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대학생의 에너지 절약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정진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how to improve the energy saving action level through the right knowledge and the promotion of attitude about energy saving in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energy knowledge and energy saving knowledge understanding, saving attitude, saving action, saving education need, saving education experience on the students, and was analysed with their relationship.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Energy saving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provide with the basic ability for energy saving in everyday life. 2. Many universities did not open the subject related to energy saving education. 3. Energy knowledge and energy saving knowledge understanding was high level. 4. Energy saving action level was a bit lower than energy knowledge and energy saving attitude level. 5. Through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ed about the energy saving education partly. 6. Students wanted to learn through various experience activity about the energy saving education. 7. For more improving energy saving attitude level and action level of students, it must be taught the subject relate to energy saving education systematically in university of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대학생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 함양을 통해 에너지 절약행동 수준의 향상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지식 및 에너지 절약지식 이해도, 절약태도, 절약행동, 절약 교육요구도, 절약교육 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에너지 절약 교육은 실과 교육 내용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생활 속에서 에너지 절약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을 길러 주는데 많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실과교육 내용 중에서 에너지 절약 교육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각 교육대학의 실과교육과(생활과학교육과) 심화과정에 에너지 절약 교육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 에너지 절약 교육에 대한 학과의 인식이 부족하지 않나 판단된다. 3. 대학생들의 에너지 지식 및 에너지 절약지식 이해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에너지 지식 및 에너지 절약지식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에너지 절약 태도에 비해 에너지 절약 행동은 약간 낮게 실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에너지 절약교육을 부분적으로 받았지만, 대학에서도 에너지 절약 교육을 특별히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편이며, 에너지 절약 교육 내용 및 영역 중에서 태도 측면을 가장 높게 강조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고, 대학에서의 에너지 절약 교육은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하여 시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6. 대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 및 행동 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에서의 에너지 절약 교육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 KCI등재

        에너지 절약 실천을 위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및 효과:기후변화 인식, 태도 및 에너지 절약 태도를 중심으로

        김형욱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ase and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a school which has interest in practicing the energy saving education. It examined a small school in which 148 students were enrolled, located a county from March 2019 to February 2020, which was selected as the pilot school for practicing energy saving education. To manage the pilot school, it aimed to practice three tasks under the objective of the climate change coping skill improvement through the energy saving education: promotion of energy education environment, 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classes for the energy saving education; and management of programs for climate change coping skill improvement. It attempt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by developing basic infrastructures and signing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for the energy education, and adjusted class hours by organizing the curriculum. It operated a region-connecte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by reinforcing the experiential activity, and also operated the family programs and held a liberal arts event, to improve climate change copping skill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ilot school curriculum reorganization, it conducted a test on perceptions on and attitudes toward the climate change and a pre- and post-test on attitudes toward energy s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drawn from the test on perceptions on and attitudes toward the climate change, which showed that each average of all items was increased. Although the pre- and post-test on attitudes toward energy sav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several items such a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for energy saving, perceptions on and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it, attitudes toward reasonable use of energy and the field of environmental problems, it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results in others such as participation in energy saving events and joining in related groups, research on energy and occupations views and national and citizens’ community spirit for the energy proble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macroscopic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its effect on schools, for the energy saving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절약 교육 실천에 관심이 있는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와 그 효과성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1년간 전교생 148명의 군지역 소재 소규모 학교로 에너지 절약 교육 실천 시범학교로 선정된 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범학교 운영을 위하여 에너지 절약 교육을 통한 기후변화대응능력 신장이라는 목표하에 에너지 교육 환경 조성, 에너지 절약 교육을 우한 교육과정 편성 및 수업 전개, 기후변화 대응능력 신장 프로그램 운영이라는 과제 3가지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교육을 위한 기본 인프라 조성과 MOU 체결을 통해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교육과정 편성을 통해 시수 조정을 하였다. 체험활동 강화를 통해 지역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기후변화 대응 능력의 신장을 추구하기 위해 가족 프로그램 운영과 학예행사 등을 개최하였다. 시범학교 교육과정 재구성의 효과성 탐색을 위하여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 검사와 에너지 절약 태도 사전, 사후 검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기후변화 인식 및 태도 검사에서는 전 영역 모두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에너지 절약 태도 검사에서는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 인식, 중요성 인식, 관심, 합리적인 사용태도, 환경문제 영역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에너지 절약 행사 참여 및 단체 가입, 에너지 연구 및 직업관, 에너지 문제에 대한 국가, 시민의 공동체 의식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에너지 절약 실천을 위한 학교 차원의 거시적인 교육과정 재구성과 효과에 대하여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제조업 분야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김형건(Hyung-Gun Kim),홍인기(Inkee Hong),백인걸(Ingul Bae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2

