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

        하을란(Ha Eul-l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조선시대의 국가 지배 이념인 유교는 효를 모든 덕목의 근본이자, 모든 가르침의 출발점으로 여겨왔다. 또 유교의 근본정신인 인仁은 효가 그 바탕이 된다고 했다. 이러한 유교의 근본정신인 효는 특히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사상으로도 잘 나타나는데, 세종대왕시절부터 있어왔던 양로연 의례가 그것이다. 양로연은 세종대왕이 집현전을 설치하여 경연을 전담하게 하면서, 스승을 공경하는 예절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표현하는 잔치로 임금이 모범을 보이는 잔치였다. 궁중에서 행해진 양로연과 같은 연회는 참석자를 남여로 구분하여 외연外宴과 내연內宴으로 구별하여 행해졌는데,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후기 궁중 양로연에서도 외연外宴의 풍속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가장 자세히 연구되어 있는 세종대의 양로연과 성종조에 완성된 국조오례의에 전하는 양로연을 조선후기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에 전하는 「화성낙남헌 친림양로연의」와 비교 고찰하고, 기존에 연구되었던 조선후기 양로연의 단편적인 양상 분석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조선후기 양로연 양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세종조를 거쳐 정비된 예악사상은 성종조의 『국조오례의』와 『악학궤범』으로 그 기틀을 확립하게 되었다. 성종조 연향에서는 세종 때 금지된 여기가 등장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영조조에 들어서서는 세종조 이후에 사용되지 않았던 아악이 다시 부활하였다는 점에서 음악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사용되는 아악은 휴안지악 한곡이고 향악도 여민락만과 여민락영 두곡이 사용되었다. 앞의 그림에서 봐서 알 수 있듯이 연향에 여기가 등장하고 있다. 영조조 양로연에서 다시 아악이 부활한 것은 앞의 「영조실록」의 내용에서 살펴봤듯이 세종조의 연향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군신의 정의를 편다’는 뜻으로 어연을 개최할 것을 허락하였는데 이 내용으로 보아서 연향을 베푸는 것도 일종의 정치적 목적으로 세종조의 예악사상과 상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nationally dominating doctrine, Confucianism, has filial duty as the root of moral principles, and regarded it as the starting point of all teachings. Also, righteousness, which is the fundamental root of Confucianism, has filial duty as its frame. Such fundamental root of Confucianism as filial duty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idea of respecting all elders, and Yang-ro yun, the custom of ceremonial party for senior citizens, which had been around since the days of King Sejong, is it. Yang-ro yun is a party, which is conducted by Jibhyeon-jeon which King Sejong established so that it can bear the full responsibility of having banquets, to express respect to the teachers, with the king himself being the model. The banquets being held in the palace like the Yang-ro yun had its participants divided by their gender and the party was held separately in Waeyun and Naeyun, and in this thesis, among the Yang-ro yun in royal court of the late Chosun period, it looks into the aspect of the customs in Waeyun. The Yang-ro yun of the Sejong period, which is the most minutely researched, and the Yang-ro yun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Kookjo-orae-e, which was completed during the Sungjong period, is especially examined and compared to 「Hwasung Naknarnhun chinlim Yang-ro yunee」 which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Wonhaeng Eulmyo Jungli Eegue』 of the late Chosun period, and it looks into the unique features of aspects in Yang-ro yun of the late Chosun period, based on the currently researched product of fragmentary aspect analysis of Yang-ro yun in late Chosun period. The ideas of Yehak, which has been maintained through the Sejong period, had its foundation established by 『Kookjo-orae-e』 and 『Akhak Guebum』. In banquets of Sungjong period, it is unique because it features the Yeo-gi (female entertainers) who were prohibited in Sejong period. It should be noted in terms of music history that A-ak, which was not used since Sejong period was revived in Youngjo period. Only one A-ak song, Hewahn Jiak, was used, and for Hyangak, the two songs, Yuhminrakman and Yuhminrakyoung were used As you can see in the previous picture, the Yeo-gi (female entertainers) are present in banquets. As seen from the contents of 「Authentic record of King Youngjo」, it maybe learned that the reason for Ah-ak's revival in Yang-ro yun of Youngjo period is because it had the parties of Sejong period as its standard. Also, Uhyun was allowed to be held in order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rd and the vassal', and one can see from the content, having a banquet is used with sort of a political purpose in mind, coinciding with the ideas of Yeh-ak in Sejong period.

