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규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신제품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김영찬 ( Young Chan Kim ),이용숙 ( Yong Sook Lee ),유창조 ( Chang Jo Yo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신제품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신규 교과목을 개발하여 2개 대학에서 2회에 걸쳐 개설하고, 전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을 포함하는 실행연구를 실시하여 강의 계획안과 교재 등 프로그램을 보완, 완성하였다. 2010년에는 첫 번째 수업을 실시하면서 참여관찰과 서술적 관찰, 학생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2011년에는 이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된 프로그램으로 2차 수업을 운영하면서 참여관찰과 면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주요 사례분석과 원인연쇄분석, 수업구조분석, 수업 중 실제학습시간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모형을 토대로 학제 간 팀티칭 액션 러닝방식의 대학 신규 교과목 개발에 적합한 실행연구의 절차와 수업 디자인 절차를 개발하였다; 2) 강의교재 번역 이외에 50편 이상의 연구사례를 분석하여 요약 자료로 만들었으며, 함께 사용할 강의교재는 출판 중이다; 3) 그동안 별로 활용되지 않은 인지인류학 연구방법을 찾아 마케팅 연구에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4) 학제 간 팀티칭과 액션 러닝 방식의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운영하는 강의계획서를 개발하였다; 5) 완성된 신규 교과목은 프로그램화하여, 필요한 교수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6) 이러한 강좌를 개발할 때의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ourse, "New Product Marketing Ethnography". Researchers used an action ethnography approach to develop and offer the new course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of Yonsei University. Researchers conducted a pilot course, "Marketing and Anthropology" in 2009 and developed a workshop program of ``marketing ethnography`` for Anthropology major students and another workshop program for marketers and marketing major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evaluation survey of students of the course, "New Product Marketing Ethnography" was developed and offered in 2010. The course was made to use a team-teaching action learning approach. A company provided two marketing research project that requires an ethnographic approach, together with a scholarship for the best research teams. The course was managed to have four steps. First, two professors(researchers) offered lectures and provided practice & feedback sessions for the various research approaches they taught. Second, each student conducted a required data collection using new research methods they learned through the class and practice sessions. Third, several students consist a research team. They conducted a research analyzing all the individual research data and conducting more data collection as they wanted. Finally, they presented their research results in front of professors and marketers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scholarship. Though the course was rather successful from the first attempt, researchers found several points on improve and the improved course was offered in 2011 with similar cooperation with another compan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course and feedback of students, a few more improvements on the course were made, and the completed course was presented in a seminar to share with other professors who are interested in offering similar courses in their universities. The course received very good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seminar.

