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후기 양명좌파의 수용

        강명관(Kang Myeong-Kwa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조선의 사상계에서 양명학은 대개 부정적인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양명학의 과격한 형태인 양명좌파는 더더욱 쉽사리 수용될 수 없었다. 그럼에도 양명좌파에 대한 인지와 수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양명좌파에 대한 최초의 인지는 허균에게서 확인되며, 그 이후 이식과 서종태, 김창협, 김창흡 등 다양한 지식인들이 양명좌파를 인지한 것이 확인된다. 물론 이들은 양명좌파가 성리학과는 완전히 대척적인 논리를 펼치고 있는 이단적 사유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이 되면 서형수와 이충익 그리고 정조의 지적에서 확인할 수 있듯, 양명좌파는 지식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다. 물론 양명좌파의 논리를 그대로 수용할 수는 없었고, 그 대안으로 양명좌파의 사상을 문학에 적용한 공안파를 수용하면서 양명좌파의 사상을 수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탁오와 원굉도의 사상이 널리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18세기 후반 사상계의 지형도 속에서 양명좌파와 공안파의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was regarded as negative ideas in the world of thoughts in Joseon. Furthermore the left faction of Yangming doctrines, even more radical thoughts, couldn't be admitted easily. Perception and acceptance about the left faction of yangming doctrines had been existed, though. The first perception about the left faction was confirmed in Heo, Kyun(許筠) and diverse intellectuals , such as Lee, Sik(李植), Seo, Jong-Tae(徐宗泰), Kim, Chang-Hyeop(金昌協), Kim, Chang-Heup(金昌翕) and so on, were identified to have perceived the left faction. They indicated that the left faction thoroughly had unfolded the theory confronted with that of Sung Confucianism. However, as confirmed in the indication of Seo, Hyeong-Soo(徐瀅修), Lee, Choong-ik(李忠翊) and Jung-jo(正祖), the left faction began to exercise influence on intellectuals from late in the 18th century. It is regarded that they couldn't accept the theory of the left faction as it was but received Kong-An school which applied the left faction's thoughts to literature as a substitute measure. It seems that Li, Zhuo-Wu(李卓吾) and Yuan, Hong-Dao(袁宏道)‘s thought were especially widely known. The influence of the left faction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nd Kong-An schoo needs to be confirmed further in the world of thoughts of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한국양명학 연구의 제(諸)문제 - ‘하곡학’에서 ‘한국양명학’으로, 그리고 ‘실학’과 ‘천주교’와의 관계성 및 근대성에 착안하여 -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그간 한국양명학은 괄목할만한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양적으로 팽창한 만큼이나, 질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이루어냈는지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자성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1995년, 한국양명학회 창립 이후, 한국양명학 연구는 ①조선에 양명학이 유입되는 시기, ②한국양명학의 특징 또는 정체성 찾기, ③하곡 정제두의 사상 또는 그 주변의 자료 탐색, ④강화양명학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이제 한국양명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외의 다양한 문제의식들을 거론해 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것은 한국양명학 연구가 그만큼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 글은 한국양명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재고할 만한 문제의식을 단편적으로 엮어 보았다. 또 필자는 ‘하곡학’이나 ‘강화양명학’에 대한 연구로부터 벗어나, ‘포스트-하곡학’과 ‘포스트-강화양명학’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거론하였다. 이것은 한국양명학을 연구함에 있어 그 외연을 넓힐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본고에서는 성호학파 가운데 ‘성호좌파’의 유자들이 양명학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또는 양명학과 서학은 어떠한 함수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제언해보았다. 이외에도, 과거 한국에서의 양명학 연구가 지지부진했던 근본적 원인이 어디에 있었는지 (물론 이 부분은 한국양명학 연구의 자료, 전거(典據)에 문제점이 있었음을 제시함) 등, 다양한 문제의식들을 나열해 보았다. In the meantime, Korean Yang-ming Studies has achieved remarkable research resul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ether the results have been as good as those that have been quantitatively expanded. In particula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Yangmyeong Society in 1995, the study of Korean Yang-ming Studies has mainly been conducted in the period of the inflow of Yangmyonghak into Joseon, in search of the identity of Korean characteristics, in search of data on the ideas or surroundings of Hagok-Jeongjeongdu, and in Ganghwa- Yangmyonghak. However, there is now a need to address a variety of problematic ideas in studying Korean Yang-ming Studies. This is proof that there is so much accumulation of research in Korean quantum medicine. In the course of studying Korean quantum science, the paper presented at least a fragmentary idea of the problem that one might think about. In addition, I explained the need for post-harvestology and post-hardened biomedical research, moving away from the field of research in Haagokhak and Ganghwa Yangmyeong.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broaden its horizons in studying Korean anthropology. For example, this paper raised the question of why the "Left" members of the Sung Ho School advocated Yang Myung-hak, and what kind of functional relationship Yang Ming and Seo-hak have. In addition, we have mentioned a variety of problematic ideas, such as where were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slow research in Korean quantum science (which, of course, suggests that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previous research).

