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가정부문의 직간접 에너지소비: 산업연관분석

        박희천 ( Hi Chun Park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3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2 No.3

        상품 및 서비스 소비구조의 변경을 통해 에너지절약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가정부문의 간접 및 총 에너지소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가정부문의 직간접 에너지소비를 보다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가정부문) 간 석유제품 및 전력의 가격을 차별화하였다. 한국의 가정부문은 1995-2010년 기간 중 한국 1차 에너지소비 중 55% 이상을 소비하였다. 가정부문의 에너지소비 중 69% 이상이 간접 에너지소비였다. 따라서 가정부문의 직접뿐만 아니라 간접 에너지소비도 에너지절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전력 소비는 2009년 한국의 가정부문의 주 에너지소비가 되었다.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써 가정부문은 전력 원단위가 높은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게 되었다. 한국 가정부문이 소비하는 제품의 에너지 원단위가 낮아짐으로써, 에너지소비의 증가율이 감소하게 되었다. 반면에 한국 가정부문의 상품 및 서비스 소비구조는 에너지 다소비형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에너지소비 증가를 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구조효과는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에너지정책은 에너지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소비자로 하여금 에너지 저소비형 재화와 용역을 소비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에너지 저소비형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주요 수단인 에너지가격 현실화가 요구된다. As energy conserv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consumed, there is a need to assess indirect and total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The Korean household sector was responsible for more than 55% of Korea`s total energy consumption in the 1995 to 2010 period. More than 69%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was indirect. Thus,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should be the target of energy conservation. Electricity consumption became in 2009 the main source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Korea. Households consume more and more electricity intensive goods and services, a sign of increasing living standards. Decrease in energy intensities of products consumed by Korean households contributed greatly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total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However, switching took place towards more energy intensive products, thus the structure effect was negative. It is necessary to direct consumption and production towards much less energy intensive goods and services a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r its growth rat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adjust low energy and electricity prices to cost-reflective prices levels as these low prices a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consumption of more energy intensive products. This study differentiates prices of oil products and electricity between households and industries, as to allow more accurate estimation.

      • KCI등재

        가구 부문의 주거·교통 에너지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노승철,이희연 한국지역학회 2013 지역연구 Vol.29 No.2

        Understanding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of the household sector is vital for strategie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of the household sector.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factors that affect the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using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urban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81 cities for the year 2010. The results of PLS-SEM show that various consumption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ing residential and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This study has quantified the significance of consumption factors for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using path coefficients and effect size coefficients. The estimated parameters exert a significant indirect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energy consumption, showing tha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indirect relationships through path analysis. High density urban characteristics do not have a direct effect either on residential and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The indirect effect, however, is significant and negative, which suggests that urban characteristics affects residential and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through other paths, such as influencing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ransport infrastructure. 지역 간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 격차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구조에 대한 이해는 에너지 소비 저감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부분최소자승-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2010년도 81개 시를 대상으로 하여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모형을 통해 추정 한 결과 가구의 에너지 소비행태 특성, 주택의 에너지 효율성 특성, 교통기반시설 특성, 도시 특성들은 모두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직‧간접적으로 주거 에너지와 교통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 소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경로계수와 효과지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간접경로를 통한 영향력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밀도의 도시 특성은 주거 에너지와 교통 에너지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가구의 에너지 소비행태 특성, 교통기반시설 특성, 자가용 이용 특성 등에 영향을 줌으로서 간접적으로 에너지 소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도의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 및 도시화 간의 인과관계 분석

