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문학사의 계보화 작업에 대한 쟁점 탐구 및 방법론의 제안

        선우은실(Sunwoo, Eun-Sil) 우리문학회 2023 우리文學硏究 Vol.- No.79

        여성문학사의 계보화에 대한 요청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얼마간 정립된 듯 보이는 한국 문학사의 계보에서 여성문학은 특정 시기에 거의 탈락되어 있거나, 별도의 파트로 분별되어 다뤄진다. 이러한 서술 누락에 대한 근거로 작품 발굴의 미비, 여성문학에 대한 당대 문학적 평가에 따른 부적합성 등이 제출되곤 하나, 이는 충분한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무엇보다 역사 서술은 사실의 단순 나열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해석과 판단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서사(narrative)이고 문학사 또한 ‘해석된 서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에서 현재 필요한 일은 기존의 여성문학을 ‘재배열’하고 ‘재평가’하는 것이며, 여기서 쟁점은 ‘배열’과 ‘탈 위계적 계보화의 방식’에 있다. 이에 본고는 최근 여성문학사 쓰기의 쟁점으로서 계보화의 방법론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를 검토한다. 하나, 최근 여성문학사 쓰기에 대한 방법론의 현황을 검토한다. 누락된 것을 복귀시키는 대안 문학사의 관점에서 여성문학사는 그 대상 혹은 주체를 ‘여성’으로 갈음하는 것이 아닌,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중심으로 특수하게 구성된 상황을 계보화하는 것을 목표 삼는다. 이때 ‘글 쓰는 여성’의 정체성은 기존의 남성 중심적 기율과는 다른 계보화의 기준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계보’를 상상할 수 있게 한다. 둘, 여성문학사 집필 방법론 관련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에 정동적 시간성 개념으로 ‘페미니즘 물결 서사’를 의미화하려는 체임벌린의 관점을 살펴볼 것이다. 시간에 의존한 역사적 서사화 작업에서 ‘과거의 것’을 상대화하지 않고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각 시기를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에너지의 ‘지속적 연결’로 이해하는 이 관점은 여성문학사의 계보를 탈 위계적으로 상상함에 유효하다. 이러한 주요 내용을 토대로, ‘마스터 플롯’ 개념을 중심으로 문학사 쓰기가 가능함을 타진하는 것이 큰 목적인바, 이 논문을 ‘마스터 플롯’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 (여성) 문학사 집필의 이론과 가설 단계로 삼고자 한다. The task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necessitates a process of rearranging and reevaluating existing women’s literature. A crucial issue is the arrangement and de-hierarchical genealogization of this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ethodologies of genealogization as a central concern in contemporary women’s literary history writing.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ourse on methodology in this fiel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methodology in women’s literary history writing. It will explore how methodology can enrich the debate and discussion surrounding women’s literary history, including the concept of affective temporality as presented by Chamberlain through the feminist wave narrative.” In future research, the goal must b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ng a literary history around the concept of the “master plot.”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women’s literary history writing that revolves around the principle of the “master plot.” This study is notable in that it deconstructs and reconstructs the prevailing notions of a “universal” literary history.

      • 강원 지역 여성문단 연구

        권석순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강원지역문학의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문학 단체인 강원도여성문학인회의 현황과 동인지 󰡔강원여성문학󰡕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문학적 정서를 검토하였다. 강원도 전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문인들로 구성된 ‘강원도여성문학인회’는 2004년에 창립하여 현재 146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강원도여성문학인회가 강원도 지역문학 단체인 만큼, 지역문학을 규정하는 조건으로 실존적 조건인 형식의 층위와 강원지역성을 담보하는 문학의 내적 기제인 내용 층위를 바탕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강원도여성문학인회의 외적 활동 현황을 살펴본 바, 강원여성문학의 맥을 이어나갈 사적 자료 정립을 위한 ‘선대여성문인조명’을 위해 2005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세미나를 열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후배 여성문인들을 위한 강원도 여자 중․고등학생 문학작품 공모뿐만 아니라, 강원여성문학상을 제정․시상함으로써 여성문인들의 사기 진작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출간된 동인지 󰡔강원여성문학󰡕 창간호부터 10집까지에서 나타나는 강원여성문인들의 문학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생명과 상생의 자연공간, 현존재의 생활공간, 내면 치유의 생성공간, 상생 추구의 생태공간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양상은 강원지역이 문학적 공간이라는 점, 그리고 여성들의 특유한 정서라는 점이 맞닿아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Gangwondo Women Writer Association, a women literature group performing activities in literature space of Gangwon Region, and literary sentiment of works included in Gangwon Women Literature, a literature coterie magazine. Gangwong-do Women Writer Association composed of women writers performing activities across Gangwondo was established in 2004 and has 146 member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formal layer, existential condition prescribing local literature, and content layer, internal mechanism guaranteeing Gangwon regionality given the association is a local literature group in Gangwondo.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xternal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and found that the association has steadily held seminars from 2005 to the present in order to illuminate women writers of previous generation aimed at establishing historial data that would carry on the legacy of Gangwon women literature. In addition, the association invited public participation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junior women writers and enacted and granted awards for women writers, thereby boosting their morale. Next, this article examined literary sentiment of Gangwon women writers whose works were posted on Gangwon Women Literature, from the first issue to the 10th issue published thus far. It contained natural space for life and mutual coexistence, life space of present existence, generation space for internal treatment, and ecological space for mutual existence. Such aspect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Gangwon region was a cultural space and concerned women's unique sentimen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교과서 수록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