      • KCI등재

        李建昌의 「李卓吾贊」에 대하여

        김용태(Kim Yang-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본고는 이희목 교수에 의해 십수년 전에 보고되었으나, 그 사이 학계에서 ‘잊혀진’ 자료였던 이건창의 「이탁오찬」이란 글의 존재를 학계에 환기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검토하여 이건창 문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각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탁오찬」은 陽明左派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李贄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은 글이기에, 최근 들어 그 열기가 더해지고 있는 양명좌파와 公安派의 수용에 대한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BR>  「이탁오찬」은 이건창이 20대에 지은 글인데, 이 당시 내면적으로 울분상태에 있던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를 접하면서 많은 위안을 받을 수 있었다. 이후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와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지만, 양명좌파 및 공안파의 사유를 자신의 문학적 목표와 실천의 자양분으로 적절히 활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이건창 문학을 주로 ‘古文’적 관점에서 접근 하였던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실상 이건창 문학이 위대한 까닭은 양명좌파, 공안파, 동성파 등등의 외부적 요인을 주체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색깔로 재창조했다는 점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양명좌파와 공안파의 수용에 있어 ‘주체’의 측면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는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The material, 「lee tak oh chan(李卓吾贊)」, was reported approximately a dozen years ago by a Professor Lee, Hee-mok. But this material has been "forgotten" in the academic society. This abstract has been created with an aim to propose a new point of view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Lee, Kun-chang(李建昌) by reviewing the 「lee tak oh chan」. 「lee tak oh chan」 contains materials that look up to Li zh? who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Radical Yang-ming school, which cannot be a crucial material in the sense that recently its academic heat has been increasing toward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BR>  「Lee tak oh chan」 was made by Lee, Kun-chang in his twenties. At the time, Lee, Kun-chang who was in depression of his days had been consoled much b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Since then, he placed a certain distance to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however he applied appropriatel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to sources of nutrition of literary object and performance. These points were something that at-the-time research hardly took notice of having the viewpoint to access to Lee, Kun-chang literature based upon "Guwen(Classical literary Style 古文)". In fact, the reason,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 greatness of Lee, Kun-chang literature is that it recreated outer factors of Radical Yang-ming school, Gong-an School, Dong-sung School, etc subjectively in its unique color.<BR>  And, in this respect, it suggests us a lot in the sense that even recent research trend tends to hardly focus upon "subjectivity" in the absorbtion of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 KCI등재

        허균(許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再論)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신향림 ( Shin Hyang-rim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8

