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화하는 여성들과 국민 되기의 서사

        이민영(Lee, Min-yo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1

        해방기 여성문학연구는 공백상태로 남아있다. 이는 기존의 여성문학연구들이 여성적인 글쓰기를 전제로 여성문학의 의미를 규명하고자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해방기 여성작가들은 강력한 국민 되기의 서사를 내세우면서 여성성의 가면을 벗고 지식인-작가의 정체성을 확보해나가려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해방기 여성 문학의 의미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했다. 본고는 기존연구가 여성이라는 또 하나의 규약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보고 여성-작가의 모순적인 정체성에 주목하였다. 여성-작가는 발화 불가능한 여성으로서의 현실과 발화 하고자 하는 작가로서의 욕망을 동시에 담지하고 있다.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국민 되기 서사는 이러한 여성-작가의 정체성을 선명하게 드러내는데, 특히 지하련의 「도정」과 손소희의 「도피」는 지식인 남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이를 구체화 한다. 해방이후 창작된 「도정」과 「도피」는 ‘여류문인’으로 한정되었던 여성-작가의 정체성을 거부하고 적극적으로 정치적인 발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민 되기의 서사는 서술자의 여성성을 지우고 국가 건설의 일원이 되는 남성 주인공을 형상화한다. 하지만 서사에는 발화되지 못하는 지점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해방에 늦게 도착하는 인물들을 통해 구체화 된다. 해방의 순간 다른 조선인들과 함께 만세를 부르지 못하는 소설의 주인공들은 식민사회를 극복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해야한다는 요구에 즉각적으로 호응하지 못하고, 때늦게 해방의 현실에 도착한다. 이들의 때늦음은 식민성을 극복하고 독립된 국가의 국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에 균열을 낸다. 여성-작가의 시선은 국가 건설의 담론에 강력하게 호응하는 동시에, 완료되지 못하는 국민 되기의 과정을 서사화한다. 이를 통해 이들 작가들은 필연적으로 발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동시에 발화 불가능한 지점에 봉착하게 된다. 여성의 현실을 넘어서 지식인의 발화를 시도하는 이들의 작품들에는 여전히 독해될 수 없는 발화의 부분들이 상존해있다. 하지만 이를 해독 불가능한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불가능성에 대한 끊임없는 시도로 읽어낼 때,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양가적인 목소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emale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Korea has not been thoroughly studied. Existing studies of female literature were conducted based on ‘female writing’. Female authors of the liberation period, however, focused on the narrative of being a nation and tried to find a way to be an elite author, which had not been permitted previously. To acquire the status of elite author, female writers would speak through male narrators. This article considers studies of female literature focusing on female writing restricted by a fixed gender ident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female narratives about being a nation, spoken through the voice of elite authors but omitting the female identity. Son So-hee’s Evasion and Ji Ha-ryun’s The Path are representative novels that show the main features of female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Narration of these novels is based on acquiring a national identity through male main characters. By writing this way, the authors were able to speak about political issu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xposed their actual gender that was not fully allowed to speak those issues. This is represented as belated nations, in which main characters desperately seek to join the nation building process but cannot be an immediate member because they are not free from a sense of guilty from the colonial past. They are anxious to join the historical progress but arrive too late for the moment of liberation. The anxiety of the belated nations is a result of female authors’ narration. Female authors were in a conflicting position: they wanted to speak as elite authors but were not able to speak fully as women. Therefore, their novels contain points that cannot be interpreted, in spite of their strong voices as national elites. This ambivalence is a key characteristic of what it meant to speak as women.

