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택트 시대의 초등부 교리교육의 방향 모색

        김상인(Kim Sang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49 No.1

        본 논문은 언택트 시대를 보내고 있는 초등부 주일학교 상황에 집중한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맞이하게 된 초유의 종교적인 사태 속에서 초등부 주일학교도 새로운 교육적인 패러다임을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러다임의 바탕에는 비대면 문화, 곧 언택트 현상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언택트 시대에서 초등부 교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모색이 본 논문의 핵심 주제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실천신학적인 방법론(현실태 분석 - 신학적 성찰 --대안 제시)을 사용하여 문제에 접근한다. 우선 새로운 문화적, 교육적 상황 속에서 초등부 주일학교의 실태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2020년 전반기의 코로나19 대유행의 시작과 같은 해 후반기에 나타난 초등부 주일학교의 모습을 점검한다. 다음으로, 언택트 시대의 초등부 교리교육에 대해 교회 문헌이 전하는 기준, 곧 복음 전파, 친교, 방법론적 활용에 근거해서 사목신학적 성찰을 시도한다. 특히, 이 부분에 있어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리교육 콘텐츠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진다. 끝으로 초등부 교리교육에 대한 사목적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언택트 시대에도 초등부 교리교육은 끊임없는 비대면적 연결, 곧 친교적 교류를 통해 비대면 교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대면 교리교육과의 조화도 모색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ituation of junior catechesis in this untact period. In this unheard-of religious situation due to Corona 19 pandemic, junior Sunday Bible classes also had to meet new educational paradigm. Under the base of such a paradigm, that is a understanding about this untact phenomena, is needed. So,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junior catechesis in this untact era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To solve this, this study approaches to the problem by using practical theology method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 theological reflection - propose alternative). First, analyze the situation of junior Sunday Bible class in this new cultural and educational situation. Concretely, check the figure of the junior Sunday Bible class shown in the first half year of 2020, the beginning of Corona 19 pandemic and the 2nd half year of 2020. Second, tried pastoral self-examination on the standards of evangelization, friendship, methodical application told from the Church document about junior catechesis in the untact era. Especially here, reflections about on-line catechesis contents in the untact era are made. Last, propose the pastoral alternative about junior catechesis. Through this study, propose junior catechesis direction via ceaseless untact connection, that is friendly relationship exchange, and seek the balance with contact catechesis.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관한 문화적 해석

        이유리(Yu-Ree, Yi)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new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n a cultural system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untact culture. Untact culture has a lot of influence on changes in space and behavior in our lives.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overcoming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emergence of new educational contents and many trials and errors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In general, art education i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ommunicate face-to-face, so it is time to rethink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in an untouched environment. Dance education is a subject with the specificity of internalizing artistic sensibility and experiencing firsthand with the body as a tool. However, in the changed social environment,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is also trying to change, and various class contents have appeared. Therefore, this period is a paradigm of dance education, and many trials and errors can be followed for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art education and technology,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T, and the use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Laban's movement theory, which is based on gestures, can give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new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in the untouched era. Furthermore, the actors who develop and accept content should not be selected, but must be based on cultivating philosophical and cultural awareness.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로 변화된 문화시스템에서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문화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언택트 문화는 우리의 삶에서 공간과 행위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육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교육 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교수자와 학습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현 상황을 이겨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술교육은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는 교육내용들로 구성되어있어 언택트 환경에서 무용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새로운 재고가 필요한 시기이다. 무용교육은 신체를 도구로 하여 직접경험하고 예술적 감수성을 내면화하는 특수성을 지닌 교과목이다. 하지만 변화된 사회 환경에서 무용교육의 장 또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업 콘텐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때문에 이시기는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으로 교수법들에 대해 많은 시행착오가 따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술교육과 기술의 융합, ANT관점에서 무용교육의 방향성, 제스처가 바탕이 되는 라반의 움직임 이론을 기반한 교육콘텐츠 활용은 언택트 시대에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논의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콘텐츠를 개발하고 수용하는 행위자들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철학적, 문화적 인식 함양이 바탕 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간 언택트 교육 플랫폼에 대한 기업교육 수혜자의 인식 및 사용 경험 연구