        이순철(Soon-Cheul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인도의 에너지 소비가 경제성장과 도시화와는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1970~2016년 기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VECM과 VAR 분석을 하였다. 1차 에너지 소비를 비롯한 석탄, 석유, 가스, 수력발전 등 에너지원별 소비를 경제성장 및 도시화와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다변량 VECM 분석결과,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석탄과 가스 소비에 한정되는 한편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석유, 가스, 수력의 경우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석탄 소비는 도시화와는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인과관계 분석에서는 석탄 소비가 성장가설과 피드백가설을 지지하고 있으며, 가스가 경제성장의 단일방향 인과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1차 에너지 소비, 석유, 수력발전은 경제성장의 요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인도의 에너지 소비는 성장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AR분석에서는 도시화는 경제성장의 인과요인이며, 1차 에너지, 석유, 수력발전은 도시화의 인과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도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 간에는 성장가설이 지지되는 만큼 에너지 소비에 대한 보전정책은 매우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하며, 적절한 에너지 공급 정책 수행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1차 에너지 소비, 석유, 수력발전의 소비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도시화 진전에 따른 에너지 수급 정책이 요구되며, 동 분야에 한국의 대인도 에너지 협력을 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in India using time series data for 1970 to 2016 with VECM and VAR. In long - term causality analysis, coal consumption supports growth hypothesis and feedback hypothesis, and gas is analyzed as a unidirectional causality of economic growth. Primary energy consumption, oil, and hydro power are analyzed as causes of economic growth, and India "s energy consumption supports the growth hypothesis. In the VAR analysis, urbanization is a causality of economic growth, and primary energy, oil, and hydroelectric power are the causality of urbanization. In this paper, as the growth hypothesis of energy consumption is supported, it is concluded that conservation policy for energy consumption should be carried out very carefully and the policy of adequate energy supply is very important. As the urbanization progresses, consumption of primary energy consumption, oil,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suggesting that the policy for energy supply and demand due to rapid urbanization is very urgent, and this area will be practical one for the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India and Korea.

      • KCI등재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의 동태적 관계에 관한 분석

        정수관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2

        Energy consump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s a factor of production such as labor and capital, but as the economy grows, income increases, which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ergy consumption, a production function model including four variables of gross domestic product, labor, capital, and energy consumption was used through annual data from 1981 to 2020. Granger causality, variance decomposition of prediction error,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long-run stabl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gross domestic product when structural changes are taken into account. There was a bidirectional short-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and economic growth. The forecasting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and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economic growth on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fluence of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on economic growth.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can act as a burden on economic growth, but economic growth has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changes i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are helpful for mutual prediction. 경제성장은 소득을 늘려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노동과 자본처럼 하나의 투입 요소로 에너지 소비는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의 상호의존성을 규명하기 위해 그랜저 인과성, 예측오차 분산분해, 충격반응함수 분석이 활용되었다. 생산함수를 기반으로 국내총생산, 노동, 자본, 에너지 소비의 1981년부터 2020년의 연간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구조적 변화를 고려하면 에너지 소비와 국내총생산 간 장기적 균형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에너지 소비변동과 경제성장 사이에 양방향의 그랜저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이 에너지 소비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에너지 소비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소비변동은 경제성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변동을 증가시켰다. 에너지 소비변동과 경제성장은 상호 예측에 도움이 되지만, 충격에 대한 반응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결혼을 통한 가전제품 취득과 새로운 에너지 소비 생활양식 형성

