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방 암호장비 유지보수 발전방안 연구

        박승기,유동현,황선호,구한림,류연승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8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IT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에도 불구하고 군의 국방암호장비 정비체계는 지금까지 개선되는 부분이 없이 기존과 같은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암호장비 정비 업무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 며, 이뿐 아니라 국방 정보체계의 거듭된 발전으로 이제는 암호장비 정비체계를 개선하지 않고는 더 이상 암호장비 정비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힘든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방 암호장비 정비시스템을 유지보수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암호 장비 정비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터뷰를 통해 국방 암호장비 유지보수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한 후 변수의 타당도 를 증명하는 연역법을 활용하여 국방 암호장비 정비 업무를 유지보수 전담기관을 통해 해결하고, 암호장비 정비 업무의 효율 성, 전문성,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IT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ilitary’s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has been operating in the same system as the existing system without any improvement until now.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in the maintenance work of cryptographic equipment. In addition, due to the repeated development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it is now difficult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cryptographic equipment without improving the maintenance system of cryptographic equipment. Therefore, in order to convert the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into a maintenance system, this study uses a deductive metho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after select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defense coded equipment maintenance system through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encryption equipment maintenance. Therefore, a plan was proposed to solve the defense code equipment maintenance work through an agency in charge of maintenance and secure the efficiency, expertise, and security of the encryption equipment maintenance work.

      • KCI등재

        암호화폐 범죄에 대한 형사법 적용의 재구성

        김기윤(Kie yoon Kim),유지연(Ji-Yeon Yoo)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1

        본 글에서는 현재의 실정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나 현실 세계에서 이미 자산으로서의 비중이 인정되어 법적인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암호화폐에 관하여 실정법상 그 개념과 형사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암호화폐의 운영체계에 비추어 수사실무와 법적용에 있어서 어떻게 취급되는지 분석하였다. 암호화폐는 금전, 물건, 재산에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취급돼 실무에서 압수 및 몰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민사 분쟁에서는 동산과 같이 취급되어 암호화폐 인도 소송에 대한 판결 선고가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암호화폐 관련 범죄에 관하여 궁극적으로는 앞으로 입법으로 규제의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 당장은 기존의 형사법 체계를 적용하여야 하는데 있어서 가능한 법률이 어떤 것이 있는지와 이 법률들을 암호화폐 범죄에 적용하려면 어떤 고려 사항이 있는지를 본 글에서는 분석하였다. 현재 암호화폐 범죄에 적용하는 법률은 대표적으로 형법상 사기, 이에 대한 가중처벌 조항인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사기),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 법률,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을 들 수 있다. 위 각 실정법이 새로운 기술 분야인 암호화폐에 적용되려면 여러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암호화폐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새로운 신기술이자 현재는 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이 거의 없으나 미래가치에 대한 투자상품으로서의 가치로 그 거래량과 거래가가 결정되는 특이한 분야이다. 따라서 사기죄에 있어서 기망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장래에 대한 전망이 달성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는 기망이 될 수 없다. 보다 명확한 사칭이나 허위의 고지가 있어야 하고, 대표적인 판단 기준으로 거래에서 중요한 사실에 대한 허위 고지나 묵비, 백서의 내용, 자금의 사용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유사수신행위법과 방문판매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재화 또는 상품으로서의 실체를 판단하는데 단순한 특정 기간 동안의 시장에서의 거래 사실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개발 주체, 백서에 따른 개발행위, 암호화폐의 기능 등을 종합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암호화폐로 인한 범죄 피해를 방지하는 것과 함께 신기술 분야에 대한 섣부른 형사법적 접근을 지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ork, has been recognized as asset, related crimes have increased rapidly. In order to cope with legal issues regarding this new tech, this article aims to reframe conventional legal terms and criminal laws. Cryptocurrency has common attributes in currency but differ in a form, as it is basically composed of computer code. Thus, we need to discuss whether cryptocurrency may fall within the purview of current statues of laws. Clearly, it is desirable to eventually fill the void in regulations with future legislation regarding cryptocurrency. Not having such legislation, we need to apply the existing laws and theory in the meantime.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have analyzed feasible solution under current criminal laws. In practice, laws that have been applied on cryptocurrency-related-crime are the 「Criminal Act」,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Economic Crimes(Fraud)」,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and 「Act on Door-to-Door Sales Etc」 in the courts. We argue in this article that these laws should be applied reflecting particular attributes in cryptocurrency. Unlike from other forms of conventional asset, price of cryptocurrency fluctuates widely. It reflects future value, rather than intrinsic value. Thus, interpretation of fraud in criminal law should be different in cryptocurrency market. Positive prediction of future price or volume of trade is not enough for deception in fraud. Only if there is material misrepresentation and omissions to solicit investors, this activity falls within deception in fraud. We need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developer, the developing process, white paper and other elements for judging if there is material misrepresentation and omissions. The threshold to decide the applicability of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and 「Act on Door-to-Door Sales Etc」 is the substantiality of cryptocurrency. According to courts’ decision, while cryptocurrency has substantial value in trading market, those laws are not available for conviction. However, we argue that substantiality of cryptocurrency is to be decided comprehensively, not only based on current market status but also future value.

