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 형상에 끼친 가족 문화의 영향

        신재홍(Shin, Jae-ho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는 여성 인물이 다채롭게 형상화되어 문학적 흥미를 자아낸다. 본고는 여성 인물 형상화의 작가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야기를 좋아하는 윤 부인이 가족의 중심이 된 점에 주목하여 가족 문화가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 형상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으리라 보았다. 관련 자료는 김만중 형제와 조카들이 남긴 문집, 집안의 여성 인물에 관한 행장 등이 있다. 이를 살펴 윤 부인 중심의 김만기, 김만중 집안 가족 문화의 특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예법과 학구적 분위기, 둘째, 문학 향유와 한담, 셋째, 자녀 사랑과 여성 교육이다. 김만중의 소설은 이러한 가족 문화 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보인다. 가족 문화를 염두에 두고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을 분석하였다. <구운몽>은 수렴과 확산의 구도에 의해, <사씨남정기>는 선악의 전형화를 통해 여성 인물의 형상화가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전자는 상상과 허구 세계에의 몰입을, 후자는 윤리적·이념적 주제 의식에 대한 공감을 의도한 듯하다. 이러한 차이도 있지만 두 작품을 통해 여성 인물이 다채롭게 형상화된 양상만큼은 뚜렷하다. 인물의 원천에 대해 전고의 여성 인물과 당대 여성으로 나누어 살폈다. 전고의 인물은 한시와 소설에 공통된 인물이 상당수여서 한시의 소재가 소설로 이어진 면모를 보인다. <구운몽>의 진채봉, 적경홍은 반첩여, 동작기를 원용함으로써 인물 형상이 심화된 면이 있다. <사씨남정기>의 교채란은 하간 절부에 견줌으로써 악에 빠지는 모습을 더욱 근거 있게 만들었다. 한시에서 다루지 않은 인물을 소설에서 참조한 예는 소설이 지닌 윤리적 지향성을 드러낸다. 한편, 윤 부인뿐 아니라 기녀, 왕실 여성, 익명의 여성 사례 등이 인물 형상에 참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는 주제, 성격, 인물 설정 등의 면에서 가족 문화를 배경으로 한 면모를 지닌다. 가정의 화목이라는 공통 주제는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윤 부인 중심의 가족 이야기판은 여성 어른을 중심으로 담소하는 형상에 투영되어 있다. <구운몽>의 황실 여성 형상, <사씨남정기>의 숙종조 왕실에 대한 우의 등도 가족 관계와 관련이 있다. 여성 교육과 자녀 사랑의 문화는 계섬월이 진채봉에게 배우는 장면, 임추영이 인아를 보육하는 것과 연관될 수 있다. 가족 이야기판의 관습을 배경으로 <구운몽>은 여덟 가지 낭만적 이야기를 펼쳤고 <사씨남정기>는 위기 속에서도 예법과 부덕의 윤리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김만중 소설이 가족 문화를 배경으로 당대와 전고의 인물을 참조하여 여성 형상을 그려 내었음을 논하였다. 전기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작품의 역사적 배경을 찾아본 것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background of the colorful shape of female characters is in Kim Man-jung s novels,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ackgrounds, we examined the family culture of the writer centered on his mother Mrs. Yoon who likes stories. Thus, we tried to find out the traces left by the influence of family culture on the image of female characters of two novels. Looking at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writer s family, we can summarize the family culture of Kim Man-ki and Kim Man-jung s family, who have served Mrs. Yoon. It can be said that first, the manners and academic atmosphere, second, the enjoyment of literature and the conversation, third, the lov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 of women. In this family culture, Kim Man-jung s two novels seem to have been born. In the female characters, Guunmong is shaped by the composition of convergence and diffusion, but SassiNamjeonggi is shaped by the typicalization of good and evi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former intended the immersion in the imagination and the fictional world, and the latter intended the empathy for ethical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The female characters in two novels could be explored the femal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nd the women of the time. Th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re common to poems with Chinese letters and two novels. With the examples of characters not be shown in poems, the two novels reveal the ethical orientation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women of the time,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the mother Yoon but also the gisaengs, royal women, and anonymous female cases related to the writer s family were referred. The figure of female characters in two novels has a certain relationship with family culture. The common theme of family reconciliation is the one for female readers. The family story stage centered on Mrs. Yoon leaves a trail in the work of chatting around the female adult. The imperial women in Guunmong and the political comprehension of SassiNamjeonggi may als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s family culture. Women s education and children s love of family culture could be associated with some events in two novels. Considering the family story, Guunmong is an eight cases of romantic story, and SassiNamjeonggi is a lesson to keep the propriety and virtue even in a crisis situation. This study discussed that Kim Man-jung s novels depicted various female figures by referring to the femal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nd the time in the background of family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a more concret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wo novels by this study.

