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 실태에 관한 연구

        신원우(Shin, Won Woo),김지혜(Kim, Ji Hy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3

        여가는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 미혼여성의 경우에도 여가는 현대사회에서의 여성 복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는 남성뿐만 아니라 같은 여성 집단 안에서도 하위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미있는 삶을 유지하기 위한 여가문화의 주체로서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자료의 3차년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40대 취업 여성의 평일 저녁 및 주말 활동과 여가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인원은 527명이다. 분석 결과, 미혼취업여성들의 여가 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은 평일의 경우 평균 130분(약 2시간 10분)이었으며, 주말의 경우 평균 277분(약 4시간 30분)으로 나타나 주말에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는 연령, 학력, 직업, 경제상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일과 주말 모두 여가활동 유형이 휴식과 사회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상대적으로 다양한 활동형 여가는 저조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가의 시간적 개념을 고려해 볼 때, 미혼취업여성의 경우 일하는 시간을 제외한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평일의 경우에는 여가 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이 적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휴식을 통한 노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시간으로 활용하는 반면, 주말의 경우에는 좀더 적극적인 사회 활동으로 자기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 실태에 초점을 두어 향후 하위집단의 여가문화에 대한 심층적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실천적으로는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전문가들에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여가문화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여가문화 활동 지원 제도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isure culture of un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The leisure is perceived as important culture and activities affecting welfare of all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 The leisure also takes the important ro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women. Literature reviewshows that there are uniqu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of unmarriedwomen frommarriedwomen as well asmen. This study analyzed the 3rd data of Korea Longitudinal Survey ofWomen & Families of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s. This data includes the data of leisure activities of weekdays andweekend of 527 unmarriedworkingwomen in their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as; The average activity time was 130 minutes in weekdays and 277 minutes in weekend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of leisure cultur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job and state of economy of unmarried working women. And the rest and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were the main leisure activities in weekdays and weekends. However, there were few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most unmarried working women participated in passive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relieve stress and recover the labor in weekdays. On the contrary to this, they tends to participate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enhancing self-directed life and self esteemby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inweekends.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this results offer the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of leisure culture of various sub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appropriate for participants. 여가는 개인적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 미혼여성의 경우에도 여가는 현대사회에서의 여성 복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는 남성뿐만 아니라 같은 여성 집단 안에서도 하위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미있는 삶을 유지하기 위한 여가문화의 주체로서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자료의 3차년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40대 취업 여성의 평일 저녁 및 주말 활동과 여가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인원은 527명이다. 분석 결과, 미혼취업여성들의 여가 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은 평일의 경우 평균 130분(약 2시간 10분)이었으며, 주말의 경우 평균 277분(약 4시간 30분)으로 나타나 주말에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는 연령, 학력, 직업, 경제상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일과 주말 모두 여가활동 유형이 휴식과 사회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상대적으로 다양한 활동형 여가는 저조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가의 시간적 개념을 고려해 볼 때, 미혼취업여성의 경우 일하는 시간을 제외한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평일의 경우에는 여가 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이 적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휴식을 통한 노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시간으로 활용하는 반면, 주말의 경우에는 좀더 적극적인 사회 활동으로 자기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 실태에 초점을 두어 향후 하위집단의 여가문화에 대한 심층적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실천적으로는 미혼취업여성의 여가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전문가들에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여가문화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여가문화 활동 지원 제도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isure culture of un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The leisure is perceived as important culture and activities affecting welfare of all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 The leisure also takes the important ro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women. Literature reviewshows that there are uniqu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of unmarriedwomen frommarriedwomen as well asmen. This study analyzed the 3rd data of Korea Longitudinal Survey ofWomen & Families of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s. This data includes the data of leisure activities of weekdays andweekend of 527 unmarriedworkingwomen in their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as; The average activity time was 130 minutes in weekdays and 277 minutes in weekend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of leisure cultur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job and state of economy of unmarried working women. And the rest and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were the main leisure activities in weekdays and weekends. However, there were few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most unmarried working women participated in passive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relieve stress and recover the labor in weekdays. On the contrary to this, they tends to participate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enhancing self-directed life and self esteemby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inweekends.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this results offer the in-depth analysis information of leisure culture of various sub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appropriate for participants.