      • KCI등재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 - 『사상계』 여성문학 비평과 여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lacement of woman-literature in 195․60’s which is focused on 『Sasanggye』. The reason why 『Sasanggye』 becomes the object of my study can be classified with two categories. First, 『Sasanggye』 dealt with ‘literature’ as the medi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and the context of the production of intellectual and culture in 195․60’s, and then it is assumed that this characteristics effected on the women’s works. Second, it is likely that 『Sasanggye』 led to the shift of generation in women writers and their own literary field, while producing the new generation’s literature. For confirming this assumption, this paper reviewed the criticism about women’s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bibliography and analysis about women’s literary works. In chapter2 ‘the project of literature in 『Sasanggye』’, focusing on the preface, the publication of literary supplement, literary symposium, 『Sasanggye』 tried to make the independent literary fiel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nother, anti-ideological literary field at that time. In chapter3 ‘how 『Sasanggye』 arranged or placed the women’s literature’, this magazine used the critical words like sensitivity, delicacy, introspectiveness, when dealt with the women’s works in monthly review or brief comment. That is, these criticisms differentiated women’s works from men’s works. And these critical discourses paid attention to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 in 1950․60s. In chapter4, ‘the figure of young woman and young generation’s differentiation from old world’, the three characteristics in women writer’s novels was suggested. These novels’ main characters were usually young women. The young women looked at Korean society after Korean war or 4.19 critically and pessimistically. And the new paradigms like the modernity project, longing for liberty, post-colonialism was presented in women’s point of view. First, their novels criticized the young man’s narrative which was focused on the anxiety, melancholy, and tame-ness, and made them awakened. Second, the young women criticized the patriarchal system and oppression by old generation, and showed their own wills to the liberty and independent life. Third, the married/unmarried women who lived on the unstable intellectual background tried to deny the romantic love and ordinary marriage system, so that caused the crack about the patriarchy. In conclusion, 『Sasanggy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literary field in 1950․60’s, but it was the ‘anti’-gendered media because of poverty of female literary discourse. However, it is true that this magazine helped ‘women’ writers entered the literary field while seeking the new generation. 『Sasanggye』 included new women writers inevitably, and the women writers were also allowed as the writer-subject, so that could lead the change in women’s literary field. 이 논문은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 양상을 『사상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상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사상계』가 195․60년대 지식 및 교양생산의 맥락에서, 그리고 현실참여의 매체로서 ‘문학’을 중시했고, 그것이 『사상계』수록 여성작가들의 작품에도 모종의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가정 때문이다. 둘째, 『사상계』가 새로운 세대의 문학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비록 소수라 하더라도 여성작가와 문학 장의 세대교체를 견인해냈을 것이라는 추측 때문이다. 이를 위해 『사상계』에 수록된 여성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서지사항 소개 및 분석뿐만 아니라 여성작가 작품에 대한 비평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2장 ‘사상계의 문학 기획’에서는 예비 작업으로서 권두언과 문예특집증간호, 문학심포지엄 등의 기획을 중심으로 『사상계』가 당시 순수문학 장과는 다른 사상과 이념 중심의 문학 장 형성에 주력했음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3장 ‘사상계는 여성문학을 어떻게 배치했나’에서는 여성작가 작품에 대한 월평, 단평류 글에서 여성을 감수성, 섬세함, 내성적과 같은 어휘들로 유표화 하였음을 밝혔다.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남성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것으로 여긴 것이다. 또한 195․60년대 신진 여성작가군의 등장에 주목했음을 알 수 있다. 4장 ‘여성-청춘의 표상과 세대론적 구별짓기’에서는 『사상계』 수록 여성작가 소설의 특성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여성-청춘을 주체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전후나 4.19 이후 한국 사회에 대한 비관적/비판적 시선을 유지하였으며, 근대 기획, 자유주의에 대한 갈망, 탈식민 기획과 같은 새로운 인식적 패러다임을 여성의 시각으로 다시 짠다. 