        손연주(YeonJoo Son),김자미(JaMee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COVID19 상황에서 기업교육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논의가 시작된 시점에서, 이 연구는 실시간 언택트 교육에 대한 기업교육 수혜자들의 인식과 선호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언택트 교육이라는 변화된 환경과 교육형태에 대한 기업 교육 수혜자들에 대한 학습자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 재직자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언택트교육 플랫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인지도가 높은 플랫폼은 ‘유튜브 라이브’와 ‘줌’ 이었으며, 참가 역할에 따라 플랫폼 기술 사용 능숙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해 기술 사용 능숙도는 플랫폼 사용 만족도와 연관되어 있었다. 본 연구내용은 기업교육 수혜자가 가지고 있는 실시간 언택트 교육 플랫폼에 대한 인식 및 사용 경험을 분석한 기초연구이며, 향후 기업에서 각각의 기업 상황에 맞춘 실시간 언택트 교육 플랫폼을 도입하여 교육을 설계하는 데 의사결정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보육교사의 비대면 뮤지컬교육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중심으로 -

        조성범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최근 우리사회는 코로나_19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더불어 공연예술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파 생되는 변화 또한 지대하다. 최근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 사태 속에서 대학교육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관련 강의 또한 안전상의 이유로 점차 비대면화 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종사자 전환 프로그램 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뮤지컬교육의 수요자 만족도 조사와 더불어 교육내용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9월 서울 동작구 육아 종합 지원센터 주관으로 <교사의 감성 ON>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슬기로운 뮤지컬 생활 – 세계 4대 뮤지컬이라는 주제로 실시간 화상 시스템 줌(Zoom)을 활용하여 보육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육 이후 구글 설문지(Google Research) 를 활용하여 무기명 10문 10답으로 6시간 이내에 응답지를 회수하였다. 예술교육 강사는 단지 교육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수요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교육방식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 된다. 공연은 관객, 배우, 무대의 3요소가 온전히 갖춰졌을 때 그 매력을 발휘하는 법인데, 코로나 사태의 맹위 속에서 문화예술업계는 새 돌파구를 찾아야만 했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바로 ‘온라인공연’ 소위 ‘언택트 공연’이다. 공연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 관련 종 사자를 위한 문화예술 관련 비대면 수업을 하는 데에 기본 자료로서 의의가 있으며, 시대 상황에 발맞추 어 그에 맞는 적절한 대응을 하는 동시에 올바른 방향 제시와 계속되는 코로나 국면 아래 임시방편 식으 로 필수 불가결이었던 비대면 예술교육이 단기적 활용에 그치지 않고, 교육수요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평가 도구의 적절한 활용으로 뮤지컬 언택트 교육의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n recent years, apart from th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Corona 19, the changes derived from the entire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been significant. Amid the prolonged corona crisis, lecture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s well as university education have been gradually becoming non-face-to-face due to safety reason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tent along with a survey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musical education conducted in an education-engaged employee conversion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via the online communication system Zoom for 50 teachers at child care facilities in September 2020 under the theme of `A Wise Musical Life- World's Big Four Musicals' as an education program <Teacher's Emotion ON> under the supervision of Dongjak-gu, Seoul, Korea. Within 6 hours after training, the respondents were collected with 10 anonymous questions and 10 answers using Google Research. Arts education instructors are not limited to just education, and efforts such as developing sustainable education methods are required through satisfaction survey with education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 basis for future culture-art non-face-to-face classes for education-related workers. At the same time, the right direction and temporary non-face-to-face art education are not only short-term use, but also “Unact” in front of the musical. As the contact becomes commonplace after the Corona crisis, it is also often used as words such as “you contact, no contact, zero contact” in Europe, the U.S., and Canada. The purpose is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or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Untact) 시대 백워드 설계 기반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 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이형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언택트 시대에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여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선택적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에서 함양해야 하는 역량을 살펴보고,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이론과 그 통합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도출하여 총 2차례의 관련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통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언택트 시대의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은 개념모형과 상세모형으로 구분하여 도출되었다. 개념모형은 교양교육의 목적과 목표 및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세모형은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함의하며, 필수교양과 일반교양으로 구분하여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 그리고 두 수업방식과 이러닝을절충한 하이브리드 수업의 활용을 제안한다. 이 모든 과정은 교육과정 운영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 설계, 운영, 평가, 환류 체계에서이루어지며, A대학의 교과목 개선과 교육과정 개선 체계를 통하여 환류가 이루어짐을 반영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언택트라는 흐름을 반영하여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을 통하여 대학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이고 선택적인 수업방법의 폭을 넓혀 다양한 수업 방식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을 위한 언택트 시대 원격교육 사례 연구 :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미현 ( Park Mi Hyun ),허균 ( Heo Gy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2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하게 진행된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 또는 동기 학생들의 현존감을 느끼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호작용 및 소통에 대한 불만 및 학습 의욕 저하를 느끼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교육 사례를 연구하고 언택트 시대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교육 서비스 방향 및 개선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이에 2020년도 1학기 P대학 소프트웨어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와 수업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는 학생-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교육 활동 피드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될 때, 그리고 과제 및 수행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 온라인 교육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원격교육에서는 또래 집단보다 교수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대면 교육에서의 교수자의 역할을 세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차후 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와 교육영역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인성적 측면과 지성적 측면이 모두 충족되는 원격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a rapidly advanced non-face-to-face training situation due to Corona 19, learners are not likely to feel the presence of professors or students of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and dis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studies distance education cas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services centered on the role of professors in the Uncontact-era. Therefore, the factors influencing overall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understanding for non-face-to-face classes were investigated for students who took software education courses at P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Studies have shown that class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professor interac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feedback. In other word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online education was high when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was smooth and given adequate feedback on tasks and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in remote education, we were more dependent on professors than on peer groups. Thus, the role of professors in non-face-to-face education was presented in three aspects. It is hop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ubjects of more diverse classes and areas of education, so that remote education that meets both the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aspect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통일교육의 방향 - 통일교육협의회 [통일AR] App 사례를 중심으로-

