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토니우스의 생애』에 나타난 안토니우스의 영들의 분별 : 영적 성숙의 동선을 따라

        최승기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고는 『안토니우스의 생애』가 담고 있는 안토니우스의 영들의 분별 원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안토니우스의 영들의 분별 원리는 그의 영적 성숙의 여정을 따라 역동적으로 조사되어야 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 『안토니우스의 생애』가 비록 악한 영의 가시성 여부에 대해 안토니우스의 「서간」과 다른 입장을 취하지만, 아타나시우스가 그린 안토니우스의 모습이 지닌 역사적 진정성은 훼손되지 않는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목적지로 삼은 안토니우스의 영적 성숙의 여정은 더욱 강화된 고독을 위해 이동한 그의 네 거처로 구성된다. 이곳들은 악한 영과 각각의 고유한 싸움이 벌어진 곳이며, 중요한 영적 진보의 순간들이며,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수용하여 온전히 그리스도처럼 변화되는 공간이다. 안토니우스는 영적 성숙의 첫 단계에서 염려와 애착을 자극하는 생각(logismoi), 몸에 성욕을 자극, 가시적 출현을 통한 악한 영의 공격을 받는다. 둘째 단계에서 악한 영의 주공격은 맹수의 환영 출현, 떼로 몰려옴, 육체적 폭행, 더욱 중요하게는 안토니우스가 느끼는 하나님의 부재의식으로 행해진다. 셋째 단계에서 악한 영은 광명의 천사의 탈을 쓰고 유혹한다. 넷째 단계에서 악한 영은 반인반수의 모습으로 출현하여 안토니우스를 희롱한다. 이 짐승은 동쪽 사막의 주(lord)로 추앙받는 이집트의 신인 민(Min)으로 추정된다. 안토니우스는 영적 성숙의 각 단계에 행해진 악한 영의 공격을 물리치는 처방을 제시한다. 특별히 넷째 단계에서 안토니우스는 십자성호를 그으며 “나는 그리스도의 종이다”라고 외침으로써 그 짐승을 패퇴시킨다. 이것이 안토니우스가 그리스도의 종으로서 악령들과의 싸움에서 거둔 최후의 승리이다. 안토니우스의 승리는 그를 통한 그리스도의 승리이다. 결국 안토니우스는 하나님의 은혜로 영들을 분별하는 은사를 파지하여 수도승과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돕는 영적 사부가 된다. 그는 그리스도처럼 되어감의 영적 여정을 걸어가고 있는 오늘의 그리스도인들도 영들의 분별이란 영적 여정의 핵심으로 초대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ntony’s rules for the discernment of spirits, which are contained in the Vita Antonii. His rules for the discernment of spirits must be dynamically investigated along the journey of his spiritual maturity to be understood. Although Vita Antonii and Antony’s Letters disagree on the visibility of evil spirits,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Antony’ image drawn by Athanasius in the Vita Antonii is not undermined. Antony’s journey of spiritual maturity, with the destination of unity with Christ, consists of his four dwellings where he has moved for further intensified solitude. The places are where he has waged spiritual battles against the evil spirits respectively, are significant moments of his spiritual progress, and are spaces that he has fully accepted Christ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Christ-likeness. In the first stage of spiritual maturity, Antony is attacked by evil spirits through thoughts (logismoi) that stimulate anxiety and attachment, stimulation of sexual desire in the body, and visible appearance. In the second stage, the attacks of the evil spirit are carried out by the appearance of the illusion of wild beasts, their flocking, physical assault, and more importantly, Antony’s feeling like the absence of God. In the third stage, the evil spirit wears and seduces the mask of the angel of light. In the fourth stage, the evil spirit emerges in the form of a satyr-like beast and ridicules Antony. It is believed to be Min, the Egyptian lord of the East Desert. Antony presents a prescription to defeat the evil spirit attacks done at each stage of spiritual maturity. Especially in the fourth stage, Antony draws the cross and repels the beast by shouting, "I am the servant of Christ.” That is Antony’s final victory in the fight against evil spirits as a servant of Christ. Antony's victory is Christ's victory through him. Eventually, Antony attains the gift of discerning the spirits by the grace of God, becoming a spiritual master to help the monk and all Christians. He invites today’s Christians, who are walking on the spiritual journey of becoming like Christ, to the discernment of spirits which is the heart of the spiritual journey.

