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암호화폐의 민사법적 문제

        정진명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98 No.-

        Recently, as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are recognized as investment and payment methods, social interest in cryptocurrencies is increasing. The reason is that cryptocurrency has a strong socio-economic influence as a new concept of goods that was not planned in the existing legal system, and above all, cryptocurrency provides various conveniences to users as a means of investment and payment. However, cryptocurrencies have high price volatility, lack of supply elasticity, and there is also the risk of illegal transactions due to the absence of pseudonymous guarantees and state control for users. Even though cryptocurrencies are exposed to social concerns and transactional problems, there a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the existing legal system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ies. Cryptocurrencies exist independently online, an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y have property status that can be held and used in transactions, and furthermore, investment is possible. However, it is not yet clear how to understand cryptocurrency, what discipline is required for cryptocurrency trading, and whether legal regulation of cryptocurrency is possible. Therefore, the issue of the legal status in civil law, which is the basis of private transactions, has become a key issue in the discussion of cryptocurrencies. In this article, the issues in Civil Law were reviewed with a focus on Bitcoin, a representative cryptocurrency. That is, what is the legal nature of cryptocurrency, what type of contract that uses cryptocurrency as the object of payment is considered, a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ayment implemented in cryptocurrency was reviewed. 최근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가 투자 및 지급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암호화폐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암호화폐가 기존 법체계에서 예정하지 못했던 새로운 개념의 재화로서 사회경제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암호화폐가 투자 및 지급수단으로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크고, 공급 탄력성이 부족하며, 이용자에 대한 가명 보장과 국가 통제의 부재로 인하여 불법 거래의 위험성도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는 사회적 관심과 거래상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음에도 암호화폐의 고유한 특성들로 인하여 기존의 법체계로 이해하고 규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암호화폐는 온라인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를 보유하고 거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투자가 가능한 재산적 지위를 가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암호화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암호화폐 거래에는 어떠한 규율이 필요한지, 그리고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없다. 따라서 사적 거래의 기초가 되는 민법상의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가 암호화폐에 대한 논의의 핵심 쟁점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민사법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즉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암호화폐를 급부의 목적물로 하는 계약 유형을 무엇으로 볼 것인지, 그리고 암호화폐로 이행한 급부의 효력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에서 암호화폐의 법률상 지위에 관한 검토

