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간 우울의 상호의존

        최경원,윤현숙,임연옥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암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노인 암환자와 가족 수발자들은 우울로 인해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고 있으며, 노인 암환자와 가족 수발자가 상호의존 관계임을 밝힌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를 대상으로 두 시점 간에 우울증상이 상호 영향을 미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133 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 패널자료’ 중 65세 이상의 노인 암환자의 3차와 5차 패널자료와 같은 시점에 실시한 주 가족 수발자 대상 1차와 2차 패널자료를분석에 활용하였다. 첫 번째 시점과 두 번째 시점 간의 우울경향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통해 확인하였고,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간의 상호의존관계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모두의 우울수준은 T1시점에 비해 T2시점에 유의미하게높아졌다. 두 시점 간에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의 상호의존관계를 검증한 결과 첫 번째시점의 노인 암환자의 우울이 다음 시점의 가족수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첫 번째 시점의 가족수발자의 우울이 두 번째 시점의 노인 암환자 우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노인 암환자가 경험하는 우울은 후차적으로 가족수발자에게 우울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노인 암환자의 우울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예방차원에서 가족수발자에 대한 동시 개입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dyadic interdependence on depression for older adul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ancer in the elderly has become an increasingly common problem in Korea. Over 50% of all malignancies occur in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Cancer takes an emotional toll on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Family caregivers’distress levels are similar to patients with cancer.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provides both conceptual logic and statistical techniques for parsing actor and partner effects. A total of 133 older adults with cancer and family caregivers dyads participated in two wave surveys in 2013 and 2015 by Hallym University Longitudinal Research Team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Cancers. Paired t-test was used to identify changes and differences of the depression tendencies between T1 and T2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examin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while a significant change of depression level among older adults with cancer was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mong family caregivers. The depression of the older adults with cancer at T1 had significant effect of depression of family caregivers at T2.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actor effects for depression leading from older adults with cancer to their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암 환자에 대한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와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

        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is article is to clarify on a combination between spiritual support of Christian counseling and palliative therapy of psycho-oncology for Christian cancer patients. Cancer patiences are proliferating worldwide. The researcher dealt with pain and delirium of cancer patients as a core theme of psycho-oncology. The researcher also dealt with Christian counselors’ role for spiritual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palliative support for cancer patiences.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studied 1) various psychological aspects of cancer patients, 2) palliative therapy of psycho-oncology and 3)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for palliative care. It is effective for Christian counselors, hospital chaplains and pastoral ministers who have spiritual authority to provide spiritual care for cancer patients. Christian cancer patients as well as non-Christian cancer patients are requiring spiritual support including prayer by spiritual resources. The main symptoms of cancer patients are pain and delirium. Christian counselors should deal with the cancer patients’s pain and delirium by cognitive reframing, spiritual support through the Bible and prayer. That is, the Scripture has an definite effect on changing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cancer patients through cognitive reframing spiritually. Prayer also has obvious effect on alleviating the pain and delirium cancer patients. 이 연구는 암 환자에 대한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와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를 활용하여 암 증상 가운데 통증과 섬망을 완화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암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질병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사망 순위 1위를 차지하는 질병이 되었다. 암은 명백하게 신체적 질병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에 노출되면, 심리정서적, 영적 문제도 함께 발생한다. 암은 발생 부위나 암종에 따라 의학 전문영역에서 다루게 되지만, 오심, 구토, 피로, 통증, 수면장애, 악몽, 식욕부진, 섬망 등의 신체적 증상과 불편감을 비롯한 우울, 불안 및 디스트레스 등의 심리정서적 문제는 정신종양학(psycho-oncology)에서 담당한다. 정신종양학에서는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증상제거 및 감소, 완화를 통해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해 주는 것이 학문적 목표이며 이를 ‘완화치료’(palliative therapy)라 한다. 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심각한 주요 증상은 통증(pain)과 섬망(delirium)이다. 이것은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적 접근으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가 완화치료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방편임을 이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기독교신자 암 환자에 대한 증상완화를 위해 영적 지지를 하는 것은 기본이며, 많은 암 환자들이 영적 지지를 받고자 희망하기 때문에 영적 지지를 확립하여 제공해야 한다. 암 환자에 대한 영적 개입에 있어서 기독교상담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이 연구에서는 1) 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다양한 심리정서적 측면을 다루었고, 2)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으며, 3) 완화치료에서 방편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독교상담의 영적 지지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적 권위를 가진 기독교상담자, 병원 원목 및 목회자는 기독교인 암 환자에게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지지자로서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기독교인 암 환자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 암 환자들도 기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적 자원을 통한 도움을 필요로 하고 요청하고 있다. 기독교상담자는 말씀을 통한 인지적 재구성과 기도를 통한 영적 지지를 통해 암 환자의 고통과 섬망을 다루어야 하며,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존재이다. 즉, 성경은 인지적 재구성을 통해 암 환자가 겪는 현재의 상황과 의미를 영적으로 재해석하여 극복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암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영적 차원에서 지지적 접근으로써 암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통증과 아울러, 섬망에 대한 완화도 재론의 여지없이 정신종양학의 주요분야로서 완화치료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섬망은 대개 암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발생하여 암 환자의 가족과 의료진을 당황하게 하기 때문에 완화치료적 접근이 급히 요구되는 상태이다. 암 환자의 섬망 진단은 DSM-5에 의존하고 있으며, 치료는 정신종양학의 완화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이에 기독교상담적 접근으로서 영적 지지는 암 환자의 섬망을 감소하며, 심리정서적, 영적 안정을 갖도록 하는데 효율적인 방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암 환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宣恩㶼,(Seon, Eun-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5 No.-