      • KCI등재

        『안토니의 생애』와 『파코미우스의 생애』속 정치적 요소에 대한 해석

        권진구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1 No.-

        This study finds political themes in the life of St. Anthony and St. Pachomius and interprets the meanings of the political themes in the monastic movement. The first chapter studies “Life of Anthony” and its writer Athanasius and analyzes the political elements in the life of Anthony and Athanasiu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explores the life of Pachomius and his monastic federation and examines the political motives in it. The third par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hanasius and the Pachomian federation. In the last chapter, the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political motives in the monastic movement and Christian spirituality.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hat Christian spirituality interacts with politics and that political form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s a part of Christian formation and spiritual formation. 본 연구는 안토니우스와 파코미우스의 삶에서 정치적 요소들을 분석해 초기 수도원 운동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해석을 시도하고,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정치적 요소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본문 제1장은 『안토니의 생애』속 정치적 요소를 해석하고 저자인 아타나시우스의 삶에 발견되는 정치적 요인과의 관계 밝힌다. 제2장은 파코미우스와 그의 수도원 연합과 관련된 정치적 요소를 찾아 해석을 시도한다. 제3장은 아타나시우스와 파코미우스 수도원 연합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결론에서는 안토니우스와 파코미우스의 삶에서 발견되는 정치적 동기가 수도원 운동에 대해 갖는 의미를 논하고, 정치적 동기를 논하는 것이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어떤 함의가 있는지 고찰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은 정치와 상호작용하며, 영성 형성을 포함한 기독교 형성에 정치적 형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기원전 33년의 공공서비스 사업과 옥타비아누스(Octavianus)의 문화정치

        김경현 ( Kim Kyunghyu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3 서양고대사연구 Vol.3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그리파(Agrippa)가 기원전 33년에 추진했던 공공서비스 사업 및 선심성 선물공세에 드리워져 있던 옥타비아누스(Octavianus)의 문화정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옥타비아누스가 아그리파를 대신 내세운 정치적 의도는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옥타비아누스가 기존의 건축사업과 성격이 다른 공공 토목 공사와 엄청난 규모의 선물공세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옥타비아누스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를 권력 기반으로 삼고 있는 안토니우스에 대적해서 이탈리아와 로마를 보호하고 최종적으로 승리하기 위해서 수도 로마의 위상을 고양시켜야만 했다. 하지만 무계획적인 도시의 수준을 탈피하지 못한 로마에서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옥타비아누스는 그 해결책을 문화정치에서 찾았다. 사실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의 권력을 고양시키기 위해 자신과 아폴로 및 로물루스의 관련성을 계속 부각시켜왔다. 때문에 아폴로의 치유 및 정화의 능력 그리고 아버지 로물루스의 이미지가 바로 공공 서비스 사업과 선물공세의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즉 사업의 청사진은 공익의 차원에서 로마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시켜 시민의 호의를 얻겠다는 정치적 계산에서 제시된 것이 결코 아니었다. 또한 옥타비아누스는 마지막까지 치밀함을 잃지 않았다. 공화정 부활의 약속을 잊지 않았음을 보여주듯이 그 대규모 정책을 자신의 이름으로 주도하지 않고 아그리파를 대리인으로 내세우는 결단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악티움 해전 발발 직전의 정치적 갈등과 긴장을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그것은 옥타비아누스가 귀족과 시민에게 보내는 정치적 메시지이기도 했다. 최측근이자 충실한 조력자인 아그리파를 내세워 공공서비스 사업을 추진하게 함으로써, 옥타비아누스는 동료 귀족들을 자극하지 않으려 주의하면서도, 결국 사업의 최종결정권자는 자신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아그리파를 아이딜리스로 선출한 것도 그가 대리인이고 최종결정권은 자신에게 있음을 재차 강조하기 위함이다. 안토니우스와의 대립으로 나타났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정했던 기원전 33년의 공공 서비스사업과 선물공세 그리고 대리인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법은 이후 아우구스투스 정부에서 수행했던 사업들의 전례가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Octavian’s cultural politics hidden behind the public service project and massive gifts promoted by Agrippa in 33 B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look into why Octavian used Agrippa instead of doing it himself. Then it will discuss why Octavian selected the above mean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ormer building projects. Octavian wanted to protect Italy and Rome and in the long run, lead a victory against Antony, whose power was rooted in Alexandria of Egypt. For this, he needed to uplift the status of Rome. However, as Rome was still a haphazard city, this seemed impossible. Octavian found the answer in cultural politics. As a matter of fact, Octavian highlighted his relation to Apollo and Romulus in order to exalt his power. The healing and purifying powers of Apollo, and the image of Romulus as a father was the blueprint of the public service project and the massive gifts. In other words, such a blueprint was not the result of a political move seeking to gain public popularity by enhancing the environment of Rome for public good. Also, Octavian was subtle to the last moment. So that it would show that he did not forget his promise to resurrect the Republic, he did not lead these blockbuster policies himself. Instead, he made Agrippa represent him. This shows us the political feud and tension before the breaking out of the Battle of Actium. In addition, it was a political message to the republican nobles and the citizens. By making Agrippa, a close attendant and a loyal assistant, take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service project, it can be said that Octavian took care not to arouse his fellow aristocrats but at the same time made it clear that he was in charge. Electing Agrippa as an aedile was an another way of showing that he was a proxy and that Octavian was in charge. Such means used by Octavian in 33 BC - the public service project and massive gifts and conducting these through a proxy -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flict against Antonius became a precedent for Augustan’s government later on.