        이 논문은 허균의 마지막 시집인 『을병조천록』을 중심으로, 허균의 양명좌파 수용 여부와 수용 시기를 고찰한 것이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친상에 기생과 어울려 불륜을 저질렀다는 기록은 政敵인 李弘老가 만들어낸 중상모략에 기반한 것으로 허균의 실제 행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허균은 위선적인 예교를 거부하기는 했지만 인간의 도덕 감정을 드러내는 형식인 예 자체는 존중하였다. 둘째 허균은 陽明左派 李贄의 저작을 1608년 부안 은거기 이전에 접하였고, 이지의 사상과 문학을 지지하였다. 허균은 부안 은거기 무렵부터 「豪民論」, 「南宮先生傳」 등 혁신적인 사유와 파격적인 형식을 지닌 작품을 집중적으로 창작하였다. 셋째 李植은 허균을 양명좌파 문인이자 『洪吉童傳』의 저자로 기록하였는데, 이는 직접 목도한 사실에 근거한 신뢰할 만한 기록이다. 이식은 허균이 부안에서 은거하고 있을 때 허균과 교유가 있었는데, 허균의 의식이 이지의 영향으로 격변하고 있던 시기에 허균의 언행을 곁에서 지켜보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글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중요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넷째 허균은 前後七子의 擬古 문학이 아닌 양명좌파의 革新적인 문학을 지지하였다. 허균 자신의 술회에 따르면, 허균의 시는 세 번의 변화를 겪었는데, 의고적인 문학에 경도되었던 시기는 젊은 시절에 국한된다. 허균이 40대 이후 지향한 문학은 양명좌파의 영향을 받은 공안파 문학에 가까운 것이었다. 다섯째 허균은 유가의 太極論을 부정하고 太極, 形氣를 초월한 老佛의 道를 세계의 근원으로 보았고, 聖人과 凡人, 儒敎와 老佛, 中國과 夷狄의 구분이 무화된 세계를 지향하였다. 결론적으로 허균은 古人, 성인, 유교, 중국을 추종하는 비루한 광대의 삶을 버리고 자유와 혁신의 길로 나아가고자 한 豪傑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ether and when Heo Gyun accepted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with a focus on his last collection of poems Eulbyeongjocheonrok(乙丙朝天錄).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is a record saying that he committed adultery with a Gisaeng during the mourning period of his deceased mother. It is not a fact but a slander created by his political opponent Lee Hong-ro(李弘老). Even though Heo refused to follow the hypocritical teachings about courtesy, he did respect courtesy itself as a system of revealing man's moral emotions. Second, he read the works of Lee Ji(李贄), a thinker in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before 1608 when he went into retirement in Buan and supported his ideas and literature. During his retirement years in Buan when he became familiar with the ideas of Lee Ji, he created an intense collection of work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thinking and unconventional forms such as Hominron(豪民論) and Namgungseonsaengjeon (南宮先生傳). Third, Lee Sik wrote that Heo was a literary figure in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and the author of Hong Gil-Dong Jeon(洪吉童傳), which was based on the facts he witnessed himself. He had exchanges with Heo during his retirement years in Buan. Since he witnessed first-hand the words and acts of Heo when his consciousness underwent rapid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Lee Ji, he was able to leave records not found in the books of others. Fourth, Heo supported the reform literature of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instead of the classical literature of Jeonhuchilja(前後七子). His literature went through three major changes. The period of his admiration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was limited to his younger years when he learned poetry from Lee Dal(李達) and Heo Bong(許?). The literature he was oriented toward since he became 40 years old was closer to the literature of the Gongan School influenced by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Finally, he denied the Taegeuk(太極) theory of Confucianism and found the origin of the world in the truth of Lao-tzu and Chuang-tzu and Buddhism beyond Taegeuk and Hyeonggi. He sought after a world where there were no boundaries between saints and common people, between Confucianism and the ideology of Lao-tzu and Chuang-tzu and Buddhism, and between China and the barbarians. In short, Heo Gyun was a revolutionary literary figure that pursued truthful and original literature after giving up his life as a low clown following the dead, saints, Confucianism, and China.