      • KCI등재

        朝鮮時代 鄕中養老宴

        정현정 국립민속박물관 2009 민속학연구 Vol.0 No.24

        A banquet for the elderly was an annual national ev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Confucianism as its governing principle. The banquet, which was one of th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the dynasty, allowed everyone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someone’s status, whether noble or not. There were two types of banquets for the elderly: a royal court banquet, which was hosted by the king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local banquet, which was hosted by local officials. Hosted in the capital city of Seoul each fall, the royal banquet was considered as an event that must be carried out unless there was a disaster or famine. While it was conducted strictly in the capital, the local event was not carried out precisely. The king cannot oversee all the provinces himself and therefore dispatched officials to each province on his behalf. However, his officials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as a demotion and therefore seriously neglected their duties. After the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Byeongja War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royal banquet lost its annual punctuality. It was discontinued for 160 years from the royal banquet in 1553, the 28th year of Jungjong’s reign and resumed only in the 32nd year of Sukjong’s reign. During that time period, the banquet was held in provinces and was not anymore observed solely in the capital. For example, a banquet was held in Jeju Island during the inspection tour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28th year of Sukjong’s reign. There are no remaining systematic records of the royal banquet for the elderly so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scope and details of the event. However, post-war banquets could be analyzed and studied through a closer look of clearly understood banquets before the wars. Such banquets are from Hwasan Yangroyeon-do held during the Jungjong Era and Jeonguiyangro, Daejeongyangro, and Jejuyangro from Tamrasunryeok-do. The observance of local banquets for the elderly was abused by the local officials and inspection tours. The officials appropriated the costs for a banquet from the people and profited from selling crops during inspection tours. Confucianism considers patience as its basic principle and the basis of patience as filial piety. Filial piety is extended by respecting the elderly, as one would the king and the nation. As a child performs his duty to his parents, it was considered as paying homage to the king himself. The king tried to become the pillar of filial piety by hosting a banquet for the elderly and set an example for his vassals and people. His main goals were to propagate Confucianism and establish national customs. 養老宴은 儒敎를 정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 신분의 구별 없이 兩班과 庶人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었던 국가의 연례행사였다. 조선시대 耆老政策의 하나이기도 했던 양로연은, 크게 임금과 중궁이 주최하는 宮中養老宴과 지방에서 守令이 주관하는 鄕中養老宴으로 나누어진다. 서울에서 주최하는 양로연은 매년 가을에 베풀었고, 凶災나 凶年과 같이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반드시 설행해야 하는 중요한 연향이었다. 그러나 서울에서 엄격하게 마련했던 반면, 향중양로연은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다. 임금은 지방을 직접 통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수령을 파견하였는데, 수령은 독립적 권한이 주어짐에도 불구하고 左遷으로 여겨 민생을 소홀히 하는 폐단이 극심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는 서울에서도 연례성이 상실되었다. 중종28년(1533)을 마지막으로 160여 년간 설행되지 못하였다가 숙종 32년에 다시 서울에서 양로연이 베풀어졌다. 그 당시 서울에서는 베풀어지지 못했던 반면 오히려 지방에서는 양로연이 베풀어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숙종28년(1702) 제주에서 순력 중 베풀어지는 양로연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 향중양로연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기록으로 정리된 것이 없어 정확히 파악하기가쉽지 않다. 그러나 중종 대에 그려진 「花山養老燕圖」를 통해 국란 이전의 향중양로연을 확인할 수 있고, 『耽羅巡歷圖』에 남겨진 「旌義養老」·「大靜養老」·「濟州養老」를 살펴보면서 국란 이후의 향중양로연을 유추할 수 있다. 향중양로연은 수령의 虐政과 巡歷의 폐단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만 남긴 것은 아니었다. 양로연의 경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도 백성에게 일부를 조달하는 경우가 있었고, 순력 중에는 곡식을 판매하거나, 재지품관들이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등의 폐단이 많았다. 유교는 仁을 근본정신으로 하며 인의 바탕이 되는 것을 孝라고 보았다. 효는 敬老와 忠으로 이어지는데, 부모를 섬기듯 君臣의 관계에 있어서도 신하가 왕을 섬기는 것에 대해 충을 강조하였다. 임금은 양로연을 통해 직접 효를 실천함으로써 신하와 백성들의 모범이 되고자 하였다. 이것은 유교이념이 사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동시에 풍속을 교화시키는 목적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양로연 음악의 현대적 공연콘텐츠 복원 연구