        이규호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1

        Compared to Korea, in the United States, it is believed that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s not necessarily a large number of arguments. So, in this article, I will introduce what is considered the location of cryptocurrency (especially Bitcoin) in Uniform Commercial Code (UCC).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Bitcoin's position in UCC will be a suitable starting point for analyzing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n the United States. Also, in the United States, a number of arguments have been published on whether intangibles are recognized as properties, unlike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Although this paper cannot introduce all of them, I would like to briefly mention how intangible cryptocurrencies are likely to settle in such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n the United States. In Japan,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ayment of Money in 2016 regulates those who engage in the trading of cryptocurrencies as cryptocurrency exchangers, and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re not subject to major restrictions. This situation seems to be commo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U.S., state and federal laws show examples of introducing new regula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and they are not thought to be deeply involved in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ding, as are regula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in Korea.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targeting cryptocurrency exchangers and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ding are closely linked. For example, the purpose of regulation targeting cryptocurrency exchangers includes protecting the interests of customers who can claim the return of cryptocurrency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On the other hand, if the cryptocurrency exchanger goes bankrupt, what kind of disadvantages these customers will receive, whether the customer has a judicial position to claim the return of the cryptocurrency (the position to exercise the right to redeem the bankruptcy procedure) I think it depends. And even if the cryptocurrency exchanger was managing the cryptocurrency in charge of the customer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money settlement law, etc., if the customer’s right to recover the cryptocurrency is not recognized, there is a limit to the regulation based on the money settlement method, etc. It seems to be inevitable.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protect the interests of customers who entrust cryptocurrencies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unless it is clear in some cases that the right to recover in bankruptcy for cryptocurrencies is established.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미국에서는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주된 검토대상으로 하는 논고의 수가 반드시 많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그러한 논고에서 Uniform Commercial Code(UCC)에서의 암호화폐(특히 비트코인)의 위치를 검토대상으로 한 것을 소개하기로 한다. UCC에 있어서의 비트코인의 위치 소개는 미국에서의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분석할 때의 출발점으로 삼기에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국에서는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와 달리 무체물이 property로서 인정되는지에 대해서는 수많은 논고가 공표되어 있다. 본고는 그 전부를 소개할 수는 없지만, 마찬가지로 무체물인 암호화폐가 그러한 논의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은 미국에서의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둘러싼 최근의 논의를 소개하는 것에 있다. 일본에서는 2016년의 자금결제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의해 암호화폐의 매매 등을 업으로 하는 자를 암호화폐 교환업자로 규제하는 것이며, 암호화폐의 거래의 사법상 측면을 주된 규제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에서도 공통되는 것처럼 생각된다. 미국에서도 주(州)법 및 연방법에서 암호화폐에 관련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는 예가 보이는데, 그것들은 우리나라의 암호화폐 교환업자와 관련된 규제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거래의 사법상 측면에 깊게 개입되어 있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암호화폐 교환업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실효성 확보와 암호화폐 거래의 사법상 측면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교환업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목적에는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암호화폐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고객의 이익 보호가 포함된다. 반면, 암호화폐 교환업자가 파산했을 경우에 이러한 고객이 어떤 불이익을 받을지는 해당 고객이 암호화폐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사법상 지위(파산절차에서의 환취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암호화폐 교환업자가 자금결제법 등의 규정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맡은 암호화폐를 분별 관리하고 있었다고 해도,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고객의 회수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자금결제법 등에 근거한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어떤 경우에 암호화폐에 대해 파산절차에 있어서의 환취권이 성립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는 한,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암호화폐를 맡긴 고객의 이익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KMS 파일 보호를 위한 암호키 교환 프로토콜 설계

        한성화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7 No.11

        많은 기관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파일에 저장하여 공유한다. 특히 중요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암호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암호화된 파일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접근하기 위해서는 암호키 공유가 필요하다. 파일 암호화에 적용된 암호키가 유출되면 중요 정보의 기밀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암호키를 사용하여 중요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암호 기반 KMS 구조와여기서 사용하는 암호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암호 기반 KMS 구조와 암호키 교환 프로토콜을 검증하기 위해 기능을 검증한 결과 목표한 암호키 교환 기능과 이를 사용한 중요 정보의 암복화 기능이 정상 동작하는 것을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암호 기반 KMS 구조와 여기서 사용하는 암호 교환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중요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공유할 것이다. Many organizations store and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files. In particular, file encryption technology is usedto maintain the confidentiality of important information. In order for various stakeholders to access encrypted files,encryption key sharing is required. This is because confidentiality of important information cannot be guaranteed if theencryption key applied to file encryption is leak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 crypto based KMSstructure that can maintain confidentiality of important information by using different crypto keys for each user and acrypto key exchange protocol used her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function to verify the proposed crypto based KMSstructure and crypto key exchange protocol,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ed crypto key exchange function and theencryption/decryption function of important information using it operate normally. Using the crypto based KMS andcrypto key exchange protocol proposed in this study, important information will be safely shared by various users.

