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설립 30년을 회고하며 : 그 설립, 활동, 성과를 중심으로

        이송희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8 젠더와 사회 Vol.29 No.-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30 years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in Silla University since its establishment and summarize its contributions, achievements and current challenges. Chapter II discusses the foundation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With a series of Social-Democracy Movements in 1980s, female students began to participate in protest activities within the university. Professors at Busan Women’s College also demanded the Liberalization of College in April 1986. Given this background, it was natural for students to seek an opening of Women’s Studies Courses and with women professor’s supports, the first lecture began in the second semester of 1988. On following December 1988,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was established. The center aims to enhance women’s lives by investigating and closely examining gender related issue while educating student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in the region. Chapter III outlines the activities of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The domain of the center can be divided into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Under research domain, the organization published『Journal of Women’s Studies』 (25times) and held numerous symposiums (25 times). Departing from the fundamental subject - explicitly express the lives of women in Busan -, various issues were explored. This published data has further paved the way for the foundation of the women’s studies with the annual academic conferences. To promote an education, the center managed Women’s Studies Courses and held special lectures and case presentations. In 1997, Women’s Studies faculty was initiated under graduate study to foster specialized resources in Busan. Practicing women’s studies involved continuous interactions between research institute and researchers and this became a driving force behind the 30 years of women’s studies. Various feminist organizations actively formed united forces throughout the years. This portrays how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played a major role in promoting women’s studies. Chapter IV summarizes the accomplishments and current challenges. The achievements of the cent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Acting as a main research agency for women’s studies in regional community, leading educational resources for women’s studies, creating a research network and expanding the range of activities to promote women’s studies. The current challenges include setting realistic research objectives, reassessing Women’s Studies Courses, revitalizing the center to better utilize resources specialized in the field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both researchers and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women’s movements. 이 글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설립 30년을 회고하는 것으로 그 설립과 활동·성과·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제Ⅱ장에서는 여성문제연구소의 설립을 다루었다. 연구소 설립의 주요 배경은 우리 사회의 민주화운동이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속에서 대학 내 여학생운동이 전개되었고, 한편 부산여자대학교 교수들도 1986년 4월 학원자율화를 주장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학생들이 여성학 강좌 개설을 주장하고 여자교수들도 이에 호응하면서 1988년 2학기 여성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이어 1988년 12월 여성문제연구소가 설립되었다. 연구소는 여성에 관한 문제를 연구, 조사함과 동시에 본교 및 지역사회 여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성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연구소의 활동을 다루었다. 연구소의 활동은 크게 연구활동, 교육활동, 실천활동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연구활동으로는 여성연구논집 발간과 심포지움 개최를 들 수 있다. 1990년 1집을 시작으로 28집까지 발간되었고, 심포지움은 1993년 시작하여 25회까지 개최하였다. 부산여성의 삶을 드러내고자 하는 기본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그리고 자료집을 발간하여 여성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월례발표회·학술발표회를 매년 수차례 개최하여 연구의 활성화를 꾀하였다. 교육활동으로 여성학 강좌를 기획하고 관리하였으며, 여성학 특강·초청강연회·사례발표회를 열어 학생들이 다양한 여성운동의 내용을 알고 현실의 여성문제를 적극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리고 1997년 대학원에 여성학과를 개설하여 부산지역 여성학 전문 인력 양성을 시작하였다. 실천활동으로는 심포지움·학술발표회·영남여성학포럼 등을 통하여 각 연구기관과 연구자들과의 끊임없는 교류를 해 왔고 이것이 30년간 여성연구의 큰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각 여성단체들과의 교류 협력 연대활동은 어느 것보다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부산지역 진보여성단체들과의 관계는 연구소의 실천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앞서 활동을 기반으로 성과와 과제를 정리했다. 먼저 성과를 보면 부산지역 여성연구의 중심이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성학 교육의 선두주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여성학 연구의 네트워킹을 구축하였으며, 활동성의 확장을 확보하였다. 과제는 현실에 맞는 연구방향의 설정, 여성학 교육의 재검토, 여성학과 졸업생·재학생과 연계한 연구소 활동의 활성화, 연구자들의 소통의 장 마련, 학내외 여성운동의 장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트러블을 일으키는 여성들 : 김인숙의 『칼날과 사랑』을 중심으로