첫째, 『사상계』에 수록된 여성작가들의 작품은 전후 불안과 우울, 무기력에 빠진 남성-청춘의 서사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 남성들의 각성을 견인한다. 둘째, 여성-청춘의 주체적 시각으로 가부장적 질서 및 구세대의 억압적 질서를 비판하고 자유에의 갈망, 주체적 삶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셋째, 전후의 불안한 지적 토양에서 성장한 기혼여성들이나 미혼여성들은 낭만적 사랑과 그 결실인 결혼 제도에 대한 불신과 환멸, 거부 등을 통해 가부장적 질서에 균열을 내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사상계』는 195․60년대 현대문학의 특징을 확정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지만 ‘여성’ 관련 문학 담론은 빈약한 ‘비’젠더적 매체였다. 하지만 이 잡지가 문단의 ‘새로운’ 세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문학 장에 진입하는 데 기여를 한 것도 사실이다. 『사상계』는 자발적이건, 비자발적이건 새로운 문학의 영토를 개척한 여성작가들을 포용할 수밖에 없었고, 여성작가들 역시 이 잡지를 통해 글쓰기 주체로서의 욕망을 인정받았고, 여성문학 장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 KCI등재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how the women writers' writings produce the women's intellects. Concretely, this includes the way how women's intellect is made by educational system, media, literary field, and women writers' writings about social issues. The periods are dealt from early modern period, 1900's to 1990's. First, the women writers in early modern period like Na Heseok, Kim Ilyeob, Kim Mungsoon displayed the necessity of modern education, ideology of equality, role of women intellectuals through 'rhetoric of enlightenment'of their magazines. The being-writer was active practice which made herself as the subject of writing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The rhetoric of enlightenment and mobilization which was invented by women writers in early modern period returned in the latter period of imperial Japan. Choi Jeonghee and Mo Yunsook who were the main characters in women's literature in 1930's were mobilized at the nationalism in Korean war period, post Korean war period as well as in colonial period spontaneously,and their acts influenced to ordinary women. Third, 'the writing of testimony and memory' of women writers in 198·90's had to be re-evaluated in the sense of gendered practice about history and reality. The women's private memories can become the counter-memory about public memory which is produced by masculine nation. Shin Kyungsook, Gong Jiyoung, Gong sunok, Park Wanseo experimented those writings of testimony and memory from 1980's to 1990's. In conclusion, the women writers had the negative identities as 'consumed knowledge' and 'mobilized intellect'. However, there were writers who intended to represent the subaltern women. The exploration of intellectual genealogy about women writer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must explain the collision and cooperation between multiple identities in male centered society,and their creations of women's intellects. 본고는 여성작가의 글쓰기와 여성지성의 생산이 접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지성이 학교제도, 매체, 문학 장 등을 통해 구축되는 방식, 여성지성이 담론 장이나 실천의 장에 배치되는 방식, 시대의 의제에 대응하는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대상 시기는 근대초기부터 1990년대로 한정한다. 먼저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등 제1기 여성작가들은 근대적 교육의 필요성,‘여성도 국민이다.’라는 평등주의 이념, 여성지식인으로서의 역할 등을 자신들이 창간한 잡지나 주도적으로 참여한 잡지를 통해 ‘계몽적 수사학’으로 표출하였다. 근대 초기 여성지식인들의 작가-되기는 스스로를 공적 담론 장 안에서 글쓰기 주체로 주조하는 적극적인 실천행위였다. 근대 초기 여성작가들에 의해 시도되었던 계몽의 수사학, 권고와 요구에기반한 동원의 수사학은 일제 말기에 귀환한다. 1930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을 주도한 최정희, 모윤숙 등은 식민지 시기와 일제 말기 지배담론에 적극동조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와 전후에도 종군작가 혹은 근대화 프로젝트의 수호자로 국가주의 담론에 기꺼이 동원되었고, 여성대중들을 유인하였다. 한편 198·90년대 여성작가들의 ‘증언과 기억으로서의 글쓰기’는 역사와 현실을 젠더적으로 전유하는 작업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볼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 서사에서 여성(작가)의 사적 기억은 국민국가 안에서 생산되어 온 공적 기억에 대한 대항기억이자 여성의 역사에 대한 공식적인 망각에 저항하는 대항기억의 예가 될 수 있다. 신경숙, 공지영, 공선옥, 박완서의 소설은 이같은 증언과 기억으로서의 글쓰기를 실천하였다. 결론적으로 여성작가들은 ‘소비되는 지식’이면서 ‘동원되는 지성’으로서의부정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하위계층 여성들의 입장에서 재현/대표성을 고수한 작가들도 있었다. 한국 근·현대문학에서 여성작가의 지적 계보를 탐색하는 작업은 이 다양한 정체성들이 충돌하고 때로는 습합하면서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지성’, ‘여성교양’을 창출해내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완벽한 해피엔딩’을 위한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