      • KCI등재후보

        정인보 實心論의 양명좌파적 특징

        이상호(Lee Sang-ho)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본 논문은 정인보의 실심론을 양명좌파 철학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정리하면서 정인보 양명학의 철학적 위치를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통해 한국 양명학의 이론적 변이의 한 단면을 고찰할 수 있는 계기로 삼으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논자는 우선 강화학파의 실심론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2장에서 정리하여 비교시각을 확정하고,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3장과 4장에서 정인보 실심론의 특징을 찾아보고 있다. 강화학파를 개창했던 정제두의 실심론은 양명우파 철학의 정점에 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이후 강화학파 전체 철학에서 도덕본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주체성의 철학으로 드러났으며, 이것은 강화학파 전체의 철학적 특징을 ‘양명우파’철학으로 정리하게 했던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정인보의 실심론은 이와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정인보는 본체로서의 양지보디는 드러난 활동체로서의 양지를 강하게 긍정하여, 양지의 자발성과 정감의 교류 영역인 감통을 강조한다. 이러한 입장은 객관적인 공부론보다는 이미 인식과 판단의 능력으로 현현한 양지를 깨닫는 것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이행되면서, 양명좌파 철학의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입장은 왕기나 왕간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황종희의 『명유학안』에서조차 사장되었던 하심은이나 안산농ㆍ이지 같은 인물들에 대해서까지 긍정적 평가를 보내고 있다. 이것은 ‘마음’을 중심으로 한 활동성을 높이 평가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입장들을 통해 논자는 정인보의 실심론을 양명좌파적 특징을 분명하게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양명좌파 철학쪽으로 경도된 이유를 활동성이 중요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서 찾고 있다. 이것은 강화학파의 철학이 시대적 상황을 만나면서 굴절되고 있는 것으로, 한국 양명학 내에서의 중요한 이론적 변이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자는 강화학파의 철학이 단순하게 ‘양명학’을 답습하거나 혹은 이전의 철학적 성향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조응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적인 변이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rect a new philosophical phase of Jeong In-bo's Yangming studies in the viewpoint of that Jeong In-bo's Shilsim theory has a Yangming left-wing feature, and through this, to examine one of the aspects of the theoretical variation of Korean Yangming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features of Shilsim theory of Kang-hwa School were researched to form a comparative viewpoint in Chapter 2 and the features of Jeong In-bo's Shilsim theory were examined in Chapter 3 and 4. Shilsim theory of Jeong Je-doo who began Kang-hwa School can be estimated the summit of Yangming right-wing philosophy. It appeared as a philosophy of moral identity which emphasized moral substantial body throughout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afterwards and thus it is an important reason why Kang-hwa School is known as Yangming right-wing philosophy. Jeong In-bo's Shilsim theory, however, provides different sight. He strongly affirmed Yangzi as visible active body rather than Yangzi(良知) as substantial body and emphasized its spontaneity and Gahmtong(感通) as the area for emotion exchanges. This standpoint is translated into the standpoint that values awakening of Yangzi which is manifest through the power of cognition and judgment, and it displays the feature of Yangming left-wing philosophy. This standpoint make an affirmative evaluation not only for Wangki and Wangkan but also for Ahn Sahn-nong and Yi Ji who were ignored even in Hwang Jong-hee's MingRuXueAn(Opinion on the Confucianism during the Ming Period). It was because that he put a high value on activity in which 'mind' was important. Through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Jeong In-be's Shilsim theory has a clear Yangming left-wing feature. The reason why it was slanted towards Yangming left-wing can be foun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valued activit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was refracted for historical context and it can be understoo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variation of Korean Yangming studies.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did not follow 'Yangming studies' without any second thought nor continued former philosophical trend, but it made theoretical variation corresponding to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연암사상에 보이는 양명학과 도가철학의 회통성

