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황희성 ( Heesung Hwang ),이유진 ( Yujin Lee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대한민국은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과 ‘주52시간근무제’도입과 같이 국민의 여가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2019년 발병한 COVID-19로 인하여 우리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고, 다양한 제약이 발생하면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여가시간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었다. 때문에 여가에 대한 인식과 행복에 대한 생각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기에 그것이 길고 짧은지 느끼는 것에 따라 ‘자신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2019년도와 2021년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여가시간, 여가시간충분도, 여가만족, 그리고 행복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과정: 국민여가활동 조사의 전체 표본 수는 2019년 10,060명, 2021년 10,049명이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유무,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평일 여가시간, 평일 여가시간충분도, 여가생활만족도, 행복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충분도가 높은 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지고, 여가시간충분도가 낮은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가시간충분도는 여가시간이 여가만족을 경유하여 행복으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였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되는 것이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 삶의 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efforts to guarantee the leisure of the peopl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Framework Act on Leisure Activation” and the “52-hour maximum work week policy”. However, due to COVID-19, which occurred in 2019, our lives have changed, and as various restrictions have occurred, leisure time has suddenly increased regardless of our intention.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the idea of happiness have changed. Recognizing time is so subjective that depending on how you feel whether it is long or short, thinking that you have enough time can also appear differentl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leisure time sufficiency,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2019 and 2021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Metho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10,060 in 2019 and 10,049 in 2021.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leisure time on weekdays, leisure time sufficiency on weekdays,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happines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as data processing methods. In addition, Model 7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Result: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were higher in 2021 than in 2019, 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lower. Second, leisure time on weekday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both 2019 and 2021. Third,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in 2019. On the other hand, in 2021, leisur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4)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Fourth, in 2019,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bu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case of 202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howe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Conclusion: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mediated by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value is determined by the will to do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ult. Efforts to find ways to feel rich in time without having more leisure time a day and feel the maximum satisfaction of one's leisure activities are expected to maximize the value of a happy life.

      • KCI등재

        여가제약 연구의 비판적 고찰: 시간과 돈이 없어서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가?

        박형석,박정열 여가문화학회 2012 여가학연구 Vol.10 No.1

        The main reason why people are unable to enjoy their leisure time in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on leisure constraints has been discovered to be because of the lack of time and financial burde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cover a empirical study that proved whether people were unable to enjoy their leisure time actually owing to the lack of time and money.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if the major reasons why people can’t enjoy are lack of time and financial burden.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people enjoying their leisure despite lack of time and mon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ho said they cannot enjoy their leisure due to lack of time relatively had lack of leisure time on weekdays. Second, those who answered they cannot enjoy their leisure due to lack of money also showed low family income. Third, people with time and money constraints didn’t really use more time and money negotiation strategies in order to overcome such constraints. Fourth, the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ime and money constraints was not found. Fifth, among those who felt time and money constraints, people who enjoy their leisure used more time and money negotiation strategies in order to get over those constraints. Furthermore they had more positive leisure attitudes and developed leisure skill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여가제약과 관련한 대다수의 연구들에서 사람들이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주요한 이유는 시간 부족과 경제적 부담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정말 사람들이 시간과 돈이 없어서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것인지를 확인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연 사람들이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주요한 이유가 시간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맞는 것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아울러 시간이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 중에서도 여가를 잘 즐기는 사람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부족해서 여가를 즐기지 못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실제로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평일 여가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 여가를 즐기지 못한다고 응답한 사람들 역시 실제로 가구소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제약과 금전제약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시간협상전략이나 금전협상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간제약과 금전제약의 정도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째, 시간제약과 금전제약을 느끼는 사람들 중에서도 여가를 잘 즐기는 사람들은 시간제약과 금전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더 많은 협상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상전략 이외에도 여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여가 기술이 더 발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국민여가활동조사를 기반으로 코로나 전, 후 비교

        이유진,황선환,황희성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5

        연구목적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과 발생한 후인 2021년의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서로 다른 환경에서 국민의 여가시간, 여가시간 충분도, 여가생활 만족 및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여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9,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 데이트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 2021년,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신이 하고자 하는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된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삶의 가치를 극대활 것이다.