        이동희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국악교육 Vol.48 No.48

        This research is aimed at restoring the ‘Yangroyeon’(a banquet for in honor of the aged in Joseon Dynasty), which was preach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rtues of kings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al national construction, to a modern performance. In order to rest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istorical evidence by analyz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music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ukjo Oryeui, Gukjo Sok-oryeui, Chungwanji and Akhakgweom and so on. The period when you can take a closer look at the music of ‘Yangro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the reign of King Sejong, Seongjong, Sukjong, Yeongjo and Jeongjo. The music used in ‘Yangroyeon’ was different from period to period, but the combination of ‘A-ak’ and ‘Sok-ak’ was common, among them ‘A-ak’ was mostly retrievable even if it wasn’t played today. On the other hand, because ‘Sok-ak’ is difficult to restore the music from the old scores, we need to look at the direction of using ‘Sok-ak’ played today and consider the variable possibilities of the composition of the folk music repertoire based on Akhakgweom. In the case of ‘Hwailgok’ used in King Jeongjo’s ‘Yangroyeon’, the method of saving lyric should be taken as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filial piety, which is the core of the ‘Yangroyeon’ restoration project. When looking at the music of ‘Yangroyeon’ in its entirety by period, it is most possible to restore and have a live relationship with the old from the Jeongjo era, so the music of ‘Yangroyeon’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is. However, we will also have to look at other ‘Yangroyeon’ music, which has been highly sought to diversify performance conten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constantly agonizing over the use of music and the practice of ‘Yangroyeon’ and the spirit of which should still be inherited today. Further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toration of music should be discussed in detail, and I hope that the contents analyzed in this article and the stated direction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storation.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들의 덕치 실현 및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하여 설행되었던 양로연을 현대적 공연콘텐츠로 복원하기 위하여 양로연 중 음악과 관련된 사항들을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국조속오례의』, 『춘관지』, 『악학궤범』 등의 문헌 및 각종 도상자료를 분석하여 역사적으로 고증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양로연의 음악 내용을 소상히 살펴볼 수 있는 시대는 세종조, 성종조, 숙종조, 영조조, 정조조가 있다. 양로연에 사용된 음악들은 시대별로 상이하였으나 아악과 속악을 겸하는 현상이 일반적이었고, 그중 아악은 오늘날 연주하는 음악이 아님에도 대부분 복원이 가능하였다. 반면 속악은 고악보에 수록된 음악을 그대로 복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늘날 연주되는 속악을 사용하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악학궤범』을 근거로 하여 속악 레퍼토리 구성의 가변적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하겠다. 정조조 양로연에 사용했던 화일곡(化日曲)의 경우 양로연 복원사업의 핵심인 효(孝)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므로 악장을 살리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시대별 양로연의 음악을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았을 때 정조조 양로연의 복원과 실연이 가장 가능하므로, 이를 기준을 양로연의 음악을 재고해야 하겠으나, 공연콘텐츠의 다양화 모색을 위해 고증된 다른 양로연 음악들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양로연의 설행과 용악(用樂)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고민해왔고, 그러한 정신은 오늘날에도 마땅히 계승되어야 한다. 향후 음악의 복원방향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더 논의되어야 할텐데, 글에서 분석한 음악적 내용들과 그 내용들을 토대로 제언한 방향성이 복원을 향한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 양로연(養老宴)의 현대적 공연 콘텐츠 개발

        김거부(Geo-bu Kim)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20 아시아민족조형학보 Vol.21 No.-