      • KCI등재

        개별자유여행과 패키지여행에서의 여행경험 비교연구

        이용숙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2

        본 연구는 해외여행 유형 별로 여행자들의 경험은 어떻게 다르며, 이러한 경험의 차이는여행의 의미를 어떻게 다르게 만드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디세이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현장연구로서, 4년간 27회의 다양한 해외여행을 참여관찰 했다. 여행과정에서 만난 여행자, 여행사 직원, 현지인 등 80여 명과 비형식적 면담을 한 후 20명과는 공식적 심층면담도 실시하고, 총 130명 대상의 집단면담, 320명 대상 서술형 설문조사, 200명 대상 추가설문조사를 했다. 내용분석, 빈도분석, 빅데이터 분석, 결정적 사건 분석, 분류체계분석/성분분석, 결정표분석, 원인연쇄분석 등의 자료 분석 결과, 개별자유여행에 대한 선호와 만족도가 패키지여행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키지여행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은 1)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지 못하는 여행일정과 지나친 부자유, 2) 소비자가 의미를 부여하지않는 활동에 많은 시간 할애, 3) 지나치게 낮춘 여행 단가를 만회하기 위한 선택 관광과 쇼핑 강요, 4) 비용 절감을 위한 관광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와 패키지용 식당에서의 맛없는 식사, 5) 관광지/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호텔선정 등으로 인한 것이다. 절반 이상의 여행자가 ‘가장 이상적인 여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쫓기지 않는 여유 있는여행’과 ‘자유로움이 있는 여행’이며, 이는 개별자유여행의 이미지와 비슷하다. 그러나 모든개별자유여행이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개별여행자가 많이 의존하는 여행책과 인터넷여행 정보는 상당한 도움도 되지만 추천된 곳에 가보고 실망하는 일도 많으며, 20~30대의취향에 맞는 경향이 있는 추천 루트가 모든 여행자에게 알맞지도 않다. 여행 정보에 대한 의존은 한편으로는 개별자유여행을 쉽게 만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보’에 종속되게 만들어, ‘정형화된 여행’의 경향이 생긴다. 다른 사람들이 가보지 않은 곳에 가고 싶은 ‘차별화 욕구’ 도 공존하지만, 대다수 여행자는 전형적인 루트를 따라다니고 있었다. 정형화된 여행을 피하고 싶은 경우에도 ‘정보의존을 최소화하는 여행’을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행경력이 적거나 연령대가 높은 경우 사전계획이 충분하지 않은 여행은 불안하게 느끼는 경향이있으며, 이들은 ‘완전자유여행’ 대신 여행내용을 개인이 조합할 수 있는 ‘혼합형 여행’을 시도하기도 했다. 최근 확산 중인 ‘혼합형 여행’ 중에서 만족도가 특히 높고 현지 문화 이해에도움 되는 것은 숙소 주인과의 교류와 일상생활 체험이 가능한 공유숙박이나 소규모 아파트형 호텔 등을 이용하면서 전문가이드의 깊이 있는 설명과 로컬식당 체험이 가능한 현지 투어를 자유여행 일정에 혼합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Korean overseas travelers and how they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vel, including how the difference of experience makes the meaning of travel different. Together with my research assistants, I conducted a field study utilizing the ‘Odyssey Ethnograpy’ method, participating in 27 overseas trips and informally interviewing 80 people during the travel process. Of these, 20 were also formally interviewed later. In addition, 130 people were interview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Two surveys, including a descriptive questionnaire survey with 320 subjects, and a simple survey with 200 subjects were also conducted. Data analysis including content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itical incident analysis, Big Data analysis, taxonomic/ componential analysis, decision table analysis and causal chai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in individualized free travel were much greater than for package travel. The low satisfaction scores for package travel are due to 1) the tightness of travel schedules that do not reflect consumer preference, 2) the proportion of time spent on activities that consumers do not consider meaningful, 3) the coercive methods of the socalled ‘selective tour’ and ‘souvenir shopping excursion’ used by tour agencies to make up for the excessively low package trip prices, 4)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our programs and prevalence of tasteless dining at package traveler’ s restaurants for savings on trip expenses, and 5) the selection of hotels located far from sightseeing areas or the city centers.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travelers consider aspects of ‘ideal travel’ to be ‘leisurely travel with relaxation’ and/or ‘travel with freedom’, which is similar to the image of individualized free travel. However, not every individualized free travel itinerary was satisfactory. Individual travelers often rely on travel booklets and internet travel information. Although such information can be of great help, disappointment upon reaching the recommended destination can also occu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atisfy all individual travelers because the recommended route often fits the tastes of those aged in their 20s and 30s. Dependence on the recommended trave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makes the traveler subordinate to the guidance of other people’ s information, resulting in a ‘stereotypical travel’ tendency. There is also a ‘desire for differentiation’, but many travelers follow a typical route because it is not easy for them to make a trip that minimizes the information dependence.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travel method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among the ‘hybrid travel’ which has been rapidly spreading recently. When travelers stay at an Airbnb accomodation or at a small apartment–style hotel that can maximize their interaction with the owner and include local daily tours that can provide in– depth explanations of the local culture and experience of local restaurants in a free travel itinerary, their travel seems more meaningful.

