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콰도르의‘이중성(dual identity)’: 중국의 등장과 에콰도르 아마존지역 개발의 정치경제적 역설(paradox)

        이태혁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7 No.1

        This paper seek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Amazonian development under the current leftist government in Ecuador,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The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repeats ‘change and continuity’. Particularly, the beginning of this discourse works together with the colonial period(Michael 2012).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Ecuador, commonly embedded the nature of natural resource-related dependent development. In this historically embedded structural context, the 21st century leftist governments emerged, proclaiming the economic redistribution and political economic inclusiveness for those who were excluded under neo-liberalism. In short, these leftist governments attempt to realize the post-neoliberal by framing the new extractivism. However, it has been identified that Ecuador faces a dual identity concerning its oil extraction policy. In particular, Ecuador declared the Yasuni ITT Initiat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2007, subsequently, the current leftist government rejected this approach in 2013. The government then chose China as a ‘exit’ strategy. This study argues that the Equatorial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has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dependency, through its partnership with the emergence of China, and this indicates the aspect of paradox of the Equatorial political economy. Key words New Extractivism 본 논문은 개발의 (국제)정치경제의 담론을 살펴보며, 에콰도르 현 좌파 정부상황하의 아마존지역 개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개발의 정치경제는 ‘변화와 지속성(change and continuity)’의 반복이다. 특히, 이 담론의 시작은 식민지 시대와 궤를 같이 한다(Michael 2012). 에콰도르 등 중남미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지하자원과 관련된 개발의 종속적인단면이 내재화 되어있고, 이에 대해 21세기 좌파 정부 등장하 경제적 재분배와 신자유주의 하배제된 이들(예, 원주민 등 소수자)의 정치경제적 포용(inclusiveness)을 천명했다. 즉, 신채굴주의(new extractivism) 형태로 포스트 신자유주의(post-neoliberalism) 모습을 구현하고자 한것이다. 하지만 에콰도르의 꼬레아 정부의 석유채굴 정책과정을 통해 이중적(dual identity)인모습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2007년 에콰도르 꼬레아 정부가 전략적으로 Yasuni ITT Initiative 를 국제사회에 공언했지만, 이내 2013년 현 정부는 이 전략적 ‘카드’를 내려 놓게된다. 그리고그 ‘출구’ 전략으로 중국을 선택한다. 본 연구는 에콰도르의 개발의 정치경제적 정책이 중국의등장으로 종속적인 면이 지속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현 에콰도르 정부의 정치경제적 역설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에콰도르-페루 국경 분쟁의 결과와 의미

        이상현,박윤주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15 이베로아메리카 Vol.17 No.1