      • KCI등재

        고대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여성 형상 연구

        정막래(Mak-Lae, Jeong),박선진(Sun-Jin,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연구 Vol.90 No.1

        본 연구에서는 고대 러시아 문학 작품들 중에서 여성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작품들을 선택하여, 그 속에 나타난 여주인공들의 형상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분석해보았다. 이분법적으로만 분리시켜왔던 우리 인간의 성은 고대 러시아 문학 속에서 이미 그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있었다. 이처럼 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여성이 등장하여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는 것은, 그 사회가 기득권이 아닌 층에도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는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개방적인 태도야말로 열린사회를 향한 가장 중요한 밑거름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11세기부터 17세기에 이르는 고대 러시아 문학 작품들 중에서 여성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5편의 작품들을 분석하고 있다. 12세기에 만들어진 위경『성모마리아의 지옥 방문기』에서 성모마리아는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신앙심 깊은 성녀의 모습으로, 어머니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후 등장하게 되는 율리아니야의 경우, 비록 죽을 때는 성녀의 모습으로 죽게 되지만 생전에는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현실적인 성녀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고대 러시아 문학 속의 여성 형상이 등장 초기에 가졌었던 성스러운 이미지를 벗어나 속세와 어울려 살아가는 보다 세속적인 성녀의 형상으로 진화해 간 것이다. 그러다가 1661년에 만들어진 전개되는 미친 아내 솔로모니야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전통적 성녀의 모습과 세속적 성녀의 모습을 넘어서는 악마적 형상의 여성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아버지에게 불순종한 대가로 마법에 걸려 토요일마다 반인반사(半人半蛇)로 변하게 되는 멜류지나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고대 문학 속의 여성 형상이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해 갔음을 보여준다. 같은 맥락에서 애국자적인 형상으로 등장한『유지프』를 들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여성적인 아름다움을 조국을 살리는 데에만 이용하는 등 전통적인 개념의 남자 주인공 못지않은 애국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마도 고대 러시아 문학 속의 여성들 중 가장 강인하고 전통적인 의미에서 남성적인 특성을 지닌 형상이 아닐까 생각된다. 대부분의 경우 남자에게 의존적인 모습으로만 그려졌던 고대 러시아 문학 속 여성들의 모습은 이러한 작품들을 기점으로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한 인격체로서의 여성 형상으로 진화되어갔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괄목할 만한 것인데, 여성에 대한 동시대인들의 인식이 어떤 식으로 변화되어 갔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images of women in the literary works from old Russian literature where female characters play important roles. Gender, having been divided binarily, actually was collapsing its boundary already in old Russian literature. The fact that female characters played important roles in male-centered society shows the open attitude of that society. It has an important meaning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from social perspective in that this open attitude is what constitutes the base for open society. This study analyzes five literary works from old Russian literature, ranging from 11th centuary to 17th centurary, where wome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Virgin Mary's Visit to the Hell", written in 12th centuary, the Virgin Mary appears as typical image, a deeply religious saint and mother. On the other hand, Juliania, appearing at a later period, is described a realistic saint who lives an ordinary life before dying as a saint. Thus, the image of women in early old Russian literature, escaping the sacred image, has evolved into a more secular image. Later, in 1661, in the story of Solomonia, the crazy wife, a woman of stanic image makes appearance. This story, along with the story of Meluzina, who becomes half human and half snake every Saturday for disobeying her father, shows that the image of women in old literature has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Same can be said about "Judif" who appears as patriotic image. She shows her patriotic image as good as traditionally male stereotype, for example by using her beauty only to save her country. It may be that she is the strongest and traditionally masculine image in old Russian literature. Having been described mostly dependent on men, women in old Russian literature evolved into independent, autonomous female images. This change is noteworthy, for it shows how the cognition on women shared by the contemporaries has changed.