        A Banquet for the Elderly which was one of major event of the nation in Joseon Dynasty period is a banquet hosted by the king having a meaning of honor, respect and extending a favor to the senior citizens without arguing over social status, and there is a meaning to recommend filial piety giving service to old people by providing wine and dine, and in addition, it is a place of national unity enjoying as one from the king to the lowest class. To serve parents with putting true heart was called as “filial piety” and to serve king with putting true heart was called as “loyalty” in dynasty era, so finally, it means loyalty and filial piety is one, so there is an effect to force loyal implicitly to retainers. Though Confucianism is the national policy of Joseon Dynasty, and filial piety which was not mentioned directly in the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however, filial piety should be recognized as the root of our national spiritual culture and best value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which is not Confucian virtues. Not only economic problem relevant with productivity but also family oriented and social problems due to increase of supporting population can be occurred in aging society. Negative social problem is occurred in cut of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s due to sudden increasing of individual residence of old people based on de-familialization and nuclear familialization of old people collapsing of traditional large family system because of rapid change of the time. A Banquet for the Elderly in Joseon Dynasty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which can create various cultural value by reusing it as new cultural performance contents can solve relationship problems between generations in modern times entering as super-aged society by showing and expanding to the audiences creating A Banquet for the Elderly as a new paradigm based on elderly filial piety used as an important value in governing tool of national management in dynastic country.

      • KCI등재

        《화성행행도(華城行幸圖)》의 <낙남헌양로연도(洛南軒養老宴圖)> 복식 연구

        박선영 ( Sunyoung Park ),이경미 ( Kyungmee Lee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1 한국 복식 Vol.- No.46

        1795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화성행궁에 행차하여 사도세자의 묘소를 참배하였고 혜경궁의 회갑연을 열었다. 을묘년 화성행행의 기록은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해 상세히 정리되었다. 최초의 목판본 의궤를 대량으로 인쇄하여 배포하였고, 부족한 채색화를 보완하는 병풍 형태의 기록화(<화성행행도>)도 따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병풍의 네 번째 화제인 <낙남헌양로연도>의 복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조선시대 양로연의 시행에 대한 배경과 내용을 살펴보았고, 둘째, 1795년 시행된 양로연의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낙남헌양로연도>에 표현된 복식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양로연 관련문서를 검토하여 양로연 참여자의 명단 및 계급을 확인하고, 양로연 참여 인물들의 자리배치와 그들의 복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화성행행도>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유물 중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본이 이 시기 제작본일 가능성이 가장 크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과 우학문화재단 소장본은 19세기 후모본으로 추정된다고 하여 삼성본을 기준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원행정리의궤도』, ≪화성원행반차도≫ 등도 함께 비교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낙남헌양로연도>에는 가장 위쪽에 낙남헌 건물이 그려져 있고 그 전각 안에 어좌와 노인 관원이 그려져 있다. 기록에 따르면 정조와 관직자는 융복을 입었다 하니 모두 융복을 입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단 아래에는 줄을 지어 서 있는 관원들과 옷감 등을 나누어주고 있는 관원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앙을 기준으로 홍철릭을 입은 인물은 왕의 명령을 대기하고 있는 모습이고 그 뒤로 비단 등을 나누어주는 집사자가 있으며 악공아래 상을 나누어 주는 인물은 화성부의 서리로 홍색 협수와 전복에 전대, 전립 차림이다. 그 아래에는 화성부 노인들이 마당을 꽉 채워 앉아있다. 융복을 입은 1명 외에는 대부분 단령, 도포 차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모두 구장(鳩杖)에 황색 천을 매달고 있다. 그 뒤에 아세악수, 악사, 세악수로 구성된 악공들이 있으며 낙남헌의 담장 밖에는 초대받지 못한 노인들이 단령, 도포, 중치막 차림으로 앉아있다. 전각 안쪽에는 붉은 옷을 입은 군인들이 중앙을 바라보며 사열하고 있고 가장 바깥쪽에는 총기를 든 군인들이 사열하고 있다. 가장 아래쪽에는 관광인들이 서서 행사를 구경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It is 1795, King Jeongjo visited the tomb of his father Sado - also known as the crown prince, and he held a feast in Hwaseong Haenggung Palace to celebrate his mother Hyegyeongung Hong’s sixtieth birthday. The fine details of Hwaseong’s activities were described in the book of 『Wonhaengeulmyojeongrieuigwe (later Euiqwe)』 for the first time. It was printed on the woodblocks and distributed in large quantiti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rawings of costumes on < Naknamheonyangroyeondo(Later Picture) >, the fourth topic of the folding screen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The first topic is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Joseon Dynasty’s senior feast, the second topic is the contents of the senior feast conducted in 1795, and the third topic is the analysis of costumes depicted in < Picture >. The list of participants and their class in the senior feast were checked against the documents in 『Euiqwe』. The costumes and the place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enior feast were analyzed as well. Among the relic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 Hwaseonghaengdo > from the collection of the Samsung Museum of Art is most likely to be the one that was produced at this time. Other copie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collection of Woohak Cultural Foundation are estimated as a copy of the 19th century. Lastly, this < Picture > was compared with 『Wonhangjeonrieuiguedo』 and 『Hwaseongwonhang banchado』 to supplement the studies. At the top of < Picture >, there is a roof of the Naknamheon building and a throne is placed in the center without Jeongjo. However, based on the recording of < Yeonseol > in 『Euiqwe』, King Jeongjo attended the senior feast wearing a Yungbok. Therefore their attire is assumed a Yungbok. Under the stairs, from the center, there are two lines of three people in red Cheolik and feather decorated black Rip. Then, two lines of six people in military uniforms on each side. They are waiting for orders from the king nearby. Both sides of these lines, Jipsaja (集士者) with simple outfit are distributing the silk. Those carrying the food at the bottom of the orchestra are the Seori of Hwaseong-bu. They are dressed in purple Hyeupsu and Jeonbok, Jeonmo. The seniors with the government positions are wearing Yongbok and commoners are wearing casual clothes(regular clothes). One of the seniors are wearing a red Cheolik and putting a feather decorated black Rip which is another type of Yungbok. The rest are wearing a Danryong and a Rip, Dopo. They all holding Gujang (鳩杖) with yellow ribon. Under them, the orchestra consist of Aesaksu (兒細樂手), Aksa, Seaksu. Outside the courtyard, uninvited seniors seem to be wearing Danryong and Dopo. which is pants are shown between the split is Jungchimak. A group of guards are lined up and watching the courtyard, and another group guards are lined up and facing outward of Hap (閤) with rifle. At the bottom of < Picture >, there are “Sightseers” watching the feast over the guards.