      • KCI등재

        암호자산 규제법제 정비를 위한 검토 - 해외 규제사례를 기초로

        안수현 한국경제법학회 2022 경제법연구 Vol.21 No.1

        From June 2020 to November 8, 2021, the number of bills propos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regarding crypto-assets regulation is totally 17. These crypto-asset-related bills are largely divided into (i) enacting a new law focusing on crypto-assets and (ii) amending the current financial law. The latter is (i) amending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and (ii) amendments to the Act on Reporting and Use of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and (iii) amendments to the Capital Market Act. In foreign countries, regulatory approach for crypto-assets, the content of regulations and the level of discipline are not the same. However, what is common is that the issuance regulation, distribution regulation, and unfair transaction regulation are being comprehensively equipped to protect investors and consumers. In United States, from the standpoint of investor protection, federal Securities Act, which regulates disclosures and unfair transaction based on information asymmetry for the investor, is applied to the crypto assets. Derivatives of crypto assets is regulated as a commodity under the Commodity Exchange Act. EU, which is designing a separate regulatory system, is trying to protect users by establishing a regulatory system similar to that of the capital market for crypto assets, through the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MiCA). It is draft that sets out a regime to regulate issuers of crypto-asset and providers of crypto-asset services. MiCA reiterates that crypto-assets that qualify as financial instruments are already subject to the Markets in Financial Instruments Directive (MiFID). Japan also stipulates cryptographic assets as one of the types of securities to which the Financial Instruments and Exchange Act applies, and comprehensively regulates issuance, related businesses, and regulations on unfair transaction practices. The fact that it is fundamentall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that these technologies are approaching general consumers and investors in the form of conventional finance, and the domestic reality that the use rate of the KRW market is high in Korea, and the proportion of crypto assets listed only in Korea is very high.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global regulatory approach that prepares a comprehensive regulatory system in relation to cryptographic asset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other hand, for concerns that comprehensive legal system related to crypto-assets may be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the crypto-asset industry, SEC’s guidelines for judging securities properties or the use of No Action Letters, or the differentiated reqirements according to the tokens type like MiCA could be considered. It will be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by finding flexible application methods. 제21대 국회에서 2020년 6월 이후 2021년 11월 8일까지 국내 암호자산과 관련하여 국회에 상정된 법률안의 수는 모두 17개이다. 이들 암호자산 관련 법안들은 크게 (i) 암호자산에 중점을 두고 단행 법률을 새로 제정하는 방안과 (ii) 현행 법률을 개정하는 안으로 구분되며, 후자는 (i) 전자금융거래법을 개정하는 안과 (ii) 특금법 개정안, 그리고 (iii) 자본시장법을 개정하는 안으로 구분된다. 외국에서도 암호자산에 대한 규제법제 접근과 규제내용 및 규율수위는 같지 않다. 그러나 공통적인 것은 투자자ㆍ소비자보호를 위하여 발행 규제, 유통규제, 업자규제, 불공정거래규제 등 종합적으로 정비되고 있다는 점이다. 투자자보호에 선도적인 미국의 경우 암호자산의 투자자 보호와 관련해 정보비대칭에 기초한 공시규제와 불공정거래 규제를 하는 연방 증권법상의 체계가 암호자산에도 타당하다는 입장에서 증권법상의 증권으로 접근하여 규제하고 암호자산의 파생상품거래에는 상품거래소법상의 상품으로 규율하고 있다. 별도의 규제체계를 설계하고 있는 EU는 암호자산시장규정안을 통해 금융투자상품이 아닌 암호자산에 대하여 자본시장의 규제 체계와 유사한 규제 체계를 구축하여 이용자를 보호하고자 하고 있고 금융상품으로 분류되는 것은 금융상품시장지침(MiFID)에서 규율됨을 명확히하고 있다. 일본 또한 암호자산을 금융상품거래법이 적용되는 증권유형의 하나로 규정하여 발행과 관련업 그리고 불공정거래 행위 규제 등 종합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기술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점, 이러한 기술이 전통적인 금융의 형식으로 일반소비자ㆍ투자자에게 접근하고 있는 점, 그리고 국내처럼 원화마켓 이용율이 높고, 국내에만 상장된 암호자산의 비중이 매우 높은 국내 현실을 고려할 때 암호자산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규율체계를 마련하는 외국의 법제정비는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암호자산과 관련한 종합적인 법제 마련이 암호자산산업의 발전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의 SEC의 증권성 판단지침이나 비조치의견서(No Action Letter)의 활용 내지 유럽의 일반토큰과 중요토큰으로 구분하는 이원적 규율 등 탄력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 암호화폐의 현황과 현대화폐이론(MMT) 관점에서의 비판