        이진경(Lee Jin-kyung)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4

        이 논문은 박지원의 철학사상에서 도가철학과 양명학이 회통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두 사상의 회통의 문제는, 연암사상의 일부 동일한 주제에 대해서 양명학적으로도 도가철학적으로도 모두 그 친연성을 밝힐 수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이중적 수용의 가능성은 박지원이 유학이라는 기본적 정체성 위에서 양명학과 도가철학, (그리고 불교와 서학 등의 다른 학문들)에 대해서 폭넓은 관심을 가지고 편견 없이 수용하여 이 모든것들로써 자기사상을 형성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연암사상의 내용이 보여주는 이러한 개방적이고 혼융적 혹은 회통적인 특성은, 성리학적 사회에 대한 비판과 주체 자신에 대한 반성이 당시 지식사회에 유행되던 담론들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사유된 결과이다. 박지원은 당시의 시대적 유행 담론들을 철저히 사유하여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함으로써 자기만의 철학사상을 형성해 내었다. 연암사상을 형성해 낸 당시의 유행 담론들은 진론(眞論, 眞假論), 천기론(天機論), 동심론(童心論)과 같은 것들이다. 이것들은 모두 성리학적 이념의 강압과 위선을 배격하고 세계와 주체의 진실을 회복하자는 실천적 사유 운동이었다. 진론이나 천기, 동심 등이 당시 지식 사회에 유행하게 된 경로는 일차적으로 양명좌파와 공안파의 사상 유입을 통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미 이들 담론은 양명학 이전에 도가철학에서 먼저 언급되고 사유되던 것들이다. 때문에 비록 당시 조선사회에 소개된 형태는 양명학적 수용 경로를 통한 것이지만, 내용상으로는 이미 도가적 함의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조선과 연암의 사유기반 위에서 도가철학의 맥락에 접맥되고 도가철학적으로 이해되는 성향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당시 유행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양명학과 도가철학의 회통성은 조선후기라는 시대와 연암사상의 커다란 사상적 특징이다. 이들은 이러한 편견 없는 모색을 통해서 급변하는 자기 시대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The most prominent thing among the features of Park Ji-won’s Thoughts is accepting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and Taoism philosophy. He quoted the words and thoughts from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nd Gong An school considerably and established the way of thinking in Taoism philosophy as the core of his Thoughts. The most and greatest influence on forming his Thoughts and words was from the literature of Gong An school and the Thoughts of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By the wa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discussion he accepted from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contains Taoist thinking. Especially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not only has open and comprehensive ideology but also shows Taoist view of human being, ethics, society and relativism conspicuously. Thus, we can be convinced that Yangming school helped Park Ji-won had an open view of learning and especially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Lao-tzu and Chuang-tzu are naturally reconfirmed through Confucian channels. Park Ji-won, through the route of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adopted the doctrines of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lready integrated with Taoist philosophy. Going one step forward, with his depth of Taoism philosophy and ideological tendency, Park Ji-won reached his own style and understanding by inquiring more into the discussions adopted from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based on the natural Taoism origin.

      • 양명좌파와 이탁오 사상에서의 개별 주체와 공동체 주체

        김세서리아(Kim Seseoria)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양명좌파와 이탁오의 사상은 개인의 자유의 인정과 사적 소유를 추구하였다는 면에서 당대에 위험한 사상, 혹세무민의 불온사상으로 간주되었다. 이 때문에 그들은 당대에 매우 위험한 인물로 지목되어 비판받는다. 개인의 사적 욕망을 앞세우는 사상을 말하고 그러한 삶의 방식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그들의 사상은 반사회적이라고 평가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사상이 단지 개체성과 사적 욕망만을 강조하고 공동체의 화합이나 공동선의 문제는 도외시하였다는 논의는 너무나 단순한 논리라는 것이 이 글의 기본 전제이다. 개인의 주체성과 개인의 사적 욕망이 강조되는 속에서도 공동체와의 합일과 조화의식은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 양명좌파와 이탁오의 사상이 지니는 특징을 사적욕망의 인정과 개인의 주체적 의식 고양으로 두면서도, 그것을 개인에 관한 관심으로만 두지 않고 그 안에서 공동체적 주체에 관한 논의를 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the thought of left-wing Yang Ming Studies and Li, Zhuo-Wu, acknowledgement of one's freedom and pursuit of private desire were considered to be very dangerous and deceiving. Because of this, they were pointed out and criticized as very dangerous people and so they accept the extreme result of death in Ming Dynasty. However, the basic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harmony of community or Union does not appear in their thought is too simple. This is because the harmony of community or union can appear even within the emphasis of personal subjectivity and private desire. From this perspective, this considers the character of left-wing Yang Ming Studies and Li, Zhuo-Wu, as the recognition of private desire and inspiration of personal subjectivity. But this paper also tries to show that it discusses both consideration of individual and communion subjectivity as well.