        황윤정(Yun jeong Hwa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3

        본고에서는 2022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작품에 드러난 여성 형상화 방식 및 그에 대한 교육내용의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설화 교육의 미래 지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국면에서 문학 작품과 학습 독자가 마주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수록 제재의 면면을 살펴보는 ‘무엇을’의 층위와 제재의 교육 내용화에 대해 살펴보는 ‘어떻게’의 층위로 나누어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엇을’의 층위에서는 여러 여성 서사의 수록이 눈에 띄며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성의 형상 및 여성 영웅 인물에 대한 주목이 뒤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떻게’의 층위에서는 여성 인물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변주하여 현재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더한 학습활동을 통해 새로운 교육 내용을 완성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 내용의 문제를 검토한 바, 우선적으로는 문학 제재의 총체성을 구현할 방식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문학 제재의 경우 작품 자체가 가진 가치가 중요한 요소인 까닭에 기존의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작품의 가치를 간과하지 않는 학습 내용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른 특정 개념의 의미역 변화나 소외되었던 여성 인물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것에 현재적인 해석을 더하여 교육의 국면에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살펴본 바, 교과서에서 다루는 ‘영웅성’ 개념의 의미역에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건국 남성 영웅 서사가 배치되던 자리에 여성 영웅의 서사가 배치되며, 자연스럽게 달라진 영웅의 자질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은 과거의 것이기에 현재의 학습자들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겠으나, 그것에 담지된 시대적 인식의 전형을 짚어내고 언어로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현시대의 윤리 의식을 점검하는 ‘윤리적 잣대’로 활용할 수 있음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Ahead of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imagery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revealed in the folktale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way literary works are delivered to the learning read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 method of female imagery in the folktale and the problem of education were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the level of ‘what’ and the level of ‘how’. As a result, several female narratives stand out at the level of ‘what’.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ttention on female figures and female hero figur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how’,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new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leted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at vari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female figures and added interpretations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In this way,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folktale s method of female imagery and its educatio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the method of realizing the totality of a literary work. In the case of literary materials, since the value of the work itself is an important fact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ing content that mee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isting literary field and does not overlook the value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re are changes in specific concepts or alienated female figur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diligently reflect them in the aspect of education by adding a current interpretation to this. As we have seen, there was a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heroness’ covered in textbooks, and accordingly, the narrative of the female hero wa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male heroic narrative of the founding of the nation was plac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d hero s qualitie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classical literature is a thing of the past, it may cause discomfort to current learners. However, it is argu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thical standard to check the current eth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method of pointing out the typicality of the perception of the times embodied in it and revealing it through language.