      • KCI등재

        ‘노동’의 제국 -경계 관리와 하층 노동자 에스노그라피의 정치학-

        김예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2 사이 Vol.13 No.-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and Chinese low-class laborers and the border contro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from the 1920s to the 1940s. It explores the meaning of the governmentality of empire and investigates the ‘dangerous’ multi-ethnic lower classes, who are characterized by ‘mobility’. In this paper, I intend to regard the Japanese empire as an empire of ‘labor’, and governmentality as the government of the ‘laborers’. I pay attention to Japan’s policy for controlling its territorial borders, as this policy was closely related to its control of multi-ethnic population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lower classes to and from Japan. In addition, this paper looks into the politics of imperialistic discourse surrounding mobile subjects of colonies. The migrating bodies of the poor, which should be observed, disciplined and managed, were caught by the camera of the Japanese Empire and recorded in a particular way. These records, an ‘ethnography of low -class labors’, reveal the technology of representation politics Japan used for colonized alterities. 이 논문은 경계를 넘나드는 떠돌이의 식민주의적 형상을 제국의 경계 관리라는 문제와 연접하여 비판적으로 규명한다. 이는 제국의 통치성이 유동성을 특징으로 갖는 다종족 하층 집단에 가닿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 문화정치적 의미를 짚어보기 위한 것이다. 제국의 운영과 유지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춰 나는 제국을 ‘노동의 제국’으로, ‘통치’를 ‘노동자의 통치’로 치환하고 그 운용의 관건을 경계 관리로 설정하여 새롭게 입체화했다. 우선 경계관리의 정황을 제도적․담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경계 관리의 핵심이라 할 내부/국경 관리의 차원에서 월경 노동자 유출입 정책을 검토한다. 이 정책은 내부/국경의 개방이나 폐쇄의 강약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했다. 나아가 관리 장치들이 겨냥했던 (잠재적) 이동주체가 제국의 표상 정치 내에서 어떻게 의미화되었는지도 함께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선인과 중국인을 포괄하는 다종족 빈곤 노동자들이 제국의 시선에 어떻게 관찰되고 기록되었는지 그 담론적 구성의 측면을 검토했다. 통제하고 훈육하며 부려야 하는 떠돌이 노동자들의 분포, 생활, 습속, 신체, 기질 등은 제국의 카메라에 포착되고 특정한 이미지로 인화되었다. 이렇게 제출된 일련의 기록들을 <하층노동자 에스노그라피>라고 명명하여, 피식민 이타성(異他性)을 둘러싼 제국의 표상정치를 규명하였다.

      • KCI등재

        기업 환경에 적용 가능한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오디션 프로세스 방식의 샘플 추출을 활용한 가전제품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채현정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인류학에서 출발한 에스노그라피 연구가 기업의 소비자와 제품 사용자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경향에 주목하고, 기업 환경에 맞는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형식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한다. 하루가 다르게 제품과 기술이 새로워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사용자의만족을 높이는 신제품을 만들고자 숨겨진 니즈와 상품 사용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이며 마케팅과 소비자 연구에서 정성연구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정성연구의 새로운 방법으로 에스노그라피 연구(Ethnographic Research)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에스노그라피 연구는 소비자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주목받고 있다. 인류학에서 출발한 에스노그라피 연구의 전통적인 방식을 기업의 사용자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과 연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연구방법을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소비자/사용자 연구의 목표와 연구 진행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며, 그에 맞도록 에스노그라피 연구의 방법을 변형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 시장의 수요에 맞는 냉장고 디자인을 위해 실행한 에스노그라피 연구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논문에서 소개하는 기업의 조사는 상품이 사용되는 문화적 맥락과 상품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의 특이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로서, 단편적인 정성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소비자 조사 기법을 조합한 특징을갖고 있다. 조사의 여러 단계에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는 ‘오디션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노력한 조사로 평가 받았다. 이처럼 기업의 에스노그라피 연구 사례를 통해 인류학의 에스노그라피 연구가 어떻게 기업의 사용자 연구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방법론적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인류학의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실용적 영역에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The more new technology and products comes out, the more important qualitative research is in the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field. Recently, ethnographic research is applied in the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since it is regarded to figure out in-depth information from product users. However, ethnographic research for the enterpri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way it used to be applied to the academic field in terms of the research condition, target, scope, and goal. In this article, I present a case of ethnographic research in the design field which studied refrigerator users in the foreign marke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a refrigerator. It will suggest an ethnographic research that assembles various methods at every step and synthetically draws a result to develop a new concept through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recruited research samples through ‘an audition process’ in which users engaged in every step of the research to get the benefit of the ethnographic research perspective. This case study will show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how ethnographic research capable of being used in user-centered research for the enterprise.

