매노인의 생활안정 등 대부분 의료・생활지원의 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양질의 의료・생활지원서비스라도 이를 이용하고 관리할 능력이 부족하다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법률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년후견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사회적 연계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즉, 치매여성 노인 1인 가구의 대상자 발굴 및 연계, 절차구조, 공공후견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고, 공공후견인 양성 교육 및 인프라 구축, 예산편성과 기금 조성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생활안정에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도 성별・가구형태별・질환유형별로 장기요양급여 및 돌봄서비스의 양과 질에 차이 둔 다각적인 지원시스템을 마련하여 여성 노인 1인 가구에 적합하도록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경제 영역에서 여성 노인 1인 가구는 남성보다 2배가량 더 경제적 불안감을 호소한다. 실제 여성노인의 빈곤율은 41.2%로 남성노인의 빈곤율 31.2%보다 10%p 높다. 소득원천을 비교해도, 남성노인은 근로활동에 의한 소득이 1순위인 반면, 여성노인은 남성노인 근로활동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사적 이전소득에 많이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 독립성이 낮고 재정적으로 불안정한 구조이다. 이를 공적 이전소득으로 보완해야 할 터인데, 대표적인 공적연금제도인 국민연금제도는 본질적으로 연금가입자의 과거 직업력과 소득력(job and earning history)에 근거하기에 여성 노인 1인 가구는 수급 혜택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즉, 수급자 수가 적고, 급여수준도 낮은 중첩적 취약성을 보인다. 따라서 독자적 수급권 확보를 위해, 현재 및 장래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국민연금 가입률을 높여야 하고, 그 전제로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이 용이해야 하며, 여성노동의 특성에 맞춰 임금수준이 현실화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남성보다 1.8배 많은 여성노인의 기초연금 수급현황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노후소득보장제도로서 기능하고 있는 기초연금제도에 대하여도 보완이 필요하다. 즉,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산정을 할 때 기초연금을 개인별 소득인정액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기초연금법」의 입법취지를 희석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그 포함 여부 및 범위에 대한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저소득 여성 노인 1인 가구에게 괜찮은 거처를 마련해주는 ‘Housing First’ 정책의 수립이다. 이는 소득빈곤을 해소함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사회복지 지원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모두 여성 노인 1인 가구를 위한 노인 일자리 우선지원 정책을 병행해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끝으로, 사회 영역에서의 심리적 불안감 내지 외로움의 문제이다. 노인 1인 가구는 남녀를 불문하고 ‘심리적 불안감 또는 외로움’을 공통적으로 토로하는데, 그 영향요인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남성 고령자는 직장유무, 경제수준이 주된 요인이지만, 여성 고령자의 경우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여성 노인 1인 가구는 동거하는 가족 없이 혼자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단절될 가능성이 높아 심리적・정서적 불안감 내지 외로움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고, 이러한 사회적 고립의 문제 ‘고독사’ 또는 ‘자살’ 등 매우 극단적인 사회문제로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회적 가족’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모델을 제시한다. 정부차원의 지원정책이 있으나, 민간부문에서의 자발적인 시도와 노력이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 예로, 사단법인 시니어희망공동체의 조부모세대, 부모세대, 형제자매세대 등 4인 이상 3세대로 구성된 ‘소셜팸(Social Family, 사회적 가족)운동’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공동생활가정, 즉 코하우징(Co-Housing)도 추진해야 한다. 이는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안전과 더불어 안정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기에 정부와 지자체, NGO, 협동조합 등을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할 필요성이 크다. 위의 각 영역별 정책적 개선방안은,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다. 예컨대, 성년후견제도는 여성 노인 1인 가구에게 치매발병시 수발자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그로 하여금 장기요양보험・기초연금 등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적 노후소득보장에 기여하는 순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 영역별 현황에 따른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데 있어, 상호 유기적 관련성 및 연관효과 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elderly forming one-person household(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gle-household elderly”) amid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 and aging. In 2014, the number of single-household elderly comprised 23% of entire elderly population. Among them, the number of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stands at 1.04 million which accounts for 3/4 of whole single-household elderly population.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represent the class with whole elements of socially-disadvantaged, including elements of women, elderly, and solitary life, and encounter the greatest difficulty in connection with nursing care for illness, economic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anxiety/loneliness. Such issues are considered to fall under health realm, financial realm, and social real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fic conditions and problems which were manifested in each realm and to explore measures for mitigating such problems at policy level. In the health realm, there are problems of benefit recipients who have little or inadequate communication ability primarily due to mental constraints such as dementia(Alzheimer’s disease). Government’s supportive policy mostly relates to medical and livelihood support, such as dementia examination project, dementia treatment & management support project, livelihood support project including long-term recuperation insurance system designed to help stabilize lives of elderly with dementia, etc. However, such supportive policy of government needs to be pushed forward in tandem with legal support in order to maximize desired effect, considering that even excellent medical and livelihood support services may become useless if the ability to use and manage such services is inadequate. For that, legal and social inter-connective system needs to be buttressed to ensure that adult guardianship system can be fully leveraged. In other words,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and connect to eligibl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with dementia, establish procedural structure, and provide public guardian service, and furthermore, the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underpin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public