        본 연구는 19세기 초 스페인으로부터 각각 독립한 이후 지속되다 1998년 체결된 평화협정으로 종식된 에콰도르와 페루 간의 국경 분쟁에 관한 연구 이다. 170년 이상 지속된 에콰도르와 페루의 국경 분쟁은 서반구 최장의 국 경 분쟁의 하나에서 모범적인 국경 분쟁의 해결방법을 제시한 사례이다. 에 콰도르와 페루의 국경 분쟁의 과정과 해결은 보장 국가 및 그 대리인을 통한 중재 체제, 중재국에 의한 추가 사항 중재, 창의적인 국경 지역 정리, 추가 사 항을 포괄한 교역 및 항행 협정, 수자원 공급 문제 해결 등 제도적 측면뿐만 아니라 실질적 측면에서도 국경 분쟁 해결의 중요한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에콰도르와 페루 간에 벌어진 국경 분쟁의 배경, 전개 그리 고 결말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과정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본 연구는 다음의 함의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에콰도르와 페루 의 국경 분쟁 해결 사례는 아무리 복잡하고 오래된 국경 분쟁일지라도 올바 른 원칙과 방법으로 접근하면 평화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 다. 둘째, 에콰도르와 페루의 국경 분쟁 사례는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 레 등 보장국의 역할을 통하여 국제 국경 분쟁 해결에 있어서 중재국 또는 제삼자 개입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에콰도르와 페루의 분쟁해결 사례는 평화협정 체결과 평화공원 조성 및 관리라는 이례적인 갈등 해결방 법을 통해 영토와 국가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에콰도르와 페루의 국경 분쟁 해결의 사례는 분쟁 해 결의 중요한 변수의 하나로 분쟁 지역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을 다 시 한 번 확인해 주고 있다. 즉 에콰도르와 페루는 분쟁 지역의 불확실한 부 존자원 대신 분쟁 해결로 인한 양국 간의 경제 교류 증대, 정치적 불안 제거 로 인한 직접 투자 확대, 군비 감소, 그리고 직접적 경제적 원조 확대 등의 확 실한 현재를 선택하였다. 주제어: 에콰도르, 페루, 국경 분쟁, 브라질리아 합의, 평화공원 In the early 19th century, Ecuador and Peru achieved their independence and began one of the most protracted border conflicts in the western hemisphere. Because of unclear border lin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ince their independence, the border conflict between Peru and Ecuador triggered 34 military conflicts between 1828 and 1998. However, this long territorial conflicts became rather swiftly resolved in 1998 with a peace agreement and it gives us valuable lessons regarding resolution of territorial conflicts.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historical analysis focusing on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territorial conflict between Ecuador and Peru. We could learn following lessons regarding conflict resolution from a unusual option that Ecuador and Peru chose to solve their problem: peace agreement and foundation of a peace park. First, it is important to respect basic yet simple principles and methods in solving rather complicated territorial problems. Second, in Latin America, the Guarantor stat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solving territorial conflicts. Finally, the peace park that Ecuador and Peru agreed to build in the conflict area shed lights on a new strategy to solve territorial conflicts in our times. Key Words: Ecuador, Peru, Border Conflict, Brazilian Agreement, Peace Park

      • KCI등재

        한-에콰도르 수교 50주년(1962-2012): 대에콰도르 대외정책 분석

        유영식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4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5 No.1

        On October 5th of 2012 was the 50 year anniversary of Diplomatic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Ecuador.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setwo countries for the past 5 decad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eriods: Firstperiod corresponds to the beginning of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and Ecuador in 1962. And covers the entr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the UN in 1991. Until then the exterior politics of Korea towards Ecuador hadbeen Cold War centric. In the seventies, the petroleum crisis in the Middle Eastcauses Ecuadorian oil importation o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sourcediversification for crude oil sources. The second period comprises the step ofconsolidation of foreign commerce diplomacy and economic cooperation, inwhich Korea started to develop multilateral diplomacy and regional cooperationby entering OECD in 1996. Korea’s Foreign policy towards Ecuador that developed with the UN was mainlybased on the anti-communist ideology which then moved towards foreigncommerce and cooperation diplomacy giving importance to economic factorsand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beginning term of President Rafael Correa in 2007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Ecuador started to change and somedifferent opinions started to surge regarding diplomatic issues concerning thenuclear issu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trade imbalance and the regulations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development, etc. To resolve such problemsthe factors of the 2008 constitution, the equitable relations as sovereign countries,the principles of mutual benefit and non-interference in national politics that arebasic outlines of foreign policy of Ecuador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is paperaims to expose some alternatives to solve this issues and has the ultimate goal towork to strengthen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wo counties. 2012년 10월 5일 한국과 에콰도르가 외교관계를 수립한지 50주년이 되었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한-에콰도르 외교관계는 두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62년 한국이에콰도르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시기이며 1991년 남북한의 유엔 동시가입이 이루어진 시기에해당된다. 당시까지의 대에콰도르 주요 외교 이슈는 냉전 유엔외교와 더불어 1970년대 중동 오일쇼크로 촉발된 원유수입 다변화정책에 따라 시행된 에콰도르산 원유도입에 중점을 두었다. 두 번째 시기는 통상·경제협력외교 강화시기에 해당되며 한국은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다자 및 지역 경제협력 외교를 전개하기 시작했다. 이렇듯 한-에콰도르 양국관계는 한국의 대외정책이 반공이념에 기초한 유엔외교에서 경제적인 요인에 초점을 둔 경제통상외교로 전환되어 왔다. 2007년 꼬레아(Rafael Correa) 대통령 정권 출범으로 에콰도르의정치적 경제적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주요 외교 이슈인 한반도 핵문제, 교역불균형, 국제개발협력 규범 등에서 이견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에콰도르의2008년 헌법의 고유 요소와 정부 대외정책의 기본노선으로 지향하고 있는 주권국가로서 대등한 관계와 상호호혜의 원칙 및 내정불간섭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양국관계 증진을 위한 기여에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에콰도르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