        민병길,박원익 경기연구원 2018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등장한 블록체인 기술 기반 암호화폐는 거래의 중개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수평적⋅분권적 거래 질서를 구축할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다른 한편 2017년 하반기부터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에 가격거품이 형성되면서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화폐이론의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잠재력과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현대화폐이론이란 국정화폐이론과 포스트케인스주의 내생화폐이론을 종합한 최신의 대안적 화폐이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암호화폐의 배후에 놓여 있는 블록체인 기술의 주요 특성을 소개한 뒤 거래소 시가총액 기준 상위 5개 주요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라이트코인)의 시장현황을 분석했다. 시계열 분석 결과 2017년 말을 전후로 한 거래소 가격 급등락 국면에서 이들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뚜렷한 가격동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비트코인 이후의 여러 암호화폐가 거래수단으로서의 성능개선을 이뤄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거래수단으로서의 쓰임새에 의해 시장에서 평가받기 보다는 비트코인과 유사한 투기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정황을 보여준다. 이러한 투기 문제 인해 각국에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각종 규제를 강화한 바 있다. 또한 암호화폐는 아직까지 소유, 채굴, 거래에 있어 경제력의 집중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및 국가의 화폐⋅신용 독점을 비판하며 이에 대한 대안을 추구하는 다수의 이용자에게 수용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암호 화폐는 가치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기존의 화폐시스템에 대한 뚜렷한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본 연구의 현대화폐이론(MMT : Modern Monetary Theory) 재해석에 따르면 현대 자본주의 화폐는 기업에 대한 대출 목적으로 은행시스템이 창출하는 신용화폐와 국가가 재정지출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법정화폐가 제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성립한다. 그리고 두 화폐의 제도적 결합은 정치 및 사회적 관계의 산물이다. 현재 암호화폐에 부재한 것은 그와 같은 유기적인 사회적 관계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관계의 부재는 수요에 대한 암호화폐 공급의 극단적인 비탄력성과 그에 따른 투기 및 가격불안정성 문제 등을 불러일으켰다. 이뿐만 아니라 경제력의 집중과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정치적 분열 그리고 각종 사회적 비효율의 문제가 불거졌다. 따라서 암호화폐에 대한 이념적 옹호자의 바람대로 대안적 화폐질서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에 입각한 기술적 변화뿐만 아니라 현재의 화폐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변화 및 이에 입각한 사회적 신용제도(지역화폐, 타임뱅크, 자산기반준비제도, 방코르 등)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이러한 사회적 신용의 구체적 사례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 놓는다. The block-chain based cryptocurrency that emerg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by show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decentralized trading order that does not require intermediari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half of 2017,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y due to the formation of price bubbles in the cryptocurrency including bitcoin.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cryptocurrency in terms of the Modern Money Theory(MMT). Here, The MMT is the latest alternative money theory that combines the State Theory of Money and the Post-Keynesian endogenous money theory. This study introduc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behind the cryptocurrency and then analyzes the market status of the top five major cryptocurrencies(bitcoin, etherium, ripple, bitcoin cash, and litecoin).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se cryptocurrencies showed a price synchronicity around the bitcoin before and after the price shake. This shows that even though the various types of cryptocurrencies after the bitcoin have improved their performance as means of trading, they have been mainly used as speculative means similar to bitcoin rather than being used as a means of trading. Due to this speculation problem, many countries have tightened their regulations on cryptocurrency.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cryptocurrency still shows the problem of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possession, mining and trading. Cryptocurrency has been widely accepted by users who criticized banks and monetary authority for their monoploy on money and credit. However, to date, cryptocurrency has not become a clear alternative to the existing monetary system due to its instability of value. According to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MT of this study, the modern capitalist currency is formed by the systematic combination of the credit money created by the bank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lending to firms and the fiat money issued by the state for fiscal expenditure purposes. And also the institutional combination of two currencies is the product of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Such organic social relationship is absent in cryptocurrency nowadays. The absence of such a relationship has led to extreme inelasticity of the supply in cryptocurrency and hence caused speculation and price inst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pursue alternative monetary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ical advocate of cryptocurrency, not only the technical advance based on the block chain but also the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at can replace the current monetary system and a new social credit system(regional money, time bank, asset-based reserve requirement, bancor, etc.) is needed. The study on specific examples of social credit and development plan is left as a future task.