      • KCI등재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박무영 ( Park Moo-you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새로 쓰게 될 21세기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 여성문학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탐색해본 논의이다. 한국한문학사와 여성문학사는 쉽게 제휴하기 어려운 태생적 기반을 지닌다. 한국한문학의 자료와 역사는 남성문화에 기반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여성배제의 결과이기도 하다. 최근 여성문학사에 대한 관심은 한국한문학사에서도 여성의 흔적을 찾는 일을 진행시켜왔고, 무시하기 어려운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성과를 기존 한국한문학사에 단순히 기입해 넣는 방식의 제휴는 문학사의 기본 성격을 간과한 것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문학사란 무엇보다도 사관의 산물이고, 사관에 따른 전적으로 새로운 구성과 논의의 장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와 한국한문학사의 병립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각각 남성젠더적, 여성젠더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상호 참조하는 방식으로 병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덜 폭력적인 방식이라는 주장이다. 상호참조를 통해 젠더적 균형감각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젠더로서의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서도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이 점이 한국고전여성문학사가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라는 것이 본고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hat women`s literary history can contribute to writing new Sino-Korean literary history in 21 century. The fundaments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nd women`s literary history hamper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That is because materials an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re based on male culture. The field is a consequence of the long exclusion of women. Admittedly, recent attention for women`s literary history has been discovering the traces of wome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made achievements which cannot be ignored. However, simply writing achievements of study of women`s literary history into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cannot be the desirable method of collaboration. We should not neglect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is a product of certain view of history above all, and it demands an entirely new structure and field of discussions.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at of Sino-Korean literature stand side-by-side. It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violent way if each of them clarify their masculine or feminine gender qualities and refer to each other. Obtaining balanced sense of gender through cross reference would also be essential for writing masculine gendere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at this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hat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writing the history of Sino- Korean literature in 21 century.

      • KCI등재후보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이경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appeared with the rise of modern nations in Europe in the 19th century, so a literary history has meant a ‘national’ literary history so long time. However, we find many different kinds of writing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all in the world, which were in pursuit of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marginalized group, such as women, laborers, the African-American, lesbians, and so on. According to academic criticisms like postmodernism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writing literary history means inventing a ‘fiction’. Generally the tradition writing literary history found was regarded as a kind of fabrication. It is a general afunction of historiography that writing literary history of a group exaggerates its past as being a honorable or miserable one.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would be at the risk of it, too. So then, is it unnecessary or meaningless? I'd like to say, in this essa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s still not only necessary but also important, in aspect of not only a 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but also an academy, a study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could play an important part of passing a general limit of writing national literary history. 20세기 후반은 전 세계적으로 문학사 서술을 둘러싸고 전혀 상반된 경향이 두드러졌던 시기다. 한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의 유행 속에서 문학사 서술을 하나의 날조된 허구로 비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여성, 흑인, 소수민족 등 주변부 집단의 문학사 서술이 그 어느 때보다 열기를 띠었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아직 본격적인 여성문학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여성문학 연구가 본격화됨에 따라 그러한 움직임이 조금씩 가시화되고 있다. 본고는 문학사 서술의 의의에 대한 회의적인 지적 풍토 속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이 어떤 의의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이론적인 검토이다. 필자는 학문 내적외적 차원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의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본격적인 여성문학사 및 여성사 서술은 그 출발단계에서 여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유럽의 경우 여성해방운동이라는 외적 요인에 의해 추동된 바 컸다. 문학사 서술은 그 집단의 정체성 형성 및 강화에 기여함으로써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70년대 영미의 여성문학전통론에서는 여성해방이라는 목적의식이 강하게 작용했던 만큼 그 역기능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문학의 과거를 역사화하는 작업이 문학사 서술의 역기능에 대한 경계 위에서 이루어진다면, 여전히 여성해방운동의 차원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다.문학연구 내적으로 볼 때,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을 보완극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20세기 후반에 활발히 이루어진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누락시킨 여성문학의 과거를 복원함으로써 이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또한 여성문학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수록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보다 잘 드러나게 되었다. 문학의 범주, 문학의 가치평가 기준, 문학사의 시대구분 등 문학사 서술에서 핵심이 되는 문제들이 여성문학사의 관점에서 재론되기에 이른 것이다. 여성문학사 서술은 자국문학사를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데 궁극적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970년대 여성문학장의 형성과 ‘보통’ 여성의 작가적 시민권 주장 —박완서를 중심으로

