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파(α)세대 초등학생의 음악소비 실제 및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김효정,손민정,김다영,김윤정,민송희,박세희,조경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media usage patterns and music consumption in the dail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the alpha gener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Alpha started YouTube about two years earlier than Generation Z.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mobile games and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content and game characters. They preferred subscriptions over algorithms on YouTube. They knew what to watch out for on YouTub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nsumption of the alpha generation, they selected and listened to a variety of music while playing games. They preferred hip-hop rather than Newtro, and they wanted to pursue music in various ways online. As implications of music education, first, digital literacy was formed in them, but excessive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expression of hate should be cautio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flect their online music activities in music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individual music consumption habits so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sic listening through subscriptions and algorithms. Z세대 이후로 디지털 기기와 온라인 소통에 능숙한 알파세대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세대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변화를 이해하고 음악교육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현재 알파세대인 초등학생의 일상에서 미디어 활용 양상과 이에 따른 음악 소비 실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과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알파세대 초등학생 139명과 비교 그룹으로 Z세대 중⋅고등학생 160명이 참여하였고, 이들 중 알파세대 25명과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알파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면에서는 알파세대 응답자가 Z세대보다 약 2년 정도 일찍 미디어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바일 게임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으며 콘텐츠 생산과 캐릭터 공유 등을 통한 자기표현 욕구도 강했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보다는 구독을 선호하였고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디어 사용시간, 시청영상 선별 등에서 주의할 점을 알고 있었다. 사생활 노출에도 주의했다. 이에 따른 알파세대의 음악소비 특징으로 먼저 게임과 음악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게임을 하는 동안 다양한 음악을 선택하여 감상하였다. 뉴트로보다는 힙합을 선호하는 경향도 두드러졌다. 빠르고 중독성 있는 리듬,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힙합을 선호했다. 또한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 활동을 하고자 하였다. 앱창작, 챌린지 등이 그것이다. 음악교육의 시사점으로 첫째, 알파세대 학습자에게서 자정적인 디지털 리터러시가 형성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나 혐오와 방어적 태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알파세대 학습자는 디지털기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적 표현 욕구를 표출하고 싶어 하므로 이를 반영하는 유연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의 선호를 더욱 증폭시키는 구독과 알고리즘 시스템 하에서 제한된 음악적 접촉이나 음악에 대한 선입견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이른 시기부터 개인의 음악소비 습관을 반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알파세대의 금융 서비스 이용 규모 추정 및 시사점