      • KCI등재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과 규제개선 방안 - 민법상 물건, 금전, 자본시장법상 증권인지 여부 검토

        전우정 한국금융법학회 2019 金融法硏究 Vol.16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al nature of cryptocurrency, whether it is a movable asset, money or securities, and analyzed the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s and its relevant regulatory authorities on cryptocurrency and recent lower Korean Courts’ decisions regarding cryptocurrency, and furthermore compares the definition provisions of cryptocurrency in bills proposed by law mak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Supreme Court Judgment on 30 May 2018 No. 2018Do3619 states that bitcoin is subject to confiscation on the basis that bitcoin is an intangible asset with property value. Cyptocurrency is considered to be a thing according to Article 98 of the Korean Civil Code because it holds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ability and exclusive possession. According to Article 99(2) of the Korean Civil Act, cyptocurrency is a movable asset since it is not a real estate. Cryptocurrency is not a legal tender under the Bank of Korea Act. Cryptocurrency is not money under the civil law because it could hardly be the criteria for measuring value although it is a medium of goods exchange. Cryptocurrency is not securities under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In recent court cases, the cryptocurrency, which has no economic value and is only computational figure and cannot be used in the markets, is mentioned as “fake cryptocurrency” by the Korean Courts. If one sells “fake cryptocurrency” persuading that it has hugh economic value, it constitutes fraud. If one sells “fake cryptocurrency” using the multi-level marketing sales, it constitutes the breach of the ‘Act on Door-to-Door Sales, etc.’ If there is only receiving of money in the name of investment without actually selling a product, it constitutes the breach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initial coin offerings (ICOs) in Korea, while strengthening criminal punishment for fraud, etc. using cryptocurrency by the courts. In order to make the regulation of cryptocurrency transparent and to provid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establish a provision on the definition of cryptocurrency to clearly define the legal nature and the scope of cryptocurrency. The definition of cryptography is required to include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① being used as an intermediary means of exchange or as a means of storing value, ② recording and using in electronic form with the application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③ excluding electronic currency and prepayment means under the Korea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이 논문은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물건인지, 금전인지, 증권인지 분석한 논문이다. 그리고 정부 관계기관의 암호화폐에 대한 방침 및 최근 암호화폐 관련 하급심 판례들을 분석해 보고, 국회에 상정되어 있는 법률안에서 암호화폐의 정의 조항을 비교해 보았다. 비트코인이 몰수의 대상이 된다는 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8도3619 판결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재산이다. 암호화폐는 관리가능성과 배타적 지배가능성이 인정되므로, 민법 제98조의 물건에 해당한다. 그리고 부동산이 아니므로, 민법 제99조 제2항에 따르면 동산이다. 암호화폐는 한국은행법상의 법정화폐는 아니다. 암호화폐는 재화 교환의 매개물에는 해당하나 가치를 측정하는 일반적 기준이 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민사법상 금전이라고 할 수 없다. 암호화폐는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되지 않는다. 최근 판례에는 경제적 가치가 없고 전산상 수치에 불과하여 시중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암호화폐를 “가짜 가상화폐”라고 표현한 것이 다수 있다. 가짜 가상화폐를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망하여 판매하면 사기죄가 성립하고, 다단계 조직을 이용하여 가짜 가상화폐를 판매하면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가 성립한다. 실제로는 상품의 거래 없이 투자금 명목으로 금원의 수입만 있는 경우에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죄가 성립한다. 이렇게 암호화폐를 이용한 사기죄 등에 대한 형사처벌은 강화하되, 국내 ICO는 허용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투명화하고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암호화폐 정의 조항을 신설하여,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 및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암호화폐의 개념정의로는, ① 교환의 매개수단 또는 가치의 저장수단으로 사용, ②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하여 전자적 방법으로 기록·활용, ③ 전자금융거래법상 전자화폐 및 선불전자지급수단 제외의 세 가지 요소가 들어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민사법적 고찰