        2020년 12월 24일 발표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자 100만 명 넘었다”, 2019, 12, 24일자 보도자료. 에 따르면 암 유병자 187만 명(전 국민의 3.6%)이며,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82.8명으로 전년 대비 6.6명(2.3%) 감소하였다. 이러한 암 발생률은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연평균 3.7%씩 증가하다가, 2011년 이후 매년 약 2.6%씩 감소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4%였으며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8%), 여자(86세)는 3명 중 1명(34.2%)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가암정보센터(https://www.cancer.go.kr/)- 암 발생율(검색일자: 2021. 7. 14.) 이러한 추세를 본다면 암은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대해 국가에서는 「암관리법」을 규정하여 국가가 암의 예방과 진료 및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ㆍ시행하고 있고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대상자 중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함으로서 암 환자의 연명의료결절에 있어서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암 환자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도입이나 효율성 있는 정책은 한계점이 있다. 향후 암 환자의 증가가 명백히 예상되는 바,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환자를 우리 사회에서 더욱 보호해야 될 대상인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암 환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명시하고 암 환자 처우에 있어서 「암관리법」의 법률 정비를 통해 암 환자의 권리를 명시하여 처우개선에 있어서 근거 법률을 규정하여야 하며 현재 「암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기준 등에 관한 고시」의 암 환자의 재정적 지원에 관한 규정을 법률로서 명시하고 암환자를 사회적 약자로 규정하여 그에 대한 생계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암 환자 상담 및 관리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전문인력의 확충을 통해 다양한 복지처우를 제공하여야 하며 암 환자의 심리 치료 지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서 암 환자의 처우 개선이 증대되며 향후 증가하는 암 환자를 관리함으로서 생존율을 높여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for 2017 of having been announced on December 24, 2020, the patients with the presence of cancer stood at 1,870,000 people(3.6% of the whole nation). In terms of the cancer incidence rate,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per 100,000 people came to 282.8 people, thereby having been down by 6.6 people(2.3%) year on year. This cancer incidence rate grew by 3.7% until 2011 following 1999 and then is reducing by about 2.6% every year after 2011. If our people would survive to life expectancy(83 years old), the probability of getting cancer amounted to 37.4%. Cancer is being estimated to occur in 2 people(39.8%) out of 5 people as for a male(80 years old) and in 1 person(34.2%) among 3 people as to a female(86 years old). Seeing this trend, cancer need to be recognized as a social issue, not an individual matter, and will be able to be considered to require the quick response from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this, the country stipulated 「Cancer Control Act」 and then is comprehensivel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policy pertinent to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research of canc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it is targeting cancer patients among the patient subjects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end-of-life process, thereby prescribing a right in the cancer patient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legislative introduction or effective policy for substantially upgrading cancer patients’ treatment. A rise in cancer patients is definitely expected henceforth. Thus, the management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reatment can be mentioned to be more need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nac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legal basis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while regarding cancer patients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will need to be further protected in our society. Hence, concerning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there is a need to make it a grounded law in the treatment improvement by specifying the rights of cancer patients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law in 「Cancer Control Act」. In the current 「Notice of the medical expenses support standard, etc. for cancer patients」, there is a need to clearly state the regulations on a financial support for cancer patients in a law and to define cancer patients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reby being necessarily made even the livelihood support for it together. Additionally for the cancer patient counseling and managemen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a variety of the welfare treatment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A positive support for psychotherapy of cancer patients leads to increasing the treatment improvement in cancer patients. Managing cancer patients who grow down the road leads to a rise in survival rate, thereby likely coming to bring abou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 2012년 제11회 KSPEN 학술대회 : 3-2 ; 암환자의 Lipid-based TPN 지원 실태 분석