        류호재,윤순진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3

        가구 에너지 소비패턴은 가정 내 가전제품 조작 행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다수 선행 연구에서는 가전제품들이 이미 생활패턴 속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에너지 소비패턴이 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논의를 해나가고 있을 뿐 어떤 가전제품이 어떠한 경위로 가정으로 취득 되었는지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다. 가전제품은 취득되기 전에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물질소비의 상품이고 취득 후에는 에너지 소비원으로 역할이 바뀌므로 소비문화의 측면에서 가정 내 가전제품이 어떻게 취득되었는지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수의 가전제품이 동시에 취득되는 상황으로서 ‘결혼’이라는 구체적인 생애사건에 주목하여 부부의 가전제품 취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고, 취득된 가전제품들의 사용이 초기 결혼생활 단계에서 가구 에너지 소비 생활양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기간 2년 미만인 신혼부부 총 10쌍과 1인의 업계종사자를 면접 대상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총 16회의 반구조화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회적 실천이론과 소비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틀인 ‘의미-물질-방법-관계’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혼은 새로운 삶의 시작이라는 의미와, 선망하던 생활양식을 실현하는 것에 대한 기대, 과시 및 동조 욕구로 인해 필요 에너지 서비스 이상으로 가전제품 그 자체에 대한 필요 때문에 가전제품을 구매하였다. 주거지의 물리적 구조는 특정한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SNS와 가전제품 매장에서 얻는 정보들은 과시와 동조를 위한 소비욕구를 강화하였고, 미세먼지 농도같은 환경 정보와 가전제품 속에서 집진되어 가시화된 미세먼지의 존재는 새로운 가전제품 사용 패턴으로 이어졌다. 또한, 부부는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갈등을 피하기 위해 특정 가전제품에 대한 선택권을 양보하고 타협하였는데, 이러한 타협은 결과적으로 전력 소비가 큰 가전제품을 더 많이 취득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경위로 취득한 가전제품은 초기 결혼생활 동안 점진적으로 신혼부부의 에너지 소비 생활양식까지 변화시킴을 확인하였다.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patterns are closely linked to the operation of household appliances. While existing literature discusses on the situation where appliances are already integrated into users' daily routines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stabilized, there is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how appliances were acquired in the first place. Home appliances are once commodities in the market, then become sources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s soon as acquired. Hence,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home appliances on a perspective of consumer cultur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ndividuals acquire home appliances by focusing on the specific time of life event; ‘marriage’ that is a life event in which multiple home appliances are acquired simultaneously, And how the acquisition will connect to formation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pattern during the early stages of marriage. To this end, a total of 10 newlywed couples who married in two years and one appliance shop manager were selected for a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6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Drawing on the theory of social practice consumer culture research, ‘meaning-material-procedure-relationship’ analytical framework i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lyweds purchased the appliances due to the meaning of marriage as ‘beginning of a new life’, desire to realization of an ‘ideal lifestyle,’ and conspicuous and conformity motivation.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house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urchase of specific appliances. Information from social media and consumer electronics stores reinforced the desire of conspicuous and conformity consumption, as well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the visible presence of dust created new patterns of appliance operation. In addition, newlyweds made concessions and compromises on their choices for certain appliances in order to maintain intimate relationships and avoid conflicts with their spouses, and these concessions and compromises resulted in acquisition of more energy intensive appliances. Throughout A social practice of home appliance acquisition emerges on these elements, which possibly will lead to higher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n subsequent marriage life. Research found that the acquired home appliances gradually changed the lifestyle in energy consumption of the newlyweds during their early years of marriage.

      • KCI등재

        한국의 에너지소비 변동성 변화 분석

        신동현 ( Dong Hyun Shin ),조하현 ( Ha Hyun Jo ),김재혁 ( Jae Hyeok Kim ) 한국경제학회 2015 經濟學硏究 Vol.63 No.3

        본 논문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최종 에너지소비 변동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내생적 구조변화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한국의 최종 에너지소비의 변동성은 2002년 1월 이후로 이전보다 약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수송, 상업·가정, 공공 부문의 에너지소비 변동성이 감소하였고, 에너지원별로는 석유의 소비 변동성이 감소하였다. 반면, 석탄과 신재생에너지소비의 변동성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너지소비 변동성 감소의 원천을 파악하기 위해서 비중을 고려한 부문별·에너지원별 소비(growth contribution)의 변동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산업, 상업·가정 부문과 석유, 열에너지소비가 전체 에너지소비 변동성 감소의 원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균형 관계를 반영한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을 이용하여 최종 에너지소비 변동성 감소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변동성 감소의 원인은 외부충격의 크기 감소가 아닌 충격의 지속성 감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소비에 대한 산업생산의 영향 하락과 에너지소비, 산업생산, 에너지가격 간 불균형오차의 조정속도 감소가 최종 에너지소비 변동성 축소의 주요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는 에너지효율 개선과 에너지 다소비 산업 비중 감소라는 산업구조 변화, 후자는 세 변수 간의 불균형오차 크기 감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너지소비에 있어 지속적인 난방수요의 확대는 최종 에너지소비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잠재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들은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서 저소비 산업으로 구조 전환의 가속화를 통해서 생산-에너지 원단위를 개선하고, 이상기온으로 인한 난방수요 확대에 대처하면 에너지소비의 안정화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olatility change of Korean energy consumption applying endogenous structural break analysis method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ergy consumption volatility in Korea has reduced by 50% after January, 2002. In the aspects of sector and energy source, the volatility of transportation, commerce?household, public energy consumption and petroleum ha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volatility of coal and renewable energy has increased. The analysis indicates that industry, commerce?household, petroleum and heat energy consumption are the main sources of the volatility reduction. The weakened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production and energy consumption is also found to reduce the volatility. Another important reason for the volatility reduction is the decrease of adjustment speed among energy consumption, industry production and energy price caused by the reduced size of disequilibrium error.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and structural transition from energy intensive industry to energy efficient industry should be accelerated in order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Korean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에너지소비지출의 가구 빈곤에 대한 영향

