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론개혁에 관련된 담론 분석

        정재철(Jae-Chorl Ch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언론개혁에 관한 양극화된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 한겨레 신문과 《조선일보》의 신문기사들을 대표적인 텍스트로 삼아 신문들의 사회적 담론 생산기제의 문제점들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분석해 밝히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조선일보》 진영이 소위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내세워 생산하는 좌/우의 이념 대결 담론이 한편으로는 《조선일보》 자체의 이념적 정체성의 문제와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언론운동단체가 지닌 운동의 본질적인 성격에 비추어 볼 때, 좌/우 이념 대결 담론은 《조선일보》를 포함한 주류언론에 내재된 모순의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언론개혁 요구를 반공 이데올로기 층위의 모순과 접합시켜 국민들로 하여금 언론개혁을 좌/우 이념적 관계의 문제로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시민언론 운동단체들이 오래 전부터 개진해온 언론개혁의 요구를 견제하고 냉전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부활시켜 극우적 법질서를 실현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언론개혁담론의 논의의 핵심이 이념 담론에서 제도 개선에 관련된 담론으로 돌아가야 할 것을 주장한다. 또한 본 논문은 오늘의 언론개혁 담론에서 비롯된 이념 담론은 진보와 보수이념을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건강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대승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인 공론의 환경과 조건을 준비해야 할 것도 제안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and why Chosun Ilbo and Hankyoreh Shinmun produce particular social discourses about the media reform in different ways. In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disclose the ideological nature of media reform discourses in social contexts. For the purpose,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straight news, while an interpretive discourse analysis was appled to analyze both editorials and columns in newspapers.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 articulation theory was appl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forces, ideological elements, discourse practices and subjects to produce the media reform discourses. In doing so,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juncture of the media reform aspects in social contexts. The period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from January 10th to August 10th this year.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media reform were obtained from the database of newspaper articles, "KINDS," produced by Korean Press Foundation, in searching the key word, "media reform". Total articles to be analyzed were 765, 429 from Hankyoreh Sinmun and 236 from Chosun Ilbo.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empirically show that both Chosun Ilbo and Hankure Synmun used straight news for their firms' interests and value judgement, in selecting and excluding events related to media reform or in exaggerating and reducing the meanings of the even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a greater or less degree between two newspaper companies. According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nopoly of newspaper subscriber by three major newspapers in Korean society could result in the forming of one-sided social consensus about various social issues through the distorting and unequal reporting by them. Second, this paper's discourse analysis related to the media reform indicates that the discourse of ideology confrontation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produced by Chosen Ilbo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realize law enforcement of the right in articulating the request of media reform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It resulted in the discursive effect of suppressing the request of media reform by civic groups and scholars and made many people to consider the media reform as a ideological matter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론 연구자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유용민(Yong-Min Ryu)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 위기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향후의 언론학적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0년대 이후 폭증한 일련의 언론 위기론에 관한 언론 연구자들의 인식과 전망을 질문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한국 언론의 위기 담론의 문제적인 성격들을 주제화하고 언론 위기 담론의 위기 구성성과 정치성을 토의하는 한편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언론학 실천의 향후 방향과 도전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언론 위기가 언론학의 중요한 탐구 대상이라면 동시에 언론 위기에 대한 담론 또한 비판적인 성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우리 언론 위기 담론의 맹점을 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s media crisis discourse, and to explore the future academic challenges for elaborating news media crisis discours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sking media researchers" perceptions and prospects on a series of the crisis discourse of news media that have exploded since the 2000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is researcher thematiciz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crisis discourse of the Korean news media and discuss the crisis-constitutiveness and political effects of the media crisis discourse and the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elaoborating it. If the press crisis is an crucial subject of journalism Studies, the discourse on it must also be the essential subject of critical ref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looks back at the blind spots of so far press crisis discourse.

