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중(中)사동법의 대조

        최규발 ( Kyu Bal Choi ),김은주 ( Eun Ju Kim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사동(causative)이란 사동주가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위를 하게 하거나 어떤 상황에 놓이게 하는 태(voice)의 일종으로 이러한 사동의 개념은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며, 사동의 형식은 각 언어마다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한국어와 중국어에 서도 이러한 사동의 개념이 존재하는데, 그 형식과 실현 양상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서는 주로 형태적 사동법, 어휘적 사동법, 통사적 사동법에 의해 사동이 실 현되며, 중국에서는 주로 어휘적 사동법과 통사적 사동법을 통해 사동이 실현된다. 한국어의 형태적 사동은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와 같은 사동 접미사를 통해 실현되며, ``어근+접미사``의 형태로 사동사를 형성한다. 반면 중국어에는 형태적 사동법이 존재하지 않지만 어휘적 사동을 통해 사동사를 형성한다. 이러한 사 동사는 한국어의 형태적 사동법과 유사한데, ``어근+어근`` 형태의 복합구조를 형성하여사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사동문을 형성할 때 격의 이동과 행위자 논항의 추가 등에서 같은 양상을 보이지만 문장의 구조와 성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서 피사동주 는 ``가/이, 을/를, 에게, (-)로 하여금`` 등의 격조사로 표시되는데 반해 중국어의 경우 명시적인 격조사가 없기 때문에 주로 문맥이나 어순, 동사의 성질에 따라 문법적 관계를 형성한다. 사동 행위의 직접성과 간접성을 대조해보면,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단형 사동이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고 ``(-)시키다`` 사동문과 장형 사동이 간접 사동을 나타낸다. 중국어의 어휘적 사동은 일반적으로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에 통사적 사동 은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의 의미를 모두 나타낼 수 있는데, ``使, 叫, .`` 사동은 간접 사동을 나타내고, ``給`` 사동만이 직접 사동을 나타낸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at have different language style. This paper most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Chinese and contrasts each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s in both languages using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have ways to express causation, but differ in a method of realizing it, which is analyzed by dividing the causativ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into morphological causatives, lexical causatives, and analytic causatives and by dividing the causative expression of Chinese language into lexical causatives and analytic causatives. Whereas Korean morphological causatives are formed by ``root+suffixes(``-i-``, ``-hi-``, ``-li-``, ``-gi-``, ``-u-``, ``-gu-``, ``-chu-``)``, in Chinese language morphological causatives are not exist. Causatives in Chinese are mostly formed by lexical corporation ``root+root`` which is similar to Korean morphological causative. In forming causative sentences, both languages have similar patterns such as ``case movement`` and ``adding a subject argument``,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both. Whereas in Korean language causee is expressed by case markers ``-ga/-i``, ``-eul/-reul``, ``-ege``, ``-eurohayeogeum``, in Chinese language grammatical relation is formed by context, word order, and character of verb, as there is no overt case marker. In contrastive analysis of directiveness of causatives, in Korean language short form causatives express the meaning of directive causatives, long form causatives and the causative construction formed by ``-sikida`` express the meaning of indirective causatives, while in Chinese language, lexical causatives are only express the meaning of directive causatives, analytic causatives can express the meanings of directive causatives and indirective causatives, ``shi(使), jiao(叫), rang (孃)`` are related with indirective causatives, and ``gei(給)`` is related with indirective causatives.

      • KCI등재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사동 범주 대조 연구(Ⅰ)-기본동사의 형태적 사동을 중심으로-