        유영식(Yoo, Yeong-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1

        90년대 들어 다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다민족, 다중언어 사회의 특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에콰도르 등 안데스 국가들은 다양한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인정하고 국가유산으로서 언어와 문화의 보호와 발전도 허용했다. 이것은 국가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에콰도르 국민들의 고유 언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원주민들의 개인권리와 집단권리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동안 ‘민족-국가’건설에 중점을 두고 민족통합을 위해 단일 언어주의와 단일문화주의로 이해되는 동화주의 언어정책을 실시하면서 원주민은 사라져야 할 존재로서 그들의 문화적 언어학적 특성도 사라져갔다. 그러나 에콰도르에는 주류계층과 소수자 간의 관계 속에서 불균등하나마 항상 이중 언어주의와 이중문화주의 상황이 존재했다. 게다가 이중 언어교육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적 현실에 맞게 조정된 상호 문화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1988년에 EIB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해 교육법을 개정하였고 원주민 이중언어 상호문화교육국(DINEIB)을 창설하였다. 원주민들은 EIB 교육을 통해서 스페인어 사용자로 구성된 지배계층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언어적으로 탈식민화하여 그들의 언어와 문화가 동등한 위상을 갖기를 희망한다. 에콰도르 원주민과 고유 언어의 미래도 원주민 교육에 달려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어떠한 교육을 받느냐는 것은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원주민 교육에서 최적의 대안으로 평가 받는 EIB 교육은 원주민 자신들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지배계층이 자신들과 원주민들의 문화와 언어가 대등한 위상을 가진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상호학습이 실현될 경우 EIB 교육정책이 추구하는 기대와 성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즉‘모두를 위한 이중 언어 상호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상호 문화적 다국민 국가와 다중언어주의 사회 실현을 위해 추구해야 할 방향이다. In the 1990s, most of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began to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ety as being multiethnic and multilingual. Ecuador and other Andean nations recognized the diversity of indigenous languages and cultures, and allowed for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to take place by designating them as national heritage. This signified a major change in the language policy and indigenous education of the country. The effort to maintain the languages of the diverse Ecuadorian nationals and their development spurred from the demand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rights of the indigenous. Years ago, with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milation linguistic policy, monolingualism and monoculturalism were sought after to achieve national integration with an emphasis on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In this vision, natives are considered unnecessary beings that are bound to disappear and along with them, their cultural and linguistic heritage. But in Ecuador, even under unequal conditions, there has always been bilingualism and bicultur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minority group. Aditionally, Ecuador recognized that the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tercultural in order to adapt to the reality of the indigenous student, thus avoiding the traditional method. In 1998, the government amended the Education Act to institutionalize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for indigenous people and created the National Directorate for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ndigenous people want their language and culture to have an equal prestige and status, decolonizing sociocultural and linguistically from the dominant group (Spanish speakers) through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The future of indigenous people in Ecuador and their language depends on indigenous education, but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s what kind of education they should receiv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is the best alternative for indigenous education, but it must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raises the pride for indigenous culture and language. The expect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language policy would be maximized if a reciprocal learning was obtained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indigenous group, recognizing that their culture and language enjoy the same prestige. In other words,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must be for all, since only in this way can the goal of a plurinational state and a multilingual society be achieved.

