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흔적 찾기- 이순원의 「은비령」을 중심으로 -

        신희경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본 논문은 고전 소설과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 혹은 애정의 의미가 갖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애정 전기소 설 분석 방법을 현대 소설 <은비령>에 적용함으로써 애정 전기 소설의 흔적이 현대 소설에 존재하는 모습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은비령>에 나타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흔적을 탐색하는 본고의 연구 방법은 작 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현대소설에 고전 소설의 흔적이 나타날 수 있음을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애정 전기 소설의 주인공이 가지는 가장 특징은 고독감이다. 사회와 불화한 고독한 인물이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는 면에서 두 사람의 사랑은 知己와의 만남이라고 한다. <은비령>에서 ‘나’의 가족 해체 경험은 현대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된다고 볼 때 ‘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고독한 인물이 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고독한 존재로서 선혜와의 만남은 고독한 존재의 만남이라는 측면 에서 애정 전기소설의 주인공들과 닮아 있다. 애정 전기 소설에서는 대화를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사랑과 감 정상태를 표현하는 매개체로 詩와 편지가 등장한다. 주인공들이 이러한 매개체를 통해 깊은 정신적 교감과 유 대감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은비령>에서 이러한 역할은 ‘엔야’와 전화메세지가 하고 있다. 애정 전기소설의 주인공들이 만나는 공간은 현실에는 없는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고자 하는 욕구가 만들어 낸 환상으로서 욕망의 구현체이다. 때문에 은비령은 현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 환상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은비령의 환상성은 눈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현실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같은 환상적인 풍경들과 함께 인적 없는 길에 대한 서술은 은비령이 가진 비현실성을 나타내는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적 서술 표지 뿐 아니라 시간적 서술 표지 역시 은비령이 특수한 공간임을 말해준다. 은비령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이 되고 있다. 은비령의 시간성은 시간의 주름들이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삶을 하나의 줄기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두 사람의 정황을 환상적이면서도 비극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애정 전기소설은 인물의 사랑이 죽음이나 이별 등 비극적인 결말을 통해 현실의 질곡을 보여줌으로써 작가의 식을 드러낸다. <은비령>에서는 인간의 시간이 유한한 만큼 인간의 삶과 욕망, 인연 모두 유한한다는 것을 깨 닫고 있다. 이러한 깨달음은 광대한 공간과 시간 속으로 인간의 그것들을 흘려보내면서 그들의 사랑을 결연도 절연도 아닌 상황으로 만들었다. 전기소설에서의 비극적 결말은 인간 존재에 대한 반성적 인식의 계기가 되는 것처럼 <은비령>에서의 비극적 결말 역시 작가가 가진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애정 전기소설은 20세기 이전에 이미 그 장르적 특질을 소진하고 소멸하였다. 하지만 고독한 인물의 비극적 사랑과 기이한 공간에서의 비현실적 체험을 통해 현실적 삶의 가치와 인간 삶의 의미를 드러내는 <은비령>으 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애정 전기 소설이 가진 보편성을 찾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races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are found in modern novels by applying the analytical method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focusing on the commonality of the meaning of lov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modern novel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main character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s a feeling of loneliness. It is said that a love between two persons is to meet with ji-gi(知己) in that an isolated person who is discordant with society meets someone who understands him (or her) to fall in love. The meeting of 'I' who experienced family dissolution with Sunhye who went through a death of husband resembles that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n that the meeting is between two lonely beings.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poem and letter play a role of a medium of love and feeling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 conversation. In <Eunbiryoung>, 'Enya' and telephone messages play the same role. The space that main characters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meet is realization of desire; in other words, a fantasy that the desire for new order creates and does not exist in reality. If the reality expressed by kyuk-po in <Eunbiryoung> is fear and impossibility, Eunbiryoung is fantasy because it is a space that makes different type of exploration from that in reality possible. In addition, this fantasy combines with snow. Time in Eunbiryoung plays a role of connec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current life and makes the situation of two persons recognized as fantastic and tragic one. Love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presents writer consciousness by showing a dilemma of reality through a death or farewell. In <Eunbiryoung>, there is a recognition by characters that life, desire, and relationship of human being is as finite as personal time. This recognition releases all of these human emotions into extensive time and space and makes their relationship not connected nor disconnected. Tragic end in <Eunbiryoung> also shows the reflection of and view on human being as if that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s a motivation of reflection on human being.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ceased to exist with exhaustion of its genre nature before 20th century. However,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continue until now through modern novels such as <Eunbiryoung>, which presents the value of real world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ragic love and unrealistic experience in eccentric space of a lonely perso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nterpret and unravel the meaning of human being through love using the discourse of the Middle Ages, and its modern feature is shown in <Eunbiryoung>.