        김성주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4

        This paper compares the types of causative constructions at the historical stage of Korean and Turkic languages with the derivative phenomena of the morphological causative of the 100 basic verbs of modern Korean and modern Turkish language. The types of modern Korean include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while the latter includes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Looking at the morphological causative derivation of 100 basic verbs in modern Korean and Turkish language, 48 in Korean and 92 in Turkish can be formed as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ncient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Pre-modern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and modern Korean has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In the case of Turkish language, ancient and Ottoman Turkic languages have only morphological causative, but modern Turkish has all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however the most powerful causative is still morphological one. 이 글은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역사적 단계에서 사동문의 유형과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의 파생 상황을 비교한 논문이다. 현대 한국어 사동의 유형은 고유어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고, ‘하다’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현대 튀르키예어 사동의 유형은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다.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100개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 파생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어는 48개, 튀르키예어는 92개의 파생 사동소 형성이 가능하다. 고대 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중세한국어는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 근대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현대 한국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튀르키예어의 경우 고대 튀르크어와 오스만 튀르크어는 형태적 사동만 있고, 현대 튀르키예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모두 존재하지만, 고대 튀르크어, 오스만 튀르크어, 현대 튀르키예어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사동 형식은 여전히 형태적 사동이다.

      • KCI등재

        한중 사동문 구조 유형과 의미 대조 분석

        노금송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9 No.-

        한중 양 언어의 사동문 구조와 의미 특성을 대조 분석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양 언어의 사동문 구조와 의미 유형을 각각 기술하고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중 양 언어의 사동문은 어휘적, 형태적, 통사적 사동문 두루 갖고 있어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동 표지로 통사적 사동문을 나타내고 그 생산 성도 아주 강하다. 하지만 사동법 실현에 있어서 한국어는 접사나 관용 표현이 붙어서 사동법을 실현하는 반면 중국어는 동사에 의한 문장 구조 로서 사동법을 실현한다. 또한 한중 양 언어는 사동 표지 출현 위치가 서 로 다른바 한국어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접사나 ‘-게 하다’가 와서 사동문을 실현하지만 중국어는 형태적 사동은 동사+동사 구조, 통사적 사 동은 피사동주의 앞에 사동 표지인 ‘使, ?, 叫, 令’이 선행하면서 사동문 을 실현한다. 의미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중 양 언어의 형태적, 통사적 사동문은 모두 직간접 사동으로 대칭 관계를 이루지 않고 있다. 문법 표 지가 있는 한중 통사적 사동문은 모두 간접 사동을 나타내고 형태적 사동 문은 상이한바 중국어는 직접성만, 한국어는 직간접성을 모두 나타낸다. 중국어 사동문은 완결의미를 주로 나타내고 한국어는 미완결 의미를 주 로 나타낸다.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 대조 연구