      • KCI등재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강혜선 ( Hye Sun Ka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조선의 사족 여성은 가족,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 안에서 ``딸 -> 아내 ->어머니``의 주기적 삶을 살았는데, 이러한 여성의 삶을 사대부 작가들은 대체로 유가적 이상형에 맞춰 정형화된 방식으로 기술해 놓았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양산된 여성 대상의 글들을 보면, 여성의 삶과 생활을 형상화하는 작가들의 시각과 인식의 변화가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을 형상화한 대목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사대부의 공적, 사적삶에서 은폐되거나 금기시되었던 경제활동에 대한 형상화가 여성의 경우에는 구체적이면서 풍부하게 이루어졌다. 여성 대상의 행장, 실기, 유사 등의 문체는 여성의 생활과 관련하여 각종 일화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을 비중 있게 형상화 하였다. 이 문체들은 비록 기록의 사실성과 객관성을 기본으로 하지만, 한편으로 유가적 규범에 의거해 일부를 과장하거나 생략함으로써 대상 여성을 현창하려는 성격도 있었다. 이 때문에 여성의 경제활동을 형상화한 글들이 당대의 실상을 그대로 반영하였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다른 어떤자료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을 주목하고 형상화하였다. 조선후기 사대부들은 규범적으로는 유가의 여성 덕목 중 하나인 부공(婦功)에 준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을 바라본 바, 대체로 남녀의 역할 구분에 따라 집안일로 경제활동을 제한하고 특히 근면한 가사 노동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실 생활에서 행해진 각종 경제활동과 재산증식 활동들이 표면적으로 부정되거나 은폐되고 경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나온 각종 글들 속에서는 이러한 규범과 편차를 보이는 현실의 여러 양상이 풍부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생계유지나 가정경제 운영의 수단으로 여성의 가내 노동을 가장 중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고리대와 상업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활동에 노비의 역할이 긴요하였다. 또한 사대부의 관직생활 이면에는 여성을 매개로 한 청탁과 뇌물 수수, 관직을 이용한 부당한 상거래 등 부정적 경제활동도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재산분배에서 여성의 역할을 주목하면서, 윤회봉사를 배격하고 종손 중심의 제사문화를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여성 스스로 친정의 재산분배를 거부하는 행위를 강조함으로써 가부장적 이념 전파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광사의 <아내 유인 문화 유씨 실기>는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을 형상화한 글 가운데 단연 주목할 대상이다. 이광사는 아내의 주체적, 능동적 경제행위를 긍정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변화된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 글 속의 여성은 가정 경제를 운영하는 주체로서 당당한 위상을 보일 뿐 아니라, 그러한 여성의 치산능력과 치산과정을 형상화하는 서술시각에도 여성의 경제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공인하는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have investigated how noble writers recognized and figured the economic activities of noble wome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economic activities of noble men(Sadaebu) were generally hidden or ignored in the descriptions of noble men`s lives. In contrast, the economic activities of noble women were emphasized and embodied in the descriptions of noble women`s lives. According to the Confucian standards, noble women`s economic activities were limited in domestic labor. It was not desirable that noble women practiced usury and performed business transaction in order to make profits and increase their properties. However many noble women of those days actually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usury and business transaction. Their slaves played important roles in those activities. In addition, some noble women did illegal acts and solicited gifts or money in exchange for favors when their husbands became public officials. Also some noble writers emphasized the fact that noble women voluntarily rejected property sharing of their parents. These descriptions strengthened patriarchal family system. Any way noble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real lives were interpreted as a tacit approval. Yi Gwang Sha`s documentary for his dead wife is noteworthy. Yi Gwang Sha described vividly his wife`s enthusiastic attitude and activities to increase property. His wife`s standing in the home economics was very confident and her image was positive as a main agent of economic activity. This shows the changes of Yi Gwang Sha`s perception about the economic activities of noble women.

