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재난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역할 재정립

        양기근(Gi Geun Yang)(梁奇根)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재난대응 방안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현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대규모 재난시 통합적 재난 대응 및 관리에 있어 중앙사고수습본부와 함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역할 및 구성시기 등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규정이나 매뉴얼상의 내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대규모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명확한 역할의 이론적 정립과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관련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 반영하여야 한다. 오늘날 대규모 복합재난이 증가됨에 따라 재난관리에 있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역할 및 중요성은 커질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그 역할의 필요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통합적 재난대응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위기관리 매뉴얼상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간의 역할과 구성시기의 불명확성으로 인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실효적 가동의 어려움이 있다. 둘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규정에서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1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중요한 역할인 '총괄ㆍ조정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구체적 규정이 없는 가운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원의 임무, 운영 및 근무체제, 통합지원체계 등에 관해서만 규정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통합적 재난대응을 위하여 여러 재난 참여기관들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의 명확한 역할 정립, 셋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구성과 운영시기의 명확화, 넷째, 통합적 재난대응지원시스템의 구축 및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보, 다섯째, 재난관리계획 등 사전 준비 및 점검 철저 등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directions focused on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Presently,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central accident headquarters has a key role in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when major disaster occurs. Nevertheless,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egal provisions or the manual about role and organization time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s lack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specific role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emergency laws and manuals of crisis countermeasures for efficient major disaster management. Today as grand complex disaster is growing up, role and importance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will be larger. Nevertheless, effective actions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re difficult because of the role and organization time between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central accident headquarters i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and crisis manual are ambiguousness. The improvements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for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roles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and crisis manual have to clearly defined. second, disaster agencies must collaborate centre around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for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third, the role and organization time between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central accident headquarters have to be clearly defined, fourth,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support system and communication channel have to be secured, finally, disaster plan for the integrated disaster countermeasures have to be improved.

      • KCI등재

        해상교통안전진단 안전대책 이행 현황 분석 및 이행력 제고 방안에 관한 고찰

        강원식,최운규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4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 was introduced for the prevention of maritime accidents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ports.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businesses that wish to obtain permission, approval, or reports under relevant laws related to the use or preservation of the ocean shall conduct safety assessment, and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hall review safety assessment documents and notify the heads of state agencies or local self-organizations requesting review or consultation. If the licensee does not carry out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review comments or results,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the suspension of the project shall be implemented.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s in charge of safety assessment scheme, but since it is supposed to be conduct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that has the authority to check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easures, there is no way for the ministry in charge to check whether the treatment branch monitors the reflection of safety measures in business after notification of safety assessment results and disposal. In this study, the status of safety assessment and major safety measures according to safety assessment were analyzed for the entire safety assessment project that had been carried out on the 10th anniversary of the introduction o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 Further, the entir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project was carried out and whether the project was being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assessment results and the safety measures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entire water survey and analysis of performance, and safety measures such as safety measures or design standards of ocean facilities during construction are related to the approval and are faithfully implemented.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safety meas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ports and the passage of ships were not confirmed to be clear over time, so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was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revisions to the Guidelines of Marine Traffic Safety Assessment and the Maritime Safety Ac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capability of safety measures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and prior research of safety measur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raw up efficient improvement plans through sufficient social consensus and discussion after further research and gathering opinions from related agencies and experts.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는 해양사고 예방 및 항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도입이 되었다. 「해사안전법」 제15조에 따라 해양의 이용 또는 보존과 관련된 관계 법령에 따른 허가·인가·승인·신고 등을 받으려는 사업자 등은 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하고 해양수산부 장관은 안전진단서를 검토한 후 검토의견 또는 검토결과를 처분기관이나협의를 요청한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통보하여야 한다. 동법 제18조에따라 처분기관 등은 사업자가 검토의견 또는 검토결과대로 사업을 시행하는지 확인및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업 중지 등의 행정조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해양수산부는 안전진단제도 관련 전담 부처이지만 안전대책의 이행여부 확인은처분의 권한을 가진 행정기관에서 하도록 되어 있어(「해사안전법」 제18조제2항) 처분기관이 안전진단 결과 통보 및 처분 이후에 사업에 있어 안전대책의 반영여부를모니터링 하는지에 대해서 전담 부처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도입 10년째를 맞아 그간 수행되었던 전체안전진단사업을 대상으로 안전진단 현황, 안전진단에 따른 주요 안전대책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안전진단의 결과 및 수립된 안전대책에 따라 사업자가 사업을 이행하였는지 및 이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수조사 및 이행여부 분석결과, 공사 중 안전대책이나 수역시설의 설계기준 등의 안전대책은 허가 등 과 연관되어 있어 충실히 이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두 운영 및 선박 통항 등과 관련된 안전대책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안전대책 이행과 관련된 업무의담당자 및 담당부서가 명확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이 되어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한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안전대책 이행현황 조사·분석결과, 시사점 및 선행연구등을 바탕으로 안전대책의 이행력 강화를 위한「해사안전법」과 해상교통안전진단시행지침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관계기관 및 전문가 등의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논의를 통한 효율적인 개선안의 도출이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비구조적 대책의 안전취약계층도 작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두희(Doo Hee Kim),송인재(In Jae Song),김병식(Byung-Sik Kim) 한국방재안전학회 202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6 No.1