        김기성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composition,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ausative form(사동, 使動) of the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nd analyzes it by comparing with the causative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a causative sentence, the subject means that it is the one that has the other agent do an act rather than a actual agent(direct agent) of a specific act.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 the actual agent appears in the form of having objective ending(Mongolian: ‘-ыг/ийг, -г, ø’ of objective meaning, Korean: ‘-eul/reul[-을/를], ø’ of objective meaning).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transitive verb, the actual agent appears in the form of having dative·locative ending(Mongolian: ‘-д/т’, Korean: ‘-ege/hante/gge[-에게]/[한테]/[께]’) or instrumental ending(Mongolian: ‘-аар4’, Korean: ‘-ro[-로](-ro hayeogeum[-로 하여금])’. These can be considered as the similarity of the two languages. ◾The causatives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generally show similarity in the usage methods.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object of causative sentence, and new subject appears. As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object of causative sentence, it takes the objective ending(Mongolian: ‘-ыг/ийг, -г, ø’ of objective meaning, Korean: ‘-eul/reul[-을/를], ø’ of objective meaning).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transitive verb,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adverb of causative sentence, and new subject appears. As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adverb of causative sentence, it takes dative·locative ending (Mongolian: ‘-д/т’, Korean: ‘-ege[-에게]/-hante[-한테]/-gge[-께]’) or instrumental ending(Mongolian: ‘- аар4’, Korean: ‘-ro[-로](-ro hayeogeum[-로 하여금])’. ◾The causative(causative expression, causative method) of Korean is divided into 1)‘language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using such word as ‘sikida[시키다]’, 2)‘derivative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by putting derivative suffixes such as ‘-i-[-이-], -hi-[- 히-], -ri-[-리-], -gi-[-기-], -u-[-우-], -gu-[-구-], -chu-[-추-], -ae-[-애-], -si-[-시-] and –euki-[-으키-], changing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to object or adverb in the form of ‘-ege/hante/gge[-에게]/[한테]/[께]’, and adopting new subject, and 3)‘syntactic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by putting syntactic configurations such as ‘-ge hada/mandeulda[-게 하다/만들다]’ and ‘-dorok hada/ mandeulda[-도록 하다/만들다]’ at the stem of verb and adopting new subject. Whereas, the most general form in the causative of modern Mongolian is the derivative causative form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causative by connecting causative affixes such as ‘-уул2, -лга4, -га4, -аа4’ to the stem of verb. Therefore, modern Mongolian is not as various as Korean. 본 연구에서는 현대몽골어의 태(態, хэв, voice) 체계 속에서 ‘사동(使動, causative)’에 대한 유형 및 구성, 또한 그의 의미, 기능, 용법 등을 정리해 살펴보고, 이후 이를 기준으로 여기에 대응 가능한 한국어 ‘사동’과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대조를 통해 이들이 서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갖고 있는지살펴보았으며, 양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담화, 문맥 등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는 사동의 올바른 사용법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등을 제시해 보았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모두 자동사, 타동사 어느 것에나 사동 접사(몽골어: ‘-уул2’, ‘-лга4’, ‘-га4’, ‘-аа4’, 한국어: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시-’, ‘-으키-’ 등)를 연결해 타동사 사동을 만든다. 이러한 파생적 사동이 일반 보편적이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은 일반적으로 활용 방법 면에서 유사한 면을 보인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사동(사동문)의 경우 능동문의 주어는 사동문의 목적어가 되고, 새로운 주어가 들어가(나타나) 사용된다. 능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목적어가 되면서 목적격 어미(몽골어:‘-ыг/ийг, -г, 목적격 의미의 ø’, 한국어:‘-을/를, 목적격 의미의 ø’)를 취하게 된다. 타동사에서 파생된 사동(사동문)의 경우 능동문의 주어는 사동문의 부사어가 되며, 새로운 주어가 들어가(나타나) 사용된다. 능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부사어가 되면서 여·처격 어미(몽골어:‘-д/т’, 한국어:‘-에게/-한테, -께/’)나 또는 도구격 어미(몽골어:‘-аар4’, 한국어:‘-로(-로 하여금)’를 취하게 된다. 한국어의 사동(사동 표현, 사동법)은 일반적으로 1) ‘시키다’와 같은 어휘를 써서 사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어휘적 사동’, 2)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애-, -시-, -으키-’ 등과 같은 파생접미사를 동사 뒤에 붙이고, 능동문의 주어를 목적어 또는 ‘-에게/한테/께’ 형태의 부사(부사어)로 바꾸며, 새 주어를 도입함으로써 사동문을 만드는 ‘파생적 사동’, 3) ‘-게 하다/만들다, -도록 하다/만들다’와 같은 통사적 구성을 동사 뒤에 붙이고, 새로운 주어를 도입함으로써 사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통사적 사동’ 등으로 비교적 세분화되어 있는 반면, 현대몽골어의 사동은 ‘-уул2, -лга4, -га4, -аа4’와 같은 형태의 사동 접사를 동사의 어간에 연결해 사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파생적 사동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지 못하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 KCI등재

        한국어의 ‘시키다’ 사동 구문

        최정진(Choi, Jeong-jin)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4

        Although it has been accepted that the verb ‘siki-’ is a representative causative verb,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on the syntactic features of siki- constructions. A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is in analysing siki- constructions only as a kind of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However, there are at least three kinds of constructions, which can be described from the prototypical perspectives on the construc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causatives for (X)siki- constructions; syntactic, psuedo-syntactic, and lexical causatives.