        정다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9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2 No.2

        Unlike real money, cryptocurrency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P2P networks around the world without the central bank issuing it. In order to obtain cryptocurrency, you can operate a server computer called a digger, buy it in cryptocurrency exchange, or receive cryptocurrency in return for providing goods or services. In a cryptocurrency transaction, the object of the transaction is not the cryptocurrency itself, but the digital address of the cryptocurrency. In the case of interpersonal cryptocurrency transactions, the subject of the transaction is only the private key, and the nature of the transaction itself is just a sales contract. The cryptocurrency exchange keeps cryptocurrency, but it does not have ownership or right of using. Since the exchange has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same or equivalent cryptocurrency to the owners, the exchange and the individual can be considered to have entered into a similar type of storage contract. Cryptocurrency-mediated transaction is a contract of exchange that two parties agree to exchange any property right other than money. When there is a seizure order against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cryptocurrency, a creditor may request the court to issue a collection order or a sale order to order the execution officer to sell such claim in the manner as fixed by the court, in lieu of the collection. However, if an individual does not keep the cryptocurrency in the exchange but merely stores it in a cryptocurrency wallet, the court will seize the movables. 암호화폐는 실물화폐와 달리, 이를 발행하는 중앙은행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P2P 방식으로 분산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암호화폐 거래에서 거래의 대상은 암호화폐 자체가 아니라, 암호화폐의 디지털 주소가 된다. 개인간 암호화폐 거래의 경우 거래의 대상이 암호화폐의 개인키일 뿐, 거래의 성격 자체는 일반적인 매매로 볼 수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개인은 암호화폐의 매매에 필요한 현금이나 암호화폐를 미리 거래소나 전자지갑에 예치하거나 보관한다. 암호화폐를 소지하고 있는 개인과 거래소 간 계약은 물건의 보관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계속적 채권관계를 발생시키지만, 암호화폐 자체를 금전이나 유가증권 기타 물건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임치 유사 계약이라고 할 것이다. 거래소가 다수로부터 다종의 암호화폐를 보관하되 그 소유권을 갖거나 사용하지 아니하고 동종⋅동량의 암호화폐를 반환한다는 점에서 혼장임치계약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암호화폐는 자산으로서의 성격이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를 매개로 한 거래는 교환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교환은 당사자 쌍방이 금전 외의 재산권을 서로 이전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인바, 암호화폐도 금전 외의 재산권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폐의 반환청구권을 압류한 경우, 채권자의 신청에 따라 추심하거나 추심에 갈음하여 법원이 정한 방법으로 그 채권을 매각하도록 집행관에게 명하는 매각명령을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만약 암호화폐를 거래소에 보관하지 않고 단지 개인의 전자지갑에 보관한 경우라면 압류명령을 내리고자 할 때에는 채권이 아니라 동산을 압류하는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국에서 암호화폐의 법률상 지위에 관한 검토