      • KCI등재

        향가에 그려진 길 위의 여성

        신재홍(Jae Hong Shi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향가에 나타난 ‘길 위의 여성’ 형상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보았다. <서동요>, <헌화가>, <도천수관음가>, <제망매가> 등 네 편의 작품에 그려진 형상을 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한 것이다. 향가 네 편의 길 위의 여성 형상은 하나하나가 개성 있고 인상적이다. 유배 길을 가다가 사랑을 이룬 선화 공주, 부임길에 따라 나섰다가 꽃과 시를 헌정 받은 수로 부인, 눈 먼 아이를 안고 길을 달려와 분황사 부처께 무릎 꿇은 희명, 남은 이에게 종교적 전망을 얻게 하고 저승길로 떠난 망자 누이 등은 배경 기사의 서술로써 형상화된 것이다. 그것은 다시 향가 작품 속에서 생생한 모습으로 재현되었다. <서동요>에는 선화 공주의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성격과 상대를 덥석 안는 과감한 행동이, <헌화가>에는 아름다움에 대한 수로 부인의 열망과 중앙 귀족으로서의 당당함이, <도천수관음가>에는 신 앞에 기도하는 자세의 몸과 구원을 바라고 다짐하는 마음이, <제망매가>에는 죽음을 받아들인 상태에서 혈육의 정성어린 천도에 힘입어 극락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그려진 것이다. 이러한 길 위의 여성 형상은 상당히 넓은 편폭에 걸쳐 있다. 유배, 부임과 같은 현실적이고 제도적인 일에서부터 왕생극락과 같은 종교적이고 관념적인 전망에 이르기까지, 고난과 절망의 의미에서 반전을 통한 성취와 여유 있는 풍류의 의미까지, 공주와 귀족 부인에서 평민 여성까지 다양한 여성 인물의 다채로운 사건과 지향이 그려져 있다. 다른 장르에 비해 보아도 향가에 나타난 그 형상은 다채롭고도 구체적이다. 길을 가는 행위의 주체성도 분명하고 각 작품을 통해 그려진 인물의 성격도 뚜렷하다. 서사 문학에서 길 위의 여성 형상이 고난의 의미에 치우친 데 비해 향가에서는 낭만적이기도 하고 모성이 강조되기도 하며 이념적인 지향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가에 그려진 길 위의 여성 형상은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하겠다. We intend to show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the poetic genre of Shilla dynasty, and find meanings of the figures through this study. The figures appear in four Hyanggas, Seodongyo, Heonhwaga, Docheonsugwaneumga, and Jemangmega. The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are made into stories in back-story of Hyangga. Princess Seonhwa was sent into exile cause of Seodongyo. Lady Suro became heroine of her husband’s parade being on the way to his post. Heuimyeong ran toward temple to pray for her son’s recovery. Sister of poet said goodbye and went to the world beyond. These figures of woman are represented in the poems of Hyangga. In Seodongyo Seonhwa is described with the character of challenging passions, active inclinations and daring behaviors. In Heonhwaga Mrs. Suro shows desires for beauty and dignified attitudes. In Docheonsugwaneumga, Heuimyeong the mother of sick son is described with the body of praying and the mind of yearning for relief. In Jemangmega Sister of poet is going to the Buddhist paradise after her brother’s supplication for her eternal rest. The breadth of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is large. From the real road to ideal road, from suffering to success, and from the noble to the commoner, the various women are described with varied appearances. The figures have concrete images and meanings of woman s subjectiveness to walk the road. Compared with Korean narrative literatures in which the suffering women are figured, Hyangga has romantic relationships, earnest motherhood, and ideological intentions. Therefore the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대망서 시에 나타난 여성 상징 분석