      • KCI등재

        『사막 교부들의 금언집』 5권 ‘암마 사라’의 이야기와 『안토니우스의 생애』 ‘첫 싸움’ 이야기의 문헌 분석

        정환규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9 가톨릭신학 Vol.0 No.35

        Problems related with Sexuality has always been with us throughout the history. But many sexual scandals rising inside the Church nowadays gives serious damage to the Church. In this context, the Saints who fought bravely against sexual seduction, enlightens us with great example. Among the many stories of many Saints who made their triumph over the Sexual seduction,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Vita Antonii and Apophthegmata Patrum, specially focused on the ‘First struggle’ of the Vita and the story of ‘Amma Sarah’ of the Apophthegmata. The contents of the ‘First struggle’ of the Vita is inherited and developed in the Chapter 5 of the Apophthegmata, and the Amma Sarah’s seduction story is the most important among many stories. Despite the sexual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the story of Sarah shows remarkable connections with the Anthony’s seduction story. Not only with the likeness of words, and structure between the two, the devil, who appeared with the Physical Body and admits its defeat, Sarah’s last words that faithfully follows the meaning of the Holy Scripture of the ‘First struggle’ of the Vita, the Sarah’s story certainly success the ‘First struggle’ of the Vita. Through the two stories, we can understand that the Sexual seduction applies to all, regardless of sex, with the help of Christ, we can overcome the seduction. Today, sexual scandals seriously threats the Church, but the great example of the Saints gives us strength to overcome the seduction. No matter what kind of seduction approaches, it is never undefeatable, but one must remember that we can overcome with the help of the Christ. 성적인 문제는 어느 시대에나 있어왔지만, 특히 오늘날 교회 안에 여러 성적 추문들은 우리에게 큰 아픔을 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성적인 유혹에 맞서 훌륭하게 맞서 싸운 성인들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본고에서는 성적 유혹을 이겨나간 여러 성인들의 이야기 중에서, 『안토니우스의 생애』와 『사막 교부들의 금언집』을 분석하되, 특별히 『생애』의 ‘첫 싸움’ 부분과 『금언집』의 ‘암마 사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생애』에 나타났던 ‘첫 싸움’의 내용은 『금언집』 5장에서 다양하게 계승되어 전개되는데, 무엇보다 암마 사라의 유혹 이야기가 중요하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주인공의 성 차이에도 불구하고, 사라의 이야기는 안토니오의 유혹 이야기와 놀라울 정도로 연결점을 가진다. 단어, 구조의 유사성 뿐 아니라, 육체를 가지고 나타나 패배를 시인하는 악마의 모습, 안토니오의 ‘첫 싸움’의 성경 구절의 뜻을 충실히 따르는 사라의 마지막 말까지, 다른 어떤 이야기들보다도 『생애』의 ‘첫 싸움’을 확실하게 계승하고 있다. 우리는 두 이야기를 통해서 유혹이 성별을 떠나 누구에게나 해당되지만, 그리스도의 도움으로 이러한 유혹을 이겨 나갈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성적 일탈의 문제가 교회 안에 큰 슬픔으로 다가오고 있는 오늘날 상황에서 이런 교부들의 모습은 우리에게도 유혹을 극복할 힘이 된다. 어떤 유혹이 다가오더라도, 그 유혹은 결코 이길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극복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통’의 장에서 ‘규탄’의 장이 된 로마원로원 - 키케로의 「필리피카 1,2」를 중심으로