        한경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0 No.-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a self-consciousness as a woman writer and building a network with women writers with in the 1970s, after Park Wan-seo started her career as Namok was published by Women’s Dong-A. In the 1950-60s, ‘YeoRyu(女 流)’ based on two magazines, Modern Literature(現代文學) and YeoWon(女園) l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omen’s literature. However, when many new magazines came out after the mid and late 1960s, new generation of women’s literature emerged who could work outside ‘YeoRyu(女流).’ In addition, as women’s literary activities became popular among urban middle-class women, ‘YeoRyu(女流)’s Habitus called ‘college graduated women reporter’ gradually collapsed. Park Wan-seo who emerged when the restructuring the Women’s Literary world shows what new women writer’s Habitus was established. As the short story “A Going Out”(1971) shows, Park Wan-seo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normal woman’ and distinguished from ‘special’ women, This is very different from ‘YeoRyu(女流)’ who wanted to be distinguished from ‘normal women.’ However, in the 1970s, new women writers especially who came from marginal magazines like women’s magazine were not possible to perform actively. New women writers entered the literary world without any social capitals to mobilize, so they dis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y published their first work. On the other hand, ‘YeoRyu(女流)’ who had a solid magazine basis were more active than new women writers. Park Wan-seo was one of the few new women writers who were able to survive in the 1970s. She could be in the dominant position in literary world at the end but she continued to assert literary citizenship within the literary world with some women writers who had the same Habitus with her. This is why she organized the “Women Dong-A’s Literary Friends.” 본고는 박완서가 『여성동아』 ‘여류장편소설공모’를 통해 『나목』으로 등단한 이후 1970년대 여성문학장에서 여성 작가로서 자의식을 형성하는 과정 및 여성 작가와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 1970년대 여성문학장의 세대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1950-60년대에는 『현대문학』과 『여원』이라는 두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여류’ 문인들에 의해 여성문학의 생산과 유통이 주도되었으나, 1960년대 중후반 이후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여류’의 자장 밖에서 활동하는 새로운 여성문학 세대가 출현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여성 리터러시 활동이 도시 중산층 여성을 중심으로 대중화되면서 식민지기 이래 1960년대까지 지속되어온 ‘전문학교 출신 여기자’라는 ‘여류’의 아비투스도 점차 와해되어갔다. 여성문학장의 재구조화 속에서 등단한 박완서는 어떠한 여성 작가의 아비투스가 새롭게 구축되어갔는지 잘 보여준다. 기존 ‘여류’가 ‘보통’ 여성과 구별되는 ‘특별한’ 여성으로서 인정받고자 했다면, 박완서는 ‘특별한’ 여성이 아닌 ‘보통’ 여성이 새로운 문학 행위자로 등장했음을 단편 「어떤 나들이」(1971)를 통해 그려보였다. 그러나 박완서를 비롯한 1970년대 문학장에서 여성 신인 문인들 특히 여성지와 같은 비주류 매체에서 등단한 여성 문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작았다. 대다수 1970년대 여성 신인 문인들은 동원할 수 있는 어떠한 사회자본도 없는 상태에서 문학장에 들어섰으며 거의 등단 직후 사라졌다. 이와 달리 1950-60년대 여성 문인들은 『현대문학』에 매체를 기반으로 구축된 ‘여류’ 네트워크를 1970년대에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었기에,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었다. 1970년대신인 여성 문인들 가운데 안정적인 활동을 할 수 있었던 소수의 작가 중 한명이었던 박완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비판적 대응으로 자신이 처음 문학장 내에 처해있었던 피지배적 위치로부터 탈동일시하지 않았으며, 자신과 같은 경로로 등단한 여성 문인들과 ‘여성동아 문우회’를 조직하여 문학장 내에서 시민권 주장을 지속했다.