      • KCI등재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서리나,오치옥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충족하는 두 가지 조건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주요 영향요인을 밝혔다. 그런 다음, 일-여가-가정 간 균형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가족친화조직 30~40대 기혼노동자 320명이며,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은 일로 인한 여가시간압박(WL시간압박)과 여가만족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지각하는 유형4를 기준으로 할 때 유형1의 주요 영향요인은 주당 노동시간이고, 유형2와 유형3은 주말 희망-실제 여가시간 차이와 여가지속성으로 밝혀졌다. 셋째, 네 유형은 일-여가 촉진과 일-여가 균형만족과 정적 관련성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 인식은 낮은 WL여가시간압박 조건과 높은 여가만족 조건의 충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 지원은 주관적 시간웰빙의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심과 조직단위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요청된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investigated. Also, a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family using the types was tes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0 married workers in their 30s~40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consisted of four types according to work-to-leisure time pressure and leisure satisfaction level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ypes were working week,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actual weekend leisure time, and leisure continuity. Also,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In conclusion, workers are aware of their self-perceived temporal well-be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ork in lower time pressure and feel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means the leisure support policy for workers should support by organizational unit beyond individual and family levels.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청소년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만족도: 생활시간조사자료분석을 중심으로

        윤나래(Yun, Nara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 실태 및 청소년의 여가시간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 여가만족도에 대해 분석한다. 통계청의 ‘2019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미디어를 활용하거나 게임을 하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여가시간에 미치는 요인은 여가유형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 등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 뿐 아니라 부모의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여가시간량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여가 유형과 주말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주말에는 여가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여가만족도는 충족되지 않아, 청소년들이 다양한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가 확인되었다. In this paper, leisure time of Youth, an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and time use of parents on the use of leisure time, as well a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ir children, were examined. ‘Time-Use Survey 2019’ conducted were employed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study we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occupancy of time use of media including playing games through the media appeared dominantly in leisure time of Youth.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eisure time of youth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respective types of leisure time. In addition to the impact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such as parents" education level, and impact of parents" working time and leisure time is significant. As variables that affect the leisure time of youth,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ir lifestyle or time use of parents in addition to variables related to their socioeconomic environment. Third, in respect of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eisure time on the satisfaction of leisure, it appeared differently in weekdays from those in weekends, and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In the case of weekend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youth appeared rather unfulfilled despite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this suggests diversified desires for leisure time activities of youth.

      • KCI등재

        문화적 여가활동의 시간사용에 대한 결정요인 연구: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박혜련,허식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4

        By using the data of “2014 Time Use Survey”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leisure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period in 'out-of-home' rather than 'in-hom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our study purpose,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media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mmarizing the main results, it i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using the media are increasing in dual-earner households and household members needed care service. Media leisure activities can be seen as a passive consumption of leisure time in the households with large time constraints. Therefore, we need various media leisure activities mitigating the time constraints in the long term. Second, for cultural arts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time of non-working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hat of dual-earner households. Actually, cultural arts need to retain certain period of leisure activities outside the home. Thus, the government tries to provide effective environmental plans to reduce individual time constraints factors. Third, for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we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time is increased when there are no children and when both couples are unemploye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also suggest further efforts for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 polici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utside the home. 본 연구는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에 따라 각 여가활동별 시간사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통계청의「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V시청 및 휴식과 같이 ‘집 안’에서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뿐만 아니라 관광 및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같은 ‘집 밖’에서 행하는 활동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시간사용의 제약요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문화적 여가활동을 미디어 여가활동,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스포츠참여 및 야외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 및 가구 내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시간제약이 클 경우 ‘집 안’에서의 여가활동에 편중되어 소극적으로 여가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시간제약을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한 여가활동 참여기회를 보장해야하지만, 단기적으로 미디어 이용 여가활동이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여가활동이 되지 않도록 ‘집 안’에서 참여할 수 있는 질 높은 콘텐츠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에 비해 비취업가구 및 1인가구가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없는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은 ‘집 밖’에서의 여가활동으로 일정한 시간이 확보되어야하기 때문에, 개인의 시간제약 요인을 완화시켜줄 방안이 필요하고, 이는 부족한 시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의 경우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없는 가구와 부부가 모두 비취업 상태인 가구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 역시 ‘집 밖’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여가활동으로 시간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자녀 돌봄 프로그램 확대 및 단시간 참여 프로그램 확대와 같이 부족한 시간을 이용해 참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실제 근무시간에 따른 여가 활동 참여 실태 및 만족 분석 -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최승묵(Choi, Seung-Moo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0 觀光硏究論叢 Vol.32 No.2

