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김시월 ( Siwuel Kim ),윤정혜 ( Junghai Yoon ),조향숙 ( Hyangsook Cho ),이정화 ( Jeonghwa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노인 단독가계의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 과 구성비 수준을 알아보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3차년(2009)도 조사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단독가계의 가구주 70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를 비교해볼 때,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순으로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높았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적게 지출하여, 여성이 남성의 약 60% 수준에서 지출하고 있었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정상재이며 필수재의 성격을 보였다. 즉,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소득탄력성은 모두 엥겔계수보다 높고 1.0 미만이었다. 각 비목별 지출을 볼 때, 교통비 지출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질환이 없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통신비 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부채가 많을수록 유의하게높았다. 문화ㆍ여가활동비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의 소득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소득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정(+)의 자산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은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이 아닌 광역시나 도에 거주할 경우 문화ㆍ 여가활동비의 지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남성의 문화ㆍ여가활동비의 소득탄력성이 여성에 비해 훨씬 높았다.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경조사ㆍ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경조사ㆍ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전체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하는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노인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성별의 영향이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문화ㆍ여가활동비나 경 조사ㆍ교제비 등에 있어서 남성은 소득이, 여성은 소득과 자산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소득은 직업과 근로능력 의 중요성을 의미하며, 자산은 가계자산관리 및 장기적인 금융소비자교육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무, 거주지역, 취업여부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ㆍ자산ㆍ 부채 수준 등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며, 젊은 나이부터 노년기를 대비한 사회적 참여의 확대 및 자신의 재무 설계와 관리, 취업 관리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s by consumption expenditure item and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f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focus on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and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mployment stat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and health status. For this purpose, OL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 sample of 760 single householder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third survey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2009).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ere highest and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recreation were followed. Women spent less on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men. And women spent 60 % of men’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was normal good and necessary. The income elasticity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were higher than Engel’s coefficient and less than 1.0. Second,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 person householders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ho had diseas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who didn’t have. Third, income and deb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while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Fourth, religion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asse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women. 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And income elasticity of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was much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Fifth,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hile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Sixth, 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while asse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education,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Finally,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ere apparently changed by gender. Income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Income has an emphasis on jobs and working capability, while asset has an emphsis on the household asset management and long term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offer that customized support system differentiated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should be needed. Furthermore, it should be needed to educate their financial planning and job management, for individuals and households from young age.

      • KCI등재

        여가문화비 산출 방안 연구 및 지출수준 국제비교

        송철재,박근화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fathom the level of recreational activities in Korea in coherent cross-national comparison of expenditures for such activities, and secondly, to provide basic numer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policies and researches related to recre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xpenditure. First of all,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was examined, and then the range and calculation of expenses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ere defined. In combination of the scales of governmental and household expenditures, the level and structure of expenses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turned out that the level of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Korea was lower than the aver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level of expenditure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in the lower ranks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fact, the household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aver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ut the general level of expenditure of Korea remained in the lower ranks among the countries because governmental support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as at a comparatively low level among OECD members. To increase the level of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first of all, the direction of related policie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a variety of ways to reduce working hour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lso need to be sought. 본 연구의 목적은 1차적으로 여가 관련 지출수준의 정합성 있는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가수준을 상대적으로 가늠해보고, 2차적으로는 여가부분 지출구조를 분석하여 여가 관련 정책수립 및 관련연구에 등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치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국민계정체계(System of National Accounts)를 검토한 후, 여가문화비 지출범주 및 산출방법을 정의하였고, 정부지출과 가계지출의 지출 규모를 결합하여 여가문화비 지출수준 및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은 OECD 평균과 비교시 낮은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부의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이 OECD 국가와 비교시 하위권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가 지출하는 여가문화비가 OECD 평균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에도 우리나라 전체 여가문화비지출 수준이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은, 정부에 의한 여가문화비 지원이 OECD 국가 중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여가문화비 지출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 설정이 필요하며, 근로자의 노동시간을 줄이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이성림(Lee, Seong-Lim),김기옥(Kim, Kee-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3

        Using the 2007 Family Expenditure Survey,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sisting leasure expenditure patterns, classified types of leisure activity based on the leisure expenditure pattern of the songle households, and finally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five leisure expenditure factors and the corresponding types of leisure activity were identified including (1) learning, (2) private travel, (3) reading, theaters and concerts , (4) group tour and sports, (5) recreational facilities. Second, single households tended to focus on only one type of leisure activity implying the lack of variety in leisure activities. Third, gender, age,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leisure activity. 본 연구에서는 2007 가계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여가활동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여가활동 유형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독신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은 개인여행, 단체여행과 운동, 강습, 독서와 공연관람, 오락시설 이용의 5가지로 나타났다. 둘때, 여가활동소비지출 패턴에 따라 여가활동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행한 결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다양한 여가활동을 골고루 즐기는 소비패턴을 취하기보다는 거의 전적으로 한 종류의 여가활동에만 소비가 집중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독신가구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KCI등재후보

        거시경제변수가 여가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김재석,김민경 동북아관광학회 2013 동북아관광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경제적 여유와 여가시간이 증대되어 여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여가 지출도 과거와 달리 소비지출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 간 여가소비지출에 대한 관광학 분야에서의 연구는 여가행위 및 여가심리 분야에 초점이 맞추어져, 경제성장이 예견되는 실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에 거시경제변수가 여가소비지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변화하는 경제 속에서 공공부문의 여가정책수립과 민간부문의 여가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 결과, 여가소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변수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가구소득과 1인당 실질 GDP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물질적 풍요가 여가의 중요한 결정요소임을 나타내었다. 환율은 다소 낮은 부(-)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선행연구와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국제여행과 여가소비에 대한 성격차이가 어느 정도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실업률은 다소 낮은 정(+)의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늘어나기 때문에 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경제성장률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여가소비가 경제성장에 영향을 받고 있고 향후 경제 성장과 더불어 여가소비도 증가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 해 준다.

