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황희성 ( Heesung Hwang ),이유진 ( Yujin Lee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대한민국은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과 ‘주52시간근무제’도입과 같이 국민의 여가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2019년 발병한 COVID-19로 인하여 우리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고, 다양한 제약이 발생하면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여가시간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었다. 때문에 여가에 대한 인식과 행복에 대한 생각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기에 그것이 길고 짧은지 느끼는 것에 따라 ‘자신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2019년도와 2021년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여가시간, 여가시간충분도, 여가만족, 그리고 행복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과정: 국민여가활동 조사의 전체 표본 수는 2019년 10,060명, 2021년 10,049명이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 수준, 결혼 유무,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평일 여가시간, 평일 여가시간충분도, 여가생활만족도, 행복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치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경우,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충분도가 높은 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지고, 여가시간충분도가 낮은집단은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가시간충분도는 여가시간이 여가만족을 경유하여 행복으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였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되는 것이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 삶의 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efforts to guarantee the leisure of the peopl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Framework Act on Leisure Activation” and the “52-hour maximum work week policy”. However, due to COVID-19, which occurred in 2019, our lives have changed, and as various restrictions have occurred, leisure time has suddenly increased regardless of our intention.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the idea of happiness have changed. Recognizing time is so subjective that depending on how you feel whether it is long or short, thinking that you have enough time can also appear differentl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leisure time sufficiency,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2019 and 2021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Metho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10,060 in 2019 and 10,049 in 2021.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leisure time on weekdays, leisure time sufficiency on weekdays,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happines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as data processing methods. In addition, Model 7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Result: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were higher in 2021 than in 2019, 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lower. Second, leisure time on weekday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both 2019 and 2021. Third,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in 2019. On the other hand, in 2021, leisur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4)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on weekdays. Fourth, in 2019,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bu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case of 202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howe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leisure tim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Conclusion: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mediated by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value is determined by the will to do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ult. Efforts to find ways to feel rich in time without having more leisure time a day and feel the maximum satisfaction of one's leisure activities are expected to maximize the value of a happy life.

      • KCI등재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 조절효과

        신아름,황선환 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examined how happiness changes as leisure time increases, and, how leisure time affects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time sufficiency. In this study, the original data of the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9) was employed. A nationwide population aged 15 or older was set up as a popul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tested using Cronbach' alpha. In addition, Model 1 of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verify moderation effect of leisure time sufficiency.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but leisure time suffici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leisure time suffici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이 연구는 연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행복이 어떻게 변화하고, 나아가 여가시간충분도 수준에 따라 여가시간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2019)에서 발표한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만 15세 이상 인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다단계층화집락추출(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을 통하여 수집된 10,060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활용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시간충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1번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시간 증가는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시간충분도 수준의 증가는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민들의 행복증진을 위하여 국가적·지자체차원에서 체계적인 여가교육과 여가컨설팅을 통한 건전한 여가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시간은 충분한가?: 국민여가활동조사를 기반으로 코로나 전, 후 비교

        이유진,황선환,황희성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5

        연구목적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과 발생한 후인 2021년의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서로 다른 환경에서 국민의 여가시간, 여가시간 충분도, 여가생활 만족 및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여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9,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 데이트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의 Model 7번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은 2019년도에 비해 2021년도가 높은 반면에, 평일 여가시간충분도와 여가생활만족도는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 여가시간은 2019년과 2021년 모두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2019년도의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2021년도는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19, 2021년, 평일 여가시간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시간충분도의수준에 따른 여가생활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신이 하고자 하는의지와 결과의 만족에서 가치는 결정된다. 하루에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지지 않고도 그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며, 자신의 여가활동에 최대한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려는 노력은 행복한삶의 가치를 극대활 것이다.

      • KCI등재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김종순,오세숙,윤소영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s to how job patterns including working hours per week and monthly income and leisure resources including leisure hours in weekdays and weekends, leisure time sufficiency degree in weekdays and weekends, expenditures on leisure activity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among wage earning women aged between the twenties and forties have impacted o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riginal document this study has referred is the national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contributed by panels and it has analyzed a total of 1,318 sample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leisure resources based on the respondents’ maternal status. Second, as to the unmarried female laborers, their monthly income has influenced leisure expenditures satisfaction degree. Third, only married female workers has responded that working hours per week and monthly income have exercised an impact o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Fort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amount of leisure time given and its sufficiency degree during weekdays, and leisure expenses satisfaction level in total have affected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unmarried female wage earners. Mean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degree in weekdays and weekends, and leisure expense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have impacted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It could be argued that for the married female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might be mutually exclusive. considering a variety of impacts on their leisure life depending on their job patterns, 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es, it seems, could b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20-40대 직장여성의 일 특성(주당근무시간, 월평균 본인소득)과 여가자원(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평일과 휴일 희망여가시간, 월평균 여가비용), 여가자원 충분도(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충분도, 월평균 여가비용 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그리고 행복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원자료는 2014년 국민여가생활조사의 패널 자료이며, 총 1,318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여부에 따라 여가자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여부에 따라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 특성, 여가자원, 여가자원 충분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미혼과 기혼 모두에게 여가생활만족도는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40대 직장여성 중 기혼인 경우 여가자원이 부족하며, 일 특성과 시간 충분도에 따라 여가생활만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