        방재분야의 최상위 계획인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은 지방자치단체별 시행하여 현재 2차계획이 수립중이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9개 재해유형별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10년간 시행하는 계획이다. 구조적대책은 공학적근거와 정략적 분석기법으로 저감대책의 판단기준이 명확한 반면, 비구조적 대책의 판단기준은 미비된 실정이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2018년 안전취약계층을 포함하였고,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세부수립기준의 안전취약계층은 어린이, 노인, 장애인을 포함하여 수립 중이나 지자체의 자료확보 및 DB구축의 미비등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위치도 작성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취약계층의 오픈API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지리정보서비스의 통계정보와 GIS를 활용하여 시범지역인 강원도 삼척시의 안전취약계층의 위치도를 작성하였고, 삼척시 근덕면의 집계구 단위 위치도를 작성하였다.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the highest plan in the disaster prevention field, wa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second plan is currently being formulated. In order to minimize human and property damag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for each of the nine disaster typ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for 10 years. Structural measures are based on engineer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riteria for setting reduction measures are clear. Non-structural measures, however, currently lack the set criteria. the basic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law included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2018. Currently, the safety vulnerable class of the detailed establishment criteria of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is being established, including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data secur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by local governments,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location map for establishing reduction measures for the safety vulnerable. Therefore, in this study, OPEN API data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and GIS of SGIS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Samcheok, Gangwon-do, which is a sample area, an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units of the output area (OA) in Geundeok-myeon were prepared.

      • KCI등재

        어린이 안전대책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정책대상자 인식조사 연구 -어린이, 보호자,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 중심으로-