      • KCI등재

        「침생전(沈生傳)」의 애정(愛情) 전기소설(傳奇小說)의 계승과 변모 양상

        서보현 ( Seo¸ Bo-hyeo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본고는 18세기에 창작된 <심생전>이 애정 전기소설의 장르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변모한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애정 전기류 소설은 장르의 폐쇄적 성격으로 인해 전통 애정 전기에서 변이된 형태를 띠는 <절화기담>이나 <포의교집>과 같은 19세기의 작품들이 애정 전기소설로 분류하는 것이 온당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심생전>은 애정 전기소설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7세기에 이어 18세기에 창작되었다. 그런데 <심생전>이 다층적 양상을 띠는 작품이기도 하거니와 전기 소설적 요소를 가지는 동시에 전기소설의 완정한 형태는 벗어나고 있어 애정 전기소설인지, 애정 소설인지 명확히 규정하는 것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에 본고는 <심생전>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를 포착하여 전성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의 전통을 계승하고 변모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8세기 애정전기소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17세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이 기이성을 상실했음에도 전기소설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작품에 형상화된 사건이 현실적이지 않고 환상적이라는 것에서 찾았다. <심생전>의 두 주인공은 신분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현실적 장애가 비극적 결말을 초래하고 있다. 경화사족인 심생과 중인가의 딸인 처녀가 사랑을 이루기에는 사회적인 편견과 규범이 그들을 가로막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물들의 처지가 현실적으로 이루어내기 힘든 욕망과 충돌하면서 환상성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옥이 <심생전>이 애정 전기 장르의 전통을 변모한 양상을 모색하였다. <심생전>은 인귀 결합의 형태는 사라지고 산 사람간의 결연을 그림으로써 17세기 애정 전기 작품들의 변화 양상을 수용하였다. 특히 첫 만남 장면에서 초기 애정 전기 작품들에 나타난 우연적이고 기이한 만남을 사실적이고 현실적이게 느껴지도록 표현하여 기이성이 현실적으로 변화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삽입시는 남녀의 결연을 이끌어내는 주요한 서사적 장치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심생전>에는 분위기를 비현실적으로 이끌며 수사적 과장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삽입시는 탈락되고 산문적이고 사실적인 표현들이 주를 이룬다. 또, 감정 전달의 기능을 담당했던 삽입시 대신, 작품의 결말부의 처녀가 심생에게 보낸 편지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초기의 애정 전기에서 초월적 존재인 여주인공보다 고독한 인간 남주인공의 내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에 반해 <심생전>은 남주인공보다 낮은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도전적인 면모를 보이는 처녀의 내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논찬부에서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과거 공부에 임할 것을 전달하는 스승의 메시지가 작품 전반이 전달하고 있던 두 주인공의 숭고한 사랑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점에 주목할 때, 역설적이게도 처녀의 처지에 다시 한 번 주목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심생전>은 애정 전기 소설의 전성기라 불릴 수 있는 17세기를 지나 기이성을 탈피하고 사회상을 현실적으로 담아내면서, 애정 전기가 근대 문학으로 나아가게 하는 가교적 역할을 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how < Sim-Saeng-Jeon > created in the 18th century maintain and transform the genre tradition of Romantic Jeongi Novel. The closed nature of the genre of Romantic Jeongi Novel has led to a debate ov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19th century works such as < Julwhagidam > and < Poeuikyozip >, which have been mutated from traditional Jeongi Novel is classified as Romantic Jeongi Novel. < Sim-Saeng-Jeon >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following the 17th century, which is the heyday of love biographical novels. There remains room for controversy over clearly defining whether it is a Romantic Jeongi Novel or a Romantic Novel, since < Sim-Saeng-Jeon > is a multi-layered work with Jeongi Novel elements, and simultaneously is deviating from the complete form of Jeongi Novel.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18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 by examining both how Jeongi Novel has changed after its heyday and its driver through the electrical elements shown in < Sim-Saeng-Jeon >. To begin with, even though Romantic Jeongi Novel has lost its peculiarity since the 17th century, it that found that the events depicted in the works are not realistic but fantastic.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status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in < Sim-Saeng-Jeon > lead to tragic consequences. Social prejudice or norms block Kyung Hwa Sa Jok Sim-Saeng and Middle Class Intellectuals female protagonist to make love, and these characters' situations collided with desires that were difficult to realistically achieve, forming a fantasy. Next, The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that the social aspect of the time when Ok-Lee Lee created < Sim-Saeng-Jeon > impacted on the romantic Jeongi novel genre. < Sim-Saeng-Jeon > accepts the changing aspect of the 17th century novel that expresses the encounter of living people, eliminating the form of human and ghost meeting. In particular, in the first meeting scene, readers can see the form of change that expresses the accidental encounters in early romantic Jeongi novels to make them feel realistic. What the Romantic Jeongi Novel has in common is the achievement of love and the encounter between two genders. Especially, insertion poem is a major narrative element that lea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prose and realistic expressions are mainly used in < Sim-Saeng-Jeon > without the insertion poem, which leads the atmosphere unrealistically and acts as a rhetorical exaggeration. In the early Romantic Jeongi Novel, the focus was on the inside of the lonely male protagonist rather than the transcendental female protagonist. On the other hand, < Sim-Saeng-Jeon > focuses on the inside of a female protagonist who shows a challenging aspect despite her status lower than the male protagonist. In particular, when noting that the teacher's message that conveys what the will devote to national examination without being swung over by private feelings in the Nonchan part does not match the sublime love of the two protagonists conveyed in the whole work, ironically, once again in the situation of female protagonist. You can see the effect that attracts attention. Furthermore, < Sim-Saeng-Jeon > can be said to be work that played a bridging role in allowing the Romantic Jeongi Novel to modern literaure, while escaping from the peculiarity and caputred the social image realistically.