        최은(Choi, E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최근 몇 년 사이 여성 작가들이 쓴 여성들의 이야기가 스크린에 자주 등장했다. 그 중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은 작품성이나 대중성 양면에서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여성으로서 여성 주인공(조)에 매료되어 20세기를 보냈던 21세기의 감독이 19세기 여성 작가가 지녔던 열망과 한계를 간파하고, 새롭게 해석한 주인공을 매개로 자신과 원작자의 꿈을 동시에 이루어내는 집요한 탐구와 모색의 결과물로 읽는다. 거윅의 〈작은 아씨들〉은 여성 작가가 여성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의 행복과 자유를 옹호하는 관점으로 만든 작품이라는 점에서,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여성의” 영화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작가’라는 타이틀을 지닌 세 명의 여성을 만나게 된다. 〈작은 아씨들〉의 주인공 네 자매들 중 둘째이면서 작가가 된 조 마치와 원작의 작가인 루이자 메이 올콧,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색자이면서 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이다. 그레타 거윅은 영화 〈작은 아씨들〉에서 작가가 된 조 뿐 아니라 각기 다른 예술적 재능을 지닌 네 자매들의 꿈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아무도 배제되지 않는 결말의 ‘완벽한’ 해피엔딩을 통해 이들의 꿈이 고루 성취된다고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조의 결혼은 흔히 이해되는 것처럼 작가의 ‘타협’이 아니라 꿈을 향한 적극적인 선택이고, 백인 남학생들의 학교였던 원작의 한계를 벗어나, ‘모두를 위한’ 학교가 된 플럼필드 아카데미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올콧의 가장 충실한 독자이면서 창작자가 된 각색자 거윅은 그리하여 ‘글을 팔고 흥정하는’ 작가 조와 어려운 시절을 글을 쓰며 견뎌야 했던 19세기의 작가 올콧 모두에게 ‘구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앤디 매드허스트와 존 코이, 제임스 네어모어 등에 의한 현대영화의 작가론에 바탕을 두고, 각색을 비평적 창작으로 보았던 린다 허천의 각색이론과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각색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을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작가로 보고 거윅의 영화 〈작은 아씨들〉을 다양한 결을 지닌 텍스트로서 분석한다. In recent years, stories of women written by female writers have frequently appeared on screens. Among them, Greta Gerwig’s Little Women(2019) is a work that stands out in both the artistic and popular aspects. This work is a text created by a 21st century female director who spent the 20th century fascinated by the female protagonist (Joe). She discovered the aspirations and limitations of a 19th century female writer who created Joe, so that she realizes the dreams of herself and the original author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newly interpreted Joe. Gerwig’s Little Women i s a film “ B y women, For women, and Women’s.” This is because it is a work created by a female artist with an interest in women’s life and advocating for women’s happiness and freedom. In this work, we meet three women with the title of ‘writer’. They are Joe March, the second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Little Women, and Louisa May Alcott, the original author, and Greta Gerwig, the adaptor and director of the film. Greta Gerwig focuses on the dreams of four sisters, each with different artistic talents, as well as Joe, who became a writer in the film Little Women. This study saw that their dreams are evenly fulfilled through a “perfect” happy ending in which no one is excluded in the end. In that sense, Joe’s marriage is not the artist’s “compromise,” as is commonly understood, but an active choice toward a dream. And, beyond the limits of the original work, which used to be a school for white boys, Plumfield Academy, which has become a “for all” school, is a symbolic space. Thus, the adaptor Gerwig, who had been Alcott’s most loyalreader and now creator, is a “salvation” to both the “selling and bargaining”writer Joe and the 19th century writer Alcott, who had to endure difficult timeswhile writing. This study sees Greta Gerwig, the director of adaptation film, as a writer found in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aptation theory and intertextuality of Linda Heochun. And it also uses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uthorship by Andy Madhurst and John Caughi. In addition, this analyzes Gerwig’s film Little Women as a text with various textures.