      • KCI등재

        서비스경험데이터의 에스노그라피 방식 수집에 대한신뢰성과 타당성 연구– I know you_AI 서비스를 중심으로 –

        안진호,이정선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0 서비스연구 Vol.10 No.4

        최근 경험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데이터사이언스적 관점으로 경험데이터를 다루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빅데이터와 같은 수치적으로 계량화하려는 정량(quantitative)적 조사 방식의 수집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경험이 가지고있는 가치에 대한 폭넓은 해석이 어려울 뿐 아니라 비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고, 개인정보 침해의 위험으로 분석에한계가 있다. 하지만, 정성(qualitative)적 조사 기반의 경험데이터 수집 절차인 에스노그라피(ethnograpy)는 사용자라는관점에서 미래 고객의 자연스러운 실제 환경에서 주로 실시되기 때문에 적은 표본으로도 고객이 직면한 본질을 확인할수 있고, 경험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맥락적 차원의 관계를 해석하기에도 용이하다.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이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고 하여도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 대한 과학적 절차의 미흡은 문제가 될 수 있기에, 수집과정의 오차를줄이는 것은 중요하다.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대한 올바른 측정 도구를 사용했느냐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측정대상을 정확하게 선정하여 타당성 있는 측정 도구와 방법을 사용했느냐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대한 올바른 측정 방법과 도구개발을 위해 타당성을 확보하고 측정대상을 명확하게선별하는 연구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기반하여자영업자의 고객경험을 분석해주는 ‘I know you_AI’ 서비스의 데이터와 방법론 사례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검증 연구를진행하였고, 연구 결과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소비자 행동 분석을 위한 문화인류학 연구방법의 활용방안 연구; 에스노그라피 활용방식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숙 ( Yong Sook Lee ),유창조 ( Chang Jo Yoo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사회사나 기업체 마케팅 부서에서 ``에스노그라피``라는 이름의 조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제의 원인과 개선대안 찾기``를 목표로 소비자행동 연구에 적합한 에스노그라피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로 설계되었다. 즉 소비자 연구현장에서의 정성조사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개발된 연구방법을 직접 실제 조사에 적용하면서, 그 과정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 개선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을 마케팅 조사 담당자에 게 소개하는 워크숍을 포함한 4가지 상황에 대한 참여관찰과, 국내 외 7개 조사회사 및 3개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서구 기업체에서의 소비자 행동연구의 에스노그라피 적용사례 문헌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어떤 정성조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사회사 구성원들은 정성조사 방법들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에스노그라피가 사용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개선방안과 함께 논의하였다. 정성조사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방법의 활용이 계속 시도되고 정성조사 전담 직원의 확충과 교육이 늘어나고 있으나, 국내 조사회사에서 정성조사의 사용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성조사의 비중도 외국 조사회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한계가 나타났다: 1) 참여관찰 없이 관찰만 실시하는 경향, 2) 인터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인터뷰는 에스노그라피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 3) 조사회수와 조사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향, 4) 다양한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다단계 조사설계의 부족과 에스노그라피의 다양한 유형 중 일부만 사용됨. 결론에서는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학제 간 연구의 확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둘째, 경영학 또는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교육은 주로 정량적인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정성적인 연구방식에 대한 교육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이 요구하고 있는 마케팅과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모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에스노그라피를 사용하기로 한 경우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만이 아니라 분석방법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연구의뢰 회사의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서 단기적인 수요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요에 맞춘 다양한 연구단계의 조사를 보다 장기적으로 하는 조사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ethnography is used in research firms and marketers in Korea, and brings up some problems and ideas. With the objectives to find the causes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 design an action research by applying redeveloped research methods at field and coming up with revised ways of research. Also, we have workshops, participant observations on 4 situations, interviews with researchers of 7 research firms and 3 firms, questionnaires, case analyses, and many other ways with the newly developed ethnographic methods suitable for consumer behavior researches. In this paper, we especially discuss on which qualitative methods are mai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firms and how researchers think about them, and also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using ethnographic methods.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tested, and educated to employers, they are tended to be limited to FGD, in-depth interviews, home visiting observations/interviews, and accompanied shopping and the usage rate is low. More the les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ications of ethnography such as: 1)observation without a participation, 2) too high dependence on interview and not including interview in an ethnographic method, 3) too short days alloted to data collection, 4) lack of research constructs on using and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ltogether, and the use of just a few types of ethnograph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consumers by using ethnography, we made some suggestions. Firstly, extension on systems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is in need. Secondly, since education on quantitative methods is more emphasized in marketing, a complement of educ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needed. Thirdly, development of a general research model on marketing and ethnography is important, and fourthly, a question on the various uses of ethnography has to be discussed. Fifthly, not only consideration on data collecting, but investigation on analysis has to be done. And lastly, by the effort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lients, we nee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which contains various steps of researches designed for the long term demands as well as the short term demands.