      • KCI등재

        『오옥기담(五玉奇談)』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과 20세기 초 애정전기소설사의 향방

        권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paper intended to investigate that the love romance was continu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accordance with the epochal change of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now, the early 20th century’s love romance hasn’t be studied.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love romance was ended in the 18⋅19th, til recently. This study realized the aim of this paper through the narrative chang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largely classified 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at O-ok-ki-dam is not the new-style novel of the retro theme and the old-fashioned style or the edited version of the five enlightening-korean short classical novel, but the results of the love romance history’s subjective change to intend to narratively agree with the early 20th century’s epochal issue, in the stylistic tradition of the love romance. The second part is that the love romance history still carried the flow to agree with the literary calling of fictional concordanc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ince the 18⋅19th. 본 연구는 선행연구사에서 18⋅9세기까지 지속된 역사적 양식으로 논의되어온 애정전기소설이 20세기 초엽의 시대사적 변화에 조응하는 가운데 지속되었다는 사실을 서사적 전변과 시대의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가 단순한 복고적 주제와 구투의 문체로 된 신소설 혹은 다섯 편의 계몽적 단편국문고소설을 묶은 편집본이 아니라 애정전기소설의 양식적 전통 속에서 개화기라는 20세기 초엽의 국가적 이슈에 서사적으로 대응해나가고자 한 애정전기소설사의 주체적인 전변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애정전기소설사가 18⋅9세기 이후에도 시대적 변화에 대한 허구적인 응전이라는 문학적 소명에 부응하고자 하는 흐름을 여전히 이어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향에서 실현되었다. 첫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가 애정전기소설의 보편적인 양식에 부합하는 작품이면서도 이전 시기 애정전기소설 텍스트들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수성을 구현한 독창적인 작품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특수성이 지니는 애정전기소설 통시사적인 의미를 규명하였다. 두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에서 도출해낸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미학의 전변 국면이 지니는 시대사적 의의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의 텍스트들에서 도출한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전변 국면이 20세기 초엽의 변화된 시대의식 및 환경세계와의 조응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즉, 『오옥기담』 이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라는 다섯 편의 텍스트를 특별히 선택하여 편집한 데에는 편집자의 특별한 편집의도가 내재해 있다고 할 수 있는 바, 『오옥기담』 편집자의 편집의도를 20세기 초엽의 시대의식 및 시대배경 속에서 규명해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애정전기소설의 서사 문법과 결말 구조

        엄태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3 東洋學 Vol.53 No.-

        애정전기소설에서 애정은 혼전 남녀의 성관계이고, 애정의 최종 목표는 혼인이다. 그런데 애정전기소설에서 혼전의 성관계를 맺은 상층 신분 여인은 처의 자격을 상실하였고, 하층 신분 여인이 자신의 신분에서 벗어난 후 남주인공과 혼인하여 그의 후사를 잇는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으며, 귀녀는 어차피 남주인공의 배필이될 수 없었다. 이처럼 애정전기소설은 그 전제에서부터 이미 비극적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조건들을 떠안고 있었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이야기’였던 것이다. 「하생기우전」과 「상사동기」가 행복한 결말인 이유는, 비극적 결말의 조건들이 소거됐기 때문이다. 애정전기소설에서는 남주인공의 욕망이 다수의 여성에게로 분산되지 않고 오직 한 명의 여성에게 투영된다. 즉 애정전기소설의 여주인공은 처와 첩의 역할을 한 몸에 떠안고 있었던 것인데, 바로 이것이 애정전기소설이 비극적으로 마무리될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17세기 중반에 이르면 애정전기소설이 쇠퇴하고, 행복한 결말로 마무리되는 애정소설이 나타난다. 이 소설들에서는 남성의 욕망이 복수의 여성에게 분산되며, 여성들은 자신들의 신분과 그에 따른 역할에 충실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 점이 행복한 결말을 가능하게 만든 원인이었다.