guardians,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s, budget preparation and fund-raising process, etc. In addition, even elderly long-term recuperation insurance system, which has positive effect in stabilizing the lives of elderly with dementia, needs to map out multi-faceted supportive system differentiated in terms of quality of care service and long-term recuperation allowance based on gender, type of household, and type of disease, thus ensuring adjustment tailored to situations of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Meanwhil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experience financial instability twice as much as their male counterparts in economic realm. In fact, poverty rate of female elderly stands at 41.2% which is 10%p higher than that of male elderly who are reported to have poverty rate of 31.2%. Female elderly has higher reliance on private transfer income with their labor income level remaining below half that of male elderly, which results in low economic independence and high financial instability of female elderly, in stark contrast to male elderly who earn the largest portion of their income from labor income. Such problem needs to be addressed by public transfer income. National pension plan system, the most typical public pension system, has unavoidably limited scope of pension benefit disbursements to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because such benefit disbursements are based on past job and earning history of pension holders. In short, the system has double vulnerability which means small number of recipients and low level of allowance such as recuperation allow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crease the ratio of present and futur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covered by national pension plan in order to ensure that pensionable right can be secured independently. Based on that, the access of women to labor market should be made easy, and the wage level should be aligned with reality in light of characteristic of labor provided by women. Furthermore, an improvement is needed for basic pension system that functions as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or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as witnessed by the supply-demand status of basic pension for female elderly whose population is 1.8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In other words, legislative purpose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nd Basic Pension Act can be attenuated if basic pension is included in individual countable income when the livelihood benefit unde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s estimated. Actions need to be taken swiftly with respect to such inclusion or exclusion and related scope. Above all, the priority is to map out ‘Housing First’ policy that provides good housing first to low-incom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That is deemed to be the policy that underpins social welfare most effectively in helping address low-income poverty. Moreover, such policy can produce the greatest impact when it is accompanied by policies designed to bolster job creation for the elderly, particularly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Finally, it relates to issues of psychological anxiety or loneliness in social realm. Single-household elderly commonly express psychological anxiety or loneliness, whether they are men or women, and related influential factors differ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employment status and financial conditions ar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men of advanced age while disconnection from social relationship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women of advanced ag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tend to experience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from society because they are living alone without any co-habitating family member. Consequently,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are very likely to encounter psychological or emotional anxiety or loneliness, and such social isolation may lead to very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lonely death, suicide, etc. Thus, a new social relational network model, called ‘social family’, is presented to overcome such problems. Despite supportive policies of government, spontaneous attempts and efforts of private sector may redouble the effects. For instance, Senior Hope Community has proceeded with a movement called Social Fam(Social Family) consisting of more than 4 persons from 3 generations such as grandparent generation, parent generation, and sibling generation.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ommunity life households, i.e., co-housing, needs to be pushed forward. Co-housing represents a measure that can help form and maintain stable social relationship and networking among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along with their safety, an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spearheaded by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cooperatives, etc. Aforesaid measures, which are designed to achieve improvement for each realm at policy level, have inter-relational systematic effect. For example, adult guardianship system helps provide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with access to social welfare services such as long-term recuperation insurance/basic pension, etc., as well as medical treatment, when they have dementia, thus contributing to guaranteeing public old-age income security. Thus, analysis of systematic interrelationship and related effect, etc., needs to take precedence in establishing and enforcing policies associated with conditions of each realm.