        본 연구는 2013~2016년 한국신용평가원의 기업자료와 한국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 사용량 자료를 사용하여 제조업에서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한 투자가 에너지 절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위수 회귀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한 투자가 에너지 절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예상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이나, 이미 일정 수준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한 기업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설 투자를 하더라도 에너지 절약 효과가 체감할 수 있다는 점은 아직 국내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절약시설 투자의 수확체감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주제를 분야의 학문적 빈틈을 메우자고 한다. 경제학적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조건부 평균을 추정하는 전통적인 회귀모형에서 벗어나, 분위수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량 분위수에 따른 에너지절약시설 투자효과를 차별적으로 추정한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들의 에너지 절감량은 기업의 특성이 유사하다면 절감량이 높은 기업군일수록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영향이 적었으나, 에너지 절감량이 낮은 기업군일수록 투자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업에게 차등적인 지원기준을 제시하여 에너지 절약의 노력이 계속될 수 있도록 정책적 에너지절감량 달성목표를 기업별로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We apply a quantile regression model to shed light on the effect of energy-saving facilities investment on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2013~2016 Corporation dataset from KisValue of NICE Investors Service and Energy Consumption Survey Data from Korea Energy Agency. There is little doubt on the role of the investment in efficiently reducing th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without loss in produc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literature of empirical studies about diminishing return on the marginal investment for energy saving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resent study fills the gap by documenting the law of diminishing returns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for the investment in energy saving facilities. To achieve the economic purpose, we the effect of the investment by differentiating the group in terms of a quantile of energy savings, instead of resorting to linear models. We find that firms with high energy saving have lower marginal returns of the investment on the facilities, whereas firms with low energy saving tend to show higher marginal returns on those investm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a reasonable political system to save energy for the fir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differentiating the level of goals considering the level of energy savings and other variable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산업부문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및 향후 과제

        유동헌(Dong-Heon Yoo),이윤재(Youn-Jai Lee)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부문의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는 데 주 목적이 있다. 특히,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절약 자발적 협약제도,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제도, 에너지절약 기술정보 협력사업 등에 대한 현황 및 실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의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절약 투자에 대한 분석을 9개 제조업종을 대상으로 1982-2004년 기간 동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부문의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절약투자에 대한 현황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는 제조업에 투입되고 있는 에너지절약투자, 합리화투자 등이 에너지절약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즉, 에너지절약 투자의 에너지절감 효과는 에너지원단위(에너지 소비량/부가가치)의 감소로 시현될 것인데 이에 대한 실증 분석은 향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rograms of energy conservation in industrial sector of Korea. Especially, system of volunteer agreement (VA), energy service company (ESCO), and energy saving through partnership (ESP) which are fulfilled by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KEMCO) are reviewed in terms of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trends of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saving investment by industrial sector which are categorized by 9 manufacturing sectors over the periods of 1982-2004. Thus, this research will be followed by an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effect of the energy-saving investment of Korean manufacturing sector on energy conservation. That is, the effect of energy-saving investment on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will be revealed by the decrease of energy intensity (defined by the ratio of energy consumption to value added). This empirical analysis will be expected as a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웹 기반 초등 에너지 절약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소라,이상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web-based energy saving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 was made progress 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over a total of 12 hours in discretionary activity tine for 2 months.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Lee(2009)′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applying a learning program.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esults. Additionally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n observation of students’ attitudes and a conversation with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learning program for web-based energy saving education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the energy-related contents from energy saving teaching materials(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2008), 5th grader curriculum and various web-sites covering energy-related topics. Second, the web-based energy saving lear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web-based energy saving learning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from .378 to 736) among the 6 subdomai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web-based energy saving 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ly 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5th grad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t is demanded that more intensive on this study should be done, link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 a follow-up activity. 이 연구는 웹 기반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 교육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웹 기반 에너지 절약 교수·학습 자료를 구안하여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웹 기반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교육에 관한 학습 모형을 탐색하고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는 이혜란(2009)의 검사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I-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자료와 포트폴리오 등을 통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 교육 교재 및 5학년 교육과정의 에너지 관련 내용 분석과 에너지를 주제로 다루는 다양한 웹 사이트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절약 교수·학습 자료를 구안 및 적용하였다. 둘째, 웹기반 에너지 절약 교수·학습 자료는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셋째, 웹 기반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 교육을 적용한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영역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웹 기반 에너지 절약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을 강조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웹 기반으로 한 에너지 절약 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교육방법으로써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Lee, Soo-Yeon),배진호(Bae, Jin-H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의 교실 밖 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자료를 선택, 학습을 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환경소양이 향상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교실 밖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생각을 깊이 할 수 있었고, 교실 안 수업에서 이를 충분히 토의,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학생과의 면담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환경적 소양 습득에 유용하며, 과학과 에너지 영역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진하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플립러닝기반 신재생에너지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에너지 절약 태도 발달에 기여하고, 과학과 에너지 영역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ergy saving attitudes. For this purpose, 22 elementary 6th graders were surveyed an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chose and learned materials that fit their level through out-of-class learning, and this process was thought to have advanced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energy sav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out-of-class learning, students were able to think deeply about renewable energy, and discuss it sufficiently in the classroom. Using this method showed a significant chang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ergy saving attitudes. Thir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were very positiv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student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being useful in acquiring environmental skills and promoting interest and curiosity in science and energy areas.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learning program applying flipped learning of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nergy saving attitudes and positively influencing change in perception of science and energy.