        김희진 한국중문학회 2012 中國文學硏究 Vol.46 No.-

        戴望舒的詩歌得自傳統文化的精氣滋養,加上現代主義詩歌的藝術熏陶, 體現了中國的象徵主義詩歌, 幷認爲他在中國傳統的詩歌向現代詩歌的發展過程中做了?大的貢獻.在總體上, 戴望舒的詩篇里有女性的性向, 本人已經從戴望舒詩的女性偏向性和外來文藝思潮的影響關係的角度來進行分析.(《中國文學硏究》18輯1999年6月) 本稿論述目的在戴望舒的詩篇里所表現的女性象徵和詩人自我意識的關係, 進而更深刻的理解詩人戴望舒的精神意識世界.本論文內容把女性象徵分爲三個部分來進行硏究, 慾望與絶望的對象, 喪失與自我克復的形象, 純粹與回歸本能的象徵, 通過以上三個角度的分析, 1. 戴望舒詩中女性的形象作爲詩人的愛情的對象描繪戀人,小姐,女人.這些女性反映到戴望舒的戀人「施絳年」的女性性與戴望舒本人潛意識中的女性性.2. 詩中的喪失與自我克復形象有「雨巷」的小姐, 日本舞姬百合子, 八重子的形象, 這些女性實際上還是精神上皆痛失家園的孤獨的懷鄕病者, 可是內面意識上尋夢者,理想追求者. 所以認爲戴望舒詩中的理想追求女性形象是懷鄕病者與尋夢者的結合形象.3. 詩中的純粹與回歸本能的象徵有村里的姑娘與天上的母親. 通過故鄕村里的姑娘描寫了人間內面原初的故鄕心象, 通過描寫了詩的主人公形象對母性愛的內涵作深入探索.

      • KCI등재후보

        <명행정의록>의 여성 형상화 양상

        서정민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1

        본고는 한글 대하소설 의 여성 형상에 나타난 특징적 면모를 주목한다. 은 주인공군 여성들의 詩作 활동을 다양하게 형상화하고, 여성의 재능에 대한 호의적 관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면모는 사회적 통념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서 의 작가 또한 이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 작가는 여성의 詩作 활동이나 재능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견제하면서 자신이 그려가는 여성 형상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詩作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의 재능과 그 실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의 여성 형상은 대하소설이 향유되던 당대, 대하소설의 주향유층인 상층 여성 가운데서 서로 상통하는 면모들을 볼 수 있다. 여성 한시 작가와 학문하는 여성의 존재는 이러한 여성 형상이 비현실적인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이런 점은 이 시대적 흐름에 따른 현실의 변화와 적절히 호흡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와 같은 선진적 여성 형상을 구체적인 詩作 활동을 통해 그려낸 점은 대하소설이 전통적으로 보여준 상층 여성에 대한 지배이념의 '규범서'로서의 성격에 일정한 변화가 있음을 드러내는 지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주인공군 여성들을 통해 호의적으로 형상화한 여성의 詩作 활동 양상은 그간 대하소설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지배이념에 충실한 여성주인공들의 면모와 일정한 거리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women figures in Myeonghaengjeonguirok. The author of Myeonghaengjeonguirok figured the women characters as poets and made much account of displaying their talents in practice. But the emphasis on the literary talents of the women didn't relate with the idea generally accepted. It seems the author was aware of that as well, so he asserted his character to be right by means of having at the idea generally accepted. In result, it is the advanced women figures worthy of note, which have never been researched into. The women characterized by composing poems and displaying the literary talents in Myeonghaengjeonguirok cut a conspicuous figure. Though it were not common in the day, these characters were not unreal out of the upper classes women who enjoyed the hangeul saga novel. The hangeul saga novel had educated the readers for the ideology since the quickening period. In this account,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racters which didn't correspond with the ideology are not common in hangeul saga novel.