      • KCI등재

        ‘(X)시키다’ 사동 실현 방법 분류에 대한 재고찰-‘-시키다’는 형태적 사동이고 ‘시키다’는 어휘적 사동인가?-

        김건희 한국어의미학회 2023 한국어 의미학 Vol.8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ausative type classification of ‘(X)sikita’ causatives. In recent studies, ‘-sikita’ is classified as morphological causative and ‘sikita’ is classified as lexical causative, furthermore, lexical causative type is excluded in causative type classification. But ‘-sikita’ and ‘sikita’ are identical causative type. They are equal points like these, first ‘the sameness of valency’ which is the syntactic condition of causatives, second the separation or combination possibility of X and ‘sikita’, third the sameness of the basic counterpart of causative verb, ‘hata’, fourth the identical controllity of causee such as animacy and case marker. In particular, ‘-sikita’ is not causative affix in the viewpoints of the functional, derivational and formal difference with general causative affix, both the ‘-sikita’ and ‘sikita’ involve suppletion, there being no formal similarity between the basic verb and the causative counterpart, therefore ‘-sikita’ and ‘sikita’ are typical generic causative verb in lexical causative type.

      • KCI등재

        페르시아어의 사동구문 연구

        곽새라 ( Sae Ra Kwak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4 언어와 언어학 Vol.0 No.65

        This paper re-classified the Persian causative constructions based on Comrie(1989)``s typological classification, adding sabab=shodan(to cause), vadar=kardan(to force) and majbur kardan(to force), etc. as causative verbs. This paper also scrutinized the syntactic realization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causative constructions.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in contrast with Korean causatives, the causee in Persian causatives is always affected by the causer whether the causer``s action is direct or indirect.

      • KCI등재

        1900-1920년대 日,韓語 對譯資料를 통한 양 언어 使動表現의 一考察

        유수연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1 日本語敎育 Vol.58 No.-

        本稿の目的はを20世紀初期現われた韓國語の過渡期的特徵のひとつである使役表現を對象とし、その時期見られた使役表現の形態の變化について韓·日對譯資料を通してその原因を考察し、兩言語の使役表現の關連性をあき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このために本稿では使役表現を三つ(形態的·語彙的·統語的使役)にわけて分析し、その分析對象としては1900年代から1920年代にかけて出版された韓·日對譯資料、特に直譯の完譯である10冊を選擇した。これらの資料をもとに調査·分析した結果、明らかになった點は次のようである。①20世紀初期の對譯本で現われた韓國語の使役表現の使用頻度は現代語とほぼ同じような傾向を表している。②韓國語の統語的使役に譯された場合はこれは樣樣な種類の動詞の譯に用いられているが特に感情感覺動詞、または形容詞の譯に用いられており、當時よく使われていない韓國語の胎動に役に立っているのがわかる。③韓國語の語彙的使役に譯された場合、漢語動詞の直譯に譯されており、これらは韓國語で漢字名詞の多用と新しい名詞の生成に關係があることがわかる。④韓國語の形態的使役は、當時韓國語の實體を反映している表現でよく用いられたことがわかる。

      • KCI등재

        어휘적 대우 동사의 통시적 발달

        이선영 한국어의미학회 2013 한국어 의미학 Vol.40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the Lexical Honorific Verbs in Modern Korean. Korean Honorifics can be divided into the Syntactic Honorifics and the Lexical Honorifics. The Syntactic Honorifics is realized by using special endings, while the Lexical Honorifics is realized by special words. In Modern Korean, for example, ‘Yeojjubda(여쭙다)’ and ‘Jumusida(주무시다)’ are used instead of ‘Mudda(묻다)’ and ‘Jada(자다)’ to express respect to a target person.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the Lexical honorific Verbs in Modern Korea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lexicalization of word forms including subject honorific ending ‘-si-(시-)’, the lexicalization of word forms including object honorific ending ‘-jab- (-ᄌᆞᆸ-)’, the lexicalization of causative forms, and the change of euphemism. First, the words like ‘Jumisida(주무시다), Jasida(자시다), Gyesida(계시다), Mosida(모시다)’ are lexicalized by the extinction of verb in front of pre-final ending ‘-si-’. Second, the words like ‘Yeojjubda(여쭙다), Jabsusda(잡숫다), Boebda(뵙다)’ are lexicalized by the extinction of pre-final ending ‘-jab-(-ᄌᆞᆸ-)’. Third, the words like ‘Deurida(드리다), Ollida(올리다)’ are derived from causative forms, in this process the change of focus occurs. Finally the words like ‘Dolagasida(돌아가시다), Pyeonchanheusida(편찮으시다)’ are derived from the euphem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