      • 장애인 여가문화의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전리상,오종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9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2

        여가문화의 권리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회권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도 이러한 여가문화적 권리를 누릴 권한이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여가문화적 권리를 향유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여가문화에 대한 실태와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장애인들의 여가문화의 실태와 욕구를 밝히는 것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물론 복지서비스 정책의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사는 전국의 장애인 2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장애인의 소득, 여가유형, 여가지출 비용, 여가문화에 대한 욕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장애인들은 여가시간을 생산적,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보다는 소비적이고 소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과 지역사회의 장애인 여가문화적 여건의 미비로 인한 것이었다. 따라서 장애인이 여가문화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여가문화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고 지역사회의 장애인 여가문화 활동에 대한 분위기 및 여건의 조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들의 여가활동 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지속가능한 문화융합사회로의 진입을 위한 인본주의적 가치실현의 전망 -

        민웅기(Min, Woong-Ki),김상학(Kim, Sanghag)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결혼이주여성들의 여가활동이 어떤 사회문화적 특징에 의해서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조사 분석결과, 한국에 이주한 다문화가족 이주 여성들은 그들 여가활동에 대한 관여도가 높다고 해서 그 심리적 가치의 정도가 여가만족도의 증대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반드시 기능성취적인 여가활동 동기가 매개되어야만 여가만족도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중요한 사회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여가와 노동이 완전히 단절될 수 없는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삶의 특징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그들의 여가활동에 도구적 측면의 사회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현상은 원래 한국에서 태어나서 거주하고 있는 국민들과는 다른 유형의 여가활동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현재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사회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족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국가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문화융합사회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그들의 삶에 대한 인본주의적 고찰에 기초한 사회적 공론 과정이 필요하다. 요컨대 이제 공공성에 입각한 정부의 여가정책을 과정을 통해 다문화 결혼이주여성들의 본원적인 여가의 의미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구조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leisure activities of foreign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and their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o offer a rationalization for the relationship. The result shows that foreign wives’ leisure involvement has no direct impact on their leisure satisfaction, but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leisure activities when the motivation of functional achievement is used as a parameter. It has significant sociocultural meanings that labor and leisure can not be separable to foreign wives from developing countries, and leisure activities have social impact on them unlike Koreans. Therefore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national policies concerning the life-world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hat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establish well in Korea that is rapidly moving toward it. Especially, social discussion should be made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on the liv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enter a sustainable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After all,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structural approach, considering the publicness in making leisure policies to embody the original meaning of leisure for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s.

      • KCI등재

        여가문화 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 탐색

        구강본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sport tourism by investigating the system of symbols seen in the contents of leisure cul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systems of leisure culture contents. Second, the common symbolic code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ere explored. Third, a possible way for leisure culture to be sport tourism was provided. Finally, the direction for generating a link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as addressed based on the aspect of leisure culture that might be accepted in sport tourism. The study summarized the six systems of symbols, and the five common code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ere identified. The functions of sport tourism were identified in the six areas: time consumating, the facility and space of urban context, program, cultural code, and industrial level. When the contents of sport tourism are actively developed, abundant leisure culture can be co-existed. It is understood in a way that these two areas might be demanded to generate scholastic convergence. 이 연구는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를 탐색하고, 공통코드를 찾아 여가 문화 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여가문화 콘텐츠와 스포츠관광의 공통 코드를 탐색하였다. 셋째, 여가문화 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에서는 시간적 기호체계, 공간적 기호체계, 시각적 기호체계, 체험적 기호체계, 제도적 기호체계, 상업적 기호 체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섯 가지의 기호체계는 여가소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지배적인 구조의 체계인 것이다. 또한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호체계를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여가문화 콘텐츠와 스포츠관광의 공통코드를 탐색한 결과 수단적 코드, 체험교육 코드, 영속성 코드, 공익적 복지 코드, 상업적 코드를 제시하였다. 해석된 기호체계를 바탕으로 여가문화와 스포츠관광의 소통체계와 공통성을 찾고자한 결과이다.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공통된 기호체계를 제시하는 것은 필수적 과제이기 때문이다. 셋째, 여가문화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시간소비 지향적 콘텐츠, 도구적 차원의 시설과 공간의 콘텐츠, 프로그램의 가치지향 콘텐츠, 문화코드 지향 콘텐츠, 경제적 측면의 산업적 콘텐츠로 제시하였다. 수용자의 입장에서 여가문화 콘텐츠는 스포츠관광의 지향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 여가문화 콘텐츠로서의 스포츠관광은 충분한 역할과 형태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스포츠관광의 콘텐츠가 활성화 될수록 여가문화의 풍요로움도 공존될 수 있다는 결과는 상호간의 융합된 학문적 시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가족여가 활성화방안