      • KCI등재

        암호화자산 거래와 제도화 방안

        고동원 한국상사판례학회 2018 상사판례연구 Vol.31 No.4

        Bitcoin, Ethereum and Ripple, which are called as ‘virtual currency’ or ‘crypto currency,’ are attracting our attention in that the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payment instrument, in particular, for overseas remittance worldwide. However, they are also causing concerns in that speculation investment is taking place and they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money laundering.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ose issues on such virtual currency trading; first, whether a terminology of virtual currency or crypto currency is appropriate; and second, whether a special law for regulating such trading is needed. For the first issue, this article argues that a terminology of a “crypto asset” is more appropriate in that it can represent the nature of Bitcoins and others, and the term of ‘currency’ only refers to a currency issued by a central bank. In addition, Bitcoins do not satisfy the definition of ‘currency’ in that they do not function as a complete medium of exchange, stock of value, and measure of value because they show high volatility. Furthe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rading of crypto assets should be formally and legally permitted by enacting a new special law in order to protect investors, and to prevent crypto assets being used for money laundering, although the Koran government has strong position against the legislation. Finally, the Bank of Korea, a central bank in Korea, should focus on research on seeking any possibility of creating a ‘crypto currency’ to be issued by a central bank, which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without using cash or credit cards. 지급수단이나 해외 송금 등으로 쓰이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이 등장하면서 암호화자산(crypto asset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 등은 가상화폐, 가상통화, 암호화폐, 암호통화 등 ‘화폐’ 내지 ‘통화’라고 불리어지면서 우리가 이해하는 화폐나 통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또한 투기적인 거래도 이루어지고 있는 비트코인 등의 거래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 등은 화폐나 통화라기 보다는 금(gold)과 같은 자산이며, ‘암호화’라는 용어가 비트코인 등의 속성을 잘 나타내므로 ‘암호화자산’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타당하고, 암호화자산 거래를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법적 의미에서 보면 우리나라에서 화폐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발행한 화폐, 즉 ‘법정 화폐’인 ‘법화’(法貨)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한국은행법 제47조, 제48조). 그렇다면 한국은행이 발행하지 않은 비트코인 등은 화폐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통화’는 ‘통용력 있는 화폐’라는 의미인데, 이는 결국 법정 화폐인 ‘법화’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화폐와 통화는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런 점에서 통화도 적절한 용어는 아니다. 더욱이 비트코인 등은 일부 지급수단성을 갖고 있지만 완전한 지급수단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 가격 변동성이 심해서 가치 저장이나 가치 척도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도 보면 경제적 의미에서도 화폐 내지 통화로 보기도 어렵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도 ‘암호화자산’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더욱 그러하다. 암호화자산 거래의 제도화에 대해서는 찬반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암호화자산 거래의 기반이 되는 거래정보연결기술(blockchain)의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점,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자금세탁 등 불법 자금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새로운 법률 제정을 통한 제도화가 바람직하다. 암호화자산 논의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앙은행이 보안성이 뛰어나고 결제 편의성이 높은 ‘암호화 법정 화폐’를 발행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한 손해배상책임

        정다영 한국비교사법학회 2023 비교사법 Vol.30 No.1

        암호화폐는 교환가치에 따라 매수․매도하고 실시간 변동하는 시세에 따른 차익․손실을 얻을 수 있다는 점, 가치의 단위를 측정할 수 있고 교환기능 및 가치저장 기능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점 및 일반적인 조세원칙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자산에 해당한다. 이러한 암호화폐의 자산적 성격은 암호화폐의 거래와 관련한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의 전제가 된다. 암호화폐 자체를 대상으로 하거나 암호화폐를 매개로 한 거래는 재산법의 규율영역에 해당한다. 플랫폼에서의 암호화폐 거래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계약법적 관계가 존재하게 된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은 계약 전 단계에서 이용자의 권리․의무와 관련 있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여야 하며, 그에 대한 이용자의 실질적인 동의를 얻어야 한다. 플랫폼의 고의․과실로 인하여 이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플랫폼은 공정한 범위 내에서 이용자에게 배상할 의무가 있는데, 이 경우 이용자의 증명책임이 전환될 여지가 있다. 손해배상의 범위와 방법 및 액수는 플랫폼의 과실 정도 및 이용자의 기여 정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암호화폐의 거래와 관련하여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의 불법행위책임도 인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위반이 불법행위의 징표가 되기도 한다. 소비자보호법령, 개인정보보호법령이나 투자자보호법령 및 행정법령 위반도 민사상 불법행위책임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외국의 판례에서는 암호화폐의 거래와 관련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면서도 특정이행을 인정하지 아니한 사안이 있으나, 암호화폐 자체의 가치가 현존할 경우 특정이행이 불가능하다고 볼 것은 아니다. 또한 배상시점에 이르러 해당 암호화폐의 가치가 하락한 경우 또는 해당 암호화폐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고의 선택에 따라 손해를 입을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배상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암호화폐 거래소 및 관련 당사자의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켜 감으로써, 연관된 다른 법 분야의 연구에서도 법적 체계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동영상 보호를 위한 RC4와 움직임벡터 기반의 선택적 암호화방법