      • 총론: 이탁오를 다시 읽는다

        최재목(Choi Jae-Mok)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동아시아 세 지역(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이탁오 사상 혹은 그에 접하거나 관심을 가졌던 인물들을 통해서 이른바 ‘근대’적 주체 내지 욕망의 탄생을 읽어 내면서 격동의 역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 점에서 이탁오는 분명 동아시아 근대사상사 전개에서도 일익을 담당한 사상가였다고 할 것이다. 이번 특집의 의미는 우리 사회에서 일었던 이탁오 붐의 의미를 짚어 보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넓게 보면, 우리의 현대 사상사를 살펴보는 것이며, 또한 이탁오 사상의 우리 내부의 전개 맥락을 보다 분명히 이해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특집의 내용 전개는 다음과 같다. ①총론으로서 ‘이탁오를 다시 읽는 의미’, ②북경의 이탁오 묘 등 관련 사진을 설명한 ‘이탁오의 유물, 유적을 찾아서’, ③이탁오 사상에서 보이는 주체성에 대한 논의인 ‘양명좌파와 이탁오 사상에서의 개별 주체와 공동체 주체’, ④동아시아의 이탁오 연구 동향 및 그의 사상사적 영향을 살펴보는 ‘중국?한국?일본에서의 이탁오 연구’가 그것이다. 본 총론에서는 우선 ‘최근 국내의 이탁오에 대한 관심과 그 의미’를 언급하고, 이어서 이탁오와 양명학과의 연관성(=계보적 검토)인 ‘이탁오와 양명학의 관련성’이 서술되며, 마지막으로 이번 기획의 각 논문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이탁오의 철학사상 그리고 동아시아의 이탁오상李卓吾像’이 서술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reading on the meaning of Li, Zhuo-Wu(李卓吾, 1527~1602)'s thoughts in East Asia.' Our society, during these four or five years, shows interest in Li, Zhuo-Wu's life history and his philosophy after came out his main text, Fenshu(焚書). Lee, Zhou-Wu's thoughts is from Wang, Yang-Ming(王陽明, 147 2~1528) who is the Ming(明) philosopher. The Chinese have had their names for keeping things tidy, and the name they have used for Wang, Yang-Ming's kind of Confucian moral philosophy is Xinxue(心學), which it is tempting to tender literally as philosophy of mind. Lee, in a general way, is called Taizhouxuepai(泰州學派) or Wangxuezhoupai(王學左派),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Li, Zhuo-Wu asserted, Tongxin(童心), the mind(innocence) of a child, and equality of sexes(conjugal relations) in the end of Ming dynasty, is governed by Zhuzixue(朱子學)'s a moral standard strictly yet. He is a rare liberalist in confucian society of china. So he is, for his the progressive ideas, unjustly accused as a heretic, at last is kept in solitary confinement and took his's own life in there. He was ahead of his time. In China, and Korea and Japan too, has a many original thinker who inherit and develop Lee's intellectual traditions and tasks, such as typical people, Heo, Gyun(許筠, 1569∼1618)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Yoshidashoin(吉田松陰, 1830∼1859) in Edo era.