        임진하(Lim, Jinha)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1990년대로 진입하면서 여성작가들의 소설에서 여성문제가 중심 주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앞선 시대에 재현되지 못한 현실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의의가 인정되었으나 그 재현 방식에 대하여는 첨예하게 문제가 제기되었다. 김인숙의 『칼날과 사랑』(1993)에 대한 논평에서 특히 논점이 된 것은 여성 인물의 심리에 천착하여 여성문제를 다루면서 발생하는 효과였다. 이 같은 소설적 방법은 여성문제를 성별갈등으로 환원하며 남성을 타자화한다는 점에서 비판되었던바, 이 점이 유독 문제시되었던 것은 그것이 동시기 여성작가들의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이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김인숙은 앞선 시기 리얼리즘 진영에서 성취를 인정받아온 작가였다는 이유로 특별한 우려의 대상이 되었다. 이렇듯 여성작가들의 계보에서 구별된 위치를 부여받았던 김인숙이 그로부터 이탈하여 다른 여성작가들과 한자리에서 만나고 있다는 사실은 여성문제의 재현 방법을 둘러싼 당시의 화두에 있어 김인숙이라는 작가의 답변을 주목하게 만든다. 트러블은 공동체의 안정을 방해하므로 외부화되지만 그것은 곧 그 트러블이 전적으로 외부화될 수 없는 내부의 문제임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1990년대 초반 여성작가들의 문학이 문제적으로 변별되고 있었던 것 역시 이들 작가의 작품이 여성들만의 문제로 분리 배치될 수 없는 근본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트러블의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이 글은 『칼날과 사랑』의 수록작들을 검토했다. 기존의 연구들이 386세대 여성작가로서 김인숙 소설이 현실을 어떻게 다르게 재현하고 있었는지를 주로 논구해 왔다면, 본고는 그러한 재현이 문학장에서 트러블로 배치되었던 맥락과 그것의 함의로 초점을 옮겨보았다. 본고가 분석하는 소설들은 여성들이 겪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일 뿐 아니라 그 문제들과 더불어 여성들 자신이 하나의 트러블이 되어가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김인숙의 『칼날과 사랑』은 이렇게 트러블로 배치되면서도 그러한 배치 속에서 다시 트러블을 일으키며 배치 자체를 흔들고자 한 문학적 수행이라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In the 1990s, women’s issues began to emerge as a central theme in literature produced by women. On one hand, the foray into the new field was seen as important, whereas on the other hand, the methodology adopted often became a topic of contention. Critics who have written on Kim Insuk s Blade and Love(1993) talked about how the author portrayed women’s issues by exploring the psychology of female characters. The novel was criticized for depicting women’s issues as a conflict between the (‘two’) sexes and for otherizing men. Although such themes were commonly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women writers at the time, Kim Insuk’s works became an object of scrutiny because her earlier works had been regarded as part of realism literature. In other words, Kim, who had thus far occupied a distinct position in the genealogy of female writers, had changed her literary character and begun to inhibit a writing style similar to other female writers. This change cast a new light on the debate surrounding the representation of women’s issues and Kim’s position within that discourse. Conflict, or ‘trouble’ is often externalized because it interferes with society’s stability. But this very externalization points to the fact that trouble is an internal condition that cannot be entirely externalized. Women’s literature from the early 1990s caused a furor, or ‘trouble’ because the problems they depicted could not be neatly categorized as only ‘women’s issu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examining the concept of ‘trouble’ present in Kim’s novel Blade and Love. While the existing discourse has been focused on how Kim, despite being part of the ‘386-generation’ portrayed reality differently, I seek to focus on the context in which such representation took place and was perceived as ‘trouble,’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a perception. The works of fiction analyzed in this paper are not only stories which focus on women’s problems, but stories where women are depicted as becoming a ‘problem’ themselves. The novel is meaningful in the way that, despite being posited as an instrument of ‘trouble,’ it is devoted to creating a literary practice that stirs up ‘trouble’ to fracture such a positioning itself.