        김덕수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2 No.-

        In the Republican era, the Roman Senate was a consultative body for Consuls, but it was one of the pillars of the Roman Republic, as 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 the Senate and the Roman People) said. In particular, Rome was able to expand beyond the Italian peninsula to the Mediterranean world by adjust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nobility and the common people, through its status struggle, and by achieving legal and political equality. In the process, the Senate served as a forum for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of all public matters. However, the long war and the collapse of small and medium-sized farmers brought about the Gracchi reforms, but which failed to solve the problem due to the resistance of vested interests in the Roman Senate. Eventually, th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Senate were undermined, and the Senate became the political arena for condemning and punishing political enemies. In this situation, in 63 B.C., Cicero had already succeeded in eliminating Catilina by making speeches and military actions that uncovered the treasonous plot of the Catiline’s in the Senate. After Caesar’s assassination in 44 B.C., Cicero published a series of 14 speeches condemning Mark Antony in 44 and 43 BC., titled the Philippicae or Philippics. This paper covers 1st Philippic and 2nd Philippic. Through them, I think, Cicero wanted to eliminate Antony who surpasses in his political ambition even Lucius Sergius Catilina and Publius Clodius Pulcher, and restore again the freedom of the Republican Senate, the symbol of the Roman Republic. 공화정시대에 원로원은 콘술의 자문 기관이었지만 ‘원로원과 로마인민’(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이 말하듯이 로마공화정의 한 축이었다. 특히 로마가 신분투쟁을 통해 귀족과 평민의 갈등을 조정하고 법적, 정치적 평등을 달성하면서 로마는 이탈리아 반도를 넘어 지중해 세계로 팽창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원로원은 모든 공적 문제의 토론과 소통의 장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오랜 기간의 전쟁, 소수의 지배자들의 공유지독점으로 인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 자영농의 몰락하는 듯 위기가도래했고,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이 제시되었지만 기득권 수호세력의 보루가 된 원로원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결국 원로원의 권위와 위상은훼손되었고, 원로원은 정적을 규탄하고 응징하는 정쟁의 장이 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 기원전 63년 콘술로서 원로원에서 카틸리나 일파의 반역음모를 적발하는 연설과 군사행동으로 카틸리나 세력을 제거해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는데 성공했던 키케로는 기원전 44년 3월 독재관 카이사르가 살해된 뒤에 제2의 카이사르가 되어 국정농단을 이어가는 안토니우스를 규탄하는 14차례의 연설을 이어갔다.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에 대항해서 연설을 데모스테네스의 필리피카 연설과 궤를 같이 한다 해서 ‘필리피카이’라고 명명된 키케로의 연설은 로마공화정의 상징인 원로원의 자유를 회복하려는 공화파의 대부 키케로의 마지막 노력이었다. 본 논문은 필리피카 1, 2권을 중심으로 공화정기에 공적 문제의 소통의장이었던 원로원이 정치적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한 채 제2의 카이사르로서 공화정의 국제를 무시하는 안토니우스에 대한 규탄의 장으로 변모해간 정황을 추적하며 공화정의 붕괴과정을 해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 KCI등재

        접촉의 현상학 -『악마의 묘약』에 나타난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 모티브를 중심으로

        정현규 ( Hyun Kyu Ju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6 獨逸文學 Vol.57 No.1