        서민규 ( Seo Min-kyu ),이윤기 ( Lee Youn-kee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1

        2019년 12월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우리사회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많은 변화가 생겼으며, 지속적으로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언택트 방식의 통일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의식 교수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增强現實)’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하나의 대안이라 생각한다. 통일교육협의회는 현실에 존재하는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가상의 콘텐츠가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화면상에 보여주는 기법을 활용하는 [통일AR] 앱을 제작하였다. 핸드폰에서 [통일AR] 앱을 설치하고 앱 안에서 AR카메라를 활성화 시킨 후 「고리가 전하는 통일AR New(통일공감 평화통일축제를 한꺼번에 즐길 수 있도록 제작한 마커모음)」에 담겨있는 이미지들을 비취면 미리 입력한 영상정보들이 소환되어 핸드폰화면에 다양한 콘텐츠들이 재생하게 된다. 따라서 [통일AR] 앱을 통해 비대면 교육환경에서도 다양한 통일교육콘텐츠들을 실행하고 관람, 참여함으로서 자연스럽게 통일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한 통일교육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방법인 것이다. Due to the global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that occurred in December 2019, many changes have occurred not only in our society but also around the world, and we are constantly facing changes.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lecture-style teaching methods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untouched unification education is increasing is an alternative. I think this. The Unification Education Council has created a [Unification AR] app that uses the technique of showing virtual contents on the screen as if it actually exists a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a virtual image on an image that exists in real life. After installing the [Unification AR] app on your mobile phone and activating the AR camera in the app, you can preview the images contained in 「Unification AR New delivered by Gori (a collection of markers designed so that you can enjoy the Unification Empathy Peace and Unification Festival at once)」. The input video information is summoned and various contents are played on the mobile phone screen. Therefore, through the [Unification AR] app, you can naturally receive unification education by executing, viewing,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unified educational contents even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Unification education using su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n essential educational method in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후보

        사이버 강좌 강의개선 방안 연구

        오연희*, 변승구**, 강선주***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대학교양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3년 이상 사이버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세 명의 교수자들이 협업하여 사이버 강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공동연구함으로써 보다 질높은 사이버 강좌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인터넷 사이버 공간에서의 가상교육은 대학 내에서 새로운 교수 학습의 공간이자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각 대학의 사이버 강좌의 수가 늘어나면서 학습에 대한 정의는 물론이고 가르치고 배우는 메커니즘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향후 포스트코로나 이후의 시대에서도 비대면 수업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급변은 우리 인류에게 위드 코로나, 나아가 위드 바이러스와 같은 위기의 일상화에 적응해갈 것을 강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학 교육 현장의 혼란 속에서도 우리에게는 기존에 운영해 오던 사이버 강좌의 축적된 노하우와 끊임없는 개선작업을 통해서 발빠르게 교육현장을 안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나아가 코로나 19로 발생한 위기에 직면하여 향후 대학 교육을 과감히 혁신하고, 교육 현장의 위기를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대학 교육 과정에서 지식을 전달해야 하는 전통적인 교육은 온라인, 모바일, 유투브, 화상교육 등의 비대면 혹은 원격 교육으로 진행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지만, 본 연구자들의 공동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듯이 어떻게 학생들의 참여도를 끌어올리고 대면 수업이 갖는 최대의 강점인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비대면 수업에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는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를 통해 그에 관한 일단의 아이디어들도 제시되었다고 본다. 각각의 교수자들은 사이버 강의를 통해 학생 참여를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을 동원하여 단순한 지식전달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깨우쳐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스토리텔링, 토론, 학습자간 모니터링, 댓글 달기의 활성화, 해당 국가 여행하기라는 대리체험을 통한 외국어학습의 체험형 모델 제시 등이 그것이다. 기존의 학습자 설문을 바탕으로한 사이버강좌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가 학습자의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었다면 본 연구는 실제 사이버강좌를 기획, 운영하고 있는 담당 교수자들 간의 협업이라는 점에서 향후 보다 질 높은 사이버 강좌 관련 연구에 이바지함은 물론 비대면 시대의 교육 현장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언택트(Untact) 디지털 전환(DT)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사례