      • KCI등재

        특집 : 문학사의 젠더

        소영현 ( Young Hyun S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가능한가. 학계와 문단에 폭넓게 근대의 자명성에 대한 회의가 시작된 1990년대 이후로, 근대, 민족, 문학, 역사에 대한신화 깨기가 돌이킬 수 없는 방향성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탈근대 담론의 영향 아래 문학사서술의 무용성이 의문의 여지없는 귀결로서 인식되었다. 그간의 문학사 서술의 실질을 돌이켜 보건대, 이러한 추론은 역설적으로 문학사 서술의 완전무결성과 실현가능성을 상정하고 있었다고 해야 한다. 문학사 서술의 불가능성이 문학사 서술의 무용성으로 오해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는 문학사 기획이 내포한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반복적 재기술의 필요성을 세분해서 사유할 필요를 요청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이자 그 일환으로서의 ‘여성’ 문학사의 재기술 가능성을 논의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그간 어떻게 ‘여성문학’ 연구가 게토화되었는가에 대한 재검토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작업이 갖는 탈근대적 비판으로서의 성격이 그것의 역설적 불가능성을 입증하게 하는 정체성론에 기반해 있음을 짚어봄으로써 ‘여성문학사’ 기술과 ‘여성문학’ 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딜레마를 단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학과 정치를 가로지르려는 시도가 직면하는 난점과도 다르지 않은 이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는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로 통합되어 들어가는 한편, 여성문학에 대한 관심 자체의 저하와 함께 왜소화되고 게토화된 경향이 있다. 여성문학 연구의 왜소화는 현실사회의 ‘여성’의 재배치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이는 여성문학 연구의 게토화가 곧바로 여성문학 연구에의 요청을 무효화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더구나 2000년 이후로 글로벌리즘의 전면화와 함께 가족주의에 함몰된 ‘엄마’의 출현을 야기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보자면 모순의 배리 속에서도 여전한 여성연구의 필요성이 역설된다. 여성문학 연구는 한편으로 새로운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모색을 전진시켜 나아가는 동시에 글로벌리즘과 결합한 가부장제의 역습으로 대표되는 현실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에 비판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여성문학 연구의 유의미성은 여성문학 연구 방법론이 불러오는 ‘차이/ 보편’의 배리의 정치학에서 분출되는 것이라 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여성 문학사를 포함한 복수의 문학사 서술 기획이 반복적으로 요청되어야 하는 것은 여성문학 연구가 문학에 대한 관점의 재조정, 문학에 대한 가치와 독해법을 둘러싼 새로운 발견, 나아가 소수자/ 타자라는 키워드로 불거진 현실사회의 시스템의 재고를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What is the gender of literary history and what does it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It has started to doubt self-evidence of modernity and myth of modernity, nation, literature, history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since 1990’s. Then, It was decided that no need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under the post-modernity discourse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I argue that there has been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s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nd then, it has been needed to the deep consideration what is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think th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 think that it means the necessity of re-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repeatedly. For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and re-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view what does it make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inimized at first. I examined that there was a methodological dilemma of 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and ‘women literature’ in terms to theory of identity. For resolving that dilemma, ‘women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hanged the field into that of gender / sexuality studies and in other hand, ‘women literature’ studies has been minimized within decreasing the interest of women literature. Paradoxically, it reveals that minimiz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did not mean the un-necessit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Moreover, we also meet represented ‘mama’ in relation to patriarchy in literature within the force of globalism since 2000’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omen / women literature’ studies to making the new methodology for criticize the literature and to criticize inequality and absurd of women’s real world / everyday life under the complexity of globalism and patriarchy.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uld occur in politics of ‘difference / universe’ which made methodolog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rk. Eventually, I argue that ‘re-writing the literary history’ including the women literary history can be needed the reason why developing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eans that readjusting the viewpoint of literature, rediscovering the value and evaluation of literature, and rethinking the minority’s real world and that system.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여성문학의 공백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로서의 재일조선여성문학