      • KCI등재후보

        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공정한 담론 규범 형성을 위하여

        이준웅 한국방송공사 2005 방송 문화 연구 Vol.17 No.2

        우리 언론은 현재 정파성 시비, 정당성 훼손, 신뢰의 하락 등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곧 언론의 위기를 구성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언론의 위기의 본질이 새로운 담론 공중의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에서 비롯됨을 밝히고 이러한 공정성 요구가 갖는 담론 윤리적 함의를 규명하려 한다. 우리 사회의 언론은 다양한 계층, 지역, 직업, 이념 집단, 이해 집단의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언론의 담론에 영향을 받는 계층, 지역, 직업, 집단 등의 목소리를 공정하게 반영하는 데 실패하고 있 는데, 이러한 실패가 공중의 광범위한 공정성 요구를 촉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언론은 보수나 진보나 할 것 없이 이념적으로 비탄력적이고 동시에 폭이 좁은데, 이 역시 언론에 대한 공정성 시비의 원인이 된다. 결국 이 연구는 언론에 대한 비판의 본질은 결국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이며 이는 최근 5년간 우리 사회에 급격하게 등장한 ‘비판적 담론 공중들’(critical discursive publics)의 등장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 공중은 이념적, 정치적 상대방에 대한 공격과 비판만 일삼을 뿐 공정한 담론의 규범을 준수하는 공중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나는 언론이 공정성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한, 그리고 비판적 담론 공중이 공정성 규범에 대한 내면화에 실패하는 한, 우리가 끊임없는 이념적 투쟁의 악순환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와 담론 전쟁

        김성해(Sung H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3

        동아시아를 둘러싼 권력질서는 결정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다. 냉전이 끝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양세력과 소련을 정점으로 한 대륙세력의 대립은 사라졌다. 미국달러를 중심으로 한 국제금융질서의 구조적 문제가 드러나면서 집단적 금융안보의 필요성도 증가했다. 디지털 혁명을 통해 아시아의 독자적인 관점과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보다 민주적인 국제 정보 질서가 구축되고 있다. 동아시아 공동체는 이러한 공통의 이해관례를 토대로 부상한 것으로 지금까지 역내 소속 국가의 주된 어젠다였다. 그러나 영토분쟁, 과거사 논란 및 역사인식 등의 문제로 인해 모처럼 형성된 공동체 논의는 잦아들고 그 자리를 신냉전이 채우고 있다. 이 연구는 이에 공통의 이해관계 지형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불신과 갈등으로 인해 역내 협력이 방해받고 있는 이유로 언론을 통한 담론정치에 주목했다. 연구문제로는 국내 언론이 패권 질서 또는 대안질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언론의 담론정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동체를 지향하기 위한 담론전략은 무엇인지 등을 제기했다. 분석사례로 동북공정과 독도분쟁을 선택했으며 국내 언론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해 동아, 한국 및 한겨레신문의 사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동아시아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충돌이 담론에 반영되고 있으며 담론을 구성하는 주요 프레임과 태도 등은 현실적 이해관계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존 질서 유지 또는 대안질서 모색은 ‘준거담론’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패권위협, 패권의혹, 진정성 및 전략적 연대 등의 파생담론과 중국과 일본정부에 대한 태도 등은 이들 준거담론이 정한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 연구자는 이를 근거로 동아시아 분열과 담론의 연결고리를 끊고, 대안질서에 대한 우호적 담론을 생산하며, 대안적 담론의 발굴 및 확산을 제안했다. The power order surrounding East Asia has been dramatically changing. The Cold war between U.S. led atlantic bloc and continental bloc led by Soviet Union had passed away resulting in peaceful Asia. While U.S. dollar based international financial order used to meet recurrent crisis, Asians start to consider adopting alternative order represented by Asian Monetary Fund and Asian single unit. The digital evolution also helps to create more democratic information order in way of pursing Asian perspective. Such a strong demand on East Asia community, however, seems to be diminishing largely because of regional conflict issues like territorial dispute and history perceptio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East Asians" self-destructive antagonism in spite of growing common interests, this paper projects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war along with real politics. To figure out whether the press takes a critical part in the war of discourse, total 154 editorial pieces in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analyzed. Discourse analysis reveals first of all the strong connection between media discourse and actual conflict of interests. While those supporters for the status quo take more critical stance against China and community, some liberal newspapers endeavor to put them into a positive tune. Neither frames nor attitude toward regional government were deviated from major discourse associated firmly with current power order. Taking such results into account, the author urges to initiate discourse competition for the benefit of East Asia Community. To make it happen, such strategies as producing alternative discourse, dismantling dominant discourse and providing vision about new order need to be employe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김희숙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 1920년대 민간신문 · 잡지를 통해서 본 언론 상황