      • 여성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법제적 대응방안

        장민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2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는 전통적 가족 개념의 해체를 의미하며, 그동안 가족이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돌봄과 보호의 기능을 이제 국가가 대신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1인 가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서, 1인 가구의 발생 원인, 유형, 특성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그들의 수요를 고려한 법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1인 가구는 헌법 상 보장된 쾌적한 주거를 갖지 못하고, 소득수준이 매우 낮은 저소득층인 경우가 많으며 가족의 부양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거 및 복지 정책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관련 법제도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4인 가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1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위에 놓여있다. 주택공급에 있어서도 부양가족수에 따른 가점제를 운영하고 있어서 1인 가구가 불리한 측면이 많다. 또한 과세법제 상 소득공제는 주로 결혼했거나 부양할 가족이 있는 자에게 혜택이 집중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1인 가구는 소득공제의 혜택도 받지 못하고 있다.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제도는 모두 가족의 부양을 전제로 국가의 2차적인 역할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이 없는 1인 가구의 경우에는 사회보장의 혜택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1인 가구에게 불리한 우리의 법현실이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더욱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여성 1인 가구는 경제적 소득활동에 있어서도 남성보다 열악한 지위에 있고, 각종 범죄에의 노출, 건강의 취약성 등 남성과는 다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택 공급에 있어서도 주거의 안전을 고려한 소형 공공임대주택의 보급을 확대하고, 근로가 가능한 청・장년층 여성 1인 가구에게 취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직업 교육, 취업 알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근로가 불가능한 노인 여성 1인 가구에게는 사회보장의 혜택을 확대할 수 있도록 부양의무자 기준 등의 완화 또는 폐지 등 법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여성이 1인 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1인 가구에 대한 법제적 대응은 기존의 다인(多人) 가구 중심의 법제도를 바꾸는 동시에 여성의 특성을 고려하고, 여성에게 불리한 차별적인 요소를 철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apid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means the dismantling of the traditional family concept and requires changing paradigm of functions of protection and care which has been responsible for by family into the state and society. As the causes of being one-person household and difficulties and needs they have experienced are different from each generation, we have to consider this to improve the related legislations regarding one-person household. Current law system, related to housing supply, tax, and social security, has been formed on the premise of traditional family, composed of a married couple and the children, and causes excluding one-person household from legal protection and making obstacles to enjoy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such as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equal protection of law, and right to social security. In this stud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realities and difficulties of single women households, forming about 70 percent of all one-person households. As they have experienced worse working conditions, lower income and more vulnerabilities to crimes and diseases than men, the specialties and needs of single women households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legal reactions to the continuous growth of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more small-sized public rental housing with dwelling safety should be provided, more opportunities for working and job training for working-age women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social security benefits for the older people should be enlarged. Furthermore, In preparation of One-person Household Era, we have to not only change legal systems based on multiple-member households but also abolish discriminative factors to single women household in the society at large.

      • KCI등재

        성별 주거비용 비교분석: 1인가구를 중심으로

        임미화(Mi-Hwa Lim) 한국주택학회 2020 주택연구 Vol.28 No.2

        여성은 남성보다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범죄에 대해 안전하고, 주택선택에 있어 편안하고 쾌적한 주택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여성1인가구의 주거비용이 남성1인가구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1인가구와 남성1인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실태자료로 헤도닉주택가격모형을 사용하여 자가거주비용인 사용자비용과 임차비용(임대료)을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여성1인가구의 사용자비용이 남성1인가구보다 약 2만원 정도 더 높았고, 면적(㎡)당 사용자비용은 약 0.3만원 정도 더 높았다. 면적(㎡)당 임대료는 남성1인가구가 여성1인가구보다 많이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별, 성별 비교에서는 차별적인 결과를 보였다. 연령별, 성별분석결과, 면적(㎡)당 사용자비용의 경우 남성1인가구대비 여성1인가구의 주거비 비율이 20대의 경우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 비율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면적(㎡)당 임대료의 경우 20대, 30대, 40대의 경우 모두 남성1인가구대비 여성1인가구의 주거비 비율이 1.0이상이었으나, 30대가 가장 높고, 50대와 60대로 갈수록 1.0이하로 낮아졌다. 종합하면, 사용자비용과 임대료에 있어 남성1인가구대비 여성1인가구의 주거비 비율이 1.0이상으로 나타나 여성1인가구가 남성1인가구보다 높은 주거비를 지불하고 있으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 비율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In terms of housing selection, women prefer to live in a house that is comfortable, convenient, and safe from crimes despite their lower income compared to men. Considering this, the housing cost of single-woman households may be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This study estimated and compared the user costs and rental fees as the self-resident cost, using the hedonic price model for housing in single-woman and single-man househol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r cost of single-woman households is approximately 20,000 won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while the user cost per area (㎡) of single-woman households is approximately 3,000 won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Based on the age and gender analysis of the user cost per area (㎡), the housing cost ratio of single-woman households is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In the case of rental fee per area (㎡), the housing cost ratio of single-woman households is 1.0 or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in the 20s, 30s, and 40s age groups. In conclusion, the housing cost ratio of single-woman households is 1.0 or higher than that of single-man households in terms of user cost and rental fee. As a result, single-woman households pay a higher housing cost than single-man households, but this ratio decreases as the age increases.