      • KCI등재

        『靑城雜記』의 여성 형상과 여성 담론

        장진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This paper aims to deliberate on the female representation and view on women as appears in “sŏngŏn” (醒言, Enlightening Words), a chapter in Ch'ŏngsŏngjapki (靑城雜記, Various Records by Ch'ŏngsŏng), written by Sŏng Taechung (成大中). Thre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ppear in Ch'ŏngsŏngjapki. First is ‘chaste women (烈女)’; Among them are the women who committed suicide after their husbands passed early on in the marriage, and Yubun (有分), a female servant who passed while fighting for her chastity, are women who resolutely practiced ethics based on the morality they had internalized a priori. Here, the writer also does not uniformly label all women’s ethical acts as chastity; instead, he specifically classifies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 such as ‘wise (賢)’ or ‘righteous and chaste (義烈)’ -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act. Second is righteous and ‘chivalrous (義俠) women’, such as Ch'wisŏm (翠蟾) and Poktŏk (福德), who supported the men in exile. Portraying these women as righteous and chivalrous - as dutiful beings - gives birth to a new type of female figure, as agents of ethics in a new era. It is also to transgress the gendered hierarchical boundaries of ethics. But at the same time, not describing the characters’ emotions and desires closely resembles the narrative strategy often employed in yŏllyŏjŏn (列女傳. biographies of virtuous women), which tends to produce the ideology-driven ‘orthodox character’. The third is ‘loyal and faithful (忠節) women’; Madame Kim (金氏) and Madame Sŏ (徐氏) are women who actively practiced virtues belonging to a ‘public’ realm - generally earmarked as masculine - independently, without being linked to a male figure.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ation here, in that their actions are only acknowledged when their actions are of value to men and the groups related to them. Next discussed is characteristical view on women in Ch'ŏngsŏngjapki. Sŏng Taechung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man’s virtue and her character - in other words, ‘the dilemma of womanly virtue (婦德)’. He claimed that ardent fidelity and chastity (孝烈) can contradict with the feminine conduct, in which docility (順) is of importance, and that women who performed outstanding acts may have a temper. Sŏng Taechung also stated that Chŏson women’s temperament has become worse since remarriage was disallowed; his argument is that women, without any other means, seek death when disgruntled by their husbands. He suggests, as a solution, that husbands be careful in their action to lead women in their families, in order to control such ‘temper’ of women. While he failed to come up with an active solution, it is significant that Sŏng Taechung stressed the efforts that should be made by men, instead of forcibly demanding one-sided docility or patience from women.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Sŏng Taechung realized and contemplated about the contradictions in the workings of female virtue. 본고는 성대중의 『靑城雜記』《醒言》에 나타나는 여성 형상과 여성 담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청성잡기』의 여성 형상을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유형의 여성 형상은 모두 윤리의 수행 주체로서의 여성의 모습을 부각한 것이다. 첫째는 烈女의 형상이다. 시집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죽은 남편을 따라 자결한 여성들과 정절의 위협에 저항하다 죽음에 이른 여종 有分은 선험적인 윤리의 내면화를 바탕으로 결연히 이를 실천한 인물들이다. 저자는 또한 여성의 덕을 모두 烈로 귀속시키지 않고 그 행위의 성격에 따라 ‘賢’ 또는 ‘義烈’과 같이 세분해서 파악하기도 했다. 둘째는 義俠의 형상으로, 유배 간 남성을 봉양한 기생 翠蟾과 福德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을 信義 있는 인물, 즉 의협으로 묘사한 것은 새로운 시대의 도덕의 수행자로서의 여성 형상을 창출한 것으로서, 젠더화된 도덕의 위계를 넘어서는 태도이다. 그러나 인물의 감정과 욕망을 배제하는 서술 태도는 이념에 투철한 ‘전형적인 형상’을 만들어내는 열녀전의 글쓰기와 닮아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셋째는 忠節의 형상이다. 金氏와 徐氏는 남성과의 연계 없이 독자적으로 공적 영역의 가치를 실현한 여성들로서 그 능동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행위는 이들과 연관된 남성 및 집단의 가치를 현양한다는 맥락에서만 그 의미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어서 『청성잡기』의 여성 담론을 검토하였다. 저자는 여성의 덕과 성품의 관계, 즉 ‘婦德의 딜레마’에 대해 논하였다. 맹렬한 孝烈은 ‘順’을 정도로 하는 부덕과 어긋날 수 있으며, 특출한 행동을 한 여성들은 성질이 사납다고 하였다. 또, 조선에서는 개가를 금하기 때문에 부인들의 기세가 더 강해졌다고 하였다. 다른 방도가 없기에 남편에게 화가 날 때마다 죽으려 든다는 것이다. 성대중은 여성들의 이러한 ‘사나움’을 다스리기 위해 남성들이 행동을 삼가서 집안 여성을 훈도해야 한다고 하였다. 비록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했으나, 여성의 일방적인 순종이나 인내를 강요하지 않고 남성 측의 노력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다. 또한 당연한 것으로 전제되었던 여성 윤리의 작동 방식에 현실적인 ‘모순’이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진지하게 고민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호춘향(胡春香, 호 쑤언 흐엉)의 생애와 작품의 여성형상(女性形象)