        남상현 한국지급결제학회 2023 지급결제학회지 Vol.15 No.2

        The Alpha generation, born after 2010, is the first generation to grow up in the digital age. They are accustomed to using mobile devices and online platforms, and they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convenience and ease of use. This has led to a growing demand for financial services that are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Alpha generation.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scale of financial service usage by the Alpha generation in South Korea. We used a causal impact model to analyze data on the usage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 methods, internet banking, and other financial servic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Alpha generation accounted for about 23.5% of the total usage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 methods in South Korea. This suggests that the Alpha generation is already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financial sec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inancial industry. First, Financial services that are quick and easy, centered on BaaS, will be emphasized to suit the preferences of the Alpha generation who prefer mobile and fintech platforms. Second, The cashless phenomenon, represented by a cashless society, is also expected to intensify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Third, financial regulators need to take steps to protect the Alpha generation from financial fraud. The Alpha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be vulnerable to cyber fraud, as they may be less familiar with the risks associated with online transactions. MZ세대 이후 알파세대(alpha generation)가 새롭게 등장했다. 국내외 많은 금융기관에서 새롭게 등장한 알파세대를 선점하기 위해서 다양한 유스앱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파세대가 유스앱을 통해 이용하고 있는 지급 서비스 규모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모형은 인과효과(causal impact) 모형이다. 자료는 선불전자지급수단 이용금액, 인터넷뱅킹 자금이체금액, 알파세대 인구규모를 이용하였다. 추정 결과 알파세대가 이용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 이용금액 규모는 약 14조 가량이었으며, 전체 선불전자지급결제수단 이용규모를 23.5%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선불업에서 알파세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알파세대의 경제활동 확대는 금융산업에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핀테크 플랫폼을 선호하는 알파세대의 취향에 맞춰 BaaS를 중심으로 신속하고 간편한 금융 서비스가 강조될 것이다. 사회구조 측면에서도 현금 없는 사회로 대표되는 캐시리스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알파세대는 사이버 사기에 취약할 수 있어 제도적 대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알파세대가 가져올 다양한 변화들이 금융산업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간편한 서비스 등장과 더불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장치 마련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알파(Alpha) 세대 유아의 특징에 대한 조사연구: 사립 유치원 유아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승민,나은선,이평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pha genera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in alpha gener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n alpha generation and preliminary FGI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survey was conducted on 216 kindergarten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consistent response results to the ‘self-centered attitude’ of the alpha generation were found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igh parental dependence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in friendship were confirmed in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earning characteristics, low concentration, high IT utilization ability, and preference were found. In addition, the higher the position or more experience, and teachers who are not homeroom teachers or have children showed relatively more negative perception of the alpha gener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pha generation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to find an implication on the educational polic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pha generation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알파 세대 유아의 특징을 유아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알파 세대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및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사전면담을 통해 알파 세대 유아의 특징을 탐색하기 위한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사립유치원 유아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개인 특성에서는 알파 세대 유아의 자기중심적 태도에 대한 일관된 응답 결과가 나타났으며, 관계 특성에서는 높은부모 의존도 및 교우 관계에 있어서의 다소 부정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학습 특성에서는 낮은 집중력과 높은 IT 활용 능력 및 선호도가 나타났다. 또한, 직책이 높거나 경력이 많을수록, 담임이 아닌 경우 혹은 자녀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는 교사들은 알파 세대유아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맥락에서 알파 세대 유아의 특징을 파악하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추후 알파 세대의 특징을반영한 교육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실태에 따른 또래 문화에 관한 연구—메타버스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준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현재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는 여러 세대가 함께 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MZ세대(밀레니얼 + Z세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MZ세대가 소비 트렌드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알파세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알파세대는 ‘Eight Pockets’ 현상으로 경제적 영향력이 크며, ‘Digital Connected’ 단계로 묘사되며 디지털 기술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들은 ‘디지털 온리’ 세대로, SNS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살며, 세상 사건에 대한 인식이 뛰어나고 미래의 영향력 있는 소비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의 18개월 된 아기가 처음으로 ‘알렉사’라고 말하는 등, 알파세대는 Z세대보다 더 어린 나이에 디지털 기기에 노출되어 그들의 소통 방식이 다르다. 이런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사회학자들은 알파세대의 사고방식과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Z세대가 문제를 혼자 해결하려는 반면, 알파세대는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확률이 높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알파세대의 잘못된 이해는 세대 간 오해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활동의 증가는 세대 간의 온라인 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 간 차이를 이해하고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MZ세대와 알파세대의 또래 문화를 조사하고 정의하려 한다. Currently, South Korea, along with the rest of the world, is home to multipl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which has led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efforts are being made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MZ generation (Millennials + Generation Z) because they have become central to consumption trends. Whil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ongoing, studies on the Alpha generation are relatively lacking. The Alpha generation has significant economic influence, known as the ‘Eight Pockets’ phenomenon, and is closely connected to digital technology, described at the ‘Digital Connected’ stage. They are the ‘digital-only’ generation, constantly connected through social media and other platforms, with a keen awareness of world events and are expected to be influential consumers in the future. In the UK, an 18-month-old baby’s first word being ‘Alexa’ exemplifies how the Alpha generation is exposed to digital devices at a younger age than Generation Z, altering their mode of communication. Sociologists are researching the Alpha generation’s mindset and characteristics, noting that unlike Generation Z, which tends to solve problems alone, the Alpha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seek cooperation in problem-solving. However, misunderstandings about the Alpha generation can lead to misconceptions and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The increase in online activiti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online interactions across generation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and define the peer culture of the MZ and Alpha generation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minimize conflicts.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알파 세대 실용무용 교육프로그램 활용방안 고찰