      • KCI등재

        애정 전기(傳奇)의 소설화 과정에 대한 일고(一考)

        이민희 ( Min Heui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수 세기에 걸쳐 나타난 애정 전기를 동질적 요소로 묶어 설명하기보다 작품별, 시대별 차이를 짚어 가면서 그것이 문학사에서 어떤 길항 관계를 형성하며 변모해 나갔는지 살피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애정 전기에 사용된 한시의 음악적 요소를 소설 장르 형성 문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근거로 삼고자 했다. 중세문학에는 음악과 언어가 긴밀한 관계를 가졌다. 이때 애정 전기는 서사문학에 음악성(시 삽입)을 적극 부여하고자 한 작품군 중 하나에 해당한다. 시를 활용해 정서와 심리, 그리고 극적 분위기를 연출해 내고자 한것은 음악적 요소를 염두에 둔, 소수의 애정 전기 향유자들을 위한 성정(性情) 표현의 한 방식이었다. 그러나 17세기를 거치면서 문학 향유 상층 독자의 취향에서 음악적 요소가 차츰 그 위치를 상실하고 만 것이 실상이다. 그것은 서사와 음악(적 요소)의 긴밀한 만남이 종언을 고하게 되면서 본격적 서사가 나타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애정 전기가 음악성이 배제되고 독자의 음악적 취향이 점차 약화되면서, 소설적 특성을 지닌 작품으로 발전해 나간 과정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내용 면에서 애정 전기는 17세기 전반에 이르러 현실에 기초한 문제의식이 보다 선명히 드러나기 시작하고 사랑을 추구하는 주체의 욕망 역시 전대의 그것과 질적 차이를 보인다. 이시기 애정 전기에서 사랑의 방식과 가치관이 변화하는 지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사랑을 드러내는 담화방식에서 특히그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들의 질적 차이는 애정 전기 작품들이 17세기 이전과 비교해 내적으로 균열된 지점이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관념적이거나 맹목적이며, 수사적으로 다가왔던 사랑의 표현 방식을 17세기 이후의 애정 전기에서는 사랑과 결연의 방식과 현실인식 태도 면에서 17세기 이전의 애정 전기와의 거리를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정 전기가 새로운 모습의 서사, 곧 ‘소설’이라 부를 수 있는 또 다른 특질의 작품군으로 변모해 나간 사실을 읽어낼 수 있다. This paper is purposed not to treat ‘romantic Jeongi(愛情傳奇)’ as homogeneous work, which appeared throughout the centuries, but to point out the difference of ‘romantic Jeongi’ in literary age, and how it transformed under some antagonis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paper based on musical element of ``romantic Jeongi`` to understand form of fiction genre ``romantic Jeongi``. Music and language had a close relationship in medieval literature. The ``romantic Jeongi`` belongs to one of the works which chinese poems (= musical elements) are included in chinese narrative works. Writer intended to create a dramatic atmosphere, character`s emotion and psychology by using chinese poems. That is the way how writer expressed to satisfy reader`s musical sense in high level.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musical elements of ``romantic Jeongi` have an important aesthetic role and distinguished from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However, literary tastes of the upper class` readers gradually escaped from enjoyment of musical elements and as a result of that, chinese poems in ``romantic Jeongi`` also got gradually loss of its position, since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t means that encounter of narrative and music (musical elements) is close to end, and appear real narrative similar with novel. Therefore, when dealing with novel forming problem, these points ne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Chinese narrative including chinese poems in the text has developed into novel, a specific genre, in the process of changing of writing consciousness, and musicality excluded, the reader`s taste in music also was mute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romantic Jeongi`s content, theme and writer`s consciousness became it`s peak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For example, desire for love of main character also made a difference when we compared with the previous period.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romantic Jeongi`` works shows that love way of main character and their values for love is changing. Thus in the work of ``romantic Jeongi``, a qualitative difference of the way of describing love shows that there are internal crack in ``romantic Jeongi`` itself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t is because the reader in the 17th century, is not any more interested in blindly ideological and rhetorical expression of love in ``romantic Jeongi``. Instead of it, new readers wanted and are more interested in real love in the routine life. Although the ``romantic Jeongi```s formal cortex is still maintained until the 17th century, but its internal characteristics gradually took on the heterogeneous properties of the genre. Since the 17th century, description of character`s love and relationship in works of the ``romantic Jeongi`` has developed into the genre that can be called ``novel`` in terms of attitude and perception of reality in comparison of ``romantic Jeongi`` before the 17th century. Eventually some of works which appeared after the 17th century among ``romantic Jeongi```s works had developed into the works which had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genr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 KCI등재

