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이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규리(Gyu Ri Kim),이희란(Hee Ra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집단에 따른 차이와 상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언어를 포함한 전반적인 발달이 정상범주에 속하는 만18-24개월 일반 유아 20명과 그 어머니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놀이와 책 읽기 상황에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을 녹화하여 전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를 측정하여 전체 발화로 나눈 비율로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 평가 결과로 비교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 집단별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ELSI 점수에서 지시적 유형 어머니의 유아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지시적인 유형 어머니와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지시-반응, 표현-반응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표현적인 유형 어머니와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주의환기-무반응, 지시-언급, 지시-반응, 설명-요구, 설명-반응, 피드백-언급, 표현-무반응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언어 입력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입력 유형별로 유아의 반응성과의 관련성을 심층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언어장애위험군 영유아의 조기 선별과 부모교육에의 활용 필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of 18- to 24-month-old toddlers according to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0 participants: 20 toddlers age 18-24 months whose overall development was within a normal range for DEP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Planning) and -1 standard deviation for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and 20 mothers of the toddlers. We analyzed a 10-minute video that recorded interactive play and reading with the toddlers and mothers and performed SELSI and K M-B CDI (Korea MacArthur-Bate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to evaluate the toddlers language abilities.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ccording to mothers linguistic input types in play and reading situations. However, we were able to distinguish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as a referential-expressive type in an interaction situation with the toddlers and mothers. Second, we examined a relation betwee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ccording to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Conclusion: The study reveals that appropriate harmony bring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s opposed to only one type of input (either the mother referential type where the linguistic input type is oriented for mothers or the toddler-oriented expressive type). The study demonstrates clinical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toddlers and mothers must be included in the early selection,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toddlers at risk for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이유진,박희선,심현섭,이영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3

        배경 및 목적: 부모의 언어 입력은 영유아의 초기언어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동안 나타난만 1-3세의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 집단과 건청 영유아 부모 집단의 언어 입력 특성을 살펴보고, 부모의 언어입력 변수와 영유아의언어발달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 14쌍, 건청 영유아와 부모 18쌍을 대상으로, 부모와 영유아 간 자유로운 놀이 상황 20분을 녹화하였다. 부모-영유아 상호작용에서의 부모의 발화 자료를 토대로 총 발화 수, 다른낱말수, 평균발화길이, 언어촉진기술 사용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발화 수는 건청 영유아 부모보다유의하게 많았다.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발화 길이는 건청 영유아 부모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며, 사용한 낱말의 유형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언어촉진기술 사용비율은 건청 영유아 부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건청 영유아 부모의 하위 수준 언어촉진기술 사용비율과 영유아의 생활연령, 어휘점수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기술 사용비율에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영유아부모 집단에서는어떠한 연관성도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와 건청 영유아 부모의 언어 입력의 양과 질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인 동시에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언어중재의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Input talks: a case study of one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use of English input

        Lee, Su Jin(이수진),Yoon, Hyun Kyung(윤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제 2언어 습득에 있어 언어입력은 필수요소이다. 언어입력 없이는 어떠한 학습자도 언어습득이 불가능하며, 고급 화자일수록 경험된 언어입력의 양은 상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어입력의 중요성과 상호작용을 언어입력의 한 요소로 보는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이론적 이해 증진에 그치고 있어, 구체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분석과 제언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영어유치원 교사의 사례를 통해 어떠한 교수전략으로 언어입력을 제공하고 또 수정된 상호작용을 도모하여 영어 습득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참여한 교사가 맡은 그룹의 유아들은 만 3세로 이전에 영어에 대한 노출이 거의 없었다. 교사는 유아들의 연령에 따른 발달 특성 및 언어 수준을 고려하여, 다음 다섯 가지 전략을 통해 효과적인 영어 교육 환경을 조성 하였다: 1) 노래와 게임을 통한 목표어의 반복; 2) 리듬과 운율을 활용한 청각자료 이용; 3)몸짓 및 동작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구현; 4) 사진이나 그림을 통한 시각자료 도입; 5)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수정된 상호작용 도모. 언급된 다섯 가지 교수전략 도입 한 달 후, 유아들은 목표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으며 영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졌다. 또한 제 2언어 입력에 있어 단순히 듣기 및 읽기 자료를 제공하는 것 보다 수정된 상호작용을 병행하였을 때 성공적인 언어습득 및 말하기로 확장될 수 있음이 본 연구에서 나타났다. No learner can create a second language structure without some sort of input, and advanced learners experience a considerable amount of input throughout their learning process (VanPatten, 2002). Emphasizing the essential role of input, child language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roles of input (e.g., Bavin, 2009; Krashen, 1985) and language interactions as an input source (e.g., Cote, 2001; Gass, 1997; Quiroz, Snow, & Zhao, 2010). Although these previous research studies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input, it remains quite challenging to put those theories into practice. Consequently,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eaching strategies for child language teachers to facilitate their pupils’ input processing. The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can a child language teacher use to facilitate pupils’ input in the first month of their English learning? 2) What linguistic and motivational evidence can we discover after the input gets processed? We approach this as a case study by examining descriptive data such as interviews, learner progress reports, and teaching artifacts from one English preschool teacher. The duration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to May 2018. The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teacher’s facilitation strategies and children’s linguistic development. The findings showed: 1) The optimal conditions for input processing for three-year-old language learners include the teacher’s use of authentic picture books, songs, games, and modified interactions; and 2) Young learners’ linguistic output is apparent evidence of processed inpu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teaching English to young children, input sources are best used with modified interactions.