        홍성삼(Sung-Sam Hong),한명묵(Myung-Mook Ha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1 No.1

        멀티미디어 선택적 암호화 방법은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중요한 요소만 선택하여 암호화 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파일 전체를 암호화 하는 방법에 비해 자원소비가 적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동영상을 선택적암호화하는 방법은 영상압축기술과의 관계성 측면에서 압축전, 압축중, 압축후로 분류할 수 있으며, I-frame이나 DCT계수, 헤더정보 등이 암호화에 이용된다. 이러한 선택적 암호화방법은 최근 발전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네트워크환경과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 적합한 정보보호기술이다. 기존의 영상에서의 선택적 암호화 방법들은 알고리즘이 간단하거나 암호화되는 데이터가 너무 적어서 보안성이 떨어지거나 암호화 계산량이 많아 속도가 느리거나 키를 사용하지 않아 암호에 사용된 의사난수테이블에 대한 노출위험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의 보안성을 높이고 계산도 경량화하기 위해 대칭키 암호알고리즘인 RC4를 이용하였다. RC4로 생성되는 의사난수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의 움직임벡터를 선택적 암호화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RC4를 이용하여 키값에 의해 의사난수 테이블이 생성되기 때문에 테이블 데이터에 대한 노출위험을 줄였고, 움직임벡터를 사용한 암호화 방법으로 계산량을 줄이고 암호화 효과를 높였다. 또한 영상 왜곡도가 다른 선택적 암호화 알고리즘들에 높기 때문에 공격자가 중간에 데이터를 갈취하여도 정상적인 영상출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영상을 보호할 수 있다.

      • KCI등재

        암호화폐 범죄에 대한 형사법 적용의 재구성

        김기윤(Kie yoon Kim),유지연(Ji-Yeon Yoo)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1