      • KCI등재

        지식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콰도르의 시도: 야차이 지식도시

        유영식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4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5 No.3

        Seeing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cluding thetechnological advances in Ecuador, there are still many tasks they must completebefore the project can bear substantial result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construction of Yachay Knowledge City will depend on political backing andgovernmental financing remaining constant no matter the changes ingovernment. Yachay Project is a daring and innovative attempt that Ecuador’sgovernment is using to transform their raw matter export economy, which is always dependent on international pricing to an economy that deals knowledge. 본 연구는 꼬레아 정부의 가장 대표적인 프로젝트인 새로운 경제개발 모델로서의 야차이 지식도시에 대해 다룬다. 2010년부터 에콰도르는 전통적 경제모델인 원자재수출경제를 탈피하여 지식경제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야차이 지식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통하여 국가 경제와 사회 개선을 추구하며, 1차 산품 수출경제를 지식기반의 경제와 사회로 변화시켜 수막 카우사이를 실천하는 것이다. 야차이 프로젝트는 높은 원자재 수출 의존도를 개선하고, 첨단기술산업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고급 일자리의 창출과 국토의 균형개발을 도모하는 프로젝트이다. 에콰도르 정부가 대덕연구단지의 한국형 과학기술단지 개발 정책에서 영감을 얻어 이와 유사한 야차이 지식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가 에콰도르에 알맞은 모델인가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있으며, 이는 한국과 에콰도르는 발전과정에 많은 차이가 있기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는 정치제도와 문화적 차이를 비롯하여 사회조직 형태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에콰도르 현실에 맞고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특성이 추진전략에 적절히반영되어야 한다. 에콰도르의 산업발전 정도와 과학기술의 현실을 감안하다면 이 프로젝트가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아직 많이 있다. 지식도시 건설의 성패 여부는 정권교체의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정치적 지원과 정부의 재정적 지원에 달려있다. 야차이 프로젝트는 국제시장의 변동에 의존된 원자재수출경제에서 지식경제로 전환하기위한 에콰도르 정부의 과감하고 혁신적인 시도이다.

      • KCI등재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정책 이행역량을 중심으로

        한홍열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3

        It's hardly possible to end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role in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It seems that each side can provide enough empirical evidences to support each side's argument.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governments' capability to implement the economic plan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t the type of policy they choo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capacity of policy implementation rather than the choice of policy itself. We tried to critically investigate Ecuador's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y in terms of qualities of policy framework, policy measures and policy constraints. First, Ecuador places high priority on import substitution and export promotion, she is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policy measures. Second, the overall policy framework is not effective enough to mobilize resource support those policies. Third, while the SENPLADES is leading overall develoment plan, it lacks the capacity to coordinate various ministries involved. 오늘날 BRICs 국가들이 효과적인 정부의 개입과 세계시장의 활용을 통하여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정책을 선택한 수많은 제 3세계 국가들이 여전히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한 정책의 선택을 경제성장의 결정요인으로 보기 보다는 정책의 이행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한다는 관점 하에서 근년 들어 자유주의적 경제정책에서 적극적 정부개입으로 정책을 선회한 에콰도르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에콰도르는 꼬레아 정부의 등장 이래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산업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선택이 경제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 그 자체 보다는 에콰도르가 종합적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즉, 에콰도르 경제개발정책의 질적수준과 그 이행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개도국 성장역량의 결정요인을 미시적 수준(정책의 합리성, 일관성, 실현가능성, 행정부 역량, 정책의 집행구조 등)에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콰도르의 산업 및 무역정책이 충분한 현실 정합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략산업의 선정도 지나친 경직성으로 인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융통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에콰도르의 정책수단들이 매우 일반적인 인센티브 제도와 기술적 지원에 그치고 있으며 산업의 구축에 필요한 자원의 투입과 관련한 구체적 방안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국제통상 ;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정책 이행역량을 중심으로