      • KCI등재후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남북여성연대

        문소정 ( So Jeong Mo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2

        이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갖고 조직된 초국적 여성연대에서 성취된 남북여성 연대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특별히 다음과 같은 남북여성의 연대 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남북여성연대에서 한국과 북한의 연대 주체의 특성과 연대의 시점과 명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과 해결 방안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아시아여성기금’과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2000년 「여성국제법정」에 대한 남북한의 참여방식, 2000년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 등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연대 주체는 한국의 경우 1990년11월 조직된 정대협, 북한은 1992년 8월 출범한 종태위(조대위)이다. 정대협은 한국여성 운동지형에서 ‘진보적’이라고 명명되는 여성단체이다. 종태위(조대위)는 북한의 노동당과 정부의 산하, 외곽단체로서 당의 정책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둘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1992년 8월, 9월에 정대협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의 북한의 참여는 한국의 정대협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와 「국제연대협의회」 조직은 북한의 종태위(조대위)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2000년 이전에는 한국의 정대협이 선창하고 북한이 화답하는 남창북수(南唱北隨), 2000년 이후에는 북한의 종태위(조대위)가 선창하고 한국이 화답하는 북창남수(北唱南隨)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사회역사적, 정치적 쟁점인 일본군 ‘위안부’의 용어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 책임자처벌 요구, ‘아시아여성기금’, 한일기본조약등에서 한국과 북한의 입장과 주장은 일치하였다. 이 지점에서 한국과 북한은 탈식민주의적 인식을 함께 갖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s of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since the 1990s. Several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been the followings. First,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as accomplish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 1992. Second, South Korean women joined with the North Korean women about a few issues, namely using the terms and natur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sking for “punish those who were responsible.” Further, South Korean women agreed with North Korean women on the point of the ‘Asian Women’s Fund’ and the South Korea-Japan Treaty signed in 1965. Therefore women of North and South Korea met together at postcolonial activism. And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vited North Korea to join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in the year 2000. North Korean women ha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to globalize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demanded an official apology as well as proper legal reparation from Japan since the 2000s.

      • KCI등재

        한국의 여성 문제음주자를 위한 중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핵심 요인 탐색

        김미숙,김성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vention studie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conducted in Korea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key factors necessary for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related to female problem drinkers in Korea in the future. Methods: In this study, intervention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conducted in Korea were searched, and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on all studi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he literature for the study were the literature suggesting the intervention method in detail as an intervention study targeting female problem drinkers. Studies that did not target female problem drinkers or Koreans were excluded. Key factors were extracted by reviewing and analyzing 12 studie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above criteria.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perio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problem drinking. A simple intervention was also effective for young female problem drinkers. On the other hand, in-depth and repeated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subjects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receiving hospitalization or outpatient treatment. For the stage of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on negative consequences of problem drinking must provide. The intervention provider must be an expert in the interventions they have performed for them to b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female problem drinkers should include self-reinforcement. Conclusion: To overcome problem drinking for women, a correct self-reflection process was needed through self-recognition process,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 of the gender role of problem drinking women. The traditional family-centralism in Korea was a hindrance to problem-drinking women in solving their drinking problems, and self-reinforcement training helped them to solve the problem drinking problem. 연구목적: 이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시행된 여성 문제음주자 대상 중재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 여성 문제음주자 관련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시 필요한 핵심 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된 여성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를 검색하였고, 국내외에 발표된 모든 연구에 대해 통합 문헌 고찰을 수행했다. 연구대상 문헌의 선정기준은 여성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로 중재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문헌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이 여성 문제음주자가 아니거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연구는 제외하였다. 상기 기준을 통해 최종 선정된 12건의 문헌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핵심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음주의 심각도에 따라 중재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젊은 여성 문제음주자에게는 간단한 중재도 효과가 있었다. 반면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를 받는 대상자에게는 심층적이고 반복적인 중재가 효과가 있었다. 문제인식 단계를 위해 직접적인 음주폐해를 언급했다. 중재의 효과를 위해선 중재 제공자가 수행한 중재의 전문가여야 한다. 여성 문제음주자의 중재에는 자기강화훈련인 포함되어야 한다. 결론: 여성 문제음주의 극복을 위해서는 문제음주 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기인식 과정을 통해 올바른 자아성찰과정이 필요했다.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중심주의는 여성 문제음주자에게 음주문제를 해결하는데 방해 요인이었으며, 자기강화 훈련이 문제음주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여성노인의 문제와 복지정책제언