      • KCI등재

        許筠의 사상 전환 - 『을병조천록』에 담긴 허균 만년의 생각 -

        정길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4 No.-

        Heo Kyun(許筠, 1569∼1618) went on a diplomatic mission to China from August 1615 to February 1616. He compiled poems written during that period, and published Eulbyeong-Jocheon-rok(乙丙朝天錄). This book is his last work and the only material that contains his thought in his latter years. Heo Kyun was deeply impressed by Li Zhi(李贄)’s Fenshu(焚書: A Book to Burn) in November 1615. Heo Kyun and Li Zhi, the heretics of Choseon and Ming dynasty, had a similarity of ideological orientation. So it seemed that Heo Kyun was inclined toward Li Zhi and the leftists of Yangming School who had developed his thoughts more radically. However, in January 1616, Heo Kyun declared the conversion of thought unexpectedly, after reading books of Yangming scholars, who were headed by Long Yuji(龍遇奇)’s Shengxue-qiguan-yishuo(聖學啓關臆說). His ideological orientation was not Buddhism and Taoism that he had inclined to for a long period, and not a radical idea of the leftist of Yangming School, but the main stream of Yangmingism or Zhuxiism. I think that he found a new way to cover up Yangmingism and Zhuxiism, or to consider Yangmingism and Zhuxiisman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李睟光의 陽明學 認識態度와 그 文學的 展開

        손병국(Son, Byung Kook)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본고는 이수광이 양명학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문학에서 드러나는 양명학적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수광이 양명학을 수용하였다는 거론은 자주 있어 왔으나 그 구체적 모습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는 점을 직시하면서 그의 문집인 『芝峯集』과 『芝峯類說』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찾으려고 하였다. 무엇보다 그의 문집에서 양명학에 대해 언급한 사실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은 그의 양명학에 대한 인식태도를 엿볼 수 있는데 충분하다. 그리고 이수광과 같이 같은 시기를 살아간 문인으로서 양명학을 인식한 문인으로 거론되는 허균이 양명학에 대해 언급한 것이 소략한 데 비해 그는 적극적으로 양명학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으며 갖추고 있는 양도 많다. 이수광이 양명학의 요체인 ‘心卽理’, ‘致良知’, ‘知行合一’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주목한 것은 당 시대의 문인들이 객관적으로 그가 양명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 하는 관점이었다. 그 결과 동시대의 문인들의 글을 통해 그가 양명학을 받아 들인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을 통해 그의 양명학 인식에 대한 객관적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인식의 폭도 단순한 양명학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陽明左派 들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의 적극적인 양명학 인식은 『芝峯類說』 「儒道部」에서 心學을 다른 것 보다 앞에다 두고 있는 것에서도 확인되는데 아는 바로 心學이 양명학의 요지임을 염두에 두고 찬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수광의 양명학인식은 다시 문학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明代의 公安派 문학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문학은 시대에 따라 발전하며 각 시대에는 그 시대의 독특한 특징을 지닌 문학이 있다고 하고서 문장은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어야 하며 ‘實得’과 ‘眞知’를 갖춰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李贄가 주장어린아이의 마음과 같은 童心, 곧 眞心이라는 말과도 상관되는 개념이 근저해 있음을 알 수 있다. Since the time of it"s foundation Cho-Sun Dynasty maintained a policy of supressing Buddhism and revering Confuciannism and held up human nature and natural philosophy as it"s ruling ideological system. Neverthless by experienceing an precedented national crisis such as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international criticism against Chinese culture began to arise. And in the meantime contradictions in overall aspects of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had been understood and desire to reform such cdntradictions began to be created. And such Phenomena can be said as steamming from re-affirm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Buddhism which were rejected by doctrine of Chu Tzu and can be discussed together with them was Philosophy of Wang, Yang Ming and Realistic School. Philosophy of Wang, Yang Ming was a subject of great interest during the late phase of King Suncho and Kwang Hae-Kun. And such Facts can be confirmed in writtings of many scholars who showed proclivity towards writtins of Wang, Yang Ming in and their acceptance of his theory on mind. Wang, Yang Ming showed a sympathetic attitude for it and this is a note worthy phenomena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at time, Lee, Soo Kwang showed interest in Lee-Jee who was a leftist of Philosophy of Wang, Yang 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