        이경은,임경희,류승완,김인호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2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2 No.-

        배경 및 목적: 2009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암은 이미 우리나라 성인 사망 원인의 1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암 발생의 증가와 함께 치료 기술의 지속적 발달로 암환자들의 유병률 및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어 3차 의료기관의 암환자 진료 비율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암환자의 경우 다른 질환보다도 영양불량상태가 되기 쉬우며 치료과정 중 여러 이유로 영양지원을 실시하게 되며 그 중에서도 임상에서는 TPN 지원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암환자의 영양지원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임상에서 암환자의 Lipid-based TPN 지원 실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K대학 D병원에 입원한 암환자 중 Lipid-based TPN을 지원받은 400명을 대상으로 전산의무기록지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영양불량 상태 및 TPN 지원원인, 지원경로, 지원기간 및 TPN 지원 전 영양요구량 조사 유무, 구강섭취가능 여부에 따른 열량, 아미노산 및 지방 공급량 등을 spss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전체 입원 암환자 5788명 중 TPN으로 영양지원을 받는 경우는 33.8%였으며 그 중 TPN 지원환자의 22.9%를 차지하는 Lipid-based TPN 대상자를 분석하였을 때 TPN 지원원인으로는 수술로 인한 금식이 가장 많았다. TPN 지원기간, 지원경로는 TPN 지원 가이드라인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TPN 지원 시 구강섭취가능 대상자가 31.0%로 나타났고 TPN 지원 전 영양요구량 조사를 한 경우는 단 8%에 불과하였다. 또한, 구강섭취가능 여부에 따른 열량 및 아미노산, 지방의 공급량을 분석하였을 때 금식 대상자의 경우 암환자의 영양공급 권고량보다 적은 양의 열량과 아미노산이 지원되고 있었다. 현재 임상에서 암환자의 영양지원 방법으로 Lipid-based TPN을 많이 사용 중이지만 TPN 지원 가이드라인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에서 TPN의 장점인 영양상태 개선 및 유지의 측면만이 강조되어 TPN 및 TPN 지원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환자 상태에 따른 TPN 지원 결정을 신중하게 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TPN 지원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따라서 의료진의 암환자 영양지원의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의식제고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암환자 영양지원 방법과 TPN 지원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의료진에게 제공되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이정원,한지은,박호란 한국아동간호학회 2013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9 No.1

        목적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암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 정도와 그 관련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대상자는 소아암 진단을 받고 서울 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외래 또는 입원치료중인 8-18세 소아청소년 암환자 67명과 그 부모 67명인 총134명이었다. 삶의 질은 Varni 등(2002)의 e PedsQL 3.0 Cancer Module을사용하여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삶의 질 관련 요인은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그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질병관련 특성으로 하였다. 결과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5.07점, 부모가 보고한자녀의 삶의 질 점수는 64.40점으로,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이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보다 낮았다. 8-12세 소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8.04점, 13-18세 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1.62점으로 소아에 비해 청소년의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은 소아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와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와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은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인지하는 정도와 부모가 인지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소아와 청소년 사이에도차이가 있었다.