        배지연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4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1

        대전지역 노인인구의 비율은 2003년 현재 6. 1%로 이중 여성 노인의 비율은 58. 5% 이며, 고령화가 될수록 그 비율이 높아짐을 감안할 때, 노인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글은 대전지역 여성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과 가족형태, 경제상태, 건강상태, 여가 및 사회활동 등의 실태를 파악하여, 대전시의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 를 두었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여성노인 중 25 .1%만이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어, 자녀와의 갈등, 고독감, 생활보장문제, 성문제, 재혼문제의 영역에서 해결하거나 예방하여야 할 과제를 시사하고 있다. 둘째, 여성 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만성 질환 및 치매와 우울증이 더 심했으며,유병시 가족과 국가의 의존이 커서 부양 및 간병, 수발로 인한 가족간의 갈등 등이 문제시 되며, 이에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의료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셋째, 대전지역 노인 중에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전체의 17.8% 정도로 낮았으며, 남성노인 이 여성노인보다 취업률 이 높고, 여성노인의 급여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 들은 ‘근로소득’으로 노후 대책을 세우기 어려운 상황이며, 여성노인 들 의 빈곤의 취약성에 대 한 대책이 필요하다. 넷째, 대전지역 여성 들 의 여가활동의 실태를 살펴보면, 여성노인들은 이웃 노인이나 친구와의 만남 (30.1 % )이 가장 많았으며, 선호하는 여가장소로는 ‘내 집이나 이웃집 (36.3%) ’이 가장 많았다. 사회 활동 참여 의향에 관한 질문에서 활동 의향이 있는 노인들은 전체의 20.5%, 선호하는 분야로는 ‘복지시설 봉사활동(37.0%) ’이 가장 높았다. 대전광역시는 여성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를 파악하고, 여성노인의 문제를 남성노인과 차별화시켜 인식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노인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단 기적으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며 장기적으로는 성차별과 연령차별에서 소 되지 않도록 사회구조적인 여성복지정책의 차원에서도 대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 문제와 형제 갈등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반씨전>은 다른 가정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동서 갈등을 소재로한 작품이다. 가족이 다양한 관계가 공존하는 집단이니만큼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의 소지가 있다. 특히 동서지간은 남편을 사이에 둔 2차적인 관계이면서, 시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쟁의 관계이기도 하기에 더욱 복잡한 관계인 셈이다. 그러나 <반씨전>은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내세우고, 갈등을 야기한 인물로 특정 며느리만을 지목하여 집안에서 축출하고 이로써 갈등이 해결된 것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것은 갈등을 관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인격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반씨전>이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그리면서 그 이면에 담긴 형제 갈등은 간과하고 있다 데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하였다. 작품은 인물간의 갈등을 단순히 특정 인물의 악한 성품에 기인한다고보아 다양한 여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은 갈등을 야기하는 인물이다. 여기서 발생한 여성의 갈등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다. 여성은 다른 여성을 상대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갈등의 해소나 화합은 기대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위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위계질서는 여성 간의 갈등을 미해결 상태로 남기고, 단순히 문제를 만든 인물을 지목하여 구성원에서 쫓아내는 것으로 갈등을 봉합한다. 그러나 작품속 여성 중 예외가 되는 인물도 있다. 주인공인 반씨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녀는 작품 속에서 철저히 타자화 된 인물로 그려진다. 그렇기 때문에 갈등을 야기하지도, 문제의 인물로 지목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고난과 인내의 과정을 통해 추앙받는 인물로 그려진다. 반면, <반씨전>은 남성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용서하거나 묵인한다. 인물 사이의 직접적인 갈등의 상황은 피하고, 약자나 이면을 통해 갈등이 간접적으로 표출될 뿐이다. 이때 이용된 것인 바로 여성, 특히고부간, 동서 간의 갈등이다. 그러므로 남성간의 갈등은 용서나 화해를 통해 해결되고, 남성들은 관계에서 배제되거나 축출되지 않는다. <반씨전>이 갖고 있는 이러한 여성 문제는 당대 사회 이념이 여성을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에 의해 구분하고, 그 안에서 여성을 남성에게 종속화하여 통솔하려는 의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들의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회피하면서 여성을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Banssijeon> is the novel dealing with a unique theme that have hardly been seen in any other domestic novel, troubles caused by daughters-in-law under the same roof. A family is a group where various interests are coexisting so that there should be some conflicts in it. In general, the relation between two daughters-in-law is a secondary one mediated by their husbands as well as a competitive one against their parents-in-law, which makes the relation very complex. <Banssijeon> is, however, showing some complications between the daughters-in-law and the parents-in-law on the surface, and bringing the affairs to the simple conclusion by driving out one of the daughters-in-law thought of as causing the complications. The reason for this simple conclusion is that the novel views the complications not as the ones which can happen in their relations but as the ones caused by a matter of personality.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issues that this novel only describes the complications made by daughters-in-law and their mother-in-law on the surface, except for the complications caused by brothers. The writer`s view in this novel has a bias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caused by a matter of wicked personality, specifically women`s personality, which views women as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theme in this novel, only women become the focus of their problems described in it. Women are the apples of discord, can not be expected to be concord with other women. It is because there is invisible hierarchy between them under the same roof. This hierarchy leaves their conflicts unsolved. It spots a woma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and settles the problem superficially by kicking her out. However, there is only one exceptional character in the novel, who is a heroin "Banssi." She is described as an outsider. Because of this, she does not make any trouble and is not be see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happening in the novel. Rather, she is considered one held in the high esteem through her hardship and perseverance. On the other hand, <Banssijeon> does forgive men for their faults, and even overlook their problems. The direct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avoided and showed indirectly only by the weak, women, and their conflicts, especial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mother-in-law. Therefore, the complications caused by men in it are forgiven and solved by their harmony. Also men are not excluded in their relation and driven out of it. The women`s problem in <Banssijeon> is biased by dichotomous standards of seeing women as "good and evil" under the social ideology at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ideology tried to subordinate women to men and make women under the command of the men.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Banssijeon> avoids mentioning any problems of men, but describes women as immature and incomplete beings.