        그동안 장시간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자 근무시간 단축 정책들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근무시간 단축 정책이 여가부문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들은 모두 주 40시간 근무제와 같이 근무시간 단축 제도 실시 여부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근무시간과 여가활동을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 근무시간에 따른 여가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의 여가 시간, 여가 비용, 여가 활동 만족, 여가에 대한 인식, 여가 제약 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제 주당근무시간이 40시간 이하인 집단은타 집단에 비해서 평일 및 휴일여가 시간이 충분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도가 높고 실제 사용 휴가 일수가 많았다. 또한 타 집단에 비해 여가에 대한 인식, 만족이 높았다. 여가생활 불만족의 주요 이유로 경제적 부담, 여가 정보/프로그램 부족을 선택한 비율이 타 집단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 초과인 집단은 타 집단에 비해서 일과 여가 간 균형 인식, 전반적 여가생활 만족 등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평일과 휴일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여가활동 만족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 부족이 여가생활 불만족 이유 및 제약요인이라는 응답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In order to improve the long-time working situation, the policies to reduce working hours have been implemente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eduction in working hours on the leisure sector. All of these studies categorized study subjects into two groups: (1) a group which reduce the working hours(e.g. 40-hour work week), and (2) a group which does not reduce the working hours. Howeve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nalyze working hours and leisur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leis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ctual working hours. This study classified the groups based on actual working hours and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group’s leisure time, leisure expenditur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leisure perception, and leisure constra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oup with less than 40 hours of work per week was considered to have sufficient weekday and holiday leisure time and can be used freely compared to other groups. Also, the leisure experience, leisure percep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e main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leisure were economic burden and lack of leisure information/programs. Groups with over 52 hours of work per week showed lower experience in leisure activities,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leisure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satisfaction of most leisu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holiday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the main reason for dissatisfaction with leisure was lack of time.

      • KCI등재

        은퇴 부부는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 부부공유 여가시간과 여가만족도 및 기분상태의 관련성