        드라마 <보그맘>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여성적 포스트바디의 재현과 근대 이전 프리바디와의 생태주의적 상동성

        권도경 ( Kwon Do-ky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1

        본 연구는 애정전기소설의 여성적 프리바디에 기원을 둔 드라마 <보그맘>의 여성적 포스트바디 재현 방식이 젠더화와 성적 대상화를 강화하지도 않으면서 고유한 여성성을 소거시키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애정전기소설의 여성적 프리바디에 기원을 둔 드라마 <보그맘>의 여성적 포스트바디가 남성적 휴먼바디의 부정성을 답습하지도 않으면서도 전통적인 남성중심적 휴먼바디 질서의 부정적인 면모를 전복·해체하고 윤리적인 여성적 포스트바디의 다원중심적 신질서를 현실적으로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드라마 <보그맘>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여성적 포스트 바디의 주체적 재현 양상과 근대 이전 생태주의적 여성 프리바디와의 인식적 상동성을 규명코자 하는 연구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첫째, 드라마 <보그맘>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여성적 포스트바디의 서사적 투입 지점 확인이다. 둘째, 드라마 <보그맘>의 애정전기소설 재매개화에 나타난 여성적 포스트바디의 서사적 재현양상 분석이다. 셋째, 드라마 <보그맘>에 구현되어있는 여성적 포스트바디와 드라마 <보그맘>의 고전서사원형인 애정전기소설의 여성적 프리바디와의 서사적 관계 고찰이다. 넷째, 드라마 <보그맘>에 재현되어있는 여성적 포스트바디와 드라마 <보그맘>의 고전서사원형인 애정전기소설의 여성적 프리바디사이에 존재하는 생태주의적 상동성 규명이다. 본 연구는 애정전기소설을 재매개화한 한국 드라마 <보그맘>의 여성적 포스트바디가 한국·서구 현대소설 및 서구 대중문화콘텐츠의 여성적 포스트바디와 달리 남성 중심적인 휴먼바디 질서의 부도덕과 비윤리를 드러내고 비판·풍자하고 교정함으로써 현실세계 내에서 공동체 사회의 주변인으로부터 다원중심적인 주체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해 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드라마 「보그맘」이 한국·서구 현대소설 및 서구 대중문화콘텐츠에서 재현되어온 여성적 포스트바디와 차별화되는 지점을 개척해 냈다는 사실을 증명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인정할 수 있다. At present, from a feministtic point of view, the reproduction of a feminine post-body by science and technology is generating critical issues in terms of reproducing gender and sexuality. This is because the feminine post-body, reproduced through existing movies or science fiction novels, does not acquire independence and appears to be otherized and objectified like the current human body. However, how the 2017 Korean drama < Borg mom > reproduces the feminine post-body is independent, unlike the existing western pop culture contents. The cyborg < Borg mom >, who is the protagonist of < Borg maom >, realizes ethics transcending input information through autonomous judgment while outputting and reproducing a database of human women. By doing so, Bogmom is changed into an independent post-body from an objective post-body that reproduces human femininity,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bonded in a mutually independent love relationship with a human male. As such, the continouous roma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establishe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of < Borg mom > is a classic narrative based on a romance novel that existed historically in the pre-modern period of Korean. In terms of the female body, the non-humans of the fictional romance novel are nobles, dreamers, and nuns, which are feminine pre-body before the advent of humans; in contrst, non-humans in the era of post-modern humanism are feminine post-body that have extended the human body that have extended the human body with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advent of humankind. However,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feminine pre-body of the romance novel and the feminine post-body of < Borg mom > emerged with amodern human body in between, and they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both non-humans in the human-nature network which diacronically continued from pre-modern to post-modern eras. However, how the feminine pre-body of fictional romance novels and the feminine post-body of < Borg mom > continue is different from humans. While it is temporary that the feminine pre-body of the fictional romance novel forms a monistic continuity with the human male, the monistic continuity that is formed by the feminine post-body of < Borg mom > with the human male is continuous. Like this, the differnces in how the feminine pre-body of fictional romance novels and the feminine post-body of < Bog mom > connect with human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nonhuman-human continuity. In the era of fictional romance pre-body, the metaphysical dualism that sees human-nature as a continuum and the metaphysical dualism that sees human-nature as a segmented body coexist; this was a transitional period right before non-humans were divided into dichotomous objects by modern anthropocentic purifiction. The former theory of monism is pre-modern ecology as a pre-humanism linked to post-humanism, and the latter theory of dualism is the predecessor of anti-ecologism linked to modernistist humanism. Under the awareness of th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depent representation of the feminine post-body in the remediation of romance novel < Borg mom > and the cognitive homology with the pre-modern ecological female pre-body. By doing so, this study will clarity the cognitive basis of the discriminatory independence of < Borg mom > with respect to the reproduction method of the feminine post-body in contemporary Korean and western novels and film contents. In order to realize the research goal of identifying the independent representaion of a feminine post-body in the remediation of the romance novel < Borg mom > as well as the cognitive homology with the pre-modern ecological female pre-body,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four sections. Firstly, it is the confirmation of the narrative input point of the feminine post-body in the remediation of the romance novel < Borg mom >. Second is an analysis of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feminine post-body in the remediation of the romance novel < Borg mom >. Third is an examination of the nar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inine post-body realized in 「Borg mom」and feminine pre-body in the romance novel, the classic narrative prototype of < Borg mom >. Fourthly, this study clarifies the ecological homology existing between the feminine post-body reproduced in < Borg mom > and feminine pre-body in the romance novel, the classic narrative of < Borg mom > and feminine pre-body in the romance novel, the classic narrative of < Borg mom >.