        최귀묵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3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Ho Xuan Huong, a Vietnamese poetess who lived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In her poems she preferred to create the passive female image. She pictured a woman who resigned herself to her fate. And she dared to describe the female body as a sex object at the mercy of man. She thought women's situation is changeable depending on the men's attitudes. She was not afraid to use popular and colourful language, rich in bold expressions and handled risky words and phrases skilfully. In her inimitable style, dotted with allusions and double entendre, she castigated the male authority in feudal society. She showed her deep affection for unhappy woman. In her unique way she lamented the passive status of woman, and raised the issues of their initiative, freedom and equality. This study has shown the need to deepen understanding Ho Xuan Huong by comparing poets of Korea and Vietnam and to pay attention to the literary history of Eastern Asian poetry. 이 논문에서 필자는 중세시기 베트남 여성시인 호춘향(胡春香, Hồ Xuân Hương, 호 쑤언 흐엉, 1773-1841)의 당률쯔놈시 작품에 나타난 여성형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논의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춘향의 당률쯔놈시 작품에서는 남성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면서 고독한 처지를 운명으로 돌리며 체념하고 있는 여성의 형상, 남성의 뒤틀린 성적 욕망에 억압과 착취를 당하는 여성의 형상, 남성 중심의 세계가 아무리 가혹하다고 해도 고귀한 여성성을 지키고 있겠노라고 다짐하고 있는 여성의 형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갈래의 여성형상은 남성과 대등하면서도 온전한 관계 맺음에 실패하고, 고립되어 억압받는 피동적인 여성형상이라는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호춘향 당률쯔놈시에서는 여성의 ‘몸’이 피동적인 처지에 놓여 있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는 점 또한 두드러진 특징이다. 여체(女體)는 남성의 성적 욕망이나 시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여체의 피동성은 남성(군자)의 욕망과 선택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거울이다. 여체의 한없는 피동성은 남성의 욕망이 어떻게 행사되고 있는지를 역으로 알게 해 준다. 피동적인 여성형상을 구현하되 성애(性愛)의 대상으로 설정해서 극한에까지 밀고 가는 실험을 한 데서 호춘향의 창의성이 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宋元代戱曲所描寫的家庭中女性形象

        河炅心 한국중국학회 2002 중국학보 Vol.46 No.-

        宋元代는 중국역사상, 상공업의 비약적 발전과 이민족 통치하의 전통사회질서 붕괴 등으로 사회·경제·문화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며 여성의 사회내·가정내에서의 지위와 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도시경제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직종이 생겨나고 여성의 노동력이 더욱 활용될 여지가 많아짐에 따라 여성이 가정경제에 기여하는 비중이 커지고 재산권이나 재혼의 권리가 어느 정도 보장됨에 따라 가정내 여성의 위치가 격상된 면도 있으나, 경제적 역할이 확대되었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그것이 여성에게 압력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특히 중하층계급 여성에게 있어 가정의 관리자라는 전통적 역할 외에 생계유지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여기에 매매혼·민며느리제·전당혼·창기제도·축첩제 등의 사회적 악습들은 그녀들의 입지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다. 또한 과거제도를 통한 신분상승의 욕구와 데릴사위제 같은 제도는 남성들에게 '背親棄妻'를 합리화하는 빌미를 제공, 하층여성들에게는 또 하나의 박해요인이 되었다. 元代에 들어서면 전통윤리질서가 와해된 상황에서 부패한 관리와 권력자, 무력을 앞세워 살인까지 저지르는 流氓들의 존재가 사회적 약자인 중하층 여성들의 삶과 가정을 파괴하는 주요인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들은 사고 파는 상품과 다름없는, 언제든 유린당하고 이용당한 뒤 버려지는 존재가 되었으며 부부관계나 부녀, 모녀관계 역시 외부적 요인들에 의해 파괴되기 쉬웠다. 송원대 사회를 가장 핍진하게,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南戱와 雜劇, 특히 婚變戱와 가정사희극, 公案劇들에는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가족관계가 어떻게 파괴되고 가족간의 유대감이 상실되는가가 어느 장르보다도 잘 묘사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남희중,「조정내채이랑」·「왕괴부계영」·「장협장원」등과 원대의 잡극중, 「회란기」·「두아원」·「추호회처」·「노재랑」등을 통해 송원대 중하층 여성들의 삶의 질곡과 가족관계의 파괴양상을 살펴보고 그녀들이 그러한 상황하에서 어떻게 자신의 존엄과 가정을 지키고자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여성들의 형상은 희생자적인 모습이 강하지만 불행한 운명에 순종하거나 모든 희생을 감내하고 소리없이 사라져 가기보다는 그들을 그렇게 만든 세상과 사회, 남성들을 질타하고 원망하며 절규한다. 더 이상 내몰릴 데 없는 극한상황에서도 불가사의한, 적극적인 힘을 발휘하고 윤리의 회복을 외치는 것으로 묘사된 이 시기 희극 속 여성들은, 비록 그들의 행위가 진보적 사상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생존에의 몸부림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지라도 충만한 삶의 의지와 열망, 자아의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른 시기의 문학 속 여성형상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특징은 불합리하고 비정상적인 특정시기 역사와 작가들의 투철한 사회의식이 빚어낸 결과이지만 한편으로는 전 역사시기에 걸쳐 여성들이 사회와 가정 내에서 겪어왔던, 그리고 겪고 있는 보편적 갈등과 모순의 면면들이 극대화되어 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교과서 수록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