      • KCI등재

        조선 초기 궁중연향별 성격과 악대 사용에 관한 연구 - 성종대 정립 양상을 중심으로 -

        임영선 ( Lim Young-sun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 논문은 조선 초기 예악제도가 성종대에 이르러 정립되었다는 관점하에 당시 시행되던 여러 궁중연향의 특징과 연향별 악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왕의 참석 여부와 연향의 중요도에 따라 전상악, 전후고취, 전정헌가가 변별적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사연(賜宴)과 같이 왕이 참석하지 않는 연향에는 전상악만이 설치되어 정재를 반주하였다. 그리고 왕이 나라의 지존으로서 참석하고 공신이나 종친 등 소수의 관원이 참여하여 친애의 정을 나누는 진연(進宴)에는 왕의 거동에 주악하는 전후고취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진연은 왕이 참석하지만 의주를 갖추어 정전에서 시행되는 연향이 아니기 때문에 전정헌가는 설치되지 않았다. 반면, 전정헌가까지 설치되어 전상악, 전후고취, 전정헌가가 모두 설치되는 연향으로는 회례연(會禮宴)과 양로연(養老宴)이 있다. 회례연과 양로연은 왕이 참석하며 정전(正殿)에서 『국조오례의』에 수록된 의주에 따라 시행되는 국가적으로 중대한 연향이었다. 조선 초기 여러 궁중연향은 국가 예전에 의주 수록 여부, 시행 장소, 왕의 참석 여부 등에 따라 성격이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향별 특징에 따라 악대 역시 변별적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조선 초기 궁중연향별 악대의 구성은 질서와 규범에 맞게 음악을 사용하여 예치를 이루고자 하였던 조선 초기 예악의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gotiations In this paper, features of various court feasts and composition of band for each feast held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Seongjong are examined with a viewpoint that Ye-ak became firmly established in that period. As a result, Jeonsangak, Jeonhugochwi, and Jeonjeongheonga were confirmed to be differently composed in accordance with presence of the king and importance of the feast. First of all, at a feast like Sayeon which the king didn't attend, only Jeonsangak was organized to play Jungjae. In a feast like Jinyeon where the king and a few officials including meritorious officials and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ttend to promote friendship, however, Jeonhugochwiwhich was accompanied with presence of the king to play music was additionally set up. Meanwhile, Jeonjeongheonha was not set up for a Jinyeon because it was not the type of feast held in the main building in the palace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 of Uiju(the precedents and annotations of ceremonies) though the king attended the feast, whereas in feasts like Hoeryeyeon and Yangroyeon, all compositions of band from Jeonsangak and Jeonhugochwi to Jeonjeongheonga were set up for the feasts. Hoeryeyeon and Yangroyeon were significant feasts of the nation and were held in the main building in the palace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 of Uiju which was contained in Gugjo-oryeui. In other words,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urt feasts hel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based on whether their precedents were recorded in Uiju about feasts, where they were held, whether the king attended the feasts, etc., and the band was organized differently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feast. It can be said that such varied compositions of band for court feasts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specific examples of operating Ye-ak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governing the nation with courtesy was pursued by properly using music in accordance with order and standards.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세종시대 노인공경의 실제와 의의