      • KCI등재

        <宗生傳>의 인물 형상과 서사구조 – 애정전기소설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유해인 한국고전문학회 2024 고전문학연구 Vol.65 No.-

        이 글은 <종생전>의 인물 형상과 서사 구조가 지닌 특성을 애정전기소설의 정형화된 서사 문법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논한 글이다. <종생전>은 불우한 남성인물의 형상을 변용하면서도, 남성인물이 문벌 좋은 가문의 고독한 佳人에게 절대적 사랑과 認定을 받아 불우를 극복하는 서사 구조는 계승해 애정전기소설과 결이 다른 서사세계를 구축했다. <종생전>이 변용한 형상은 남성인물을 긴 병 수발로 오랜 시간 과거 공부를 폐한 노총각으로 설정한 것이었다. 이는 才子로 설정됐던 애정전기소설의 불우지사 형상에 투영된 문인지식인의 願望을 제거하고 그에 부여된 낭만성을 탈각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이처럼 불우지사의 형상이 不惑의 나이로 설정되자, 애정전기소설에서 불우지사와 가인의 절대적 사랑이 가졌던 상징적 의미가 퇴색됐다. 절대적 사랑은 신의와 인정의 서사가 아닌 성애에 경도된 방향으로 전개됐다. 그 결과는 남성인물의 불우 해소가 아닌, 여성인물의 임신과 송사라는 불편한 결말이었다. 특히 임신이라는 사건은 여성인물이 남성인물의 욕망 충족을 위해 움직이는 환상적 대상이 아닌 육체적 실체로 존재하는 인물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여성인물의 형상은 욕망의 객체로만 존재했던 애정전기소설의 여성 형상과 다른 것으로, 이 작품이 불우를 재구성하면서 우연하게 이룩한 성과였다. 마지막으로 결말을 통해 서술시각을 논했다. 임신과 송사라는 파국으로 치달은 결말은 그간 애정전기소설에서 현실성이 강화된 특징으로 설명됐다. 그러나 임신, 송사 화소는 서사 맥락에서 봤을 때 오히려 비현실적인 것으로, 이 작품이 새롭게 설정한 남성인물의 절대적 불우를 극화하기 위한 서사 장치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절대적 사랑의 이면에 놓였던 성애의 문제를 폭로하고, 불우지사 형상에 투영된 낭만성을 벗겨낸 풍자적 서술시각에 기인한 것이었다. 종합하면 <종생전>은 젊은 불우지사를 늙은 불우지사로 재구성해 애정전기소설의 장르 규범을 역전시킨 패러디물이었다. 이는 애정전기소설이 지닌 불우 해소 구조가 더 이상 서사적 공감과 위로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조선 후기 향촌 사족의 현실 인식을 대변한 것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of Jong-saeng-jeon, highlighting how they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narrative grammar found in traditional romantic jeongisoseol. Firstly, this analysis focus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unfortunate male character and the structure of resolving his misfortunes, which are central to the genre. Jong-saeng-jeon portrays the protagonist as an old bachelor who has abandoned his studies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due to prolonged caregiving for his ill father. This transformation primarily involves altering the characterization of the miserable scholar. In traditional romantic jeongisoseol, marginalized intellectuals are often depicted as miserable individuals of literary talent who harbor grievances. However, in Jong-saeng-jeon, such grievances are absent, removing the associated romanticism. Nonetheless, the narrative structure of overcoming misfortune through absolute love and recognition from a lonely, beautiful woman of a noble family is still succeeded.