      • KCI등재

        도시근로자가구의 여가소비지출 분석

        차경욱 한국여가문화학회 2003 여가학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근로자가구의 사회인구학적 ․ 경제적 특성이 여가소비지출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지출비목을 근거로 교양오락비 총액과 신문 ․ 도서 구입비, 교양오락용품 구입비, 교양오락서비스 비용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가계의 사회인구학적 ․ 경제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 신문 ․ 도서 구입비 및 교양오락용품 구입비의 경우, 지출이 전혀 없는 가계가 큰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에, 지출액 뿐 아니라 지출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2단계 추정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편모가구는 일반가구 보다 교양오락비 지출행동에 참여하는 비율과 지출액 수준이 모두 낮았고, 가구주의 연령은 모든 세부 비목의 지출액에 유희하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가구주가 초대졸 이상인 가계는 고졸 이하인 가계 보다 여가소비지출을 하는 경향도 높고, 그 액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가 전문기술 ․ 관리직인 가계와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가계가 교양오락비 지출액이 많았으며,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여가소비지출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그 지출액도 많았다. 월 평균 소득은 모든 세부 비목의 지출여부와 지출액을 결정하는데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교양오락비 지출 총액에 대한 소득탄력성은 1.16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가구특성에 따른 가계의 여가소비지출 분석

        구희일(Koo, Hee II),최석준(Choi, Seok Jo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가구의 사회·인구·경제적 특성이 가계의 여가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간의 여가소비지출 차이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5년 가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여가소비지출총액, 서적 및 인쇄물 구입비, 교양오락용품기구 구입비, 교양오락서비스비용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여 최소자승추정법과 토빗모형으로 비목별 지출액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서적 및 인쇄물 구입비와 교양오락용품기구 구입비, 교양오락서비스비용에서는 가구주의 직업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가구주의 교육정도에 따른 여가소비지출의 비목별 차이도 상당한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의 소유여부가 가계의 여가소비지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간 서적 및 인쇄물 차이에 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 수준의 가구와 전문대 이상, 대학원 수준 가구와의 차이가 도시지역의 같은 교육 수준 간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교양오락용품기구 구입비에서도 비도시지역의 일반가구와 노인가구의 차이가 도시지역의 일반가구와 노인가구의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shows that how household’s sociological·demographic·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 its leisure expenditures, and w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isure expenditures of urban area and that of rural area is. This analysis was done on four expenditure categories of Total Leisure Expenditure(TLE), Publications and Prints Expenditure(PPE), Culture and Entertainment Goods expenditure(CEG), Culture and Entertainment Service expenditure(CES) using OLS and Tobit Model with data based on a survey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5. First of all, it tells that householder's occupation makes a big difference on expenditures for PPE, CEG, CES and their education level for leisure expenditures. Also, households’ expenditures on leisure life were up to much whether they have their own houses or not. The result on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PPE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school level and the college·graduate school level is bigger than its counterpart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 is bigger than that of urban area for CEG.

      • KCI등재

        근로시간 단축이 소비지출 및 관광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희수,빈기범,윤세목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reduction of labor hours for the employees in hospitality industry on the travel expenditures on lodging, traveling, and dinning. To analyse the impact, macro analyses using macro economic variables were employed. Income and labor hours were treated as interactive term.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s that the reduction of average labor hours has positive impact on the lodging and dinning expenditures while it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tour expenditure. The results show that while it is likely to increase the expenditures on lodging and dinning industries, reduction of labor hours cannot impact on the expenditure on the tour. This result may imply that distinct amount of leisure time required to participate tour experience.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due to reduction of labor hours has positive impact on tourism industry, especially on lodging and dinning industries. The propensity of consumption has moderate impact between leisure time and travel expenditur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시간의 단축이 관광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거시경제 변수를 활용한 거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소득과 근로시간을 하나의 상호작용항 변수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숙박지출에 대한 회귀분석모형의 월평균노동시간이 1% 하락할 때, 숙박지출의 GDP(소득)에 대한 탄력성이 0.3406 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월평균노동시간이 1% 감소할 때 실질숙박지출은 약 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지출에 대한 분석 결과는 월평균근로시간이 1% 하락할 때, 외식지출의 GDP에 대한 탄력성이 0.0688 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실질GDP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월평균노동시간이 1% 하락할 때 외식지출은 약 2%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여행 지출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의 경우 단순한 근로시간의 감소보다는 연속되는 여가시간이 확보되어야 지출이 늘어날 수 있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분석으로 볼 때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여유로움은 소비에 대한 선호를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숙박, 외식 등의 소비가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소비성향의 변화가 여가시간의 증가와 소비지출의 증가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조절기능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Motive on Serious Leis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이현종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5

        This study seeks to confirm the effect of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motive on serious leis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To this end, the study selected properties of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motive, serious leis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e study collected 317 units of questionnaire and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motive – knowledge and achievement –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xpertise and the factors of achievement, escape, knowledge, and soci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dentification. However, of these two variables, only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ption expenditure. Through the present analysis, this study thus expands the notion of serious leisure into professional baseball and suggests effective marketing methods for professional baseball teams. In the conclusions, the study presented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