        이규호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1

        Compared to Korea, in the United States, it is believed that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s not necessarily a large number of arguments. So, in this article, I will introduce what is considered the location of cryptocurrency (especially Bitcoin) in Uniform Commercial Code (UCC).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Bitcoin's position in UCC will be a suitable starting point for analyzing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n the United States. Also, in the United States, a number of arguments have been published on whether intangibles are recognized as properties, unlike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Although this paper cannot introduce all of them, I would like to briefly mention how intangible cryptocurrencies are likely to settle in such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the judicial status of cryptocurrency in the United States. In Japan,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ayment of Money in 2016 regulates those who engage in the trading of cryptocurrencies as cryptocurrency exchangers, and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re not subject to major restrictions. This situation seems to be commo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U.S., state and federal laws show examples of introducing new regula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and they are not thought to be deeply involved in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ding, as are regula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in Korea.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targeting cryptocurrency exchangers and the judicial aspects of cryptocurrency trading are closely linked. For example, the purpose of regulation targeting cryptocurrency exchangers includes protecting the interests of customers who can claim the return of cryptocurrency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On the other hand, if the cryptocurrency exchanger goes bankrupt, what kind of disadvantages these customers will receive, whether the customer has a judicial position to claim the return of the cryptocurrency (the position to exercise the right to redeem the bankruptcy procedure) I think it depends. And even if the cryptocurrency exchanger was managing the cryptocurrency in charge of the customer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money settlement law, etc., if the customer’s right to recover the cryptocurrency is not recognized, there is a limit to the regulation based on the money settlement method, etc. It seems to be inevitable.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protect the interests of customers who entrust cryptocurrencies to cryptocurrency exchangers, unless it is clear in some cases that the right to recover in bankruptcy for cryptocurrencies is established.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미국에서는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주된 검토대상으로 하는 논고의 수가 반드시 많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그러한 논고에서 Uniform Commercial Code(UCC)에서의 암호화폐(특히 비트코인)의 위치를 검토대상으로 한 것을 소개하기로 한다. UCC에 있어서의 비트코인의 위치 소개는 미국에서의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분석할 때의 출발점으로 삼기에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국에서는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와 달리 무체물이 property로서 인정되는지에 대해서는 수많은 논고가 공표되어 있다. 본고는 그 전부를 소개할 수는 없지만, 마찬가지로 무체물인 암호화폐가 그러한 논의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은 미국에서의 암호화폐의 사법상 지위를 둘러싼 최근의 논의를 소개하는 것에 있다. 일본에서는 2016년의 자금결제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의해 암호화폐의 매매 등을 업으로 하는 자를 암호화폐 교환업자로 규제하는 것이며, 암호화폐의 거래의 사법상 측면을 주된 규제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에서도 공통되는 것처럼 생각된다. 미국에서도 주(州)법 및 연방법에서 암호화폐에 관련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는 예가 보이는데, 그것들은 우리나라의 암호화폐 교환업자와 관련된 규제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거래의 사법상 측면에 깊게 개입되어 있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암호화폐 교환업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실효성 확보와 암호화폐 거래의 사법상 측면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교환업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목적에는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암호화폐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고객의 이익 보호가 포함된다. 반면, 암호화폐 교환업자가 파산했을 경우에 이러한 고객이 어떤 불이익을 받을지는 해당 고객이 암호화폐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사법상 지위(파산절차에서의 환취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암호화폐 교환업자가 자금결제법 등의 규정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맡은 암호화폐를 분별 관리하고 있었다고 해도,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고객의 회수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자금결제법 등에 근거한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어떤 경우에 암호화폐에 대해 파산절차에 있어서의 환취권이 성립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는 한,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암호화폐를 맡긴 고객의 이익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독일의 암호자산 및 ICO의 감독에 관한 법적 규제