      • COVID-19 면역력 향상을 위한 의료종사자, 암환자, 일반인의 자연치유생활습관 비교

        박선미(SUN MI PARK) 한국자연치유교육학회 2021 자연치유교육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의료종사자, 암환자, 일반인의 면역력 향상을 위한 자연치유생활습관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의료종사자 25명, 암환자 25명, 일반인 25명으로 총 75명을 선정하였다. 변수간 상관성 검증에서, 의료인 경우, 식습관과 운동습관 간 양의상관을 나타냄으로써 건강을 위한 음식섭취와 운동에 공통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암환자 경우, 식습관은 운동습관, 건강식품관심과 양의상관을 나타내었고, 운동습관은 건강식품관심과 양의상관을 나타냄으로써 암환자들이 질병 회복을 위해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식품관심에 공통된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자연치유생활습관 중 식습관 차이에 대해서는 암환자>의료인, 암환자>일반인 크기 차이가 유의하였다. 둘째, 수면습관 차이에 대해서는 의료인>암환자, 일반인>암환자 크기 차이가 유의하였다. 셋째, 운동습관 차이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식습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면습관에 있어서 암환자들이 통증 등으로 인해 수면의 질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연치유 관점에서 암환자들의 건강회복을 위해서 암환자들의 신체 상태에 적절한 푸드테라피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atural healing lifestyle habits to improve immunity of medical workers, cancer patients, and the ordinary people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 total of 75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25 medical workers, 25 cancer patients, and 25 ordinary people. In the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the case of medical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common interest in food intake and exercise for health by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and exercise habits. In the case of cancer patients, eating habi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habits and health food interests, and exercise habi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food interests, indicating that cancer patients had a common interest in eating habits, exercise habits, and health food interests to recover from the dise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cancer patients > medical workers, cancer patients > general people was significant for the difference in eating habits among natural healing lifestyles. Second, for the difference in sleep habits,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medical workers > cancer patients and ordinary people > cancer patients was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in exercise habits and interest in health foods was not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ancer patients were more interested in eating habits than those who did not, and in sleeping habits, cancer patients lacked sleep quality due to pain. In conclusion, from a natural healing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apply food therapy appropriate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cancer patients to recover their health, and it is believed that various methods to improve sleep quality should be provided to cancer patients.

      • KCI등재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이혜범 ( Hae Bum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방암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치료과정에서 나타난 환자-의사 관계의 소중한 의미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질병의 주체인 환자들의 관점에서 경험한 환자-의사 관계는 그 동안 의사 중심의 교육을 받고 의사의 관점으로만 진료를 경험했던 의사들에게 관점의 변화를 일으키고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찾게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는 다섯 명의 유방암 생존자들과의 심층 인터뷰, 투병기, 환자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등을 분석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환자들이 질병을 경험하는 가운데 맺는 환자-의사의 관계는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표면적인 ``관계 맺음``을 넘어 환자가 질병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할지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다. 의사의 사소한 언행 하나에도 환자들은 큰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는 유방 절제술로 인해 여성으로서의 자존감 저하와 대인기피, 우울증 등 다른 암 환자에 비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큰 만큼 의사의 따뜻한 말 한 마디와 공감 및 지지가 질병을 극복하는 데 실질적인 힘이 되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유방암 환자들이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환자-의사 관계는 암 진단 초기에는 환자가 질병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결정하고 힘든 치료과정 속에서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치료 의지를 갖고 질병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큰 유방암 환자들에게는 치료 과정은 물론 특별히 치료 후까지도 의사와의 지속적인 긍정적 관계 형성이 저하된 자존감을 회복하고 건강한 삶으로 복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true meaning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as it appeared in the course of treat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Patients` view about "Doctor-patient relationship" could make doctors look at a different sides and find new meanings for doctor-patient relationship. We us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looking through and analyzing the five breast cancer patients` in depth interviews, illness experience and films that include the patient`s story. In conclusion, doctor-patient relationship formed during patient`s disease experience must be not a cursory ``relationship`` but a very meaningful ``relationship`` that determines how the patient accepts and overcomes the disease. Patients were affected greatly by even doctor`s slight words and gestures and they often especially have experienced more mental stress than other cancer patients because of mastectomy, for example, loss of self-esteem as a woman or avoidance of sexual activity, social phobia, depression, etc. The doctor`s comforting words, empathy and support has helped them greatly in overcoming the disease.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with breast cancer patients experienced during the treatment was an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that decides their attitude in accepting the disease and helping them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overcome the disease during the hard course of disease treatment. Also, the continuous positiv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fter treatment helped them recover their degraded self-respect and return to a healthy life.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된 암환자의 방사선 치료 현황

        박은태(Euntae Park),박성광(Sungkwang Park)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2

        암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이로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부산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방사선 치료 환자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암 환자 치료 및 암 예방, 암 환자 관리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지역 3차 의료기관에서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암 환자로 진단을 받은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462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요 7대 암종은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대장ㆍ직장암, 뇌종양, 인ㆍ후두암, 간암순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발생 1위는 유방암이었다. 전체 발생 환자 수 중에서 38.1%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암종에 비하여 눈에 띄게 발생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유방암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와 두드러진 발생 환자수를 가지는 암종으로 분석되었으며, 발생감소를 위한 적절한 대책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유방암에 대한 발생원인과 예방 방법, 적합한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and its death rate increas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ccurrences in cancer patients in Busan area and to provide active help for treat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It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446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Jan. 2011 to Dec. 2012 at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in Busan area. The seven main cancer types were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colonㆍrectal cancer, brain tumor, laryngopharyngeal cancer and liver cancer.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as breast cancer which takes up 38.1% of cancer patients stood out from other cancer types. Breast cancer is that shows increasing trend and in need of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managements for decreasing cancer risk. Therefore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breast cancer analysis, an appropriate management program is required.