      • KCI등재

        저에너지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 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손원득(Won-Tug Son),이종일(Jong-il Lee),윤대원(Dae-won Yoon),이건호(Keon-Ho Lee),송두삼(Doosam So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4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4 No.2

        So many energy saving strategies to realize the low energy house are proposed in these days. Even if the energy saving performances are similar between the strategies, the costs are in abroad range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energy saving strategies should be based upon two considerations; one is energy saving performance and the other is the cost. In this study,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application of the passive design technologies in the design stage of the low energy apartment house are suggested. By uti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tioners can make an effective design alternatives which solve the conflicted values; energy saving and cost.

      • KCI등재후보

        에너지 절약 시범학교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임경민,유병길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7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7 No.2

        본 연구는 에너지 절약 시범학교의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와 에너지 절약 의식 및 행동 반응, 에너지 개념 이해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절약 시범학교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과학관련 태도의 하위요소 3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에너지 절약 시범학교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의식 및 행동 반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에너지 절약 시범학교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에너지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에너지 교육의 중요성, 과학탐구와 관련된 에너지 교육 등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한다.

      • KCI등재

        에너지절약 기술을 활용한 공공주택 사업에 대한 인식 분석: 서울시 노원구의 에너지제로 주택 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주(Kim, Min-Ju),한상연(Han, Sang-Yun)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2

        정부는 기후환경 대응 및 에너지 전환의 일환으로 에너지절약 기술을 활용한 공공주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대도시의 도심에 건설된 서울시 노원구의 에너지제로 주택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에너지절약 기술이 활용된 공공주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향후 유사 사업이 확산될 때 유용하게 고려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그동안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정책에서는 상대적으로 기술적 요인만 부각되고 비기술적 요인들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그 점에 착안하여 에너지절약 기술이 적용되는 정책에서 기술적 요인 이외에 주관적 인식 요인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거주자, 지역주민,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며, 설문조사, 인터뷰, 언론매체의 기사와 댓글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에너지제로 주택은 ‘에너지’보다는 ‘주택’에 초점을 둔 인식이 강하며, 또 ‘임대주택’으로 지어지는데서 비롯된 부정적 인식, 정책적 맥락의 인식, 그리고 정치적 이슈와 결합된 인식 등이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주택에만 치중되지 않고 에너지제로 주택 본연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고, 또 에너지제로 기술이 적용된 공공주택의 공급 유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그리고 에너지제로 기술을 활용한 정책이라고 해도 결국 인식 요인과 같은 비기술적 차원의 요인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respond to the realities of climate change, energy crisis, and the need for energy conversion. One of them is the public housing policy utilizing energy saving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public housing using energy-saving technology, focusing on the case of a zero-energy housing complex in Nowon-gu, which was built in Seou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similar projects spread in the future. In this study, surveys, interviews, and comment analysis on articles were conducted to analyze residents, local residents, and social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erception of energy-zero housing focused on "housing" rather than "energy", negative perceptions arising from being constructed as "public rental housing", and perceptions combined with political issues were revealed. Therefore,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prevents energy-zero housing from paying attention only to "hous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upply type of public housing applied with energy-zero technology. And even for policies that use zero-energy technology, it is also showing that non-technical factors such as perception are important.

      • KCI등재

        에너지 절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필화,신영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9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에너지 절약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4학년 학생 27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교과 및 재량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2주간 8차시 분량의 STEAM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에너지 절약 STEAM 프로그램은 융합인재교육의 준거 틀에 맞추어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에너지 절약 STEAM 프로그램 수업은 학생들의 에너지 절약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에너지 절약이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인식하였으며, 그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 에너지와 환경문제의 연관성을 인식하여 필요한 태도를 고취시키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