        한홍렬 ( Hong Yul Han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3

        오늘날 BRICs 국가들이 효과적인 정부의 개입과 세계시장의 활용을 통하여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정책을 선택한 수많은 제 3세계 국가들이 여전히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한 정책의 선택을 경제성장의 결정요인으로 보기 보다는 정책의 이행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한다는 관점 하에서 근년 들어 자유주의적 경제정책에서 적극적 정부개입으로 정책을 선회한 에콰도르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에콰도르는 꼬레아 정부의 등장 이래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산업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선택이 경제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 그 자체 보다는 에콰도르가 종합적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즉, 에콰도르 경제개발정책의 질적수준과 그 이행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개도국 성장역량의 결정요인을 미시적 수준(정책의 합리성, 일관성, 실현가능성, 행정부 역량, 정책의 집행구조 등)에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콰도르의 산업 및 무역정책이 충분한 현실 정합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략산업의 선정도 지나친 경직성으로 인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융통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에콰도르의 정책수단들이 매우 일반적인 인센티브 제도와 기술적 지원에 그치고 있으며 산업의 구축에 필요한 자원의 투입과 관련한 구체적 방안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t`s hardly possible to end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role in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It seems that each side can provide enough empirical evidences to support each side`s argument.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governments` capability to implement the economic plan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t the type of policy they choo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capacity of policy implementation rather than the choice of policy itself. We tried to critically investigate Ecuador`s policy implementation capacity in terms of qualities of policy framework, policy measures and policy constraints. First, Ecuador places high priority on import substitution and export promotion, she is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policy measures. Second, the overall policy framework is not effective enough to mobilize resource support those policies. Third, while the SENPLADES is leading overall develoment plan, it lacks the capacity to coordinate various ministries involved.

      • KCI등재

        에콰도르 지역주의의 형성: 카카오 붐과 과야킬 지역과두세력을 중심으로

        유영식,윤준모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7 이베로아메리카 Vol.19 No.1

        The city of Quito is known for being the capital of Ecuador and center of the country's political scene, while Guayaquil is recognized as the nation's largest commercial city. These words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ost important territories of Ecuador and speak of a regionalism that motivates competition between the Central Sierra and the Coast. This regionalism in Ecuador is considered to be historical, for a long time the Creole oligarchy of Quito controlled practically all the resources and means of production, as well as most of the working properties of the country; however,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Coast began to form a late latifundium, thanks to the Bourbon reforms, that favored an increase of the cacao trade. The cocoa boom produced an accumulation of capital in the area and increased the power of the Guayaquil oligarchy that decided to support the Liberal Revolution, thus getting involved in the politics of the central government at the time as an influential political group. The power won by the coastal oligarchy creat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nd opposition with the traditional mountain oligarchy that continues to live this date within the political environment. Therefore, when the tim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Ecuador approaches, the regionalism that confronts Quito and Guayaquil as representatives of the Central Sierra and the Coast respectively is revived. The cocoa boom succeeded in incorporating Ecuador's economy into the world market, creating wealth in the coastal region and increasing the power of the Guayaquil oligarchy, which has now become one of the most powerful groups in regionalism that move politics of Ecuador.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origin of Ecuadorian regionalism, the circumstances of the formation of the oligarchy of Guayaquil and its process of constitution as a political force capable of rivaling the traditional Quito oligarchy. 에콰도르의 수도 키토는 정치의 중심지로 과야킬은 국내 최대 상업도시로 알려졌다. 이는 각 지역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는 표현이다. 고원지역 대 해안지역이라는 경쟁구도 하에 양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주의(regionalismo)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과야킬을 경제중심의 도시라고만 지칭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독립 이전부터 존재한 과야킬 지역과두세력은 19세기말부터 시작된 카카오 붐으로 대농장의 형성과 자본을 축적할 수 있었다. 카카오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과야킬 과두세력은 자유주의혁명을 지원하면서 정치세력화를 통해서 중앙정치 무대에 진출했다. 해안지역의 과두세력은 전통적인 키토 과두세력과의 경쟁과 대립의 관계를 형성했고, 이러한 정치적 환경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에콰도르에서는 대통령선거 시기가 다가오면 키토 중심의 내륙고원지역과 과야킬을 중심으로 하는 해안지역 간의 대립으로 표출되는 지역주의가 절정에 다다른다. 이러한 에콰도르의 지역주의의 기원이 어디에 있는지? 키토 과두세력에 대한 대항마로서의 과야킬 과두세력이 무엇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지역주의는 에콰도르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토의 크리오요 과두세력은 국가 대부분의 생산 수단과 경작가능한 모든 토지를 사실상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해안지역에서는 자유무역을 골자로 하는 부르봉 왕가의 개혁조치에 따른 카카오 교역의 증가에 힘입어 늦게나마 대농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카카오 붐은 에콰도르 경제를 세계시장에 편입시켰고 해안지역에 자본의 축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과야킬 중심의 강력한 과두세력 형성했다. 이들은 자유주의혁명을 지원하면서 정치세력화를 추구한 결과 키토와 함께 현재 에콰도르의 정치를 좌우하는 양대 지역주의로 성장했다. 본 논문은 과야킬 과두세력의 등장의 배경과 그들의 정치화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에콰도르의 풍력자원 경제성 평가