      • KCI등재

        여성의 전인치유를 위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김필진 한국목회상담학회 2006 목회와 상담 Vol.8 No.-

        어느 사회-문화에서든 간에 여성들은 깊은 상처와 공통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다. 여성의 주요 문제들로는 여성이 주체적인 삶을 살고 자아를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자아상실과 의존성 인격 장애, 남성중심의 심리학과 심리치료의 문제점, 정신의학에서 제기되는 정신건강의 이중적인 기준 문제, 그리고 여성의 인격을 파괴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성폭력과 가정폭력의 문제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여성들이 창조주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존엄성과 온전한 인간성을 인정받지 못하게 하고 그들 자신의 잠재능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앞서 언급한 여성의 문제들을 여성주의 심리학과 여성신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여성주의 상담의 성서적 패러다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여성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치유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여성을 위한 심리상담에서는 여성과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기술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완전할 수 없다. 심리상담을 받는 여성들에게는 그들이 겪는 정서적 고통의 가부장제적 사회적 뿌리를 강하게 의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의식화 작업 없이는 여성 내담자가 개인적으로나 집합적으로 자기 자신만의 진정한 능력이 있음을 발견하고 주장할 수 없다. 여성과 심리상담에의 새로운 접근방법에서는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변화의 수단을 여성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독교상담에서 성경은 중요한 치유의 자원이 된다. 성서에서 여성들을 위한 상담과 치유의 패러다임을 발견하고자 할 때, 여성들에 대한 편견과 성차별적인 고정관념을 문제삼고 배제해야 한다. 남성위주의 가부장적인 성서해석을 지양하고 여성의 경험의 관점에서 또한 여성의 변화와 성장의 차원에서 성서를 재해석하고 이를 상담에 적절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여성주의 상담의 목표는 여성 내담자를 여성에 대해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사회문화적 환경에 무비판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 내담자의 진정한 정체성과 힘을 발견하게 하는 능력부여에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상담자가 여성 내담자와 신뢰와 평등한 협력의 관계를 형성하고, 능력부여의 과정을 통해 여성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 해결과 치유에 주도권을 갖고 변화와 성장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격려하고 조력하는 것을 말한다. 여성주의 상담은 여성 내담자들에게 전인적인 성장과 치유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70년대 한국여성학 학술운동의 계보와 장소성

