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뇌손상 환자의 은유이해

        김은정(Eun-Jung Kim),최예린(Yaeli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1

        배경 및 목적: 일반적으로 은유이해는 우뇌가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연구자들마다 다양한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뇌손상 환자가 은유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은유이해에 필요한 요소인 언어유추와 단어연상 능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우뇌손상 환자 14명과 정상 성인 14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과제는 은유이해 20문항, 단어연상 10문항, 언어유추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은유이해와 언어유추는 우뇌손상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받았다(p< .01). 단어연상 반응 수의 평균은 우뇌손상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적은 반응 수를 보였으나,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5). 은유이해, 언어유추, 단어연상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였다(p < .05). 논의 및 결론: 우뇌가 손상된 이후 은유이해에 어려움이 있다는것을 확인하였다. 우뇌손상 집단과 정상 집단이 어휘의 질적인 부분에 차이가 있을 것이며우뇌손상 환자는 정상인과 언어유추의 추론과 적용과정이 다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였다.은유이해와 다른 변인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보여, 은유를 이해하는데 언어유추 능력과 단어연상 능력이 관련이 있는 요인들임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Generally it is known that the right hemisphere of the brainis responsible for understanding metaphors, however some dissension still remain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r not patients with a damaged right hemisphere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etaphors, and evaluated their abilities withword association and verbal analogical processe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etaphors.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4 adults with damaged right hemispheres and 14 normal adults.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20 metaphor comprehension questions, 10 word associations, and 20 verbal analogical processes. Results: The damaged right hemisphere group showed a relatively lower understanding of metaphors and verbal analogical process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damaged right hemisphere group showed a lower number of responses to the stimuli tha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average number of responses to word associations was not significant.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nd static cor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metaphors and other variables. Discussion &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ati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metaphors after damage to the right hemisphere.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qualitative vocabulary between the group with damaged right hemispheres and the normal group. This implies that the group with damaged right hemispheres may have different verbal analogical processes and application process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word association ability is related to verbal analogical reasoning for understanding metaphors.

      • KCI등재

        연상하기 프로그램이 TBI 환자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수지 ( Su Ji Moon ),김유경 ( Yu Kyung Kim ),석동일 ( Dong Il Seo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이 연구는 연상하기 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traumatic brain injury: TBI)의 언어능력, 이름대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 3명이며, 연상하기 프로그램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보스톤 실어증 검사(K-WAB)와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NT)로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이름대기 능력의 변화를 사전.사후 설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상하기 프로그램은 사물 연상하기 단계와 사건 연상하기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정보인식하기, 기억하기, 범주화하기, 범주화 완성하기, 사고 집중하기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사건 연상하기 단계는 결과 유추하기 수준을 부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모두의 K-WAB 검사 결과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알아듣기 영역의 향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연상하기 프로그램이 언어 이해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상자 모두의 K-BNT 검사 결과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연상하기 프로그램이 TBI 환자의 주요 언어 문제인 이름대기 능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상하기 프로그램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언어 능력에 향상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ulate on how the associ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ability of language, naming of Traumatic Brain Injury(TBI) patients and find out the progress of the language ability. Three patients suffering from TBI took part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ability of language and the ability of naming were accordingly performed and researched on the basis of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K-WAB test showed that individual score of each section and total score were higher than before the test and prov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gress of the language ability. Secondly, the program demonstrated that it helped all of the subjects to improve their ability of naming.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various results of this thesis, the word associ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BI patients and help them to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 언어장애인 운율손상의 생리학적 기전 연구동향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특수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언어장애로 수반되는 운율적 손상의 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운율정보의 특성과 운율정보의 처리에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고, 신경영상연구를 통해 밝혀진 뇌에서의 운율정보처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언어권에 따른 운율정보처리 방식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fMRI와 PET 같은 신경영상을 통한 연구들이 운율의 지각과 산출을 담당하는 신경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표준화된 연구방법의 부재하고 운율자질 및 기능의 복잡성과 관련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cent researches and hypotheses concerned with the prosodic processing of linguistic prosody and affective prosody in speech disordered people. While many physi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neuroimaging techniques such as fMRI and PET,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The lack of consistency could be expected from the complexity of prosodic functions and features.

      • KCI등재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의 연구동향

        우희림(Hee Rim Woo),김정완(Jung Wan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1

        우반구 손상(Right Hemisphere Damage, RHD)에 따른 의사소통장애는 좌반구 손상 환자군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좌반구 손상 환자 대상의 실어증 평가에서는 그 장애 정도가 잘 감별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언어 평가와 중재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관련 학술지에서 다루어진 RHD 환자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RHD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평가와 중재 방향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임상과 연구 영역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내외 논문 총 75편(국내 논문 13편, 국외 논문 62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과 연구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유형 및 연구영역에서 국내외 동일하게 RHD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 특성을 비교하고, 언어외적 능력을 가장 많이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및 인지-의사소통 외 능력(예: 일상생활능력, 우울)과 같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빈번히 이루어져 있는 국외 연구와는 달리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져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파악된 RHD 환자군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통해 향후 국내 R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장면과 연구에서 다양하고 심도 높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Communication disorders caused by Right Hemisphere Damage manifests different symptom with that of left, and studies concerning languag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have not been actively investigated because they are either mild or difficult to discern through the aphasic assessment targeted to left hemisphere damage patients.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HD group study trends in last 10 year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trends regarding directions of RHD group communication disorders and intervention. 75 thesis were analyzed(13 domestic and 62 international)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wo categories, study type and research area. Regarding research typ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primarily comprised characteristic comparison. As for the research area, both studies mainly investigated on extra-linguistic ability. While international studies frequentl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and suitability of evaluation instrument as well as RHD group s activities of daily life. Domestic studies have shown limited scopes of research.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attention should henceforth be payed to RHD patients in domestic level, and in-depth studies of diverse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as well.