        신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is paper points out what we have missed seeing in the writings of Asian women, although we are now seeing transnational literature spreading widely, by focussing on the literary works of zeinichi women, And it introduces the new literary trends of the coming of Zeinichi woman literature into the Korean literary academia. Keeping in mind the invisible in the female works, this paper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which have attracted attention since around 2014. It defines the features as “commons-place of self-epic” and explores the “place” by looking into the way women desired to learn and write, and the way they attained the abilities to express themselves. Secondly, it examines the early stage of the solidarity movements done by women, which underlay the formation of “commons-places of self-epic.” It addresses the oral statements, testimonies and others stated in the Zeinichi writings which began to draw the attention in the 1970’s and makes a critical study on the Asian women solidarity movement Matsuri Yaori initiated globally and the campaigns for women solidarity conducted in Korea in the period. Lastly, it considers the possibilities that “commons-places” and the texts in them may be put into a diverted or asymmetrical distribution in the media circulation in Korea and Japan, by extension, in Asia. In the Japanese society, for example, the Korean novel “Kim Ji-young Born in 1982,” when published in Japanese, sparked interests in K(orean)-feminism and K(orean)-literature. In stark contrast, the Japanese society displays their total indifference toward the problems of comfort women, the colonialism and the status of zeinichi women and even ignores them. In su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commons-places of self-epic” and their texts, the relations between the women in the “commons-places” in the 1970’s, and the asymmetrical circulation of publishing markets, and then it puts forward the discursive space where the “commons-place of self-epic” can be read and widened and where the literary works of zeinichi women can also be discussed properly and fairly in their own perspectives. 본 논문은 트랜스내셔널문학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여성, 특히 재일조선여성의 글쓰기와 문학은 충분히 소개되지 못한 공백으로 남아 있었음을 지적하고 최근 재일조선인여성의 글쓰기가 한국에 소개되기 시작하는 경향을 소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논문은 첫째로, 2014년경부터 부상한 재일조선여성문학의 특질을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라고 규정하고, 재일조선여성이 글쓰기를 욕망하고 배우고 글을 쓰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 특질을 규명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로 삼는다. 둘째로,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의 형성 기반이 된 아시아 여성들의 연대 활동의 초기 형태들을 살핀다. 이때 재일조선인문학의 경험에 대한 구술이나 증언 등이 관심을 얻기 시작한 1970년대에 초점을 맞추고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마츠리 야요리의 국제적인 아시아 여성 연대 활동 및 그 시기에 한국이 아시아의 여성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러한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가 한국과 일본, 더 나아가 아시아의 미디어 순환 속에서 왜곡되거나 비대칭적으로 유통되는 상황을 사유했다. 예를 들어 『82년생 김지영』의 번역으로 촉발된 K–페미 및 K–문학에 일본의 관심과는 대조적으로, 위안부와 식민주의 및 재일조선인여성에 대한 일본사회의 지속적인 무관심과 배제가 있다. 이처럼 본 논문은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의 유입과 확산, 1970년대부터 형성된 여성들의 자기서사 공통장이라는 관계와 한계,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를둘러싼 한일간 출판유통의 비대칭성을 통해,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 중에서도 재일조선여성문학이 읽힐 수 있는 자리를 모색하고, 자기서사 공통장 텍스트가 확산될 수 있는 방향성을 찾아보려고 한다.

      • KCI등재

        후기 근대의 ‘확장된 효율성’과 여성주의 지식생산-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에의 함의

        조주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studies requir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offer diverse perspectiv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gender politics on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is starting to reveal its limitation in late modernity and need be generalized to the one based on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This will proce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as symbolic complex adaptive systems is introduc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author’s previous research. Second, agonistic politics as implementation of practice perspective on feminist politics is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political strategy encompassing and generalizing identity politics. Third, possibility of mitigating the present prevalence of neoliberal logic based on shallow concept of economic efficiency deteriorating social practices in Korea through introduction of an expanded concept of social efficiency is presented and its impact analyzed carefully. Fourth,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practice turn of feminist theory and politics allows Korean women’s studies escape from the worries that it has been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ories based on western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ifth,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reveals the creative role of aesthetic judgment in adaptively transforming social practices in general that has been characterized as an aesthetic character of political judgment at the world-building moment by Arendt. Finally, the practice perspective ha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issue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tructuring of classification scheme in classical Korean women’s literature studies. For example, the importance of the works by women writ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reevaluated for their role of valuable windows on diverse social practices in action as collaborative artworks of ancient Korean societies.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분류체계 재구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분석틀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여성주의 지식생산에 관한 전통적인 젠더정치 관점은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 들어 그 한계를 노정하기 시작했으며 이제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에 기반을 둔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한다. 1) 필자의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개념을 제안하고 그 내용을 설명한다. 2) 페미니즘 정치에 대한 실천적 이해는 아고니즘 정치로 구현된다는 점을 주장하고 아고니즘 정치는 정체성 정치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시킨 확장된 정치 전략임을 설명한다. 3) 신자유주의 논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실천들을 황폐화시키고 있는 편협한 경제적 효율성 개념을 대체할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대안으로 제시된 확장된 효율성 개념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4) 여성학 방법론과 페미니즘 정치의 실천적 전환을 통해 한국의 여성학은 서구의 경험과 관점에 기반을 둔 서구이론을 무차별적으로 적용한다는 혐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5) 실천이론의 관점에서 미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의 적응적 조정에서 미적 판단의 창의적 역할을 드러내고 이러한 미적 판단의 특징이 바로 아렌트가 포착한 세계-구축의 순간에 작동하는 정치적 판단의 미적 특성의 원천임을 강조한다. 6)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로부터 실천이론이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한국고전여성문학 자료의 새로운 분류방식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특히 한국고전여성문학작품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존의 소중한 연구에 기반을 둔 평가에 더해, 이들 여성작가의 작품이 규범적 실천을 통해 유교사회의 안정적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남성작가의 작품에 비해 전통사회 구성원들의 공동 작품인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의 적응적 변화가능성의 측면, 즉 창의적 측면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중요한 창이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한ㆍ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