        박광수,김영희,김윤경 한국여성경제학회 2019 여성경제연구 Vol.16 No.2

        Energy consumption expenditure in low-income households are not limited to energy consumption problem, especially if it is associated with excessive cost burden or deprivation of consumption. This paper analysed both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expenditure by income level of household and effect for poverty of energy consumption expenditure using remainder income concep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nergy consumption expenditure gave negative effects on lower-income household’s poverty. Energy is a necessary good. This characteristic of energy has put many low-income households at high energy costs. In particular, heating costs are so high that low-income households are unable to afford them. Poverty rate, which is the share of poverty households in all households due to energy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by 0.3%p~ 0.9%p. Various energy assistance program currently being implemented for low - income households can be seen as complementing the limits of general welfare policy. The energy assistance policy should be recognized as a policy that contributes to the overall welfare improvement of the household rather than contributing only to a limited part of the energy welfare. 저소득 가구의 에너지 소비는 에너지 비용 과부담의 문제 또는 에너지 소비 박탈의 문제를 야 기하며, 나아가서는 빈곤 상태도 변화시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가구별 에너지소비지 출의 특성을 살피고, 소득에서 에너지 소비 지출을 차감한 잔여소득의 개념을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 지출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결과에 따르면 2006년부터 에너지 소비 지출은 가구 의 빈곤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가구별 에너지 소비 지출 행태를 보면 에너지는 필수재이므로 많은 저소득 가구가 과도한 에너지 비용 부담을 지고 있다. 저소득 가구와 고소득 가구 사이의 소득 차이에 비해서 에너지 소비 지출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다. 에너지 소비 지출의 빈곤에 대 한 영향을 보면 2006~2015년에 에너지 소비 지출에 의한 빈곤가구 비율은 0.3%p~0.9%p 만큼 높게 계산된다. 2015년 기준으로 빈곤가구는 5만 7천 가구만큼 증가하였다. 에너지 소비 지출이 빈곤가구를 증가시키므로 에너지 지원정책은 에너지 복지의 한정된 부분에서만 기여하는 것이 아 니라, 가구의 전반적인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정책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각종 에너지 지원 사업은 일반적 복지정책의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 KCI등재

        필리핀에서의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간의 인과성 분석

        진세준(Jin, Se Jun),안소연(Ahn, So Yeon),유승훈(Yoo, Seung Hoon) 한국아시아학회 2016 아시아연구 Vol.19 No.3

        필리핀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성을 밝혀내려는 목적에서 본 논문은, 1965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간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실질 국내총생산이라는 3개의 시계열 자료에 대해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오차수정모형 추정을 시도하였다. 3개의 경제시계열 모두 단위근을 가져 불안정하였으나 1차 차분을 하였더니 안정화되었다. 공적분 검정결과 공적분이 존재하였기에 오차수정모형을 적용하여 인과성을 검정하였다. 본 논문의 인과성 분석결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장기 인과성 및 강한 인과성이 존재한다. 이는 에너지의 소비증가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대를 낳고,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 역시 에너지의 소비확대를 야기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단기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 인과성만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단기, 장기, 강한 인과성 모두 경제성장이 에너지 소비를 높이는 단일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증가로 이어지지만 에너지 소비증가가 반드시 경제성장을 유발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로의 단기 및 장기 단방향 인과성이 존재하며, 강한 인과성은 양방향으로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 및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 사이에는 양방향의 인과성이 발견되었으며, 에너지 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는 경제성장에서 에너지 소비로의 단일방향의 인과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paper investigates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ergy consumption, carbon dioxide(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 the Philippines. It uses annual data covering the period 1965-2014. Its research method comprises such tests for unit roots, co-integration, and Granger-causality based on error-correction model. The time series data of these three variables are all non-stationary, because each of them has its unit root. As their first-differenced data, however, appeared to be stationary, it was possible for the co-integration test to find out whether or not some co-integrations exist. According to finding, error correction model also could be used for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gained by doing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bi-directional long-run causality and strong causality from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This means that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directly affects CO2 emissions and that CO2 emissions also stimulate further energy consumption for long running and strong. Nevertheless, there is uni-directional, short run causality from CO2 emissions to energy consump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uni-directional for long-run, short-run and strong causality from economic growth to energy consumption, signifying that economic growth can induce energy consumption but not vice versa. Lastly, the third is one of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exists uni-directional short and long causal relationship from economic growth to CO2 emissions, also bi-directional strong causal relationship. Such a sort of bi-directional causality are found not only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but also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Whereas that of uni-directional causality exists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 KCI등재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의 포화 현상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신동현,조하현 한국응용경제학회 2016 응용경제 Vol.18 No.2