        장수환(Jang, Su-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본 논문에서는 에콰도르의 풍력발전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잠재성이 높은 9곳에 대하여 관측지점에서의 연간에너지 생산량을 예측 및 산출하고 이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세계기상기구에 보고된 에콰도르 45곳의 종관기상자료(SYNOP, Surface Synoptic Observation, numerical code FM-12) 분석 결과 풍력 발전을 운영할 수 있는 3 m/s 풍속 이상인 곳은 에콰도르 해안지역과 갈라파고스 섬 그리고 안데스 산맥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데스 지역을 중심으로 풍속이 3m/s 이상인 9곳의 측정소를 대상으로 풍력자원을 평가하여 풍력량을 산정하였다. 안데스 지역에 위치한 9개 관측소의 연평균 풍속은 4.2 m/s로 평가되었다. 인긴쵸(Inguincho) 측정소에서는 연평균 5 m/s 이상인 것으로 평가된 반면, 가장 낮게 측정된 또말론(Tomalon) 측정소에서도 3.5 m/s로 측정되어서 안데스 산맥의 풍속이 풍력 발전에 적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월별 평균 풍속은 모든 측정소에서 7~9월에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분석된 바람의 특성과 Weibull function을 근거로 9곳의 관측지점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하였다. 산출된 9곳의 관측지점에 대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AEP)을 근거로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을 이용하여 풍력발전 잠재성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내부수익률로 본 풍력 터빈의 경제성평가 결과 80m, 100m 터빈에서의 연간평균전력생산량이 수익성이 있는 지역은 인긴쵸(Inguincho)였다.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10 유로(€) 이상으로 오르는 경우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지역은 리오밤바(Riobamba) 한곳이 더 추가되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wind energy potential in Ecuador. The assessment of wind speed and direction is the first step to predict the initial feasibility of generating electricity from wind power in a given region. The wind characteristics at 45 observations in Ecuador from 2000 to 2011 with SYNOP (Surface Synoptic Observation), that is numerical code (called FM-12 by WMO), have been analyzed. The wind resource in this study has been assessed at 9 observations on the Andes Mountains above 3.5 m/s. The annual average wind speed at 9 observations was 4.2 m/s. The strongest wind speed, above 5 m/s, appeared at Inguincho. The wind speed above 4 m/s appeared at Latacunga, Riobamba and Loja. The weakest wind speed appeared at Tomalon with 3.5 m/s. From the Internal Rate of Return (IRR) in Ecuador, it was revealed that it was profitable to the wind turbine at Inguincho, and the wind energy generation can be profitable under a proper subside from the government. We can see that the profitability of wind turbine, considering the carbon price 10 €/ton, can be ensured Riobamba besides Inguincho.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f How the Application of CPTED Measur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Latin American Women - Ecuador as a Case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Analysis -