        Der Kontakt mit dem Anderen hat sich je nach Zeitalter anders gestaltet. In der Fruhen Neuzeit, wo es vor allem um die Entdeckung und Erorberung des neuen Kontinents ging, stand der Kontakt mit dessen Bewohnern im Mittelpunkt. Es ist interessant zu sehen, dass gerade in der Zeit, wo es sich um die externe Erweiterung des Territoriums und die Vermehrung des Wissens uber die fremden Lander, der Versuch, das Psychisch-Innere des Menschen zu erschließen, in Gang gekommen ist. E.T.A. Hoffmann war der Hauptprtagonist dieser Bewegung und in seinen Werken finden wir zu Hauf die Figuren, die psychisch gestort sind. Einer davon ist der Protagonist der Elixiere des Teufels namens Medardus. Medardus ist ein Klosterbruder, der sich mit dem legendaren heiligen Antonius identifiziert. Gerade deswegen werden die beruhmten malerischen Gestaltungen des Amorphen und Hybriden in der Phantasie der Hauptfigur Medardus thematisiert, die das Erbe der bildhaften Darstellungen des Motivs der Versuchung des heiligen Antonius von Hieronymus Bosch oder Pieter Brueghel, aber auch von Jacques Callot sind. Von der Seite des Habitus her ist es schwer in dieser Begegnung, zu entscheiden, wie man sich gegenuber solchen Anderen verhalt. Medardus ist hilf- und ratlos beim Versuch, seinen Gegner zu definieren und verzweilt kampft er mit diesem Gegner, ohne jede Hoffnung, ihn zu besiegen. Und am Ende bekennt er, dass sein Ich "hundertfach zerteilt" ist. In seinem Innern also wimmern zahlreiche Ichs. Das heißt aber umgekehrt, dass kein Ich sein wahres Ich ist. Durch diese Dialektik zwischen Fulle und Leere steht er am Ende da, wo die Unterscheidung von Subjekt und Objekt unmoglich ist und alle Grenzen schwinden.

      • KCI등재

        초대교회 시기의 전염병 창궐에 따른 기독교인의 대응에 관한 평가

        안희열(Heui Yeol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2 No.-

        2020년 세계 최고의 이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이다. 코로나19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빠른 속도로 전 세계로 확산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3월 11일 ‘대유행’(펜데믹)을 선언하였다. 각 나라는 앞다투어 하늘길과 바닷길을 막아 외국인의 유입을 차단시켰고, 국경을 봉쇄하였다. 졸업식, 결혼식, 장례식은 연기되거나 취소되었다. 재택근무, 자가 격리,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비대면 문화는 자영업자들의 수입을 반 토막 시켰고, 노동자들의 일거리를 앗아갔다. 장기간 지속된 코로나19는 우울증 환자의 증가, 가족 내의 폭력증가, 실업자의 증가라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다. 마치 ‘일상생활의 종말’을 보는 듯하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마주한 코로나19는 초대교회가 직면했던 전염병 대유행과 유사하다. 1세기 전염병은 어떤 때에 매일 1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배출시켰고, 2세기 안토니우스 역병은 로마제국 전체 인구의 25-30%를 감소시켰고, 3세기 키프리아누스 역병은 2세기 때 보다 피해가 더 컸다. 3세기에 걸친 역병 중에 이교도는 산으로 먼저 도망갔지만, 기독교인은 이웃 환자를 돌보고 간호 봉사에 헌신적이었다. 혹시 병이 옮아 죽게 되더라도 순교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은 이교도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역병이 끝날 즈음 이교도와 기독교인의 애착관계는 견고해져 개종자가 증가했고, 교회가 부흥했다. 반면 전염병 대응에 실패한 로마 제국은 인구 감소, 세입 감소, 높은 군인 사망률로 인해 쇠락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세기 전염병과 2세기 안토니우스 역병과 3세기 키프리아누스 역병이 로마 제국에 창궐했을 때 초대교회가 이교도와 달리 어떻게 대응했는지, 기독교 선교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오늘날 한국교회가 코로나19를 어떻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초대교회 당시 어떤 전염병이 창궐했는지, 로마 황제들의 대응은 어떠했는지, 고대 철학자들의 대응은 무엇인지, 이교도와 기독교인은 각각 어떻게 대응했고, 결과는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초대교회가 전염병 대응에 성공했던 모습이 한국교회에 그대로 전달되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어 다시 한번 비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로마시대 전염병과 기독교인의 대처