      • KCI등재

        뇌손상 성인의 직유 이해력 연구

        이장훈(Jang Hoon Lee),김경숙(Kyoung Sook Kim),안종복(Jong Bok Ah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言語治療硏究 Vol.24 No.4

        Purpose: The simpl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suggesting adult people with left hemisphere damage(hereinafter, people with LHD) and people with right hemisphere damage(hereinafter, people with RHD) have deficient simile comprehension requires further systematic studies inten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f such the deficiency exists. In this context, as a part of systematic studies,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clarify simile comprehension in adults with brain damag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people with LHD, people with RHD and normal adults (ten subjects each). All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0 questions about direct simile and 10 questions about indirect simile using illustrated figures. Results: First, when simile comprehension in the three groups were examined closely according to the type of simile, the score of comprehension was the highest in normal group, followed by people with LHD and then people with RH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only. Second, when erroneous responses of simile comprehension i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imile were studied, no response was seen in people with LHD, and the frequency of choosing the secondary meaning was relatively higher in people with RHD. In addition,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only. Conclusions: Taken together, as a figurative expression, the comprehension of simile and it's the form of erroneous response depend on the damaged hemisphere.

      • KCI등재

        신경 언어 장애의 언어재활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분석

        조연진 한국음악치료학회 2013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는 음악을 적용한 신경언어장애 연구가 국내에 처음 게재된 시점인 1993년부터 2013년 8월 10일까지 수집한 신경언어장애 음악치료 논문들을 대상으로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의 초점은 연구 대상자 특성, 연구방법, 평가도구와 사정, 음악치료 프로그램, 그리고 임상 효과를 중심으로 시행하였고 음악치료 효과의 구체성을 위해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국내 신경언 어장애 음악치료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 으며 어떤 점을 보완하여 앞으로의 신경언어장애 음악치료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을 지 보 여줄 것이다.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usic therapy research studies on neurologic speech & language disorders published from 1993 to 2013 in Korea. The purpose of study is to yield some insight for optimal future directions in the research, and to suggest solutions regarding some of the problems identified in past studie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The analysis of studies focused o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method, assessment, music therapy programme,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some considerations for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This study offers information, and will be guide in future music therapy research studies on neurologic speech &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의미기억과 관련된 언어과제의 수행 차이

        오혜경(Hye Gyoung Oh),최현주(Hyun Joo Choi),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irment in language features related to semantic memory betwee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AD, n=15) and vascular dementia (VaD, n=15). The cognitive level tested by K-MMSE for all of patients were in the range mild-moderate. The semantically related language tests include confrontation naming test(Korean Boston Naming Test, K-BNT), category fluency, definition, naming by verbal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confrontation naming test, definitions, naming byverbal definitions, categorization test, the performa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VaD than in patients with A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category fluency test. Therefore, even though the general cognitive abilities were found to be similar between patients with VaD and patients with AD,the impairment in semantic memory was more significant in patients with AD than VaD.

      • KCI등재

        언어장애가 있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

        곽지영,국승희 한국임상심리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quantitatively or qualitatively naming ability between patients with language disturbance caused by traumatic brain injury and normal controls. The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K-BNT) was administered to 27 patients and 27 normal controls and then the performance of K-B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mpared, and cut-off scores, efficien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predictive powers and negative predictive powers of two separate scoring systems(total score and percentile) were calculated. Also, the error types in K-BNT responses of two groups were analyzed. The total score and percentile of K-BNT were lower in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Cut-off scores of K-BNT total score and percentile were 36 and 4%ile, these two score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patients from normal controls. Omission error and semantic error were more frequent in both groups.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실행주의력과 작업기억력 및 언어장애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임경열(Kyoung Yuel L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3

        Following the suggestion that the cognitive construct of attention may be related to the impaired language performance in aphasia,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processing and attention has been a key concern in aphasiology. To examine the nature of executive attention in persons with aphasia, this study asked 10 persons with aphasia and 20 normal controls to conduct the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language tests, and working memory test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attention and language competence and between executive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executive atten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and working memory span.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pport a growing body of evidences identifying executive attentional impairments as a source or a consequence of the language deficit in persons with aphasia. It is hoped that this experimental study initiates and stimulates theoretical and clinical discussion of executive attentional issue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phasia.

      • KCI등재

        치매진단검사의 언어적 기억검사에서 나타난 오반응 특성

        박근혜,윤가현 한국노년학연구회 2014 한국 노년학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치매진단을 위해 실시하는 신경심리평가 중 단어 목록검사에서 나타나는 오반응 특성을 정리한 것이었다. GDS 단계 (1-7단계)에 따라 정반응과 오반응이 어떠한 양상을 지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경향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간지연에 따 른 변화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반응은 GDS 단 계가 높아질수록 즉 퇴화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 지만, 오반응은 GDS 2-4단계에 해당되는 경도인지장애집단에서 GDS 1단계(정상집단)나 GDS 5-6단계(치매집단)보다 더 많이 나타 났다. 또한 일정한 시간이 지연된 후에 회상시켰을 때 오반응은 정 상집단과 인지장애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장면에서 고령자들의 기억력 손상상태에 대한 기준 및 치매 진 단을 위한 평가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