      • KCI등재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숙(Lee, Yo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에서는 인지인류학에서 개발된 연구방법들과 마케팅에서 개발된 연구방법들을 결합시켜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서, <면담→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동반쇼핑 참여관찰과 면담(2-3회 실시)→결정표분석→원인연쇄분석>으로 이어지는 연구과정을 따르면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한편 이러한 연구방법을 가르칠 수 있는 교재를 만들어, 다양한 전공의 기업체 직원, 교수, 대학원생, 연구원 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 방식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예비연구 단계에서는 실험적인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 프로그램을 2년간 운영하면서 이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결과와 피드백을 반영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1단계에서는 1년간 코스를 운영하면서 운영과정에 대한 현장연구 결과와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통하여 문제점을 찾아 필요한 개선을 하였다. 본 연구 2단계에서는 개선된 프로그램으로 2차년도와 3차년도 코스를 운영하면서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이 글에서는 연구단계 별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성찰결과 및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5년간의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개발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에 대해 소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marketing ethnography research methods combining research methods developed in cognitive anthropology with research methods developed in marketing. For example, a new research process such as <interview → taxonomy & componential analysis → 2 or 3 times of accompanied shopp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 decision table analysis → causal chain analysis> was developed to understand consumers' cognition and behavior more deeply. Through action research, this study also developed a social education program to teach these research methods in 'learning by doing' approach for staff of enterprise, researchers,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The program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through reflection on four courses organized by the researcher during two years of the pilot study phase and three courses during three years of the main research pha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se courses and feedback from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As a result, a set of course outline, PPT lecture slides, and training materials for practice was developed. Implications for managing social education program of research method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형’ 개발원조 문화의 인류학적 성찰: 글로벌 새마을 ODA와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중심으로