      • KCI등재

        세대별 여성 1인가구 범죄피해 실태 및 범죄 두려움 영향요인

        심혜인(Sim, Hye 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3

        1인가구는 199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림동 강간미수 CCTV 영상’등 1인가구 여성의 범죄와 범죄두려움에 관하여 언론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를 중심으로 또는 1인가구의 세대별 분류를 통한 범죄피해와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세대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범죄피해경험과 범죄두려움은 전체범죄와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범죄두려움 뿐만아니라 범죄유형별로 분류하여 폭력범죄, 재산범죄, 주거침입범죄로 추가적인 분류를 하여 검증하였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전국범죄피해조사(2018년 기준)’의 2차 데이터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세대별 분류를 중심으로 다루기 위하여 만18세 이하의 자료를 삭제한 다음 1인가구 여성 8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를 연령에 따라 청년, 중년, 장년, 노년으로 분류하여 검증하였을 때,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두려움에서 일반적 범죄두려움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구체적 범죄두려움에는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구체적 범죄두려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찬가치로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서도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높을 두려움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경찰신뢰도 수준이 낮을수록 1인가구 여성의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무질서는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에 사회적 무질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의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에 있어서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1990, and crimes on single-female household such as CCTV footage for attempted rape in Sillimdong and crime factors have been covered seriously in the media. Existing preceding studies covered crime victims and influencing factor of fear on crime victim focusing on single-person or multiple-person household or through classification by single-person generation. However, this study plans to review crime victim and influencing factors of crime fear of single-female household.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ed to review if there are any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Experience on crime victim and crime fear were classified by not only overall crime, general crime fears and specific crime fears but also crime types, and further classified by violent crimes, property crimes and housebreaking to verify. The second data of Crime victim survey across the country (as of 2018) investiga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under the age 18 were deleted to cover the classification by generation and 856 data of single-female household were analyzed. SPSS 25.0ver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t-test, ANOVA, logistic-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generations were classified and verified as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according to the age, it didn t appear as a factor affecting the experience on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On the other hand,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general crime fear in the fear of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the elderly showed higher level of fear than middle-aged in terms of specific crime fear. Similarly,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was higher in the elderly than middle-aged grou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level of reliability for the pol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fic crime fear and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of single-female household. It was also found that physic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general crime fear, specific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and soci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specific crime fear, violent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We hope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in suggesting policy that can reduce crime victim and crime fears of single-female crime victim.

      • KCI등재

        여성 가구 형태별 범죄 두려움에 대한 분석

        김다은(Kim Da Eun),이창한(Lee Chang Ha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2

        여성 1인 가구의 증가는 여성의 거주 가구 형태에 변화를 초래했고, 그 결과 여성 1인 가구를 표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는 등 여성의 범죄 두려움을 가중하고 있다. 범죄 두려움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위협이므로, 그 억제의 필요성이 시급한 문제다. 특히 여성의 범죄 두려움은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데, 이 연구는 ‘성폭력 그림자 가설’로 여성의 범죄 두려움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고, 변화한 여성의 가구 형태를 고려해 여성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각각의 범죄 두려움을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여성 1인 가구와 여성 다인 가구의 성폭력 두려움은 일반적 두려움, 절도 두려움, 주거침입 두려움, 스토킹 두려움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다. 또한 성폭력 두려움 변수를 모델에 투입시켰을 때 전체 모델의 설명력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여성의 범죄 두려움이 성폭력 범죄 두려움에 의해 설명되고, 증폭된다는 분석 결과로부터 여성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강구한다.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 female households has led to changes in the type of residential households. As a result, the number of crimes targeting a single female household increases and the fear of crime increases at the same time. Especially, several studies has shown that women s fear of crime are much higher than men s while men s actual victimization ratio is much higher than women s. By this point of the view,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fear of crime between women s household types (Single-person household versus multi-person household) focused on shadow of sexual assault. The study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less of the types of households, fear of sexual assault has a shadow effect to all the dependent variables. Specifically, stalking crime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in bo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 From the analysis that female s fear of crime is explained and amplified by fear of sexual assaul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tries to find policy measure that can reduce female s fear of crime.