      • KCI등재

        유방암환자의 요가수련 효과에 대한 문헌연구

        변재경,박순희,노밍영,이현희,이현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 계획 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ub Med 및 Google Scholar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 요가운동 및 면역"을 검색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에 대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강사에 의한 코스 안내와 DVD로 진행 되었다. 유방암 유형은 전이성 유방암, I기, II기, III기 유방암, 비전이성 유방암, 편측성 유방암,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으로 분류하였다. 유방암의 유형과 요가운동 목적에 따라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시간, 빈도 및 운동 강도가 결정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대부분의 운동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신체 구성, 체력, 면역, 수면, 정신건강 및 기능, 신체 활동수준을 개선하고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요약하면, 유방암 환자에게 적합 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모든 암 환자가 요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른 분야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유방암 유형별로 구체적인 운동계획과 처 방을 제안할 필요가 있으며, 유방암 치료 중 발행되는 휴유증에 따른 운동처방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by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order to check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subjects, Pub 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breast cancer patients, yoga exercise and immunity". In addition to papers not related to this study, a total of 16 papers were selected. Result, the yoga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is carried out by the course guidance and family DVD. Breast cancer types include metastatic breast cancer, stage I, II, III breast cancer, non-metastatic breast cancer, unilateral breast cancer, stage II, stage III breast cancer, stage II-IV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ceiving radiotherapy, Breast cancer. Depending on the type of breast cancer and the purpose of the yoga exercise, the implementation of the yoga exercise plan is different, and the exercise tim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of the yoga exercise program are usually determined. Most exercise programs i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y can improve and enhance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immunity, sleep, mental health and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summary, it has been found that a yoga exercise program suitab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it should be extended to other fields so that all cancer patients can participate in yoga exerci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more specific exercise plans and prescriptions for each type of breast cancer.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 and prescription for each disability.

      • 암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김광일(Kwang-Il Kim),소형석(Hyoung-Seok Soh),민성길(Sung-Kil M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2

        연구목적: 암환자의 삶의 질과 암 이외의 질환을 가진 일반 환자 및 질병이 없는 군에서의 삶의 질과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58명의 암환자군, 202명의 일반 환자군과 229명의 질병이 없는 정상인군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세계보건 기구 삶의 질 척도 (WHOQOL)를 이용, 삶의 질을 평가하게 하여 공변량분석과 사후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하부영역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삶의 질 점수가 암환자군이 가장 낮았고 일반 환자군, 정상인군의 순서를 보였다. 암환자의 경우 특히 신체적 영역, 독립성 영역에서 삶의 질 점수가 가장 낮았고, 정신적 영역, 환경 영역, 영성 영역에서도 유의하게 낮았으나, 사회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암환자군과 일반 환자군간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는 영역은 정신적 영역과 환경 영역이었다. 영성 영역에 서는 암환자군이 일반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경로분석 결과 암환자에서는 정신적인 삶의 질이 최종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암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인은 물론, 일반 환자들보다 나쁘다는 것과, 특히 암환자에게 신체적 고통, 독립성 유지 그리고 영성 문제에 보다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최종적으로 정신적 삶의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urpo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general medical patients group & healthy group. Method: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in 58 patients with cancers in pulmonary or gastrointestinal system, 202 patients with general medical diseases in pulmonary or GI system and 228 healthy persons. Data of 3 groups were compared with analysis of cavarience. Results:The WHOQOL score was lowest in the cancer patient group and was followed by the patients of other general medical diseases and the healthy persons. Especially QOL score of cancer patients were subjectly lower in the physical domain, the psychological domain, the independence domain, the environmental domain, the spiritual domain, while scores of the social domai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se domains, the scores of the physical domain and the independence domain were lowest in cancer patients. The domains of which scor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general internal patients and cancer patients were the psychological domain and the environmental domain. QOL of spiritual domain was lower in cancer patients than general patients. The path analysis suggests that the psychological quality of life is the most important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Thes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was lower than not only healthy persons but also general medical patients and suggest that cancer patients need more specialized helps in physical pain, independency, spiritual problems, and finally psychological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