        황윤정(Yun jeong Hwa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3

        본고에서는 2022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작품에 드러난 여성 형상화 방식 및 그에 대한 교육내용의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설화 교육의 미래 지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국면에서 문학 작품과 학습 독자가 마주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수록 제재의 면면을 살펴보는 ‘무엇을’의 층위와 제재의 교육 내용화에 대해 살펴보는 ‘어떻게’의 층위로 나누어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엇을’의 층위에서는 여러 여성 서사의 수록이 눈에 띄며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성의 형상 및 여성 영웅 인물에 대한 주목이 뒤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떻게’의 층위에서는 여성 인물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변주하여 현재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더한 학습활동을 통해 새로운 교육 내용을 완성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 내용의 문제를 검토한 바, 우선적으로는 문학 제재의 총체성을 구현할 방식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문학 제재의 경우 작품 자체가 가진 가치가 중요한 요소인 까닭에 기존의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작품의 가치를 간과하지 않는 학습 내용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른 특정 개념의 의미역 변화나 소외되었던 여성 인물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것에 현재적인 해석을 더하여 교육의 국면에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살펴본 바, 교과서에서 다루는 ‘영웅성’ 개념의 의미역에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건국 남성 영웅 서사가 배치되던 자리에 여성 영웅의 서사가 배치되며, 자연스럽게 달라진 영웅의 자질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은 과거의 것이기에 현재의 학습자들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겠으나, 그것에 담지된 시대적 인식의 전형을 짚어내고 언어로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현시대의 윤리 의식을 점검하는 ‘윤리적 잣대’로 활용할 수 있음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Ahead of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imagery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revealed in the folktale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way literary works are delivered to the learning read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 method of female imagery in the folktale and the problem of education were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the level of ‘what’ and the level of ‘how’. As a result, several female narratives stand out at the level of ‘what’.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ttention on female figures and female hero figur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how’,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new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leted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at vari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female figures and added interpretations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In this way,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folktale s method of female imagery and its educatio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the method of realizing the totality of a literary work. In the case of literary materials, since the value of the work itself is an important fact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ing content that mee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isting literary field and does not overlook the value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re are changes in specific concepts or alienated female figur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diligently reflect them in the aspect of education by adding a current interpretation to this. As we have seen, there was a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heroness’ covered in textbooks, and accordingly, the narrative of the female hero wa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male heroic narrative of the founding of the nation was plac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d hero s qualitie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classical literature is a thing of the past, it may cause discomfort to current learners. However, it is argu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thical standard to check the current eth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method of pointing out the typicality of the perception of the times embodied in it and revealing it through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