        윤채빈,박수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여가 관련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통계자료 등을 유형별, 대상별로 기록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의 여가실태 및 여 가제약의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가정 가족여가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 헌고찰을 통하여 다문화가정의 여가실태 분석하고 여가제약을 최소화 시켜 여가활 동 참여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가족여가 참여를 증대시켜 가족 간의 응집력을 높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올바른 관계형성을 통해 가족해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여가인식 개선 교육의 필요하다. 둘째,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셋째, 다 문화이해 교육이 요구된다. 넷째, 프로그램의 수요조사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변화의 흐 름에 발맞추어 다문화가족의 가족응집력 및 사회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mily-leisure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undergone, and to seek the alternatives to activate the family-leisur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previous 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ly, the program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leisure is needed. Secondly, the variety of family-leisure programs is required. Thirdly, the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y is needed. Lastly, a study on demands and evaluation for th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As the multicultural members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gram focusing on the coherence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Moreover, this study will be a source to develop the program of social integration in accordance with multiculturalism in Korea.

      • KCI등재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김재운,김한범,임새미,박찬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4

        대표적인 생활체육 종목이라고 할 수 있는 테니스를 통해 여가 문화를 향유하는 동호회 회원들의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건강한 스포츠 여가문화는 무엇인가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었다.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수행된 본 연구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7명의 테니스 동호회 회원이 연구참여자로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첫째,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 둘째,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테니스 동호회를 통한 여가 활동 즐기기’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동호회 활동의 주요 경험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삶과 여가의 균형을 통해 ‘테니스는 내 삶의 행복’ 경험하였다. 둘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인 코트를 그들 삶의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테니스 동호회 활동 경험 중 대회 참가를 자신의 실력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테니스 동호회 문화 향유하기’에서는 주로 관계적 측면에서 하나의 스포츠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테니스 동호회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과 문화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동호회 회원들은 ‘테니스’를 좋아한다는 공통의 분모를 바탕으로 도호회 문화를 형서하고 있었다. 둘째, 그들의 문화를 지속하고 구성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새로운 회원을 받아들이는데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테니스코트는 그들에게 있어 사회적 관계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며, 회원 간 형성된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는 테니스 코트를 작은 사회처럼 느껴지게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 내용을 통해 테니스 동호회 회원들이 어떤 여가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향유하는 문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무엇인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거의 유일하게 우리의 삶을 온전하게 즐길 수 있는 여가 시간은, 더 이상 일을 하고 남는 시간이 아닌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그리고 행복하게 해주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일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신체적 여가 활동 중 하나인 스포츠 활동은 여가 시간을 더욱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실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여가 혜택에 대해서는 그리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신체적 여가로서 테니스 동호회 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이 향유하고 있는 여가문화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과정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건전한 여가 문화를 형성하는데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ulture of leisure tennis club as a one of popular leisure sports clubs, analyze tennis club members' leisure experience, and, ultimately, examine suggestive clues in defining a healthy, sports leisure culture and implanting a setting for sports leisure culture. In order to probe into the leisure culture of tennis club as sports-for-all club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healthy, leisure culture, this study used in-depth, focus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notes, and other data collection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Seven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awareness of tenni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acknowledge and experience leisure with tennis.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enjoying leisure activities in tennis club, the study participants' main experiences in their club activity were discussed. 1) Through the balance of life and leisure, the study participants appreciated tennis as happiness in their life. 2) Club members recognized the tennis court as a metaphorical playground for enjoying tennis culture. 3) Among club activity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ennis contests or tournaments was regarded as a means to measure their tennis ability. Secondly, the identity and culture of tennis club as one of sports groups in terms of relationship were discussed regarding ‘enjoying tennis club as a culture'. 1) Club members formed club culture on the basis of communal interest and passion for tennis. 2)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culture and its current members’ interests, the club exercised due care when selecting and admitting new members. 3) A tennis court represented a space for sharing and building social relations and embodied a small society in terms of the complicated and diverse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의 민속학적 고찰