      • KCI등재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심진경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forming course of lady of letters in the colonial Korea. Here are three questions for research of this problem. First, what woman was called as lady of letters? The name of ‘Lady of letters’ was limited to woman author writing literary works, which was a wide concept concluding women from studying Tokyo, alumnae or the students of Ewha Woman’s Collage, and woman journalists of newspaper or magazine. In result, ‘mute writers without literary works’ were also named name ‘lady of letters.’ As it were, the substance of conceptual and real of ‘lady of letters’ relied upon the material of literary external like educational course, social position, and appearance as so as creating literary works. It is followed by second question, which is related with critic standards of literary works of women in that times. Literary works by women was often ignored as the non-literary or the girlish literary. Standards of this critics were generally made of references to private lives of lady of letters, by male critics or writers. If literariness were founded in works of several literary women, it could be also possible only satisfying masculine standards. ‘Literature of girl’ was a concept revealing ultimate hierarchical consciousness of gender. Considering such aspects. word of ‘the literary lady world’ proves, which come into use the second-term woman writers since 1932, that such mechanism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mposed on entire woman writers. However, grouping the literary women mean their becoming powerful and institutional. That is this paper‘ third question. ‘The literary lady world’ was formed centering around proletarian-writers like Park Wha-sung, Kang Kyoung-ae and Song Kye-wol in the early 1930s, which couldn’t show their real ability to the entire literary lady world because of dissolution of KAPF. The very fact demonstrates that discourse of masculine centralism hold sway their destiny. In the later 1930s, the literary lady world of woman writers like Choi Jung-hee, Mo Yun-sook, No Choen-myoung, was grouped by ‘feminine lady writers’ owning in common features of the maternal, the domestic and the spiritual, which, in fact, was feminine values imposed on woman by nation and society. Therefore, both pro-writers and feminine writers was not different entirely in this respect of making form through internalizing the value system of masculine central. 문학은 한편으로는 언어와 상상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사회적인 관념의 산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규범, 관행, 관습, 법률과 같은 사회적 차원에서 형성된 구성물이다. 따라서 문학적 가치란 사람들의 관념 속에 존재하는 불변의 실체라기보다는 문학 외적인 기준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유동적인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여류작가’의 형성 과정은 바로 이러한 문학적 가치의 유동성과 비문학성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여류문인’의 결정 조건, 두 번째는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 세 번째는 ‘여류문단’의 형성 과정이다.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범주를 설정하는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그 당시에 ‘여류문사’라는 호칭은 문학작품 창작을 직업으로 삼는 전문적인 여성작가에게만 한정되지 않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동경 유학생 출신이거나 이전 출신의 여성, 신문이나 잡지사 기자 출신 여성은 대부분 여류문사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작품 없는 벙어리 작가”도 ‘여류문사’로 언급될 수 있었다. 그만큼 창작 활동 여부가 ‘여류작가’ 혹은 ‘여류문사’를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었던 것이다. 이는 ‘여류문인’에 대한 평가가 전적으로 문학 내적 기준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학 외적인 다양한 조건들, 특히 학력, 사회적 지위, 외모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여성작가들에 대한 끊임없는 스캔들과 그들의 외모에 대한 끝없는 관심은 특히 ‘여류문인’의 경우 이러한 문학 외적인 조건이 훨씬 더 지배적인 결정 요소였음을 암시한다. ‘여류문인’ 여부를 판단하는 이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그들의 작품에도 적용된다. 특히 그 당시 여성작가의 신체적, 외적 인상은 물론 그들의 사생활이 여성작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여성문학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반복 재생산된다. 그리하여 ‘여류작가’의 사생활과 ‘여류문학’은 서로가 서로를 평가의 기준점으로 삼는 거울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논리화될 수 있다. 하나는 문학 외적인 평가 기준의 적용으로 ‘여류문학’을 비문학적인 것으로 가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여류문학’의 문학성을 평가하더라도 대개 ‘남성성’을 표준 혹은 기준점으로 삼아 그것과의 관계 속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주변화하는 것이다. 이는 ‘여류문학’을 문학 아닌 것으로 ‘배제’하고 남성작가의 작품과는 다르다고 ‘차별화’하는 논리에 다름 아니다. ‘여류문학’은 바로 이러한 남성중심적인 배제와 차별화의 논리에 의해 문학 아닌 것으로, 혹은 남성작가의 작품보다 미성숙한 것으로 규정된다. ‘소녀문학’이라는 개념은 바로 이러한 위계화된 젠더 의식의 극단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932년부터 제2기 여성작가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여류문단’이라는 용어는 분명 이러한 배제와 차별화 논리가 여성작가 전체를 겨냥한 것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작가의 집단화는 여성작가의 세력화와 제도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성작가가 그룹화되기 시작한 때는 1930년대 초반인데, 그 당시 ‘여류문단’은 박화성, 강경...