        석진욱,천성욱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알파 세대를 위한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알파 세대 실용무용 교육프로그램의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알파 세대의 특징과 관심사를 알아보고 현재 알파 세대라 칭하는 초등학생의 교육 중 무용교육을 중심으로 이들 세대의 교육을 전망하였다. 그 결과 과학·정보기술의 발달을 배경으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에서 기존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할 새로운 교육 도구로서 게이미피케이션의 활용과 실용무용이 이들 세대의 흥미를 이끌 핵심 콘텐츠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른 구체적 활용방안으로 숏폼과 AI 기반 댄스콘텐츠를 제시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와 같은 활용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방면의 긍정적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알파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될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a gamification-based practical dance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Generation Alpha.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Generation Alpha, emphasis was placed on the dance education currently offe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in this demographic. Results suggest that gamification stands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tool, capable of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education in an environment transformed by advances i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Moreover, practical dance presents as a compelling core content for this generation. Proposed application methods include short-form and AI-based dance content. Analysis anticipates these methods can provide positive educational outcomes across various facets. This research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Generation Alpha, the leaders of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후보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 연구 - Z세대를 중심으로 -

        박혜숙 ( Park Hye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국제유엔인구기금은 2018년 전세계인구가 75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전 세계 십대 및 청년인구(10세~24세)가 18억 명을 넘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미래 산업의 주요 소비자의 변화가 예고된다. 이렇듯 IT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해외 경험, 부모의 적극적인 보호를 받은 신세대가 성장하여 소비의 주체로 활약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점차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신세대에 대한 분류도 여러 가지로 분석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X세대`, `Y세대`, `Z세대`, `알파(Alpha)세대`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그 중에서도 글로벌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Z세대 라이프 스타일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Z세대는 2000년대 초반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자라난 세대로 유년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신기술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이를 자신의 소비활동에도 적극 활용하는 세대이며 둘째, 개인적이고 독립적이며, 경제적 가치를 우선시하여 이전 세대와는 차별화된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다. 셋째, Z세대는 순간 집중력이 그 어느 세대보다 뛰어나고, 더욱 빠른 시간 안에 더 많은 정보를 소화할 수 있으며 두뇌의 인지를 요하는 문제에 능하며 넷째, 인종, 성별, 종교, 사회, 경제적 지위와 민족성에 대해 가장 편견 없는 세대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Z세대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양한 마케팅전략과 상품기획이 이루어진다면 사회 문화 전반의 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신세대 소비특성에 대한 보고서와 기사자료들은 다양하다고는 하나 전문적인 연구와 분석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Z세대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와 지속적인 특성 파악을 통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Z세대 소비욕구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할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해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estimates that the world`s population will reach up to 7.5 billion by 2018. In particular, the global population of teenagers and youths(10 to 24 years) is expected to exceed 1.8 billion, leading to major consumer changes in future industries. As a result, the new generation, which has undergone dramatic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overseas experience, and active protection of parents, has started to play an active role as a consumer, and its weight i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the name and classification of the new generation may differ somewhat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e aim is to study consumer industries in the global industry and culture as a whole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and lifestyle of the `X generations` and the `Y generations`, who were active in the 90s, along with the `Z generations` and the `α(alpha) generations`, who were the mainstream of the 2000s. In particular, if we look briefly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Z generation, which is the center of consumer culture around the world. First, the Z generation is a generation expos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since childhood along with the IT boom in the early 2000s. Not only are they sensitive to new technologies, but they also use them for consumption activities. Second, the Z generation is personal, independent, and has a different consumption pattern from previous generations, placing economic value first. Third, the Z generation is superior to the generation of instantaneous concentration, and the brain is capable of digesting more information in a shorter period of time, and is good at problems requiring recognition. Fourth, Z gener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biased generation with a new era in which race, gender, religion, socio-economic status and ethnicity are intertwined and identity becomes increasingly blurred. Therefore, i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Z generation an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merchandise planning according to it, it will be helpful to revitalize industry in the overall social culture. Therefore, if the characteristics of Z generation are to be understood an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product planning are to be decided according to it, it will be helpful for revitalizing industry in the overall social culture. However, although the report and article data about the Z generation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re diverse, the professional research and analysis are still insufficient. Especially, in order to grasp the desire for consumption of rapidly changing new generations through various researches and continuous characterization related to the Z generation that will become the subject of future consumption, this research is to be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sinc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reflect this needs are lacking.