        박환영 ( Hwan Young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본고는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에 대한 민속학적인 시각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의 농촌문화 속에는 전통적인 생활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문화를 소재로 하는 농촌문화관광은 현대인들의 여가문화로 중요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과 전원적인 농촌생활을 소재로 하는 생태문화관광이라든지 전통문화에 대한 체험 프로그램 등은 농촌문화관광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민속은 가장 핵심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여가문화 속에서 문화관광자원이 될 수 있는 농촌문화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인의 삶은 새로운 여가문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문화 속에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농촌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화관광자원이 현대의 여가문화로 충분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문화의 가치를 중요시 하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여가문화의 핵심적인 소재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의 몇 가지 가능성은 친환경적인 생태문화를 비롯하여 농촌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여가문화가 가질 수 있는 이러한 농촌문화와의 연관성을 좀 더 확대하고 현대인의 생활공간인 도시생활 속에서 여가문화를 전통적인 농촌문화와 연계하기 위해서 여가문화와 관련한 농촌문화관광자원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농촌문화관광자원의 구체적인 사례와 농촌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지속가능한 현대 여가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culture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tourism as well as leisure culture. Cultural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s probably an important resource for leisure culture. In addition, folk culture usually reflects people`s living customs and daily practices, therefore folkloric contents in cultural tourism are surely to rise in interest for leisure culture today. In this respect,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e and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particularly some possibilities found in agricultural villages.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cultural tourism in traditional agricultural villages are given,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ustainable resources for cultural tourism. From these arguments some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as a possible newly emerging leisure culture today are derived. As I have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Chahang village in the Pyongchang county, the regional tradition as well as every day living culture are good examples for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Also not only ec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occupational environment in agricultural villages have to be considered to be developed as sustainable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 KCI등재

        현대여가소비문화의 비판적 고찰과 대안모색

        박미혜(Park Mi Hye) 한국소비문화학회 2006 소비문화연구 Vol.9 No.2

          최근 우리사회는 주5일근무제 실시를 계기로 일 중심사회에서 여가중심사회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여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사회의 여가의 모습은 수동적 여가에 머물거나 현대사회에서의 여가경험은 소비문화 속에서 성취되는 어떠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가부문에서도 예외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품적 소비문화에 대한 소비윤리적인 관점을 가지고 접근을 함으로써 진정한 삶의 질 추구로서의 여가란 무엇인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그간의 연구논문들과 서적, 신문기사 등의 2차 자료들을 토대로 현대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고찰과 현대여가소비문화의 현상 파악을 중심으로 하여, 현대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비판과 대안모색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가소비문화의 현상을 문화상품소비, 웰빙형 여가, 놀이, 매니아적 여가, 관광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비판으로서 지나친 쾌락추구, 강제된 여가, 과시와 구별짓기로서의 여가, 여가소외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상업화되고 왜곡된 여가문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줄여나가기 위한 대안으로서는 소비자의 의식전환과 여가교육,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자발적인 주체성을 근원으로 한 삶의 태도인 미학적 여가로의 회복, 생태형여가, 여가 콘텐츠의 질과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여가교육과 여가소외를 해결하기 위한 여가정책 등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현대 소비문화 속에서의 여가의 방향은 어떻게 가야 하는지에 대한 학계의 꾸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s a 5-day work week was recently introduced in our society, we are changing from a work-oriented society to a leisure-centered society,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leisure culture. The leisure activities in our society remained passive, like taking a nap, watching TV, etc. But new and various leisure experiences have been gradually realized through increased leisure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study dealt with the phenomena appearing in a leisure consumption culture, its critical view, its alternatives to a negative consumption culture and how it helps individuals pursue a higher quality of life.   This study approached the analysis of a leisure consumption cult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lative papers, books, and some articles in newspapers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meanings of leisure were reviewed, and the phenomena in the leisure consumption culture were investigated, and its critical perspectives and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he phenomena appearing in a culture of leisure consump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ural product consumption, leisure activities promoting a healthful lifestyle, play, maniac leisure and tours. In addition excessive pleasure-centered leisure, enforced leisure, leisure involving conspicuous consumption, alienation issues from leisure, etc., were also discussed. Also, the consumer’s changing view of leisure, and leisure education, as well as establishing its policy were indicated as alternatives to solve distorted, and commercialized leisure issues.   The aesthetic or ecological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and leisure educ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and variety of leisure contents. Policies and its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to solve the issues concerning alien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conclusion, further study and discussion about a desirable course of leisure activity in a contemporary culture of consumption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여가 스포츠문화의 반성적 과제