        조남욱 ( Nam Uk C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우리사회가 고령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제발전에 역행하듯 노인들은 불안과 소외감 속에 자살까지 감행하여 노인자살률 최고국가의 오명을 낳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사회에서는 물질에 앞서 인간을 중시하는 유교문화의 흐름 속에 정치 지도층에서부터 노인공경의 태도를 중시하여 인생의 안정적 기조를 강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세종시대를 통하여 뚜렷이 규명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주로 『세종실록『을 근거로 당대 노인공경 부분과 관련된 사안들을 면밀히 고찰하면서 그에 내재한 여러 가지 의의를 파악하여, 오늘날의 노인공경 정신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1418년 태종이 단행한 세자교체를 계기로 22세의 나이에 갑자기 군주가 된 세종에 있어서 창의적 정책을 보이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했다. 즉 기로의식이나 기영회수용 및 궤장하사 등과 같은 고령 대신을 향한 경로행위는 세종초기에도 이어지는 것이었으나, 남녀의 고령자에 대한 관작 수여나 거국적 양로연 거행의 일은 그 중기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나타났던 것이다. 그와 같은 주요 경로의례에 관한 발의는 유신들에게서 시작되었지만 그 이후의 정립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세종의 지혜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였다. 세종시대 노인공경의 특징적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고령 대신들에 대한 세종의 공경의식에는 경험중시의 실용주의적 태도가 병행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정계에서 70세 치사를 정당화시키는 데에는 임금이 지켜야 할 ``노인공경의 뜻``이 어필되기도 했지만, 세종은 이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학덕과 능력을 겸비한 대신들에 대해서는 그간의 경험을 살려 국가발전에 기여해야만할 것임을 강조했다. 둘째는 백성을 향한 노인공경 정책에는 인간존중의 평등정신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서민을 거쳐 천민에까지 이르는 고령자 관작 수여 조치나 양로연 거행 논의과정에서 확인된다. 특히 관료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기준`` ``천민도 하늘의 백성``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인간평등의 가치관을 추구하던 세종의 모습이 주목된다. 셋째는 그 노인공경에는 사람들로 하여금 감동을 일으킬 정도의 진실성이 견지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세종이 노인공경을 ``숭고한 것``으로 평가하는 것에서부터 여성 양로연 거행문제를 ``의(義)에 어긋남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 또 자리에서 일어나 노인들을 맞이하거나 배례의식은 생략시키는 것 등은 그 인간존중에의 진실성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로 인하여 양로연 마무리에서는 ``참으로 기쁘다.`` 라는 말이 나올 수 있었다. 그 기쁨은 세종 자신뿐만 아니라 사람들 모두가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지대한 것이다. 그러한 기쁨은 80세 이상의 모든 고령자에 대한 관작 수여의 방식으로도 계속 누리게 했다. 이상의 내용 중에서 가장 큰 인상을 주는 것은, 임금이 주관하는 거국적 규모의 경로잔치, 즉 차별 없는 양로연의 정규적 거행 장면이다. 노인에 대한 안팎의 대우가 미진한 오늘날, 세종시대와 같이 최고 지도자가 진지하고 겸손하게 매년 거국적 경로잔치를 주관해 간다면, 노인들에게는 감사와 기쁨을 느끼게 할 것이요, 국민들에게는 삶과 생명의 존엄성을 일깨우는 계기로 작용하여 생활현장의 안정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In the mid-15th century, the political mind of King Sejong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onfucian culture. And King Sejong believed that the respecting for the aged was a noble cause. Therefore, he was taking the lead to love human life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hance the aged`s position. In the government of King Sejong, the action of respecting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Granting honorary office to all the people over the age of 80. Having a party in honor of the aged as a yearly event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mphasizing that everybody should respect older people in the point of transcending social position. Accepting desire of for longevity by way of exemption from national obligation. Making clear that all the people are equal before the old age. These attitudes contributed to realize society of respecting for people`s life and dignity in that time. I think that the mind of respecting the aged in the King Sejong`s governance make old men and women happy, an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improve the morality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조선시대 老人의 존재양상