      • KCI등재후보

        국가와 여성, 제1세대 여성 극작가의 선택 방식 - 박현숙의 경우

        김옥란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Park Hyun-sook is 1st generation female playwriter appeared after the Korean War. The advent of female playwriter in late 1950s was so late whereas the origi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drama history was placed in 1900s. Such a late advent of female playwriter shows the exclusion to the women in the field of play writing. The major interest of this paper is that the time of advent of female playwriter was, ironically, same to that of n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relations between female subject and nation might be a issue in another aspect different from colonialism. Nowadays, in feminism, various discuss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nation and women were proposed, therefore this relations focused in 1st generation female playwriter were explored in this paper. Among them, Park Hyun-sook identified positively herself to nation since she was a North Korean refugee and a woman. She was lack of both things, not a native South Korean and, what is more, not a man. For this circumstances she had to defend herself and survive. The drama of her early days were mainly melodrama and in her melodrama heroine was characterized by high morality on the stage. Generally melodrama has a dichotomy structure of good and bad, and has a ending of victory of good man. This is the very effective way of showing off her inner justice. And then Park Hyun-sook got a firm position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and cultural org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In spite of such a success, she was not a successful writer because secular success couldn't guarantee the success as a writer. By the internalizing nationalism in her mind she got a reputation but she lost the historical vision which had to be held strongly as a writer. 박현숙은 전후 새롭게 등장한 제1세대 여성 극작가이다. 한국 근대문학사연극사의 기점을 1900년대라고 했을 때, 1950년대 후반에야 가능했던 여성 극작가의 출현은 매우 뒤늦은 편이다. 그만큼 희곡이라는 장르가 여성 작가에게 배타적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역설적으로 여성 극작가의 출현이 전후 민족국가의 출현과 그 시점을 같이한다는 데에 이 글의 궁극적인 관심이 놓여있다. 곧 여기에서는 식민주의와는 또다른 상황 속에서 여성 주체와 국가 혹은 민족과의 관계가 문제될 수 있다. 현재 페미니즘 논의에서 국가 혹은 민족과 여성이 맺는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한국 민족국가의 출발과 그 시점을 같이 하고 있는 제1세대 여성 극작가를 중심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국가의 여성’으로서 자신을 적극적으로 동일시하고자 했던 박현숙의 경우를 주목하여 볼 것인데, 여기에는 월남민이자 여성으로서의 그녀의 정체성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박현숙은 남한사람, 그중에서도 남성에 대한 이중적인 결핍요인이라 할 수 있는 월남민이자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그러한 상태에서 자신을 방어하고 살아남아야 했다. 그녀의 초기작에서 주로 도덕적으로 우월한 여주인공이 등장하는 멜로드라마가 주로 쓰여진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선인과 악인을 나누고 도덕적 결말의 구조를 가지는 멜로드라마적 전략은 박현숙 자신의 ‘내적’ 정당성을 ‘밖으로’ 드러내어 보여줄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식이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박현숙은 전후 한국 문단 및 문화계에서 안정적인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는데,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러한 지위가 그녀의 작가로서의 지위를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었다. 결국 박현숙은 국가주의의 적극적인 내면화를 통해 작가로서의 세속적인 성공의 지위를 부여받기는 했지만 그 자신 작가로서 견지해야 했던 역사적 전망, 작가적 전망은 보유하지 못했다.