      • KCI등재

        알파세대 교육목회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 모색

        이종민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교육목회는 목회의 대상에 따라 그 특징과 전략이 끊임없이 변한다. 효과적인 교육목회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오늘날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세대를 일컬어 “알파 세대”라고 부른다. 이들은 2010년-2024년에 출생한 세대로서, 디지털 원주민, 디지털 온리, 디지털 생비자, 디지털 학습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디지털 격차라는 도전을 극복해야 하는 새로운 세대이다. 한국교회학교는 이러한 세대를 사역의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목회를 운영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해야 하는 시급한 시점에 도달했다. 이러한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교육목회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목회란 실천신학의 한 영역으로 이론적 신학과 세상적 학문을 통합하는 사역의 기본적인 틀임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교육목회의 실천적 영역으로 코칭을 기반으로 한 관계중심의 교육목회 방법, 세대 통합을 통해 신앙경험을 공유하는 유기적 교육과정 설계, 그리고 협력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교사와 교육목회자의 역량 개발에 대한 개연성을 고찰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교육목회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알파 세대 교육목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세가지 요소를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목회의 목적을 재정립하고자 스말로그 교육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따라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아날로그적 감성을 극대화하면서 디지털 스마트 교육기술인 에듀테크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목회의 형태를 제시한다. 둘째. 교육목회의 사역 대상인 알파 세대의 전인적 역량을 확대하고자 지능증폭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이론을 활용하여 교육목회의 학습자인 알파 세대에 대한 인식의 틀을 기존의 학습자 이해와 비교하여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제시한다. 셋째, 교육목회가 실천되는 학습의 장인 예배와 교육 그리고 봉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어포던스 개념을 도입하고, 그 이론을 활용하여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 그리고 기능적 어포던스를 교육목회의 교육환경에 입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육전략들을 알아본다. 이상과 같은 설계 방향을 활용하여 디지털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알파 세대가 사역의 주체가 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실천함으로써 신앙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교육목회 환경을 구성하고자 한다. Edcuational ministry mus constanly change its charcateristics and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arget of the ministry, In order to operate an effective educational ministry,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cuactional target, The new generation that is emerging today is called the Alpha Generation. This is the generation born between 2010 and 2024. Alpha gener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natives, digital only, digital living visas, and digital learners, and at the same time must overcome the challenge of the digital divide. Korean church schools have reached an urgent point where they need to redesign their curriculum to operat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ministry targeting this generation. In order to properly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functional role of educational ministry. first of all, it is introduced that educational ministry is an area of ​​practical theology and the basic framework of ministry that integrates theoretical theology and worldly studies. Next, the feasibility of educational ministry was examined in the practical area in terms of a relationship-centered educational ministry method based on coaching, an organic curriculum design that shares religious experiences through generational integration, and a plan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teachers and educational pastors within a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ree elemen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curriculum design to efficiently operate Alpha Generation educational ministry based o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inistry. First, in order to redefine the purpose of educational ministry, the concept of Smalog education was introduced, educational goals were set accordingly, and various forms of educational ministry using edtech were presented while maximizing analog sensibilities. Second, in order to expand the holistic capabilities of the Alpha Generation, the concept of intelligence amplification was introduced, and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framework of recognition for the Alpha Generation as a new learn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was presented as an expaned concept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learners. Third,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operate worship, education, and service, which are the places of learning where educational ministry is practiced, the concept of affordance was introduced, and using this theory, educational strategies was presented to three-dimensionally apply sensory, physical, cognitive, and functional affordances to the educational envirionment of educational ministry. Using the above design directions, we attempted to create an educational ministry environment where the alpha generation living in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an continue the tradition of faith by designing and practicing a curriculum in which the alpha generation becomes the subject of ministry.