      • 입력, 상호작용을 통한 한국어학습자의 언어 습득 연구

        김정은 ( Kim Jeong-eu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6 No.-

        본 연구는 목표언어의 담화사용에 나타난 상호작용 가운데 메타언어적 지식(Meta-linguistic knowledge)을 사용한 재구성(recast) 피드백이 언어습득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급 한국어교재 3종의 대화문에 메타언어적 지식을 사용한 재구성 피드백을 통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3종 한국어교재 대화문에서 교재에 제시된 대화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대화참여자가 서로의 대화내용을 이해하고 문제가 있는 언어형태에 대해 피드백을 받으며 정확하게 수정된 발화를 생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대화문은 찾기 어려웠다. 물론 이는 교재에 제시된 대화문으로 완성도가 높고 모범적인 발화를 택하여 제시함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완성도 높은 대화문도 필요하지만 원어민이 부정확하게 산출한 어휘, 문법형태에 대해 원어민의 메타언어 지식을 활용한 재구성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가 정확한 대화를 산출하는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대화문의 구성은 비원어민이 대화를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므로 언어습득과 학습에 효과가 클 것이다. 따라서 언어습득을 위해 메타언어지식이 사용된 재구성 피드백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의사소통동적 상호작용을 돕는 대화문이 교재에 제시되고 이러한 교재에 대한 자연스런 언어습득을 돕는 실용적인 지침 제공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s of input and recast feedback that appeared in the interaction for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For this analyzed benefits recast feedbacks used meta-linguistic knowledge in the three Korean text boo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ype of conversation for NS vs NNS was presented, but type of recast feedbacks used meta-linguistic knowledge was not presented in the three Korean text books. Therefore required Korean textbook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ommunicative interaction that meta-linguistic knowledge is used and help a natural language acquisition.

      • KCI등재

        제2언어 습득론적 관점의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R-W] 확장형 언어활동을 중심으로

        김보은(KIM, Bo-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2

        외국어를 학습ㆍ교수하는 경우 학습자 위주의 학습내용 선호도 내지 요구도를 고려해야 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최근 몇 년 사이에 한국어 교육의 수요가 현저히 늘어나면서 학습자 층이 매우 다양해졌다. 이 학습자들은 주로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학습하고 있고, 이러한 기관들은 대부분 한국어 언어 기능을 통합하여 교수해야 한다는 통합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현실 흐름에 발맞춰 한국어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지기 위해 언어 기능 통합 교육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제 교육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즉,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 또는 교육 과정 등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 교육의 방향을 통합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기만 할 것이 아니라 실제 수업 시간에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주목할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대상은 [R-W]모형 기능 통합 확장형인 ‘R-W-S’형에 속하는 언어활동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고에서 제시한 언어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활동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과 이러한 다양한 언어활동들이 학자들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의 목적에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For this purpose, presented the purpose, method of study and organization of discussion,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and clarified what this study aimed for presented the [R-W]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processing from aspect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presented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optimal integration model of language function by actually applying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esented by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 KCI등재