        남은경(Nam Eun ky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같은 유교권 국가였으면서도 상당히 다른 중국과 한국의 여성 인식을 고찰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검협도전(劒俠圖傳)』의 여성협객을 중심으로 양국 고전문학 속의 여성을 비교해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중국 문학 속에서는 특히 유교적 규범을 초월한 여성 협객의 모습이 주목되었다. 이들 중국의 여성 협객은 뛰어난 육체적 능력과 솔직한 개인감정의 표현, 과감한 행동들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서 우리나라 문학 속의 여성 영웅은 한국적 특징을 가진다. 그녀들이 영웅적 행위를 통해 결국 얻어내는 것은 유교이데올로기 속에서의 충(忠)과 효(孝)의 확인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남편이란 존재는 한국 여성영웅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상정되어 있다. 또 한국의 여성영웅은 여성의 본래 모습 그대로 나오지 못하고 많은 경우 '여화위남(女化爲男)'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복수를 실천하는 여성의 경우 전생애를 걸기에 비장한 분위기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중국의 여성 협객들이 복수를 삶의 한 과정으로 여기고, 복수를 성취한 후에는 자유롭게 어디론가 떠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사상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중국에서는 유교와 더불어 도교, 불교가 함께 생활 속에서 숨쉬고 있었기에 여성의 다양한 모습이 꽃피울 수 있었다. 도교에서는 신체의 수련을 중요시하므로 무술과 관련이 깊고, 또 유교의 강고한 수직 질서만을 인정하지 않기에 중국의 여성은 보다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유교의 영향 아래서 여성이 있었기에 남자의 옷을 입어야 밖에서 움직일 수 있고, 또 비극적 여성영웅이 되었다. 이러한 양국의 차이는 문학 뿐 아니라 후대 사회에서도 보인다. 중국 사회에서는 여성의 능력이 남성과 상당히 동등하게 인정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사회도 변하고 있고, 강인한 여성에 대한 찬미가 다양한 형태로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성에 대한 사회 인식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리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different kinds of images of women in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both of which have been substantially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despite of their common Confucian traditions. The comparison was tried to be made by analyzing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with priority given to Jian Xia Tu Zhuan(劒俠圖傳, Illustrated Stories of Gallant Sword-women) of the Chinese side. It was found that many diverse characters of women have appeared in Chinese novels and that those of sword-women who transcended Confucian morality and standards were especially worthy of note: They showed an excessively cold-blooded side of personality but succeeded in demonstrating that woman was the same human being equal to man by proving their excellent physical capabilities and candid expression of their own feelings and their pattern of their determined action. In contrast, the images of women heros in Korean literatures have shown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What they finally achieved by their heroic action was the affirmation of their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matrix of Confucian ideology. Above all, the existences of their husbands were supposed to be indispensable to Korean women heros. Korean women heros who lived under Confucian rule in the traditional society could hardly behave in natural way in their daily life and in most cases could not help showing up their devotion to their husbands. A woman taking revenge must stake risk of her all life and so the story always went in a tragic and solemn way. However, Chinese sword-women took revenge as a process of life and, after having taken revenge, would go away freely to remote places, a quite different way of life from those of their Korean counterpart.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me from those of their ideological and cultural tradition. In China Taosim and Buddhism, along with Confucianism, were rooted in the life of peoples, and diverse types of women could come into being. Taoism, which attaches a great importance to physical training, ha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Wushu, a Chinese traditional military arts. Defying Confucian vertical social order, Chinese women could be freer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In Korea, women could only behave themselves in the solid frame of Confucian order, and so, only being dressed in man's attires they could undergo social activities. Naturally there could appear only tragic women hero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hat such differences existed not only in traditional literatures but also affect later in real life. While in China. the status of man and woman at home and in social life is equal, but in Korea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s different with those of man. However, women in Korea are now changing, and admiration of tough women can be seen frequently in various forms. It is now greatly urged that with this as a momentum the social recognition of woman in Korea would rapidly change for more positiv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