      • KCI등재

        애정 전기소설 남성 주인공의 자질 변화와 그 서사적 의미

        임정민(Jeong-min Im)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본고는 19세기 애정 전기소설의 대표 작품인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에 집중해 이들 작품에 나타난 남성 주인공의 자질 변화와 그 서사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들 작품의 경우 전대 전기소설의 남성 주인공이 공통적으로 지녔던 ‘문재(文才)라는 자질’과 ‘미혼(未婚)이라는 자질’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 자질들이 각각 함의하고 있었던 ‘인물의 진지성’과 ‘결연의 진정성’이라는 의미가 완전히 해체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질 변화로 인해 남녀가 서로를 애정의 대상으로서 인식하는 맥락이 달라지게 되면서 동상이몽의 사랑이라는 새로운 관계 양상을 낳게 된다. 남성 주인공은 결연의 대상을 일탈적 유흥의 대상으로 여기는데 반해, 여성 주인공은 결연을 자신들이 처한 폭력으로부터 탈출하려는 하나의 해소과정으로 여기면서 상대방을 진지한 만남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다. 이처럼 19세기 작품은 사랑의 대상과 그 방식 등 다양한 층위에서 ‘불일치’ 현상이 반복된다. 한편 여성 주인공은 이러한 어긋남 속에서 기존에는 찾아볼 수 없던 이별이라는 선택지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여성의 자의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This paper focuses on two representative works of nineteenth-century Love Romance(愛情傳奇小說), 〈Jeolhwagidam〉 and 〈Pouigyojib〉,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ale protagonists’ qualities and their narrative significance. In these works, the qualities of ‘literary talent’ and ‘unmarriedness’ that were common to the male protagonists of previous biographical novels are not found. This completely dismantles the meanings of ‘seriousness of character’ and ‘authenticity of marriage’ that these qualities implied respectively. Furthermore, this change in qualities changes the context in which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objects of affection, resulting in a new relationship pattern of love. While the male protagonist sees the object of his love as an object of deviant entertainment, the female protagonist sees it as a way to escape from the violence she has been subjected to, and sees the other as an object of serious encounter. In this way, the 19th century works repeat the phenomenon of ‘inconsistency’ on various levels, including the object and method of love. Meanwhile, the female protagonist has a previously unexplored option of separation through this discrepancy. This is very interesting because it gives us a glimpse into women’s self-consciousness.

      • KCI등재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애정 의지 유형과 그 의미

        김서윤 ( Kim Suh-yoon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조선시대 애정전기소설의 특징 중 하나는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결연 상대를 선택하며, 신분 차이나 문벌 차이에 따른 역경에 굴하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상대와 애정 관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여성의 주체적 태도는 사회 제도나 관습의 질곡에 대항하여 개인의 자유와 존엄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은 자칫 애정을 개인적인 감정으로만 이해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실상 애정이란 그 자체가 현실의 산물이며, 사회 제도나 관습의 영향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애정과 현실의 관계를 곧 개인과 사회 간의 대립 관계로 파악하는 것은 인물이 추구하는 애정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애정 그 자체가 이미 그것을 추구하는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의 질곡을 반영한 결과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개인의 애정과 사회 현실을 갈등 관계로만 보는 시각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애정전기소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인물들의 현실적 처지와 관련하여 그들이 추구하는 애정의 성격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애정전기소설에서 여성의 주체적인 애정 의지는 각자의 신분과 사회적 처지에 따라 지향하는 바가 서로 다르며, 그들의 애정 욕구는 각자의 처지와 그에 따른 삶의 문제를 반영한 결과물임을 논의하였다. In romantic jeongisoseol[傳奇小說] of Joseon dynasty, women characters select their partners themselves. Not submitting to any difficulty, even to death, the women characters have been thought of as symbols of subjectivity protecting human dignity and liberty against social restrictions such as institution and custom. But affec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only individual and instinctive affair, because affection itself is not free from influence of social institution and custom. We need to consider that affection and social environment is not opposed to each other. In romantic jeongisoseol, women’s will for affection aims at different objects according to their surroundings. They are attracted by different traits of men and pursue different kinds of relationship with partners. Whereas Woonyoung and Baedo who feel more deficiency of stability are attached to stable relationship itself, Choi and Okyoun focuses more on ideal married lives with sufficient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It implies that women’s needs for affection reflect their own circumstances and problems.