        김효경(Kim, Hyo-Gy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조선시대 노인은 육체적 변화와 더불어 10년을 단위로 하는 연령별로 사회적 처우가 달랐다. 우선 유교 이념에서 노인은 군자로서의 완성된 성품을 지닌 자로서 여전히 수신해야 하는 존재였다. 군자로서의 성품을 지녔기에 존로와 경로는 신분과 관품을 초월해서 이루어졌다. 노인은 육체적 쇠약이 시작되는 50세부터로 보았지만 이는 장년과 노인의 변곡점을 언급한 것일 뿐 노인을 규정한 것은 아니다. 노인은 국역이라는 사회적 의무가 해제되는 60세는 모든 사회적 존재에게 해당되는 명실상부한 노인의 하한 연령이다. 그러나 60세는 사회적 의무가 해제될 뿐 여전히 노인은 일반 사회구성원으로 간주되었기에 특별한 혜택이 부여되지는 않았다. 신분제와 관료제 사회에서 노인의 우대는 연령별로 다르게 시행되었다. 70세는 고관에게만 다양한 혜택이 주어졌는데, 복호와 시정을 처음으로 제공했다. 또한 관료의 정년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스스로 물러나는 치사(致仕)에 의해 존로를 예우하는 방식으로 거행되었다. 고관과 대신에게 주어진 최상의 예우라 하겠다. 80세는 양천 모두에게 노인을 우대하는 조치로 양로연을 베풀었다. 더불어 노인직을 수여함으로써 사회적 가치가 부여된 관품(官品)을 허용했다. 서인과 천인에게조차 허용된 관품은 최상의 존로(尊老)정책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노인 관련 존로정책은 신분과 관품에 따라 왕은 60세부터, 정2품 고관, 종친 등은 70세, 일반 서인은 80세, 노비는 90세에 사회적 예우의 대상이 되었다. 노인 봉양은 개인적으로 실시하면 되지만 국가가 이를 주관했기에 사회적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신분과 관품에 따라 복호와 시정을 배정하고, 사물의 종류를 달리함으로써 당시 사회적 한계가 분명히 드러났다. 존로 사상이라는 이념보다는 신분과 관품이라는 사회적 질서가 우선시 된 것이다. 그러나 연령별, 신분별 존로 행위는 개인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국가가 사회의 구성원인 노인을 존로사상에 입각해 다양한 방법으로 양로했다. 육체적 쇠약으로 인해 활동이 여의치 않은 이들을 사회가 양로코자 했다. 경제적으로는 의자, 쌀, 고기, 얼음 등의 사물(賜物)을 통해, 법적으로는 면죄(免罪)와 감경과 속죄금 등으로, 사회적으로는 가자(加資)라는 노인직 수여를 통해 관료제 사회의 구성원으로 치환함으로써 그 존재 가치를 높였다. 신분과 관품을 초월하여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실시된 양로연과 가자는 80세 이상이 사회적 존로의 대상임을 분명히 한다. 즉 80세에 이르면 노인은 신분을 초월하여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노인으로서 경로의 대상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양로연(養老宴)에 대한 고찰

        한복진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3 No.2

        Yangroyun(養老宴), the ceremony for elderly people, originated with the ancient chinese, but the ceremony was held as almsgiving in the early period of Three Kingdom - Shilla·Goguryo·Backje. During the period, a king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and gave elderly people grain and cloth. Also, in the unified Shilla dynasty, as it were. According to establish the aristocrac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Yangroyun became the royal ceremony. In Goryo dynasty, Yangroyen was developed as a ceremony for awarding a person with filial piety prizes. In Chosen dynasty, Yangroyun was performed in the rigid regulation. It was begun from the king Sejong, According to『Kyungkukdaejeon(經國大典)』, Yanroyun was held in September of the lunar year for over eighty years old, and queen held a banquet for the wiv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Chosu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Gisaji(耆社志)』, and 『Jungbomunhunbigo(增補文獻備考)』, Yangroyun held totally eighty times in Chosun dynasty, howev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Yangroyun was held few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