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관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AR콘텐츠 프로토타입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성 평가항목 연구

        최보아,임병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정부 스마트 문화 관광 어플리케이션 및 AR콘텐츠 개발과 프로토타입 개발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 항목을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AR기술을 이용한 스마트관광 콘텐츠와이를 구현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AR콘텐츠의 사용성 평가항목에 대해 델파이 분석 방법으로 전문가 인터뷰 조사를 통해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하기위한 의정부 스마트관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AR콘텐츠의 프로토타입 개발은 사례분석을 토대로 이뤄졌으며 방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ICT 융·복합화로 공간의 재창조와 정보 습득 경험을 확장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상황적인 제약을 극복하는 첨단 매체의 몰입감과 새로운 현장감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관광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소통과 몰입형 어드벤처를 제공하고 관광객이 의정부 역사문화를 직접 살펴보고 숨겨진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진화형 AR기술도입으로 GPS, VPS 두 가지 기술의 장점만을 합쳐 AR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도슨트를 적용하여 새로운 경험의 가치를 증가시키고 의정부 역사문화에 관해 다양한 이야기를 하나의 독립형 콘텐츠로 정리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방법인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후 사용성 평가항목은 총 25개로, 유용성, 접근성, 사용용이성, 검색성, 심미성, 가치성의 6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최종적으로 얻은 사용성 평가항목은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프로토타입을 타 도시의 스마트관광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개발 모델을 발전시켜나가는데 활용할 수 있다.

      • 비대면 홈 트레이닝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개선 연구

        박가현(Ga Hyun, Park),박상우(Sang Woo, Park),정희정(Hee Jung, Chung),유세희(Se Hui, Ryu),강효진(Hyo-Jin, Kang)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서비스의 확대에 따라 기존 홈 트레이닝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연구하였다. 맥락적 조사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니즈를 도출해내면서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비대면 상황 속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홈 트레이닝 서비스의 개선된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워진 환경에서도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홈 트레이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동 생성 폼과 SQL을 이용한 ERD 표현

        나영국(Young-Gook Ra)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통상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과정은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와 프로세스 모델을 산출하는 분석 과정을 거쳐 코딩, 테스팅 (testing)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정형화되지 못한 부분이 분석과정으로 (1) 고객이 자신이 원하는 시스템의 세부 사항까지 알지 못한다; (2) 고객의 비즈니스 (business) 로직을 개발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3) 분석 산출물인 ERD와 프로세스 모델을 고객이 이해하기 어렵다 등의 이유 때문이다. 본 논문은 분석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분석 산출물인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를 고객이 이해하기 쉬운 폼 형태로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이 폼들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하여 고객이 입체적으로 모델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분석 과정에서 발견되는 비즈니스 로직을 즉각 구현하여 고객이 이 폼들을 실행하면서 구현되는 로직을 평가, 이해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세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고객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폼과 폼끼리의 참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로우(data flow) 형태로 우리의 폼 시스템에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객은 추상적인 ERD 대신에 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플로우 로직이 구현되어 있는 폼들을 실행 시켜 보면서 자신이 제공한 비즈니스 로직을 검토할 수 있으며 새로운 로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고객과 개발자는 충분히 세부적이고 모순이 없는 분석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Generally, the development of the database application includes the requirement analysis phase of creating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and process models, coding, and testing. From the above phases, the analysis phase is not most formalized. It is usually hard task because (1) customers don't know the details of the desired system; (2) developers can't with ease understand the business logic of the customers; (3)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which are ERD and process models, are not easy to understand to the customers. This paper propose that the executional forms, which are better to understand the systems, should be presented to the customers instead of the ERD. These forms should accept the data input so that customers can review the various aspects of the outcome models. The developers should be able to instantly implement the business logic and also should be able to visually demonstrate the logic in order to get the details of it. For this goal, the customer supplied business logic should be able to be implemented by the references between forms, actions, constrai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ta flow. The customers try to execute the forms implementing the business logic and review their supplied logic find new necessary business logic of their own. Iterating these processes for the requirement analysis would result in the success of the analysis which is sufficiently detailed without conflicts.

      • KCI등재

        설계시공일괄 방식의 건축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재열,Chun Jae-youl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1

        Recently, the design-build delivery system is being generalized in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The design-build system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referable alternative to design-bid-build delivering method. In design-build project, however, a large construction company and design firm make up consortium as a design-build contractor rather din single company performs design and construction work. In this case, usually the construction companies take a leading role but due to their lack of managerial t31ow-how in the design-build system, they could miss the merits of this approa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roughly the function and information flows all over the design-build project. This research suggests a process model and database in the whole phase of design-build project. This process model and database system will also support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functional process and minimize incoherent activities of the design-build projects. 공공 건설사업 발주 정책의 변화 및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는 건축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향후 건설시장은 디자인 빌드 방식의 건설사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디자인 빌드의 증가와 더불어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적지 않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 빌드 방식은 일괄사업자가 설계와 시공에 대한 책임을 전담하게 되므로 많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며, 기본설계에서 실시설계를 거쳐 시공단계에 이르는 업무 프로세스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아 사업의 진행에 따른 사업수행자의 일관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수행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지식의 체계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해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