        이태주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culture of ‘Korean-style’ development aid and the policies, discourses and practices inherent in the Korean aid program by following Korean-style aid projects in terms of historical, empirical and cultural aspects. In order to review and reflect on the Korean aid anthropologically, this paper applies two contemporary techniques of cultural critique (Marcus and Fisher 2005), defamiliarization and cross-cultural juxtaposition, which serve as ‘stronger versions of epistemological critique’ to the ethnographic research of institutions and the culture of professionals in the formation of Korean-style development aid policies and practices. The paper aims to demythify the Korean-style aid regimes and the rhetoric of success stories and to debunk donor-centric and diffusionistic ways of thinking among high-level policy makers, development experts and consultants who are planners, designers and implementers of Korean aid. This article applies multi-sited ethnography to understand the real worlds of Korean aid programs and projects in diverse developing countries an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substance of the “Korean-style aid model” plann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everal short-term periods of evaluation fieldwork carried out in Rwanda, Myanmar, Vietnam and Ethiopia during 2015-2020, and by carrying out intensive interviews with 16 high-level goverment officials, managers of aid agencies and development experts who have experienced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KSP) and the Global Saemauel ODA. Utilizing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method with all the key stake-holders including policy makers and project managers of the KSP and Saemauel program which represents the typical success stories of the Korean aid model, the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ros and cons, 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of the Korean-style development aid. 이 논문은 ‘한국형 원조’의 문화적 특성을 역사적, 정책적, 경험적으로 추적하고 ‘한국형 원조’라는 특별한 정책과 담론, 관행에 내재된 문화적 특성을 다양한 원조 현장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인류학적 문화비평 방법인 ‘더 강한 형태의 인식론적 비평’(마커스⋅피셔 2005)으로서 비교문화적 대조를 통해 ‘한국형 원조’를 낯설게 만들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원조전문가 집단에서 미화되고 신비화되고 있는 ‘한국형’ 원조의 신화를 드러내고 ‘코리아에이드’를 통해 나타나는 공여국 중심주의와 전파론적 사고방식을 들추어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국내외의 다양한 원조 현장에서 나타나는 ‘한국형’이라는 국가에 의해 기획된 개발원조 모델의 문화적 실체를 들추어내고 성찰하기 위해 다현장 에스노그라피(multi-sited ethnography)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KSP 사업에 프로젝트 매니저(PM)로 참여한 16명의 고위급 전문가들과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코이카, 수출입은행, 한국개발연구원과 KDI정책대학원 등 관계자들을 심층 인터뷰했다. 새마을 ODA 를 평가하기 위해서 2015년 5-6월의 3주간 르완다 현지 방문평가를 비롯하여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미얀마, 에티오피아, 베트남 등 현장 방문과 참여관찰 연구를 하였다. 사업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들 심층 인터뷰와 국내와 현지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에 의한 참여적 평가(participatory evaluation)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상충된 입장과 견해를 종합하여 ‘한국형 원조’의 성과와 한계 및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원조’의 대표 모델사업인 한국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과 글로벌 새마을 ODA 사업을 경험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형 원조문화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를 담론과 관행의 두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한국형 원조’에 내재된 집단적 사고로써 개발국가 모델과 공여국 중심주의 및 전파론적 이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한국형 원조’에 대한 에스노그라피 연구는 집단적 사고와 국가 기획 사업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향후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조영한(Young-Han Ch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1 No.-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실천 및 현상, 그리고 사회적 담론의 생성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인터넷 에스노그라피(Internet Ethnography)를 제안하고, 방법론으로서의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 측면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문화연구 내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의 흐름을 점검하고, 두 번째로 온라인 공간에 대한 개인적인 연구 경험과 성찰을 통해 구체적인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방법론을 설계해 본다. 특히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설계하는 연구자의 위치, 현장과 주체라는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 과정 가운데 부딪히는 실질적 난관과 재현성이라는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인터넷 에스노그라피가 인터넷 공간에서 발생하는 수용자의 일상적 실천, 문화적인 요소들, 그리고 그곳에서 생성되는 담론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 방법임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가 미디어 텍스트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수용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를 넘어서 인터넷 공간을 통하여 매개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현상과 국면적 이슈들에 관한 연구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다. Given the new media landscape precipitated by new technologies, I suggest Internet ethnography as an appropriate methodology for observing and making contacts with people who use the Internet as a venue not only for media consumption but also for interaction with others. Firstly, I review several academic trends which employ ethnography as their major methods both in Western and Korean academic contexts. Based my experiences both on the process of deciding the online community as my research subject and on my several researches on it, secondly, I explore three key questions of conducting ethnography on the Internet: the roles of ethnographers in the Internet, the natures of Internet space as the field site, and practical and representational issues in conducting ethnography on the Internet. Conclusively, I suggest that ethnographic intervention in the Internet is not only an efficient method of unraveling how people are engaged with the media technologies in their daily lives, its uses are imperative.

      • 구술ㆍ퍼포먼스ㆍ에스노그라피

        김현주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0

        Oral, performance, and ethnography provide meaningful perspective o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oral performing genres. They have intensive interest in the form of utterance and expression, and try to capture the dynamic process of the performing.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how the audience respond to the performance. And they provide the insight power over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and genealogical history of the performance. Therefore they can give the very effective viewpoint and productive methodology i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oral performing genres. For example, they can help to systematize the grammar of the performance by using Korean current valued scores which can fill the linguistic phase and current various contexts altogether. They also let us know important meanings by the seeing the performance to the dynamic event not static text. And they provide the standpoint for the cultural study or ethnoculturology as they can disjoint the exclusive wall between genres or scientific categories and can unite categories into cultural dimension. Oral, performance, and ethnography are still evolving now and their merging outcome should be boundless. In this regard, our interest in their merging side for the deep and wide-ranging study of Korean traditional oral performing genre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