        이민주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2 No.-

        본 연구는 1920년대 민간 신문과 잡지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식민지 조선에 서 언론의 자유를 위해 어떤 담론이 형성되고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1운동 에 부딪힌 일제는 이전의 강압적인 지배정책에서 문화정치로 정책을 전환하고, 이의 일환으로 이전에는 금지하였던 조선어 민간신문의 발행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문화정 치는 조선인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3.1운동의 기운을 가라앉히면서 일본의 조선 지 배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민간신문을 허용하 기는 했으나 조선언론에 무한한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이틀이 새로운 담론형성의 주 체로서 일본의 조선 지배를 위협할 수 있는 담론을 형성해 내는 것을 바라지는 않았 다. 따라서 총독부는 1910년대에 적용되었던 각종 언론규제법규를 그대로 존속시키고 조선언론에 각종 행정처분과 사법처분을 적용함으로써 언론을 ``가혹``하게 통제하였다. 새롭게 부상한 조선어 민간신문은 이러한 총독부의 통제에 맞서서 언론자유를 확장 하기 위한 담론의 형성에 주력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1920 년대 민간신문과 잡지의 언론관련 사설들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이 언론자유를 위 해 어떠한 담론을 구성해내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신문과 잡지 의 사셜들은 1) 언론자유에 대한 요구 2) 언론관련법 개정에 관한 요구 3) 가혹한 통 제에 대한 비판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었고, 이를 통해 조선 언론의 자유를 엄격 히 통제하고 있었던 조선총독부에 대한 대항적 담론을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1920년대 민간신문 · 잡지의 둥장을 새로운 담론주체의 형성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형 성해내고 있었던 새로운 담론의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언론 불신 만들기: 공적 담론의 병리화와 여론조사의 숫자 정치

        성민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1

        이 글은 언론 불신을 사회 구성원의 집합적 의지의 표출과 수행이라는 공적 담론으로서 접근한다. 공적 담론은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이 언어 사용을 통해 참여하는 객관적 현재이자 그 객관적 현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가 수용하는 표상 체계로 구성된 물질적 삶의 표출이다. 이런 관점에서 언론 불신을 공적 담론으로서 이해한다는 것은 언론이 수행하는 언어 사용이 언론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인식하고 정당화하는 표상 체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그 표상 체계의 작동은 공론장의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의 문제이다. 공론장에서 언론은자신의 신뢰 형성 기제인 뉴스가치, 전문직주의와 같은 표상 체계로써 언론 신뢰의 고유성을 복원하려 한다. 하지만 이는 언론 불신과 언론 신뢰를 단선적인대립 선상에 놓는 언론 신뢰에 대한 본질주의를 야기하며, 공론장 내 여러 갈등과 충돌의 담화를 단순화하고 병리화한다. 게다가 언론 불신의 책임을 수용자의문제로 환원하는 언론 불신의 병리화는 민주주의 상징 질서의 작동방식에 대한이해를 막고 민주주의를 소수 특권자의 정치로 지속해낸다. 확률적 엄밀성을 입증할 수도 없는 여론조사의 언어에 포획된 언론의 정치 분석은 그러한 반민주주의 정치의 반영이자 결과이다. 언론이 언론 신뢰 고유성의 표상 체계를 위한 특정한 언어 사용을 지배적으로 채택하거나 그 언어 사용에 포획되는 것은 독립적인 사회 비평으로서 언론의 지위를 스스로 파행시킨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청년담론 및 청년개념 분석

        남춘호(Nahm, Choon-Ho),유승환(Seunghwan Y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언론은 담론경쟁의 장이며 언론에 나타난 다양한 청년담론들은 청년을 둘러싼 사회현실에 대한 해석의 틀을 제공함과 동시에 청년들을 특정한 주체로 동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담론의 권력기능 및 주체화효과에 주목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언론에 나타난 청년담론을 분석하고, 1920년 이후 근대 100년에 걸친 청년 개념의 표상변화를 추적해보았다. 토픽모델링을 통한 청년담론의 내용분석결과 1987년 이전까지 높은 빈도로 나타났던 학생운동토픽은 최근으로 올수록 줄어들고 대신 선거나 정치 관련 토픽이 늘어나 청년들은 점차 제도화된 선거에 수동적으로 소환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한편 1998년 IMF 경제위기 이후로는 청년고용실업 담론이 청년담론의 핵심으로 부상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경제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중앙지와 지방지를 비교할 경우 중앙지에는 다양한 청년담론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지방지는 청년일자리 관점에만 매몰된 채 편협한 시각에서 청년을 그리고 있다. 한편 청년 개념의 용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청년을 연령범주로 사용하는 용례는 200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청년개념의 도입초기인 일제강점기에는 청년용례의 대부분이 청년회 등의 청년조직이나 청년운동이었다. 1920년대 청년들은 민족의 근대화를 이끌어갈 주된 사회세력으로 호명되었으며, 이후 1930년대 말이 되면 총독부에 의해 황국신민의 전형으로서의 보국청년이나 모범청년으로 동원되기도 하고, 해방이후에는 국가권력에 의해 반공청년이나 재건청년으로 호출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일제말기부터 1970년대까지 총독부나 국가권력이 청년담론을 주도하던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괴청년용례가 나타나 권력의 지배담론에도 균열과 저항의 지점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The authors analyzed the youth discourse in the media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tracked the changes in representation of the youth concept during the modern 100 years since 19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analysis, the student movement topic, which had been shown at a high frequency until 1987, has decreased in recent years. Instead, election-related topics are increasing, and young people are gradually portrayed as passively called upon to institutionalized elections. After the 1998 IMF economic crisis, youth unemployment discourse emerged as the core of youth discourse. This trend was most evident in economic journals and was more pronounced in local media than in national media. The analysis of conceptual history shows that the use of youth as an age category has mainly appeared recently since the 2000s. Most of the youth usage cas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referred to youth associations, youth organizations, and youth movements. In the 1920s, young people were considered the main social forces that would lead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but in the late 1930s, they were mobil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s patriotic or model youth. After liberation, they were portrayed as anti-communist or reconstructed youth. However, even wh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 the state power led the youth discourse, there were continuous cases of "suspicious youth" language use. This indicates there were cracks and resistance points in the dominant youth discourse of the power.