        이상구 ( Lee Sang-gu ),함윤미 ( Ham Yoonmee ),이재화 ( Lee Jae Hwa ),박경은 ( Park K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3

        2019년 12월 중국 우한(武漢)으로부터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퍼지며 대학수학교육 환경을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Untact, 비접촉)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수학 연구 자와 교수자들은 2020년 봄부터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화상 회의와 온라인 교육 등 새로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난점과 이를 극복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비대면 환경에서 교육의 질을 보장 하는 대학수학교육의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체득한 노하우(Know-How)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코로나 이 후(After Corona, AC) 시대의 대학수학교육과 연구 환경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갑작스런 전면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취한 다양한 테크놀로지 활용 및 학생과의 소통에 대하여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교육환경의 교수·학습에서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특히 학생의 학습 활동과 학습과정에 기반한 평가의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고 언택트 교육의 사각지대에 대하여 논한다. In December 2019, new coronavirus (COVID-19) which was started from Wuhan caused a dramatic changes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around the world from the spring semester 2020. All classes in college was switched to online classes at once. As a result, many efforts were made to keep the qualit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We have discussed the situation that we did experience and discussed a possible changes that future mathematics education and research can face in the post-corona era (after coronavirus, AC era). Finally, we discussed an evaluation method for student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online class evaluation.

      •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따른 온라인 무도 교육의 방향성

        전기제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0 No.2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2019년 12월 31일에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19)가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원인불명 폐렴의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PC방, 요양시설, 노래방 및 체육시설 등 집단감염이 초래되는 위험시설에 운영 정지를 시행하고 있으며,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포츠산업의 매출 감소 등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비대면 스포츠 시장을 본격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방역지침과 더불어 시대적 상황에 따라 온라인 무도교육의 활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온라인 스포츠 교육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온라인 무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온라인 무도교육을 시행하고 더 나아가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을 통해 온, 오프라인의 무도스포츠의 활성화 방안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은 온라인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로 설정하였으며, 2020년 8월 1일부터 10월 3일까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현 상황(코로나19)을 고려하여 인터넷 설문지(모아폼)를 활용하여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설문지 구성은 이 연구의 목적과 설문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었으며, 총 336부를 배포하였다. 자료처리는 온라인 스포츠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 요인을 Kano의 분석 모델을 통해서 검도장 서비스품질을 ‘매력적 품질’, ‘일원적 품질’, ‘당연적 품질’, ‘무관심 품질’, ‘역 품질’, ‘회의적 품질’로 분류하였다. 그 후 Timko(1993)의 고객만족계수와 임성욱(2005)의 PCSI 지수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 스프레드시트인 ‘Microsoft Office Excel 2019’을 사용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Kano모델을 이용하여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 19개의 항목을 분류한 결과, ‘체력/기술향상’, ‘부가적 서비스’, 2개 항목이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17개 문항으로 ‘불만 신속 처리’, ‘영상/어플 구성 유용’, ‘고객 요구 적극 처리’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Kano모델의 서비스품질요소 분류를 통해 고객만족계수를 도출한 결과 Better 지수는 ‘불만 신속처리’, ‘질문에 대한 신속 응답’, ‘영상/어플구성 유용' 항목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Worse 지수는 ‘개인정보 호보’, ‘강의에 대한 친절함’, ‘강사의 예의’ 항목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넷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의 고객만족 개선지수(PCSI Index)는 ‘강의에 대한 친절함’, ‘강사의 예의’, ‘불만 신속처리’ 등의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도교육의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은 강사의 친절함과 예의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피교육자들의 불만과 질문에 대한 신속한 응답이 이루어진다면, 온라인 무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