        박웅신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1

        In October 2019, the Bank of Korea dismissed the possibility of issuing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In Korea, there is little need to issue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because the payment infrastructure is advanced and various payment methods are developed. However, in Japan, which has a different economic environment from Korea, the definition of cryptocurrency (crypto asset) was enacted by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ayment of Money in 2016, and regulations in the supervisory laws for cryptocurrency exchangers were introduced. Specifically, for cryptocurrency exchangers, (i) the rules related to minimum capital and net assets, (ii) the obligation to discriminate and manage money and virtual currency deposited by users, (iii)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to users, (iv)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obligations, (v) classification management and external audit obligations of financial statements, etc. were set, and (vi) the supervisor’s right to report or inspect was provided. It also decided to impose obligations on money laundering or donation of terrorist funds. However, an incident occurred in which a cryptocurrency deposited with a cryptocurrency exchanger was leaked. In addition, many cryptocurrency exchanges lacked an internal control system, and reviewed the regulation on the supervisory laws regarding cryptocurr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ICO (Initial Coin Offering) was also reviewed a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be regulated from the viewpoint of investor protection. Afterwards, the cast business of crypto assets was added to the regulation target, and the regulations for repetition were reviewed for profit, and the direction to regulate crypto with the crypto asset exchange business was suggested according to the cryptocurrency. In response, the German supervisory authority is currently in the position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exchange of crypto assets, derivatives, and ICO by appropriat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xisting supervisory laws. There is no move to establish regulations or systems. It is said to be that though there are no accurate statistics on the holders of crypto assets in Germany, about 500,000 to 1 million German citizens have crypto assets, about a quarter of which are aimed at settlement, and for other purposes such as investment. As of April 24, 2017, 13 stores or online stores in Berlin do not recognize crypto assets. Most of the purpose of holding cryptocurrencies is for investment purposes, but there is a warning from BaFin that the liquidity of cryptocurrencies is high and there are problems in terms of investor protection, especially for ICO tokens. Specifically, in the ICO token, ① risk of loss of principal, ② risk of price fluctuation, ③ risk due to the management of secret key, ④ fear of hacking and other abuse, ⑤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etc. From the perspective of, there are many warnings.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opinion that there is no special supervisory regulation on crypto assets and ICOs in Germany and that it is not necessary has come to the fore.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handling of crypto assets and ICOs under supervisory laws in Germany, which are in contrast to our legal counterparts, and examined the causes that differ greatly from the trends in Korean laws. 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types of crypto assets, mainly described with Bitcoin in mind, and ICO with a token type. 작년 2019년 10월 한국은행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 가능성을 일축했다. 우리나라는 지급결제 인프라가 선진적이고 다양한 지급수단이 발달한 상태여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발행할 필요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와 경제환경이 다른 일본에서는 2016년의 자금결제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의해 암호화폐(암호자산)의 정의규정이 법정되어 암호화폐 교환업자에 대한 감독법상의 규제가 도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화폐 교환업자에 대해 (i) 최저자본금·순자산과 관련한 규칙, (ii) 이용자가 예탁한 금전·가상화폐의 분별관리의무, (iii) 이용자에 대한 정보제공의무, (iv) 정보의 안전관리의무, (v) 분별관리와 재무제표의 외부감사의무 등에 대해 정함과 동시에, (vi) 감독당국의 보고징구권이나 검사권 등을 규정했다. 또한 자금세탁이나 테러자금공여에 따른 의무를 부과하기로 했다. 그런데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예탁한 암호화폐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또한 많은 암호화폐 교환업자에게 내부통제체제의 미비가 발각되어 암호화폐에 관한 감독법상의 규제를 재검토함과 동시에 ICO(Initial Coin Offering)에 대해서도 투자자 보호의 관점에서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됨에 따라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후 암호자산의 캐스트디 업무를 규제 대상에 추가하여, 이익상 반복 규제를 재검토하고, 암호화폐에 따라 암호자산 교환업과 함께 암호화에 대해 규제하는 방향이 제시되었다. 이에 대해 독일의 감독당국은 현재 암호자산의 교환이나 파생상품 등 또 ICO에 대해서는 기존의 감독법제의 적절한 해석·적용에 의해 대응 가능하다는 입장에 서 있으며, 암호자산이나 ICO 토큰 등에 대해 새롭게 감독법상의 규정이나 제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은 없다. 독일에서 암호자산의 보유자에 관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약 50만에서 100만명의 독일 국민이 암호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약 4분의 1이 결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는 투자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2017년 4월 24일 시점에 베를린에서는 13개 점포 또는 온라인 상점이 암호자산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암호자산의 보유목적의 대부분은 투자목적이나 암호자산의 유동성이 높고 특히 ICO 토큰에 대해서는 투자자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경고가 BaFin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ICO 토큰에는 ① 원금 상실 리스크, ② 가격 변동 리스크, ③ 비밀키의 관리 등에 따른 리스크, ④ 해킹 기타 남용적 행위의 우려, ⑤ 구조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다는 점 등이 지적되어 투자가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가 많다고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독일에서는 암호자산 및 ICO에 대한 특별한 감독법상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또 그럴 필요도 없다고 하는 견해가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우리와는 대조적인 법적 대응을 하고 있는 독일에서의 암호자산 및 ICO의 감독법상 취급에 대해 개관하고 우리법의 동향과 큰 차이가 있는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암호자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주로 비트코인을 염두에 두고 서술하고 ICO에 대해서는 토큰을 유형화하면서 서술하였다.