      • KCI등재

        17세기 애정 전기소설 「曲江樓奇遇記」 일고

        권진옥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9 No.-

        This paper studies about the romantic jeongi novel Gokgangrugiugi(曲江樓奇遇記) in 17th century novels. The meet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male main character Young student(書生) and the female main character Wola(月娥), the reunion and the separation are the plot of this work. This work inherits the features of the previous romantic jeongi novel, and also features the romantic jeongi novel in 17th century. This work is contained in Japhwi(雜彙). If you look at the various works in Japhwi(雜彙) and the background of Gokgangrugiugi(曲江樓奇遇記), the creation and transcription of this work is in the early and mid 17th century. The author of this work is Seongbu(誠夫), he has been struggle against a disease after serving as a public official. The main character of this work is three people, male character Young student(書生), female character Wola(月娥), and auxiliary character Ryuwoochun(柳遇春).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haracters in this work, the story is mainly focused on the male main character, but eventually the male main character becomes a peripheral and objective character.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jeongi novel in 17th century, while the female character takes on the previous day's whole appearance, she becomes an active figure, but the male character is relatively falling compared to the female master.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is the inserted poems, which is the organization of lyricism and narrative. The inserted poems in this work has the functions of the reader's arousal, foreshadow, communication, generalization, and has the functions of the revealing author 's talents. The 17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work is as follows. It is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This work uses the fantasy and unrealistic material of the previous period romantic jeongi novel, and realizes human suffering and sorrow in themes and atmosphere. The male main character is relative and variable. The first meeting starts with a momentary departure rather than the inevitable, and the subsequent position and attitude are also passive and variable. Rather, the female main character becomes the centerpiece of the story. Also, the story of the whole work is a realistic and popular romantic story rather than a serious reflection. 본 논문은 17세기 애정 전기소설 가운데 아직 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곡강루기우기」를 고찰한 글이다. 이 작품은 남성주인공 서생과 여성주인공 月娥의 만남과 이별, 재회와 이별이라는 애정 서사를 주축으로, 이전 시기 애정 전기소설의 요소들을 계승하면서도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에 간취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곡강루기우기」는 『잡휘』라는 한문 필사본 책에 수록되어 있다. 『잡휘』에 수록된 여타의 작품들, 「곡강루기우기」의 시대적 배경 등을 감안하면 이 작품의 창작 및 필사 시기는 17세기 초중반으로 비정할 수 있다. 작자는 字가 誠夫이며, 그는 文科에 급제하여 한동안 내직을 역임한 뒤 만년에 투병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곡강루기우기」의 주요 등장인물은 세 사람인데 남성주인공 서생, 여성주인공 月娥, 이 두 사람이 만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柳遇春이다. 대강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한 서생이 어사를 따라 영남 지방을 순찰하게 되었고, 대나무 숲이 우거진 경치 좋은 곳에 曲江樓라는 작은 누각을 방문하게 된다. 거기서 老翁 柳遇春을 만난다. 서생은 柳遇春과 주변을 거닐던 중 절대가인 月娥을 발견하여 첫눈에 반해 그녀를 쫓아가고, 그녀의 고달픈 인생을 불쌍히 여기며 동침한 뒤 그녀와 시를 주고받는다. 어사의 행차로 인해 서생과 月娥는 헤어지고, 서생은 처음에는 이별의 슬픔에 몹시 슬퍼했지만 여러 달이 지난 뒤 그녀를 잊게 된다. 어느 날 밤 서생의 꿈에 月娥가 나타나 서생의 소식을 듣지 못해 죽게 되었다고 고하고, 꿈에서 깬 서생은 月娥가 죽었다고 생각하여 그녀를 위한 시와 제문을 짓는다. 「곡강루기우기」에 등장하는 세 인물의 관계를 작품 내적으로 살펴보면, 이 작품이 남성주인공 서생의 동선에 따라 서사가 전개됨에도 불구하고, 보조인물인 柳遇春을 만났을 때는 보조인물이 장면의 주체가 되고, 여성주인공인 月娥을 만났을 때는 여성주인공이 서사를 이끌어가는 구심력이 된다. 이 결과 남성주인공은 주변적이고 객체화된 인물로 전락한다. 이는 여성주인공은 이전 애정 전기소설의 전일한 모습을 이어받으면서 더욱더 적극적이고 견결한 의지의 인물로 부각된 반면, 남성주인공은 상대적으로 추락하는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전기소설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삽입시를 통한 서정과 서사의 직조를 꼽을 수 있다. 「곡강루기우기」에는 서생의 칠언율시 2수와 칠언절구 4수, 月娥의 칠언절구 1수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시는 서정성 외에 특히 서사전개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가 중요한데, 그 역할과 안배의 수준이 작품 자체의 문학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곡강루기우기」의 삽입시들은 작품 내적으로는 독자들의 환기와 인식 전환의 기능, 서사진행의 필수불가결한 기능, 복선의 기능, 의사소통의 기능, 총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작품 외적으로는 작자의 재능과 개성을 발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곡강루기우기」가 지닌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사적 의의는 계승과 변모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계승의 측면이다. 「곡강루기우기」는 冤鬼와의 꿈속 재회와 같은 이전 시기 애정 전기소설의 특징인 환상성과 비현실성의 제재를 사용하였고, 주제나 정조에 있어서도 전쟁과 같은 사회의 횡포로 인한 인간의 고통과 비애를 사실적으로 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