      • KCI등재

        중년(40~49세)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생활세계: “온전한 개체로서의 삶”

        임지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 여성연구 Vol.120 No.1

        본 질적연구는 중년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선택 및 유지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심층면담 과정에서 7명의 참여자의 1인가구 선택 및 유지 경험이 어떠한가에 대한 구술을 통하여 1인가구의 선택 및 유지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1인가구의 의사결정 과정을 종합해보면, 1-선택요인(원가족의 직・간접적 영향, 직장의 영향, 1인가구의 가치로서의 자유). 2-보호요인(원가정의 가족 또는 친구(동료, 이웃)의 지지, 내 욕구 또는 우선순위에 집중), 3-위험요인(혼자 사는 여성에 대한 불쾌한 관심, 혼자서 다 하는 물리적・감정적 상황, 1인가구의 미래를 위한 재테크 부실, 해당없는 혜택)을 견디며 1인가구를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중년 비혼 여성 1인가구로서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본질적으로 온전히 독립된 개체로서의 삶을 설계하고 성취해나가는 것이었다. 내부자 관점에서 중년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선택 및 유지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이론적 모형과 중년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사회복지적 제언이 제안되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the selection and maintenance experience of middle-aged unmarried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 the course of in-depth interviews, the seven participants gave oral descriptions of their experiences in choosing and maintaini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ynthesiz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thre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found that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based on 1-choice factor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 original family, influence of the workplace, and freedom as a value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 2-Protective factors (support from family or friends (colleagues, neighbors) of the original family, focusing on my own needs or priorities), and 3-risk factors (unpleasant attention to women living alone, physical and emotional situations of doing everything alone, lack of financial support for the futu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napplicable benefits). Ultimately, it was to pursue a free life as a middle-aged, unmarried woman in a single-person household, but to design and achieve a life as an inherently completely independent individual.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a theoretical model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unmarried women and social welfare suggestions to reduce the risk fact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unmarried women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김혜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2

        The study is expose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of women single household. Which is non-visible because people regard the problem as a personal choice. Social exclusion of women single household is not only the problem of the poverty and deficiency but also it could occur among the interac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us the study recognizes that women single household is the target of a women-family policy. 여성 1인가구의 증가와 함께 경제적, 사회적, 정서․심리적 문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여성 노인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 취약계층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30대에서 50대 여성 1인가구의 실태나 정책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이는 이 계층의 여성 1인가구가 원가족과 잠시 떨어져 살다가 원가족과 합치거나 결혼 등으로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는 임시적 가구로 인식되거나 독립생활을 추구하는 계층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1인가구의 증가와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정책적으로 비가시화 되었던 30대에서 50대의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 변화에 따른 여성 1인가구의 문제가 단순히 빈곤이나 결핍의 문제가 아니라 다차원적 문제임을 부각시키고 여성 1인가구가 여성가족정책의 대상임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전은혜,최희경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3 젠더와 사회 Vol.34 No.-

        본 연구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청년 여성의 커뮤니티의 경험과 가족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대∼30대 1인 가구 청년 여성 7명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1인 가구 경험, 커뮤니티 경험, 가족 경험과 인식 등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독립을 위해 1인 가구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였으며, 자신의 성장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경험을 한 후 여성 커뮤니티에 참여하였다. 여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새로운 친밀감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연대감과 안정감, 경험 공유와 존중, 실질적인 생활상의 도움을 주는 안전망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가 “친밀하지만 느슨한”새로운 의미의 가족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원가족과의 갈등과 스트레스, 통제나 간섭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며 여전히 규범적이고 이상화된 가족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커뮤니티에서의 친밀한 유대감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가족관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경험을 통한 새로운 가족관계의 추구를 가족유연성과 대안가족의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1인 가구 청년 여성들의 여성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정책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mmunity experience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se number is gradually increasing focu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family. Case stud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women. As results of the study, 3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ingle- person household, experiences of communitie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The participants autonomously chose the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means to pursuit their academic or work careers.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obbies as a way to satisfy their needs of self-actualization and build new relationships. They showed individualism that values a free individual life, but also showed an active aspect in forming or participating in groups for study or hobbies pursuing intimacy b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In the female community,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identity of a woman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female community, or help them to move forward and stabilize themselves in the future when they are frustrated or have struggling, help them to move forward or stabilize in the future and help them stay in the presence. In addition, community members respect each other, share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 safely themselves as they are. The female communities can be viewed as a family in a broad sense with intimate but loose solidarity. These experiences was interpreted a process of re-establishing family concept.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which made them direct a new relationship of family adhering to a normative and ideal concept of family. In conclusion, the female communities that young females independently chose we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and flexible family further suggesting the need for social, institutional, and policy changes.