        김영선,장성수 한국체육철학회 200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2 No.2

        In our own day, leisure sport culture connected with the capitalism and the technology development from the East. This trend makes our leisure activity not subjective but objective. The other problem is that we have vague sense, classification, unification and the loss of traditional awareness about leisure Sport. Discovery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leisure activity is more than anything else necessary to Korean leisure sport culture. So, nowadays we can apply to our society and realize leisure culture native to Korea. In this study, I have an intent to express the tasks from the reflective comprehension about leisure culture in Korea. First of all, We seek to preserve korean traditional custom and to develope the unique leisure culture from the new creativity. If we were to make into our leisure the traditional identity and the creativity, I could that we could accomplish a desirable sport culture in korean leisure. 현대적 삶의 양식은 더욱 서구화되고 있다. 이것은 자본과 기술이라는 거대한 흐름 안에 있다. 한국인에게 있어서 현대적인 여가문화는 ‘현대화’라는 서구적인 흐름 안에서 여가문화를 바쁘게 소비하는 객체로 만들고 있으며, 여가 문화 속의 스포츠 문화 역시 마찬가지이다. 때문에 수동적이고 소비적인 객체적 입장으로부터 건전한 정신상태와 자유로운 마음가짐으로 창조적인 삶을 실현할 수 있는 주체적 입장이 우리에게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제는 우리의 여가 스포츠 문화에 대한 반성을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현재 여가문화 안에서의 전통성의 부재를 인식하고 서구문화 수용과정에서 상실된 여가의식이 스포츠 문화에도 그대로 반영됨을 반성함과 동시에 이를 회복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즉, 여가문화의 변천과정을 살펴본 후에 여가 스포츠 문화의 특징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현대적인 삶을 지배하고 있는 단순한 오락 활동으로써의 여가 스포츠를 넘어서 전통으로부터 성숙된 한국인의 여가의식을 바탕으로 한 스포츠의 가치 확립을 위한 반성적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뒤따르는 과제로써 여가 스포츠에 대한 전통성을 발견하고 보존하는 연구를 제안함과 동시에 여가 스포츠 문화의 재창조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스포츠 문화에 전통성과 창조성을 정착하는 것을 강조하고 스포츠 문화에 대하여 성숙된 여가의식을 기반으로 한 한국 스포츠문화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길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흔(Kim Ji H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본 연구는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여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셋째, 만족이 여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한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지역의 K수영장, N수영장, Y수영장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유형성, 공감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확신성, 응답성, 공감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응답성, 신뢰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순으로 여가태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여가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문화환경 서비스품질과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4 purposes largely classified specifically. First,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satisfaction. Second, it clarifies how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ffects leisure attitude. Third, it clarifies how satisfaction affects leisure attitude. Fourth, it clarifies if satisfac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ports culture environment. Research targets were ordinary people who use K, N, Y swimming pool located in Gwangju and answered the survey, and total 200 copi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management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after implementing frequency analysis, relia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sympathy that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materi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in order. Also, reliance confidence, responsiveness, sympath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Finally, responsiveness, reliance confidence, sympathy,materiality in order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attitude. Thir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Fourth,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intermediary role in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in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leisure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