      • KCI등재

        알파세대의 독서특징에 따른 메타버스 그림책 발전전략 분석 연구

        MengYao Wang,한석원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8

        2020년 COVID-19 팬데믹 현상으로 인해 언택트(Untact) 환경이 사회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메타버스 배경에서 어린이 그림책은 점차 전통적인 종이 매체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이동 단말기로 전환되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그림책은 시각적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현실 세계와 증강 현실 세계의 경험을 풍부하게 한다. 인공지능 시대 2010년 이후 출생한 '디지털 원주민'인 알파세대는 자연스럽게 메타버스 환경에 적응하면서, 이들의 디지털 사용 환경, 생활 패턴, 독서 습관 등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배경에서 그림책의 변화와 발전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알파세대 어린이의 특성, 독서 특성 및 메타버스 그림책의 구성 요소, 시각적 내러티브, 상호작용성을 초점으로 초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 그림책 대표 사례 연구를 통해 그들의 관심사와 흥미, 심리적 성향을 반영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그림책 확대를 도모하였다. 연구 결과, 알파세대 메타버스 기반 그림책에 대한 다중 감각과 몰입형 경험을 통해 현실 공간에서는 불가능한 참신한 창작, 시각화 및 체험 방식을 실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알파세대 새로운 그림책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알파세대의 메타버스 그림책 교육이 미래 교육의 새로운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has established the untact environment as a crucial element of society, thereby accelerating the advancement of metaverse technology. Within the metaverse context, children's picture books are progressively transitioning from traditional paper formats to digital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Picture books that leverage new media technologies provide visual information and various forms of interaction, including auditory and tactile experiences, thereby enriching the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an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The Alpha generation, born after 2010 and regarded as "digital native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naturally adapting to the metaverse environment, leading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digital usage patterns, lifestyle habits, and reading behaviors.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picture books within the metaverse framework,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lpha generation children, their reading habits, and the elements of metaverse picture books, such as visual narratives and interactivity. Furthermore, through case studies of representative metaverse picture books, this research seeks to promote the expansion of metaverse-based picture books that align with interests, curiosities, and psychological tendenc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taverse-based picture books for the Alpha generation enable novel forms of creation, visualization, and immersive experiences that are impossible in the physical wor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new directions for designing picture books for the Alpha generation and anticipates that metaverse picture book education will emerge as a new domain in future educational practices.

      • KCI등재

        생성 AI시대 알파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영향과 돌봄을 위한 목회상담적 접근