        Sara Guerrero(사라 게레로),Kim, Shin-Won(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오늘날 더 안전한 도시와 공공 공간을 요구하는 명확하고 강력한 사회적 요구가 있다. 안보가 사회적 책임과 함께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상당 부분은 도시의 활력 상태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의 계획과 건설을 책임지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불행하게도 세계의 많은 여성들과 소녀들에게, 공공 시장을 지나거나 번화한 거리나 버스를 타는 것만으로도 큰 불안감을 야기한다. 에콰도르에서는 여성에 대한 폭력에 대한 통계가 매일 증가하는데, 여성 10명 중 6명은 어떤 종류의 성폭력을 경험해 본 적이 있다. 소녀와 여성을 위한 안전한 공공 공간을 기획하고 설계한다는 것은 어떤 공간에서도 여성이 느끼고 안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공간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건축가, 도시 계획가, 당국 및 조경 설계자는 설계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로 여성의 안전을 고려해야 한다. 이번 예비연구는 에콰도르에서 여성 폭력사례가 가장 많은 집단인 14~36세 여성 커뮤니티의 의견을 토대로 우선 이냐키토 지역(에콰도르 퀴토)의 현안과 문제점을 분석할 예정이다. 그런 다음 이 연구는 보고된 안전 정보와 비교하여 여성의 인식된 안전성을 평가할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셉테드의 전략과 그것들이 키토에 있는 이냐키토 지역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을 예방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규범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에콰도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중남미 및 카리브해 도시의 여성안전에 어떻게 CPTED 조치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을 증진하는 데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의 최소 70%가 높은 폭력 신고율과 맞물려 이냐키토의 도시 지역 내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사회 · 정치 · 신체적 문제 때문이다. 본 연구는 CPTED 방법의 이론적 기반, 구성 요소 및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 결과를 분석한 후 도시기반시설 개선 강조, 도시공간 모니터링, SOS홈 등 상가와 기업체 24시간 지원, 교통 및 대기공간 개선, 전략적 위치에 더 많은 경찰 자산의 존재, 숨겨진 공간에 대한 가시성, 신호 정보의 구현, 설계 관리 및 유지 관리를 통한 외관개선을 제안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냐키토 지역의 범죄 발생률이 CPTED 개념을 사용하여 크게 감소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oday there is a clear and strong social demand that requires safer cities and public spaces. It is clear that security goes hand in hand with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a considerable part concerns directly those responsible for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cities, since it can condition the vitality of a city. Unfortunately, for many women and girls around the world, just passing through a public market, on a busy street or on a bus, is cause for great anxiety. In Ecuador, statistics on violence against women increase every day, 6 out of 10 women have experienced some type of gender violence. Planning and designing safe public spaces for girls and women means creating spaces with characteristics that allow women to feel and be safe in any space. Architects, urban planners, authorities, and landscape architects should consider women’s safety as a key element of their design program. This preliminary study will first analyze the current issues and problems in the Iñaquito sector (Quito, Ecuador) based on the opinion of the community of women between 14 and 36 years of age, which based on official statistics is the group with the most cases of violence among women in Ecuador. Then this study will assess the perceived safety of women compared to the safety information reported. And finally, the research will determine CPTED’s strategies and how they can help prevent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Iñaquito sector in Qui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to formulate normative strategies, but to promote knowledge of how CPTED measur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afety of women in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cities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Ecuad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at least 70% of the women surveyed feel unsafe within the urban sector of Iñaquito, coinciding with the high rate of reported violence, this is due to various social, political, and physical problems. After analyz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components of the CPTED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is research proposes to emphasize the improvement of urban infrastructure; vigorous monitor urban spaces; 24-hour support to shops and businesses such as SOS home; improve transportation and waiting places; the presence of more police assets in strategic locations; visibility in hidden spaces; implement signaling information; and improve appearance through design management and mainten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idence of crime in the Iñaquito sector can be significantly decreased using CPTED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