      • KCI등재

        완전동형암호 기술의 연구 동향

        정명인(Myoung I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8

        완전동형암호는 암호화된 자료를 복호화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원하는 자료를 검색 및 통계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기반 기술이다. 완전동형암호는 암호화 및 복호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줌으로써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고 통계 처리를 위해 복호화 된 자료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최근 보편화 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개인 정보가 외부의 저장 공간에 저장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완전동형암호가 처음 제안된 70년대 이후 지금까지 효율성과 기능성을 만족시키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본 고에서는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완전동형암호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is a cryptography system in which coded data can be search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without decryption.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has accelerated searching speed by minimizing time spent on encryption and decryption. In addition, it is also known to prevent leakage of any data decoded for statistical reasons. Also, it is expect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which is becoming commercialized. Since the 1970s when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was first introduced, it has been researched to develop the algorithm that satisfy effectiveness and functionality. We will take the reader through a journey of these developments and provide a glimpse of the exciting research directions that lie ahead.

      • KCI등재

        암호통화(cryptocurrency)의 본질과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에 관한 연구

        정경영 한국상사법학회 2018 商事法硏究 Vol.36 No.4

        A cryptocurrency making a hot issue in financial circle is a digital information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which is a kind of a cryptographed digital distributed ledger. Although there came a lot of voices of demanding to regulate the cryptocurrency being used as a speculation tools without any tax and also an instrument of making an illegal transaction anonymously, The cryptocurrency should be regulated on the basis of the lagal nature thereof. An endeavor to research on the legal nature of the cryptocurrency, hence, is neccessry to regulate it correctly and properly. Because a too rigid regulations or ristrictions on the use of cryptocurrency and other utilized forms without knowing the legal nature of it can interfere the development of cryptocurrency, blockchain technology and damage the technology neutrality doctrine. This paper is aiming at studying the function and essence of the cryptocurrency and examining a smart contract that is one of utilized form of the cryptocrurrency. A cryptocurrency seems to have a characteristic of a payment instrument or means for exchange of commodities which is referred from ‘currency’ in the terminology. But such an approach is challenged by the speculative nature of the cryptocurrency as many people invests money in lots of cryptocurrencies to get profit. The challanging opinions argue that a cryptocurrency is just investment object or commodities like golds and it should be taxed on. Examined the fuction of a cryptocurrency, it was created as a payment instrument but it doesn’t have a face value and is rather traded by the market price which is decided by the mechanism of demand and supply of it. But the fact that a cryptocurrency has no face value does not contradict with the nature of payment instrument thereof, as some coins has been traded by far more value than the face value when those currencies are coined just ralely less than other