      • KCI등재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 ‘김영란법’ 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의 담론정치

        이서현,김성해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4

        언론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중재자일 수 있을까? 만약 민주주의 정치체제에서 언론마저 이러한 역할을 포기한다면 그 부작용은 무엇일까?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은 언론의 이해관 계가 걸려 있는 특정 정책에 대한 언론의 담론정치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언론의 정치성이 시기별, 매체특성별, 언론사별에 따라 어떻게 현실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종합지, 경제지와 종교지이며, 분석시기는 법안 통과 이전, 합헌결정 이전 및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이다. 분석을 위해 먼저 언론이 어떤 프레임으로 그들의 정치적 개입을 정당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연구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김영란법에 대한 이해관계자가 아닐 때, 언론은 보다 공정했고 시대정신에 충실했던 반면, 법 적용 대상에 언론이 포함된 이후에는 그 입장이 확연하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론의 정치적 개입정황 파악을 통해 담론정치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언론은 강력한 기득권 집단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 연구를 계기로 보다 독립적이며, 공정하고, 또한 공익을 우선하는 저널리즘의 복원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Should the news media act as a fair and objective mediator regardless of interests? If the media abandon such normative value, what would be possible side effects? The Kim Young-Ran Law is a great opportunity to examine the discourse politics of the press on specific policies interwoven with benefits and los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politics of the media have been reflected by the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individual channel. For the analysis, collected samples were divided into General newspaper, Economic one and Religious one. In addition, the period was defined in 3 phases: 1) before the law was passed by parliament, 2) after the law was passed, but before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3) after the decision. Firstly, we analyzed what frames were used in order to justify the political intervention of the media, then conducted big data analysis using 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edia was more fair and showed 'spirit of the times' when the media did not count as a stakeholder under the law's definition. However, once the media became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s the law changed completely. Consequently, we could identify the reality of discourse politics through the context of political intervention. The media are criticized as the most powerful group in Korea.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give them an opportunity to ponder how to restore independency and objectivity in journalism as prioritizing the public interest over their own.

      • KCI등재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 윤리

        이준웅(June Woong Rhee)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3

        이 글은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 윤리를 하버마스 ‘담론 윤리’의 관점에서 재구성해서 검토한다. 전통적 언론 윤리는 (가) 다원적 윤리적 기초 간 모순성, (나) 객관주의 언론 규범에 대한 무기력함, (다) 언론 윤리 최종 판단 근거로서 공익이 갖는 약한 실천적 함의 등 때문에 오래된 윤리적 과제는 물론 디지털 뉴스 시대에 새롭게 떠오른 과제를 해결하는 데 역부족을 보이고 있다. 한나 아렌트가 제시한 ‘소통으로서 권력 개념’을 전제로 삼아 언론은 사실과 진실에 대한 집착을 벗어나서 공론장에서 의견 교환이 갖는 민주적 정당화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는 전제를 확립한 후, 이 글은 하버마스가 제시한 ‘담론 윤리’를 원리로 삼아 윤리적 규칙을 도출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에도 언론이 민주주의에 기여할 방법을 모색 한다. This paper provides a Habermasian perspective to journalism ethics to answer the ethical questions raised by asymptotic factuality of news streams, emerging content providers of news-like digital content, and algorithmic news production. It is criticized that traditional news ethics emphasizing the norms of factuality and objectivity fails to cope with the ethical problems of digital news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Relying on Arendt’s communicative concept of power and Habermas’s notion of discourse ethics, this paper reconstructs ethical rules of discursive participation that can be applied to clarification and examination of ethical issues raised by asymptotic factuality of news streams, emerging content providers of news-like digital content, and algorithmic news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