        입력 빈도 분포의 유형과 작업 기억 능력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혜미(Hye-Mi Park),이상기(Sang-Ki Lee)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2 초등영어교육 Vol.28 No.3

        사용 기반 언어 학습(usage-based language learning)의 관점에서 보자면 언어 습득은 귀납적인 과정으로 이해되며, 그 과정에서 언어 입력에 대한 학습자의 유의미한 경험은 습득의성패를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된다. 이때 학습 경험의 유의미성을 결정하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가 입력 빈도(input frequency)이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한 경우라면 입력에 대한 보다 빈번한 노출이 더욱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이끌게 될 것이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동일한 수준의 입력 빈도라 할지라도 그것을 어떻게 구체화하느냐에 따라 학습의결과가 달라지리라는 가정이 근래 들어 여러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이상기, 2014). 특히 모국어 학습의 경우 전형성(prototypicality)이 높은 특정 항목에 대하여 그 빈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제시하는 왜곡 분포(skewed distribution)의 조건에서 여러 목표 항목의 빈도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제시하는 균형 분포(balanced distribution) 조건에 비해 더욱큰 학습 효과가 나타났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비교적 일관적으로 보고되었다(Casenhiser & Goldberg, 2005; Goldberg et al., 2004; Goldberg et al., 2007). 그러나 제2언어 습득의 사례에서는 그와 같은 일관된 결론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왜곡 분포와 균형 분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목격되지 않거나, 거꾸로 균형 분포가 미치는 효과가 더욱크게 나타나는 사례도 살필 수 있었다(Lee, 2008; McDonough & Nekrasova-Becker, 2012; Nakamura, 2012; Year & Gordon, 2009).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제2언어 학습자를 참여자로 하는 선행 연구들에서 상이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From the input-driven and usage-based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ypes of input frequency distribution and working memory capacity on grammar learning by Korean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 total of 64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participle forms of psychological verbs (e.g., exciting and excited) in three different input frequency distribution conditions (skewed, balanced, and control), and their working memory capacity was measured by a conceptual span task. The learning outcomes and the generalizability of the learned knowledge were measured with a scaled judgment task and a picture description task,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and two weeks la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put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in the posttest session. Overall, students in the balanced condition were found to have outperformed those in the skewed condi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of the target forms, both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ts positive effects continued to be observed in the production aspect of the delayed posttest session.

      • KCI등재

        인공언어와 독일어의 묵시적 학습 연구

        유덕근 ( Yoo Duck Geu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88 No.-

        본 논문은 사용기반 언어학의 관점에서 입력자극의 사용빈도가 실제 묵시적 L2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었다. 사용기반 접근법은 기억의 특성을 고려한 보편적 인지원리를 언어사용에 투영하여 사용빈도에 따른 지식의 가변적 표상 가능성을 전제한다. 이에 따르면 언어습득은 기존의 언어학에서 전통적으로 가정되던 규칙들을 그대로 언어사용에 적용하여 명시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맥락에서 경험한 표현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기억 속에 군집 및 기능화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L2의 교수학습 방안도 무엇보다 입력자극을 인지적 측면에서 최적화하여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데 그 주안점이 있다. 본 논문은 경험적 차원에서 사용기반의 원리에 따라 제안된 입력강화 방식을 인공언어와 L2 독일어 현재완료에 적용하여 성인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수행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피험자들은 묵시적 방식으로 토큰을 생성하는 규칙을 학습하고 새로운 토큰에 그것을 재활용할 수 있었다. 이는 사용기반 이론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토큰의 사용강도와 배치의 전략적 통제가 묵시적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Die vorliegende Arbeit befasst sich mit den gebrauchsbasierten Ansätzen des Fremdspracherwerbs. Aus deren Sicht ist fremdsprachliches Wissen in bedeutungsvoller kommunikativer Interaktion erlernbar, und die Inputverarbeitung ist dementsprechend der Schlüssel zum Spracherwerb. Für Lerner ist letztlich nicht der objektiv in der Welt vorhandene Input entscheidend, sondern derjenige, der hinsichtlich ihrer kognitiven Perzeptionsmuster optimal ist (Madlener & Behrens 2015). Gebrauchsbasierte Ansätze gehen insbesondere davon aus, dass Spracherwerb durch wiederholte inputbasierte Erfahrungen gefördert wird, d. h. die Stärkung der Gedächtnisspuren für Form-Funktion-Verbindungen ist wichtig. Im Vordergrund der aktuellen Studie steht daraufhin die Frage, wie die Frequenzoptimierung des Inputs zum Erwerb einer künstlichen Sprache und der L2 beiträgt. Hierzu wurden zwei Experimente durchgeführt, in denen es in erster Linie um ‘skewed’ und ‘balanced’ Inputverteilungen geht. Die Ergebnisse zeigen signifikante Lerneffekte bei skewed Inputfluten. Diese helfen Lernern nicht nur, mit neuen Regeltypen vertraut zu werden, sie befähigen sie auch zur produktiven Regelanwendung.