        본 글에서는 현재의 실정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나 현실 세계에서 이미 자산으로서의 비중이 인정되어 법적인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암호화폐에 관하여 실정법상 그 개념과 형사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암호화폐의 운영체계에 비추어 수사실무와 법적용에 있어서 어떻게 취급되는지 분석하였다. 암호화폐는 금전, 물건, 재산에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취급돼 실무에서 압수 및 몰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민사 분쟁에서는 동산과 같이 취급되어 암호화폐 인도 소송에 대한 판결 선고가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암호화폐 관련 범죄에 관하여 궁극적으로는 앞으로 입법으로 규제의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 당장은 기존의 형사법 체계를 적용하여야 하는데 있어서 가능한 법률이 어떤 것이 있는지와 이 법률들을 암호화폐 범죄에 적용하려면 어떤 고려 사항이 있는지를 본 글에서는 분석하였다. 현재 암호화폐 범죄에 적용하는 법률은 대표적으로 형법상 사기, 이에 대한 가중처벌 조항인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사기),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 법률,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을 들 수 있다. 위 각 실정법이 새로운 기술 분야인 암호화폐에 적용되려면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암호화폐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새로운 신기술이자 현재는 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이 거의 없으나 미래가치에 대한 투자상품으로서의 가치로 그 거래량과 거래가가 결정되는 특이한 분야이다. 따라서 사기죄에 있어서 기망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장래에 대한 전망이 달성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는 기망이 될 수 없다. 보다 명확한 사칭이나 허위의 고지가 있어야 하고, 대표적인 판단 기준으로 거래에서 중요한 사실에 대한 허위 고지나 묵비, 백서의 내용, 자금의 사용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유사수신행위법과 방문판매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재화 또는 상품으로서의 실체를 판단하는데 단순한 특정 기간 동안의 시장에서의 거래 사실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개발 주체, 백서에 따른 개발행위, 암호화폐의 기능 등을 종합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암호화폐로 인한 범죄 피해를 방지하는 것과 함께 신기술 분야에 대한 섣부른 형사법적 접근을 지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ork, has been recognized as asset, related crimes have increased rapidly. In order to cope with legal issues regarding this new tech, this article aims to reframe conventional legal terms and criminal laws. Cryptocurrency has common attributes in currency but differ in a form, as it is basically composed of computer code. Thus, we need to discuss whether cryptocurrency may fall within the purview of current statues of laws. Clearly, it is desirable to eventually fill the void in regulations with future legislation regarding cryptocurrency. Not having such legislation, we need to apply the existing laws and theory in the meantime.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have analyzed feasible solution under current criminal laws. In practice, laws that have been applied on cryptocurrency-related-crime are the 「Criminal Act」,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Economic Crimes(Fraud)」,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and 「Act on Door-to-Door Sales Etc」 in the courts. We argue in this article that these laws should be applied reflecting particular attributes in cryptocurrency. Unlike from other forms of conventional asset, price of cryptocurrency fluctuates widely. It reflects future value, rather than intrinsic value. Thus, interpretation of fraud in criminal law should be different in cryptocurrency market. Positive prediction of future price or volume of trade is not enough for deception in fraud. Only if there is material misrepresentation and omissions to solicit investors, this activity falls within deception in fraud. We need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developer, the developing process, white paper and other elements for judging if there is material misrepresentation and omissions. The threshold to decide the applicability of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and 「Act on Door-to-Door Sales Etc」 is the substantiality of cryptocurrency. According to courts’ decision, while cryptocurrency has substantial value in trading market, those laws are not available for conviction. However, we argue that substantiality of cryptocurrency is to be decided comprehensively, not only based on current market status but also future value.

      • KCI등재

        암호화 데이터 상에서 효율적인 질의처리를 위한 주기함수 기반 그룹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

        이현조(Hyunjo Lee),장재우(Jae-Woo C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1 No.3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발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감한 개인정보가 공격자, 특히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노출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아웃소싱에서 개인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아웃소싱하기 이전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기존 대부분의 암호화 기법들은 질의처리시 복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대용량 암호화 데이터 처리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 중 최근 연구로는 Programmable Order-Preserving secure Index Scheme (POPIS) 기법이 존재한다. 이 기법은 암호화된 값들의 순서를 원본 데이터에서의 순서와 동일하게 보존하면서 원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질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POPIS는 순서 및 데이터 빈도에 의해 원본 데이터가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호도 및 질의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주기함수 기반 그룹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 그룹화 및 주기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 시그니처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그룹 간 순서 보존 및 데이터 보호를 보장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데이터 보호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검증한다. Due to advancement in cloud computing technology, the private information of outsourced databases can be exposed by the malicious attackers, i.e., service providers. To resolve the problem, it is important to encrypt the database prior to outsourcing it to service providers. However, most existing data encryption schemes cannot process a query without decrypting the encrypted databases. Moreover, because the amount of the data is large, it takes too much time to decrypt all the data. For this, order-preserving encryption schemes were proposed. One of the recent work is Programmable Order-Preserving secure Index Scheme(POPIS). This scheme hides the original data while keeping the order of the encrypted values the same as that of the original data. So the service provider can process queries without decryption. However, because the encrypted data in POPIS is sorted by certain column values, it is weak to both order matching attacks and count attack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group order preserving data encryption scheme based on periodic functions (GOPES). Our GOPES generates encryption signatures based on data groups and periodic functions. With this, we can preserve the order of each data group and also can guarantee the data privacy. Finally, we show from the performance analysis that the proposed scheme is better in terms of the degree of privacy protection than the existing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