        이상규(Sang Gyoo Le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2

        이 논문은 로마제국 당시 발생한 두 차례의 역병, 곧 안토니우스 역병(165-180)과 키프리아누스 역병(249-262)에 대해 소개하고, 이 역병이 유행했을 당시 이 교도들의 태도가 어떠했던가를 제시한 후, 그와 비교하여 초기 기독교는 이런 역병에 어떻게 대처했던가를 제시하였다. 첫째 기독교공동체는 재난의 원일을 분명하게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 둘째 질병의 원인의 파악과 동시에 두려움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고 도피가 최선의 방책이 아니라는 점을 깨달은 점, 셋째 그리스도인들이 위난에 처한 이들에게 기독교적 사랑을 실천하고자 힘쓴 점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의학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단순한 간호만으로도 사망률을 격감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종교적 이행이 나타나 기독교 성공의 한 요인이었음을 지적하였다. 이 논문에서 초기 기독교인들의 사랑과 자선, 호의가 이교도들의 종교적 이행(移行)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기독교회의 수적 성장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the writer introduced the two cases of pandemic in the Roman Empire, Antonius Plague(165-180) and Cyprianus Plague(249-262), and suggested how was the pagans attitude toward plagues of their times, and then pursued early Christian response to abandoned or derelict patients. The writer pointed out that Early Christians loving care, charity, or favourable behaviour to the sufferings in the pandemic situation influenced the religious transition of the pagans, consequentially contributed the numerical growth of Christians.

      • KCI등재

        악티움 해전과 프린키파투스 체제

        김상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9

        The understanding to Actian battle was the central thesis of ancient and modern historians. The discussion of modern historians was represented as the Kromayer-Tarn debate. This debate concentrated on the mistake of Antonius and Kleopatra in the military campaign of Actian battle. Kromayer argued that Antony intended to retreat from the Ambracian Gulf as many ship as he could save and continue the war elsewhere. On the contrary to this view, A. Ferrabino and Tarn argued that Antony intended to fight for victory, and that he returned to harbor and lost through the conspiracy within the squadron. By analyzing the Kromayer-Tarn debate through the source of ancient historians, Antony and Kleopatra intended to fight for victory against the attack of Octavius and Agrippa and devised the best strategy. The relation between the Actian battle and the Principatus is indispensable to the character of Actian battle. Wallace Hadrill and Johnson regarded the Actian battle as a civil war by analyzing the position of Antony. On the other hand, Rich and Williams thought of the Actian battle as a foreign war by concentrating on Kleopatra and Egypt. But Octavianus emphasized the end of civil and the peace that acquired through the victory of Actian battle. In particular, ancient historians including Livius concentrat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victory of Actian battle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Therefore, the victory of Actian battle provided the roman people who were exhausted through civil wars during one hundred years with the peace. The establishment of peace inaugurated the golden age of roman empire and the Principatus and was the turning point of the roman history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 KCI등재

        서기 2세기 로마제국의 알리멘타(alimenta) 프로그램

        김상엽(Kim Sang-Yeop) 호서사학회 2009 역사와 담론 Vol.0 No.54

        The phenomenon of low-childbirth in the late Roman republic and the early Roman empire is growing more and more serious. The disorder of sexual moral including the high divorce rate, the extramarital intercourse, and the avoid of marriage and childbirth that had a great vogue in the elite of the early roman empire occurred the collapse of Roman family. The disorder of sexual moral lost the Roman tradition and happened the phenomenon of low childbirth. In front of this phenomenon. Augustus tried to restore the sound morale of Roman family to the Principate. Therefore, he tried to eradicate the disorder of sexual moral through the program of moral and society and correct this problem through the ratification of laws that encouraged the marriage and the childbirth. In spite of these countermeasures. the phenomenon of underpopulation is growing more and more serious in the Roman empire and the Italy. Then, the peasants of Italy were troubled by the poverty of rural district and the population of Italy grown smaller. Thus, the emperors of Nerva and Traianus established the program of alimenta that the Roman government provided with the child allowance in order to support the poor child in Italian rural district. Nerva and Trajanus tried to correct the problem of low childbirth in Italy through the program of alimenta. Though there is 2000 years in this sense. the system of alimenta that was the policy to an increase in population and an agricultural relief in the ancient Rome suggest that it was an index to correct the phenomenon of today's low child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