coins. In sum, the cryptocurrency has a legal nature of digital payment instrument but still has a tint of the nature of commodities or investment goods. A Smart Contract is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which means a distributed ledger system. Analysing the concept of a smart contract proposed diversely by many commentators, it can be defined as a computer code(program) supposed to be implemen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contract based on a blockchain technology only after the triggering event which is exercising of the terms by the other party. As shown by The DAO case, the smart contract can create a digital asset and exchange it with cryptocurrency without relating to real world commodities. The legal nature of a smart contract is not a solicitation of offer but a kind of an offer of contract and it can be concluded into a contract in case of meeting an acceptance which means an implementation of a condition or term of a smart contract. As the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a smart contract are at a very starting point, we can not imagine the future of a smart contact, but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a blockchain technology or a cryptocurrency which is represented as Bitcoin or Ether and can influence on civil law and commercial law including corporate law in many ways. 최근 비트코인 가격의 급등락으로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는 암호통화에 관해 규제의 목소리가 높다. 암호통화보다 가상화폐, 가상통화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지만 분산발행의 전자지급수단으로서의 실체에는 암호통화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고 본다. 암호통화거래는 분산원장(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암호통화라는 지급수단(또는 재화)을 사용·매매하는 거래이고, 암호통화를 활용하여 계약의 체결과정을 온라인구조화한 것이 스마트계약이다. 스마트계약 또는 암호통화거래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규제에는 이들 거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암호통화(cryptocurrency)의 재화성(금융투자상품성)과 지급수단성(화폐성)에 관해 논란이 많고, 그 법적 성질에 따라 과세라든가 적용법률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암호통화는 그 용어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지급수단의 일종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통화나 지급수단과 달리 액면가(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 지급수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오히려 암호통화는 급등락하는 거래소의 거래가에 의해 매매되고 있어 재화성이 더욱 돋보인다. 하지만 제한 발행된 주화와 같이 액면가(치)와 다르게 거래되는 통화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거래가에 따라 거래된다는 이유만으로 지급수단성을 부인할 수는 없다. 암호통화는 다른 재화와 같이 다른 용도가 일체 존재하지 않고 지급수단으로 기능을 하기 위해 탄생되었지만 제한공급, 익명성에 의해 시장에서 가수요가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가격이 급등락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볼 때 분산발행되어 일정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전자지급수단인 암호통화의 법적 성질은 재화성(금융투자상품성)을 일부 가지는 전자지급수단으로 볼 수 있다.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은 암호통화와 전자자산(digital asset)을 전제하여 설계자가 정한 일정한 조건이 성취될 경우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 자동적으로 이뤄지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코드)이다. 스마트계약은 기존의 계약 개념과는 다른 계약체결·이행 프로그램으로서, 굳이 전통적 계약 개념에서 그 본질을 규명하면 청약의 의사표시에 유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상대방의 일정한 조건실행행위가 있으면 이는 승낙의 의사표시가 되어 계약이 체결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에 따라 암호통화, 전자자산의 이전이 자동으로 이뤄져 계약의 이행마저 완료된다. 스마트계약의 특성은 계약의 성립보다는 계약의 이행이 자동화되어 있다는 점에 있고 따라서 채무의 이행문제, 채무불이행에 따른 많은 법적 쟁점들이 생겨날 여지가 없게 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은 사법학에 많은 새로운 시사점을 던지고 있으며 이는 민법은 물론 상법 특히 회사법제에도 마찬가지이다. 암호통화나 스마트계약 모두 블록체인기술에 바탕을 둔 제도로서 암호통화나 스마트계약의 본질에 대한 이해 위에서 이들 거래에서 발생한 사회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규제가 논의되어야 한다. 현상적으로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술의 활용을 막는 것은 적절한 규제로 생각되지 않는다.