      • KCI등재후보

        여성작가 친일소설 연구

        심진경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2 No.-

        본고에서는 여성작가의 친일소설을 대상으로 성별화된(gendered) 친일의 논리와 그것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친일문학의 논의에 젠더의 관점을 첨부하는 일은 단순히 여성작가의 친일 여부를 가늠하거나 친일의 내용을 고발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에 있다. 식민화된 남성 주체에 의해 배제되었던 여성이 비록 일본의 대동아공영을 강조하는 정책에 포섭되는 과정에서이긴 하지만 국민으로 호명되고 주체로 선택되는 경험을 했다는 사실은, 여성작가의 친일이 일제 정책의 단순한 추수의 결과가 아니라 일정 정도 내적 자발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는 결국 여성이 일본 신체제를 어떻게 받아들였으며, 얼마만큼 내면화했는가의 문제와 결부될 것이다. 그러나 여성작가의 친일소설에서 논의되고 있는 친일의 논리를 정리해보면, 대개 기존의 가부장제적이고 봉건적인 여성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최정희의 「야국초」에서 그려지는 '군국의 어머니'가 그것의 모성파괴적인 성격 때문에 기존의 전근대적인 가부장제 논리와 습합되어서야 비로소 내면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군국주의체제 속에서 여성에게 강조되던 애국부인의 역할 또한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에게 강요되던 가정주부의 역할을 확대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군국주의 체제하에서 여성이 공적 진출에 대한 환상을 부추겼던 친일 담론이 아이러니하게도 여전히 여성을 사적인 가정의 영역 안에 붙들어놓는 기만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조선 여성과 일본 국가의 비대칭적 관계는 심층적인 차원에서 성별의 위계화를 통해 민족의 위계화를 강화하는 수단으로까지 활용되었다. 그 결과 친일소설에서 그려지고 있는 여성의 역할은 여전히 가부장제 내에서 부여받은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여성 작가의 친일소설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체제 순응의 논리가 바로 모성적 윤리라는 사실은, 민족이나 계급 문제와 결합되지 않은 여성성의 원리가 그 자체만으로는 지배담론에 의해 쉽게 전유될 수 있는 허약하고 유동적인 것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모성의 작가이자 여성성을 소설의 구성 원리로까지 밀고 나갔던 최정희가 여성작가 중에서 가장 많은 친일소설을 남겼다는 것은, 그런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 1940's. I set new standards for pro-Japanese literature in this article. First, if works by Japanese don't have pro-Japanese contents, I will not include these in the list of pro-Japanese works. Second, I will analyze women writer's short story except poems and essays. As a result, I deal with Jang duk-jo's "A road" and Choi jung-hee's "A phantom of soldier", "In the night of fifteenth February", "The house of roses", "Dawn", "A wild camomile". Though I don't want, this article becomes A study of Choi jung-hee's pro-Japanese short story.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to represent a theory of East Asian mutual prosperity in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 1940's. Seemingly, Japan interpellate Korean women in the nation but in fact, they demand conventional feminine role from Korean women. Therefor, the roles of nationalized Korean women are limited to traditional mother or prostitute for soldiers and women play roles of old-fashioned mother and wife in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deed, Korean intellectual women don't realize deceptive gesture of Japan, for they accept Japan only as imaginary and fictional national community. So Japan makes ill use of Korean intellectual women as instrument to rationalize colonization of Korea through the theory to nationalize Korean women. I can realize that the principle of feminity not connected with social problems like nationality and class so on. Ironically, Choi jung-hee who has treated motherhood and feminity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her works, leave behind the most many pro-Japanese works among women writers.

      • KCI등재

        여성의 애도, 그 삶을 향한 메시지-중국 명대 여성작가의 悼亡詩詞 연구-

        윤혜지 중국학연구회 2020 중국학연구 Vol.- No.91

        In Chinese woman literature, the Ming Dynasty was a time when the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was increasing dramatically due to the social atmosphere that affirmed women's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ture, and the creation of the mourning poems by women's writers in the late of Ming Dynasty is increasing rapidly. The death of the family and acquaintances closest to female writers, who formed a family-centered group of poets and wrote poems and essays about family history and daily life, was a major writing subject. Through the writing mourning poems, they mourned the dead and used for healing energy by expressing, metaphorizing, and sublimating their sorrows. The mourning poetry of Women poets, which have remained silent with little study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as well as Chinese Women's Literature, is in fact an important foundation revealing the tendency of women writers in the Ming Dynasty, and it can also verify the possibility of literary healing by the mourning poetry of female poets at the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mourning poetry of the female poets in Ming Dynasty in the purpose of basic research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he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Chinese literature and women's literatur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it would find out how the ancient women faced death and the way of healing for grief was. 중국여성문학에서 명대는 여성의 어문교육과 여성문학을 긍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여성작가와 작품 수가 대폭 늘어나는 시기로 특히 명 말기 여성작가의 悼亡詩詞의 창작은 급속히 증가한다. 가족중심의 詩社를 형성해 가정사와 일상에 대해 詩詞를 썼던 여성작가에게 가장 가까운 가족과 지인의 죽음은 창작의 주요한 소재였다. 그녀들은 悼亡詩詞의 창작을 통해 죽은 이를 애도하고 그 슬픔을 표출·은유·승화·상쇄하여 치유의 에너지로 삼았다. 그동안 중국문학사 내에서는 물론 중국여성문학사 안에서도 거의 연구되지 않은 채 침묵해 온 명대 여성작가의 悼亡詩詞 작품은 사실은 명대 여성작가들의 경향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반자료이며, 이를 통해 명대 여성작가들의 悼亡詩詞 작품이 지닌 문학적 치유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대 여성작가의 悼亡詩詞 작품을 기초연구의 취지에서 포괄적으로 검토해보고, 명대 여성작가의 悼亡詩詞가 지닌 특징과 중국문학과 여성문학에서 지니는 가치와 의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작품의 내용분석을 통해 고대여성들이 죽음을 대하는 자세와 슬픔의 치유방식이 어떠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식민지시기 문학의 장에서의 여성 작가들