      • 제2 언어 수업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모국어와 목표언어 그리고 언어 변이형(speech modifications)에 관한 고찰

        신재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2 언어수업에서, 교사가 언어 변환을 통하여 목표언어와 학생들의 모국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 (i) 각 언어에 대한 최소한의 선택범위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탐구하고, (ii)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변이형의 특성과 효과를 고찰하 여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의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지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성공적인 초등영어 수업을 위해서, 비 원어민 영어교사인 우리나라 초등영 어교사는 (a) 영어의 사용량을 최대로 늘리데, 모국어 사용이 오히려 학습에 유리한 경우(예: 훈육, 기법수행, 문화와 논평 등) 에는 제한적으로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b) 학생들의 이해를 위한 피드백의 수단으로 간결화된 변이형 보다 정교해진 변 이형(예: 느린 말, 반복된 말, 긴 휴지 등)을 입력의 수단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교사의 발음이 명확하다면, 초보단계의 학생들에게 큰 소리로 말할 필요는 없다.

      • KCI우수등재

        계층화된 문맥 자유 문법을 사용한 입력 데이터 기술

        김태환,이담호,서현지,표창우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4

        This paper defines Data Description Language (DDL) based on a context-free grammar that describes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input from multiple input files or devices. Each input file or device has its input description, which is connected to its upper-level input description to form a hierarchy. We also developed a method generating input data using DDL. To demonstrate DDL’s utility, we have compared our method with two others using the metrics of basic block coverage and input generation times. For 37 programs of Coreutils, our method generated valid input faster by O(10=³) times, and the coverage was higher by 25.44% than KLEE. Compared to the method of single context-free grammars, ours took 1.52 times, but basic block coverage was larger by 6.59%. Currently, we use DDL for generating regular input for dynamic control-flow analysis.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입력 장치로부터 들어오는 입력의 형태적 특성을 문맥 자유 문법 기반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기술 언어(DDL)를 정의하고 있다. 각 입력 파일 또는 장치는 자체의 입력 데이터기술을 가지며, 상위 계층 입력 기술과 연결되어 계층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DDL을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DDL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블록 실행 범위와 입력 생성 시간에 대하여 2 개의 다른 입력 생성 체계와 비교 평가하였다. Coreutils의 37 개 프로그램에 대하여 DDL 방식은 KLEE보다 O(10=³) 배 더 빠르게 입력을 생성하였으며, 기본 블록 실행 범위는25.44%가 더 넓었다. DDL 방식은 단일 계층 CFG 방식보다 평균 1.52 배의 생성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기본 블록 실행 범위를 6.59%만큼 더 감당하였다. 현재 DDL은 동적 제어흐름 분석을 위한 정상적인 입력 생성에 사용하고 있다.

      • KCI등재

        난청 아동 부모의 언어적 입력 양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예,이영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1

        Objectives: Parental linguistic input has long been shown to predict children’s later language ability.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of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of-hearing (DHH)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d meta-analysis. Methods: One thousand seven hundred sixty-one articles from 2001 to February 2022 investigating parental linguistic input in children with DHH were identified via database searches. Nine articles were identified that met the PICOS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and Study design) criter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of the literature were conducted. We used mixed effects models to estimate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metric to address each research ques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selected articles had a low risk of bias. In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presented meta-analytic articles, mothers and children aged 24-36 months participated. We did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proportion of the high-level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from the parents’ utterances between the DHH and the typical hearing (TH) gro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reports on different patterns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between children with DHH and children with TH.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