        김혜중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retired couples use their leisure time, what leisure activities they share with their spouses, and whether the shared leisure time with spouses is related to leisure satisfaction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s. Method: The 2019 Time Use Survey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samples are couples living with their spouses, aged between 60 and 80. Each participant submitted a two-day time-use diary, and a total of 2,544 time-use diaries from 636 couples were selected. Leisure activit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assive leisure, active leisure, and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both husbands and wives spend the most time on passive leisure. Husbands spend more time on active leisure than their wives, while wives spend more time on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than their husbands. Wives spend the most time on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most on Sundays and Wednesdays; husbands spent the most time on active leisure on Wednesdays. Next, for the shared leisure, both husbands and wives shared leisure time the most with their spouses during the passive leisure time. The average shared time for active leisure was longer than the average shared time for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but the number of samples was larger in shared networ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than in shared active leisure. Last, shared time for active leis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usbands’ leisure satisfaction and wives’ daily emotional experiences. Leisure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idential status (living in their own house), and the health condition of both husbands and wiv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s, emphasizing health condition as a critical factor for the retired couples. Conclusions: The results reflect that retired couples enjoy spending time for active leisure with their spous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a need for support for retired couples to spend time for active leisure with their spouses and make the leisure time enjoyabl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한 부부가 여가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활동에 배우자와함께 참여하며, 배우자와 함께 공유하는 여가활동이 여가만족도 및 기분상태와 관련이 있는지를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사용하여 60세 이상 80세 미만의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은퇴한 부부 636쌍을 추출하였고, 1인당 이틀치의 일지를 작성하여 총2,544개의 일지를 분석하였다. 여가의 종류에 따라 수동적 여가, 활동적 여가, 참여 및 교제활동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편과 아내 모두 요일과 상관없이 수동적 여가시간이 남성과 여성 모두 가장 많았다. 요일별 차이로는 일요일과 수요일에는 아내의 교제 및 참여활동 시간이 많았고, 남편은 수요일에 가장 많은 활동적 여가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공유 여가시간은 남편과 아내 모두 수동적 여가를 배우자와 공유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활동적 여가는 부부가 공유하는 평균시간이 교제 및 참여활동을 부부가 공유하는 시간보다는길지만, 참여한 사례는 교제 및 참여활동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여가활동의 종류별로 남편과 아내 각각의 여가만족도와 기분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활동적 여가활동을 배우자와 공유할 때에만 남편은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아내는 기분상태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은퇴 부부는 수동적 여가시간을 배우자와 보내는 시간이 가장많지만, 활동적 여가를 배우자와 공유할 때만 남편과 아내 모두 긍정적인 경험을 한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한 부부들이 무료하게 소극적인 여가활동을 보내기보다 운동과 같은 활동적 여가를늘리며 긍정적인 기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김유선 ( Yoo Sun Kim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1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0년 3월)와 문화체육관광부·통계청의 ``국민여가활동조사``(2010년 7월)를 분석한 결과, 주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들의 근로시간과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40시간 근무제는 실 근로시간을 11.3% 단축시키고, 장시간근로 확률을 1/5로 축소시킨다. 시간당 임금에 대한 근로시간 탄력성은 -0.145로, 임금이 낮을수록 실 근로시간이 길고 장시간근로 확률이 높다. 저임금과 장시간근로는 동전의 양면이다. 둘째, 주40시간 근무제는 휴일 여가시간을 매개변수로 하여 여가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휴일 여가시간이 10% 늘면 여가비용이 3% 늘어난다. 주40시간 근무제는 스포츠 등 적극적 여가활동을 늘리고, 자원봉사, 동호회 등 사회성 여가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주40시간 근무제 이후 생활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로는, 10명 중 7명이 ``가족과 함께 하는 여가시간 증가``(52.2%),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 증가``(l5.7%) 등 긍정적 변화에 응답하고, ``여가 소비지출 부담 증가``(6.3%), ``수입 감소``(3.4%) 등 부정적 변화는 13.9%, ``별다른 변화 없음``은 14.4% 응답했다. 긍정적 생활변화는 여가생활 만족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넷째, 다른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주40시간 근무제는 주관적 행복수준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여가생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주40시간 근무제가 노동생활과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이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빠른 시일 내에 모든 직장에 주40시간 근무제가 정착되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주40시간 근무제를 5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하고, 초중등학교에 주5일 수업제를 전면 실시하고, 적극적 여가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근로감독 행정을 강화해서 주 52시간을 초과하는 탈법적인 장시간근로를 제한하고 저임금을 일소해야 한다. The 40-hour work week system has brought positive impact on shortening working hours, eliminating long-time work, increasing leisure-tint with family, etc. And this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leisure-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has changed from passive activities such as rest to active activities such as sports, tourism. And the 40-hour work week system has positive impact on socia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volunteer work and, club activities. This all efforts need to be made to establish 40-hour work week system as soon as possible in all workplace. Firstly, 40-hour work week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to every workplace with less than 5 persons, enlarge 5-day school week system into every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reate conditions for positive leisure activities. Secondly, labor standard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to eliminate long-time work over 52 hours par week, below-mininum wage work.

      • KCI등재

        경제활동하는 남녀의 여가생활 격차와 만족도

        민경선(Kyungsun Mi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여가시간이 불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는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여가시간이 경제활동하는 남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으로부터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이 비롯되고 있으며 여가를 위한 시간의 양은 여가의 질을 설명하지 못 함을 주장한다. 분석결과, 기혼남성에 비해 기혼여성이 가사노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에 이들의 여가시간은 매우 적고, 총 노동시간은 상당히 많았다.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시간의 희소성은 여가시간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직업역할과 가족역할의 이중부담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시간압박감의 증대, 불평등한 성역할 인식은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을 야기하였고, 때문에 여가를 통한 만족감은 여가시간의 양 자체가 아닌 여가시간 희소성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처럼 남녀 간 불균등한 여가시간을 문제 제기하는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고 여가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atus and cause of uneven distribution of leisure time depending on sex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 time on life satisfaction of men and women who conduct economic activities. To that end, this study utilized 〈Time Use Survey〉 from Statistics Korea and argued that 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cause unevenness of leisure tim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quantity of leisure does not explain the quality of leisure. The analysis found that compared with married men, as married women spend more time in domestic chores, their leisure time is very short, and the total labor time is very long. The scarcity of time experienced by married women enhances the subjective value of leisure time, and the double burden of job role and family role causes negative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crease in time pressure and unequal gender role perception cause unevenness of leisure tim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satisfaction from leisure is explained not by the quantity itself, but by the scarcity of leisure time. As this suggests, this study raises the issue of uneven leisure time between men and women hopes to ultimately contribute to make a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