      • KCI우수등재

        지역노동시장 특성이 청년 1인 가구 성별 분포 차이에 미치는 영향

        조규원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3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를 직업을 위해 이주한 집단으로 바라보고, 이들의 규모와 공간분포에서 드러나는 성별 차이에 주목한다. 청년 1인 가구 거주비율이 지역별·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이를 해당 지역의 노동시장 특성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는 시군단위 네 개 산업의 입지계수와 도시규모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청년여성 1인 가구와 청년남성 1인 가구의 거주비율로 구분하여 두 개의 공간회귀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노동시장 특성은 청년여성 1인 가구의 거주비율에서 더 설명력이 높았고,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변수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부동산업의 입지계수는 두 집단의 거주비율을 모두 높이는 효과가 있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특화도는 양의 관계에 있기는 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과 인구 140만 이상 도시규모는 청년여성 1인 가구 거주비율에만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청년여성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입지계수는 청년여성 1인 가구와 유의하지는 않으나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차이는 청년 내의 성별 차이를 넘어서 본인의 직업으로 독립적 생계를 유지하는 1인 가구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청년여성 1인 가구가 수도권 및 광역시에서 특정 직업군에 집중되어있는 것은 안정적인 이주독립을 위한 직업과 지역의 선택권이 청년여성에게 더욱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youngt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group that migrates for work, and on gender differences in their size and spatial dis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idential ratio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y region and gender, and if so, whether this can be predic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in the reg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location coefficients of four industries and city size at the municipal level,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residence rate of young female-headed households and young male-headed households, and the results of two spatial regressions a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local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had more explanatory power in the residence rate of young femaleheaded households, and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relationships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location coefficient of the real estate industry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sidence rate of both groups, and the specialization in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has a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business facility management, business support, and rental services and city size of 1.4 million or more are only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share of young women living alone, while the location coefficients of health and social services, which are dominated by young women, are negatively but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young women living alone. This difference in results may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are independent earners from their own jobs, beyond gender differences within young adults. The concentration of young female-headed households in certain occupational groups in metropolitan and large cities suggests that young women may have more limited options in terms of occupation and location for stable migration independence.

      • KCI등재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치경찰 시행관련 안전정책을 중심으로

        조제성,이상훈 한국치안행정학회 202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4

        이 연구는 1인 가구에 대한 전략적 안전정책의 수요 증가에 주목하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18년 범죄피해조사 데이터를 통해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을 위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1인 가구에 대해 성별, 연령별 세부적인 안전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 안전정책 중에서 여성에 주목해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 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의 설계과정을 통해 1인 가구 여성 805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됐으 며, ANOVA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에 활용된 변수는 타겟하드닝, 거주지환경, 자율방범 참여정도, 공동체의식, 경찰신뢰로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어떤 변수가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도록 했다. 분석에 앞서 연령을 3집단으로 구분해 집단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타겟하드닝, 거주지환경, 공동체의식, 경찰신뢰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최종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교육정도의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기존 시행되고 있는 타겟하드닝 전략은 거 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오히려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거주지 환 경, 자율방범참여정도 변수였다. 경찰신뢰와 공동체의식 역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기 존 1인 가구 여성을 대상으로한 정책이 사회적 고립 해소나 경·관과의 연계전략 보다 민·경 연계를 통해 주민참여를 통한 불안감 해소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주거지역의 안전을 위 한 환경설계 전략의 확대가 필요함을 근거하는 결과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경찰의 1인 가구 여성 주거 안전관련 정책에 대해 제언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cus on the increase in demand for strategic safety polic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present empirical research results for specific policy recommendations. In particular, detailed safety policies by gender and age are requir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specific policy recommendations by focusing on wome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safety policies.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the study, a sample of 805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target hardening, residential environment, degree of voluntary crime prevention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in the police. Prior to the analysis, ag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group differences were exist significantly in target hardening, residential environmen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ce trust. Finally,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for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level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safety perception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the existing target hardening strategy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housing safety. Rather,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housing safety were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voluntary crime prevention participation. Police trust and sense of community were also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is shows that the existing policies targeting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can be more effective in relieving anxiety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than in resolving social isolation or linking with the police and government. It is also a result based on the need to expand the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for the safety of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municipal police's housing safety-related polic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