        김영선(Young-Sun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1, 2

        시대적 요구와 맥락 속에서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해 온 한국여성학은 분절적이고 폐쇄적인 분과학문 체계를 가로질러 문제 중심의 학제간 연구를 자기 방법론의 출발이자 핵심 요소로 삼아 진화해왔으며, 자본주의 가부장체제와 남성중심적 지식 생산에 대한 비판적 역할을 수행해온 자기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 한국여성학 제도화의 전사기, 한국여성문제의 구성과 실천, 여성주의 담론의 발신의 핵심 장소들은 제도권 대학 안팎에 경계를 넘어 존재했다. 이 글은 1980년대 여성학의 제도화와 학술운동의 분화 이전, 한국의 여성문제를 문제화하는 토착적 사유체계에 대한 핵심적 발화자의 계보를 이 효재와 윤 후정으로 보았으며, 대학 제도권의 안팎의 여러 장소를 매개하여 형성된 그들의 시대인식에서의 여성문제의 구성성,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성운동의 방향성을 어떻게 가늠하고, 이것이 그 이전 시대의 문제들과 어떠한 변별력을 함의하고 있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여성문제연구가 여성학으로 진화되기 전의 전사기 여성학 학술운동의 기획과 목적을 다시 호출하여 그것이 가진 역사적 성취와 한계를 현재적 시점에서 다시 살펴보는 이유는 현 시대가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이기도 한 대전환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시장과 자본, 국가의 압박으로부터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창조와 융합, 혁신의 여성주의 기획과 여성운동 사이의 선순환이 긴급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여성학회가 만들어진 지 삼십년이 되는 바로 이 시점에서 추가로 제기되는 핵심 질문은 제도여성학이 만들어지기 이전 시기부터 제도 밖 학술장에 존재하였던 여성학 학술운동이 대학을 매개로 한 본격적 제도화 이후, 제도화가 가진 한계를 넘어 대안으로 나아갔는가 하는 것이다. 제도화된 여성학은 제도 밖의 학술 영역과 어떻게 삼투함으로써 서로가 서로를 성장시켰는지에 대한 여러 각도에서의 입체적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1980s, the period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omen"s Studies prior to the divergences in the Korean women"s movement. It looks at the genealogy of critical feminist scholarship by Lee Hyo-jae and Yoon Hoo Jung. By analyzing the constructedness of the women"s issues they raised in raised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diverse spaces both in and out of academic institutions, and in noting differences in the direction(s) taken by the 1980s women"s movement to resolve those issues, the article seeks to effect a comparison with the issues raised in the prior decade of the 1970s. The reason for re-examining the goals and projects of the 1970s"s Korean Women"s Academic Movement and its historical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from the present-day perspective is because today is a time of transition in which crisis and opportunity exist together. Cooperation is needed among feminist projects/theory and the women"s movement toprotect us from oppression from the market, capital and the patriarchal state. Finally, this article reinterprets the kinds of insight feminist scholarship has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diverse critical knowledge production and reflects on how these could contribute to interdisciplinary scholarship between Sociology and Social Science, thinking about their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Hopefully,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re-constructing a more ethical-critical scholarship in the era of the prevalence of "crises in the Humanities"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by looking at the interwoven temporal-spatial structure of Korean feminist schola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