      • KCI등재

        암호화자산 거래와 제도화 방안

        고동원 한국상사판례학회 2018 상사판례연구 Vol.31 No.4

        Bitcoin, Ethereum and Ripple, which are called as ‘virtual currency’ or ‘crypto currency,’ are attracting our attention in that the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payment instrument, in particular, for overseas remittance worldwide. However, they are also causing concerns in that speculation investment is taking place and they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money laundering.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ose issues on such virtual currency trading; first, whether a terminology of virtual currency or crypto currency is appropriate; and second, whether a special law for regulating such trading is needed. For the first issue, this article argues that a terminology of a “crypto asset” is more appropriate in that it can represent the nature of Bitcoins and others, and the term of ‘currency’ only refers to a currency issued by a central bank. In addition, Bitcoins do not satisfy the definition of ‘currency’ in that they do not function as a complete medium of exchange, stock of value, and measure of value because they show high volatility. Furthe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rading of crypto assets should be formally and legally permitted by enacting a new special law in order to protect investors, and to prevent crypto assets being used for money laundering, although the Koran government has strong position against the legislation. Finally, the Bank of Korea, a central bank in Korea, should focus on research on seeking any possibility of creating a ‘crypto currency’ to be issued by a central bank, which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without using cash or credit cards. 지급수단이나 해외 송금 등으로 쓰이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이 등장하면서 암호화자산(crypto asset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 등은 가상화폐, 가상통화, 암호화폐, 암호통화 등 ‘화폐’ 내지 ‘통화’라고 불리어지면서 우리가 이해하는 화폐나 통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또한 투기적인 거래도 이루어지고 있는 비트코인 등의 거래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 등은 화폐나 통화라기 보다는 금(gold)과 같은 자산이며, ‘암호화’라는 용어가 비트코인 등의 속성을 잘 나타내므로 ‘암호화자산’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타당하고, 암호화자산 거래를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법적 의미에서 보면 우리나라에서 화폐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발행한 화폐, 즉 ‘법정 화폐’인 ‘법화’(法貨)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한국은행법 제47조, 제48조). 그렇다면 한국은행이 발행하지 않은 비트코인 등은 화폐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통화’는 ‘통용력 있는 화폐’라는 의미인데, 이는 결국 법정 화폐인 ‘법화’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화폐와 통화는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런 점에서 통화도 적절한 용어는 아니다. 더욱이 비트코인 등은 일부 지급수단성을 갖고 있지만 완전한 지급수단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 가격 변동성이 심해서 가치 저장이나 가치 척도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도 보면 경제적 의미에서도 화폐 내지 통화로 보기도 어렵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도 ‘암호화자산’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더욱 그러하다. 암호화자산 거래의 제도화에 대해서는 찬반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암호화자산 거래의 기반이 되는 거래정보연결기술(blockchain)의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점,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자금세탁 등 불법 자금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새로운 법률 제정을 통한 제도화가 바람직하다. 암호화자산 논의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앙은행이 보안성이 뛰어나고 결제 편의성이 높은 ‘암호화 법정 화폐’를 발행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암호화 데이터 상에서 효율적인 질의처리를 위한 주기함수 기반 그룹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

        이현조(Hyunjo Lee),장재우(Jae-Woo C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1 No.3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발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감한 개인정보가 공격자, 특히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노출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아웃소싱에서 개인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아웃소싱하기 이전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기존 대부분의 암호화 기법들은 질의처리시 복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대용량 암호화 데이터 처리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 중 최근 연구로는 Programmable Order-Preserving secure Index Scheme (POPIS) 기법이 존재한다. 이 기법은 암호화된 값들의 순서를 원본 데이터에서의 순서와 동일하게 보존하면서 원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질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POPIS는 순서 및 데이터 빈도에 의해 원본 데이터가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호도 및 질의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주기함수 기반 그룹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 그룹화 및 주기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 시그니처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그룹 간 순서 보존 및 데이터 보호를 보장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데이터 보호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검증한다. Due to advancement in cloud computing technology, the private information of outsourced databases can be exposed by the malicious attackers, i.e., service providers. To resolve the problem, it is important to encrypt the database prior to outsourcing it to service providers. However, most existing data encryption schemes cannot process a query without decrypting the encrypted databases. Moreover, because the amount of the data is large, it takes too much time to decrypt all the data. For this, order-preserving encryption schemes were proposed. One of the recent work is Programmable Order-Preserving secure Index Scheme(POPIS). This scheme hides the original data while keeping the order of the encrypted values the same as that of the original data. So the service provider can process queries without decryption. However, because the encrypted data in POPIS is sorted by certain column values, it is weak to both order matching attacks and count attack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group order preserving data encryption scheme based on periodic functions (GOPES). Our GOPES generates encryption signatures based on data groups and periodic functions. With this, we can preserve the order of each data group and also can guarantee the data privacy. Finally, we show from the performance analysis that the proposed scheme is better in terms of the degree of privacy protection than the existing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