        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의 포화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는 포화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도 최근 들어 포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ECD 국가들의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포화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들로서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추세의 기울기 감소, 소득과 에너지 소비 간 관계 약화,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변동성 축소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들에 근거하면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를 예측할 때, 소득과 에너지 소비 간 관계 약화, 에너지 소비 변동성 약화 등을 사전에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수송 부문의 에너지 소비 감축 시 실질 소득 변화를 유도하는 가격정책보다 연료 효율을 향상하는 정책이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aturation phenomenon of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in OECD countries.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st of OECD countries have already reached at saturation point in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As concrete evidences, we exhibit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r the decreasing growth rate of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trend, the reduction of income effect on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and volatility stabi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saturation state occurs when forecasting transport energy consumption. Also, it is implied that improving real fuel efficiency is more effective than the policy changing real income.

      • KCI등재

        한반도 단위의 환경자원 소비량 추이와 예측

        여민주,김용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4

        Trends of food and energy consumptions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shown and consumptions of food and energy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with several Cases were predicted, and the directions for the environmental resources management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Food Supply Quantity, the Protein Supply Quantity, and the Food Supply of North Korea were less than those of South Korea, the Eastern Asia, and World after 1990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food consumption in North Korea will increase, if two Koreas are integrated. If the Food Supply Quantity of North Korea is the same as that of South Korea with the maximum projected population of integrated two Koreas by 2055, the food consump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ould increase by 25% compared with the 2011 food consumption of integrated two Koreas. Thus, the choice of die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required. Energy consumption in North Korea is very small comparing to that of South Korea and fraction of coal in energy usage of North Korea is very high. If the 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of North Korea after integration be the same as that of South Korea in 2011,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ould increase by 45% compared with the 2011 energy consumption of integrated two Korea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effects caused by energy consumption, the energy plan with the reduced fraction of coal in energy supply of North Korea should be adopted and advanced technology with higher efficiency should be applied to establish or expand the energy facility in North Korea.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통합하여 한반도 단위로 식량과 에너지 자원 소비량 추이를살펴보았고, 여러 Case를 생성하여 통합 이후 한반도의 식량과 에너지 자원 소비량을 예측하고 자원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일인당 식량 공급량, 열량 공급량, 단백질 공급량은 모두 남한, 동아시아, 세계보다 낮으며, 동물성 식품군 공급 비중도 남한, 동아시아, 세계보다 매우 낮은 상황이다. 통합 이후 북한이 2011년 남한 수준으로 식량을 소비한다면, 2055년까지의 예상 통합 인구가 최대일 때통합 한반도의 식량 소비량은 2011년 통합 소비량에 비해 약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전에 통합 이후 안정적인 식량 공급과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해 소비를 줄이고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북한의 에너지 소비량은 남한에 비해 매우 적으며, 지난 15년간 석탄 사용 구성비가 매우 높았다. 북한의 일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2011년 남한 수준으로 증가하면, 통합 한반도의 에너지 소비량은 남한에서의 증가분을 제외하더라도 2011년 통합 한반도의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약 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의 석탄 구성비를 줄여나가는 방향의 에너지 계획을 수립하고 에너지 설비 확충에 선진 기술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