        전희진 ( Heejin Jun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이 글은 식민지 시대의 여성 작가들 중에서 왜 일세대 작가들은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반면에 나름 몇몇 좌익계열의 여성작가들이 나름 문단에서 명성을 떨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여성작가들의 공동집필 소설인 _젊은 어머니_의 글을 통해서 여성들의 소설 창작이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또한 정전화 과정 속에서 어떤 소설들이 선택되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여성 작가들의 삶의 전략을 살펴보려고 한다. 민족주의 계열 작가들과 유사하게 여성에 대한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계열 작가군에서 여성 작가들은 일세대 작가들의 경험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떤 삶의 방식을 만들어 갔는지를 보인다. 이를 통해, 여성 작가들의 작가로써의 그리고 식민지 시대의 여성으로써의 자신의 지위를 획 득해 가는 과정에 대해 추적하려고 한다. 이 논의를 통해서 실제로 문학의 장에서 어떻게 젠더의 변수를 통해서 살펴볼 때 문학의 영역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a question; why do some New Women, especially female writers, get commemorated as ideal models while others do not? The literary world, with its writers’ groups, was the place to practice modernity because, in the colonial context, the participation of Koreans in the economic and political realms was restricted. As a consequence, the literary realm became especially important, and it offers us a valuable opportunity for observing the discourse and behavior of these colonial subjects. Using the comparative method, I argue that gaining access to economic resources and maintaining favorable public opinion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female writers. Although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female writers had several marriages, divorces, and love affairs, the more successful second generation of female writers use several strategies such as making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dvantageous marriages, and publishing ideologically uncontroversial stories to maintain their popularity. In short, they learned the lessons of their first-generation predecessors. From these analyses, this article hopes to contribute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struction of literary field and various gender dynamics during the process.

      • KCI등재

        문화 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김현미(Kim Hyun Me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 여성 작가들의 대규모 진출은 감성과 섬세함에 기반을 둔 새로운 여성적 텍스트를 만들어냄으로써 ‘한류’의 생성을 이끌어 내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 생산자로서 여성 작가들의 공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로서 작가들은 고용 불안정과 낮은 임금, 장시간의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 산업 분야, 특히 TV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는 여성 작가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작가들의 직업 경로와 일 경험을 분석하여 젠더(gender)라는 요인이 어떻게 문화 산업에서의 새로운 노동 관리 형태를 만들어내며 성차별적인 노동 분업구조를 유지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여성 작가들이 수행하는 노동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방송 산업의 생산, 유통구조, 분배 구조 내에서 작가들이 수행하는 노동에 대한 좀 더 공정한 평가와 보상 체제가 확보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e large influx of women writers in Korea after the 1990s has contributed to ‘the Korean pop culture wave,' by creating new feminine texts based on emotional writing. Despite their significant role in the scene, women writers suffer from unstable employment, low income, and excessive working hours. This research analyzes the labor experience of women writers who participate in the culture industry, especially in TV program production, thereby examining how ‘gender' has made a new type of labor management, which substantiates sexual discrimination in labor division.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cultural industry is that human creativity becomes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with the final product satisfying a emotional or recreational desire rather than a functional one. The inherent level of uncertainty when creating artistic assets is greater than when creating functional assets both from a financial and market perspective because the tastes and desires of consumers change so rapidly. The culture industry has adapted to these economic and market risks by creating a flexible workforce through vertical disintegration. Instead of establishing a vertical labor hierarchy in a single organization, the culture industry has opted to ‘temporarily' hire the creative efforts of professionals to offset the risks of capital development and cost structure associated with culture products. Women writers, classified as idea/talent creators, are also subject to these hiring practices and are entering the market as temps, freelancers, and discrete project workers. Writers can be classified as either a drama or content writer. Content writers are responsible for the planning, content, public relations and drafts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television programs. Writers in these ‘creative' careers are subject to serious discrimination in compensation and labor conditions due to the flexible hiring practices. The only full time workers within the major broadcast stations writers can maintain a continuous business relationship with are the PDs(producers) who are mostly men. PDs are the unofficial performance evaluators of the writers and possess the ‘discursive power' vital to a writer's ‘reputation'. This ‘conversational evaluation system' among the PDs becomes the determining factor in a writer's career. As long as the work of women writers are stereotyped as “capitalizing on the bright ideas of recent college graduates before marriage”, within the broadcast stations, women writers will not be appropriately compensated for their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Women broadcast writers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labor class with low compensation and long hours and simultaneously possess the creativity and talent of cultural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