        송준용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본 연구는 생성 AI시대 알파 세대가 겪게 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긍정적 영향 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으로 인한 심리적 갈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심리적 유연성을 경험하기 위한 치료적 접근과 돌봄을 위한 목회상담적 접근을 다루고 있다. 디지털 원주민이라는 알파 세대의 경우 많은 우려를 낳게 되며 차츰 공동체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소통의 부재로 인한 어려운 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알파 세대들이 경험하는 관계에서 오는 부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파 세대들이 불안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심리적 갈등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는 마음을 갖게하기 위해서 Bandura는 자기효능감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하는 의미에서 스티븐 C. 헤이즈의 수용전념치료에 의해 개인의 가치와 일치하는 행동을 촉진하는 핵심 개념으로 ‘심리적 유연성’을 고찰하였다. 이는 하워드클라인벨(Howard J. Clinebell)이 말한 성장은 ‘돌봄과 맞섬’, ‘돌봄과 대면’이라는 주장과 일치하며, 심리적 유연성은 당면한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 마음 자세를 갖게 함은 물론 자기효능감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온전한 자아상의 “회복”을 위한 목적을 갖게 된다. 이에 맞게 심리적 돌봄을 위한 목회상담가로서, 다름을 인정하는 다양성을 가진 목회자기상(Self-image)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위해서 Campbell의 세가지 유형에서의 돌봄과 목회상담적 접근으로 첫째, 공동체성 회복 둘째, 자아정체성 회복 셋째, 관계성 회복 넷째, 영적회복을 위한 목회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psychological conflicts caused by positive effects as well as negativ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experienced by the alpha generation in the generation of AI, and a therapeutic approach for caring. In the case of the alpha generation of digital natives, there is a lot of concern, and difficult relationships are gradually emerging due to the conflict and lack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in the community. Maladjustment from the relationship experienced by the alpha generation affects the formation of self-esteem and self-identity. Bandura saw that self-efficacy was necessary in order for the alpha generation to overcome anxiety and stress and to have a mind to face without avoiding psychological conflict.Therefore, this researcher considered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 core concept that promotes behavior consistent with individual values by Stephen C. Haze’s acceptance transfer therapy in the sense of accepting the problem rather than avoiding it. This is because the growth described by Howard J. Clinebell is consistent with the arguments of ‘caring and face-to-face’,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not only gives you an attitude of mind to respond without avoiding the problem at hand, but also gives you a sense of self-efficacy. This eventually has the purpose of “recovery” of the full self. Accordingly, as a pastoral counselor for psychological care, it was considered that a pastor’s self-image with diversity that recognizes differences was necessary. To this end, we tried to discuss the pastoral implications for spiritual recovery, first, community recovery, second, self-identity recovery, third, relationship recovery, and fourth.

      • KCI등재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윤미연(Mi Yeon Yoon),이지혜(Ji Hye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COVID-19 바이러스의 국제적인 확산으로 인해 언텍트를 기반으로 한 가상전시 형태가 박물관과 미술관에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신소비자 세대로 등극한 알파세대가 메타버스형 전시를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전시공간에서 행동유도를 바탕으로 한 어포던스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 국립 박물관과 국·공립 미술관을 전수 조사하여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의 활용 유무 및 방식을 파악하였다. 이후 하슨(Hartson.H.R)의 어포던스 개념에 의거하여 알파세대를 고려한 어포던스 항목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서 조사한 사례들을 어포던스 항목별 분석조건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체 가상전시에서 메타버스형 전시는 기능적 어포던스는 대부분 충족이 되었으나 물리적, 감각적 어포던스에서 알파세대가 원활히 사용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단일 매체에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알파세대의 관점에서 메타버스형 전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어포던스를 파악하고 그들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를 원활히 경험할 수 있는 행동유도성에 대해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ue to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virus, virtual exhibitions based on untact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order for the alpha generation as a new consumers to use metaverse exhibitions smoothly and effectively, adequate affordances based on behavior guidance should be provided in metaverse exhibition spaces, but research on this topic is lacking. In this study, all national museums and public art galleries in Korea were surveyed, and each affordanc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analysis conditions for the alpha generation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ffordances by Hartson. As a result, while functional affordances were mostly met in virtual exhibition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physical and sensory affordances that could hinder the smooth use of metaverse exhibitions by the alpha generation, especially considering the lack of supply compared to demand. In addition, limitations were found due to the fact that it was conducted on a single medi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s affordances to metaverse exhibition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lpha generation and proposes behavior guidance that they can use smooth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