        송창영,구원회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measures. Method: The current status of child safety accidents (the number of accidents, deaths rate, mortality, etc.)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duced by analyzing major child safety measures by government department in the past. In addition,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people including children, guardians,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 who are subject to child safety polic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requirements, and policy satisfaction. Result: Regarding the safety of children's living space (environment), 35.3% of guardians answered that more than 1/3 of them were not safe. Both guardians (95.3%)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 (89%) answered that there was the highest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second risk factor was parents (carelessness of workers at children's facilities) and children's facility workers (careless of guardians at home). Looking at the risks by place, "road and sidewalk" was the most dangerous place, and among the rest, "guardians" responded "outdoor facilities such as parks" and "in-home" were the most dangerous places. guardians(29.3%) and workers of children's facility(25.8%) answered that the policy effect for children's safety was relatively effective, and In the case of guardians, policy satisfaction was evaluated as insufficient with less than 3 points in all areas, while workers in children's facilities were evaluated as average with 3 points or more in the field of safety of children's facilities (3.1 points) and traffic safety (3.02 points). For child safety, guardians(64.3%) and workers (78.3%) both said that the role of "parent" is the most important, and for improvements to prevent child safety accidents, the response rate of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road traffic facilities" is the most necessary with 75.8% for guardians and 65% for child use facilities.Conclusion: The reinforcement measure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child safety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sure the continuity of child safety measures, it should be operated effectively so that those subjec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Child Safety, which took effect in August 2022, can feel it.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children's policy targets, promotion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safety field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safety infrastructure for each field to secure child safety.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that can ensure safety for children themselves and to come up with detailed measures to make safety education for parents (guardians) mandato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 안전대책의 실효성을 향상시기키 위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현황(사고 건수, 사망자 수, 사망률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과거 정부 부처의 주요 어린이 안전대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어린이안전 정책 대상자인 어린이, 보호자,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현황, 문제점, 요구사항, 정책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어린이 안전대책의 실효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 생활공간(환경)의 안전도에 대해 보호자는 35.3%로 1/3 이상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보호자(95.3%),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89%) 모두 ‘교통사고’에 대하여 위험성이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고 2번째 위험 요인은 부모(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 부주의)와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가정 내 보호자 부주의)가 상반된 의견 보였다. 장소별 위험성을 살펴보면 ‘도로와 인도’를 가장 위험한 장소로 응답하였고 ‘도로와 인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중에서 ‘보호자’는 ‘공원 등 야외시설’,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는 ‘가정 내’를 가장 위험한 장소로 응답하였다. 어린이안전을 위한 정책효과는 보호자(29.3%) 및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25.8%) 모두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정책 만족도는 보호자의 경우 모든 분야에서 3점 미만으로 미흡하다고 평가한 반면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는 ‘어린이이용시설 안전 분야(3.1점)’, ‘교통안전분야(3.02점)’가 3점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어린이안전을 위해 부모(64.3%) 및 종사자(78.3%) 모두 ‘부모’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고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사항은 ‘도로교통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응답율이 보호자 75.8%, 어린이이용시설 종사자 65%로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어린이 안전대책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안전대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2022년 8월부터 시행된 「어린이안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정책 대상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게 운영해야 한다. 둘째, 어린이 정책 대상자의 체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린이안전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추진대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셋째, 어린이 안전성 확보를 위한 분야별 안전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넷째, 어린이 스스로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부모(보호자) 안전교육이 의무화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책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학교 안전대책 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복,이영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김수철 사건이후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의 노력 및 정부의 재발 방지를 다짐하며 학교 안전강화 대책을 연이어 내 놓았지만 외부로부터의 위험은 감소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외부로부터의 위험을 예방하고 최소한으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안전대책의 강구와 인식의 변화를 통한 안전대책의 재평가와 개선방안이 시급하다. 따라서 학교 안전대책 방안을 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배움터지킴이제도와 학교 보안관제도 그리고 더 나아가 경비업체와의 협력과 인력의 확충을 통하여 학교 안전을 도모하고 외부인이 자유롭게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CPTED의 기법을 활용하고 학교 외곽에 외부인이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도록 담장을 설치하고 실제적인 감시와 통한 범죄예방과 대처를 위한 CCTV의 확충과 장치를 보완을 통하여 각각의 안전대책 방안을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인간공학 방법을 이용한 농업기반안전대책시설물 안전기준 개선 연구

        김도 ( Do Kim ),김현기 ( Hyun-ki Kim ),박성기 ( Seong-ki Park ),김광용 ( Kwang Yong Kim ),전지홍 ( Ji-hing Jeon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매년 다양한 형태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대부분 안전시설의 미비와 시설에 대한 세부적 설계기준, 설치기준 등의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다. 농업기반시설의 안전관리대책은 “농업기반시설관리지침(안전관리 대책시설 설치 및 관리편)”에 제시되어 있으나 최근 인간공학적 안전관리 대책시설 및 관리에 방안에 대한 내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기반 안전시설 설치기준의 개선을 위해 농업기반시설관리지침에 누락되어 있는 인간공학적 요소를 반영하기 위하여 인간공학적 접근에 따른 안전관리대책시설을 해석하고 현행기준과 안전시설관련 타기준의 비교 분석 작업 및 현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안전관리대책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즉 인간과 인간이 사용하는 물건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인간공학을 이용하여 인간의 안전과 효율,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기능과 한계를 측정하고 이를 농업기반시설에 적용하여 안전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시각적 체계 개선에서는 국내 KS 기준 중 국내 KS 기준 중 그래픽 심볼-조사방법-이해성조사방법(KS S ISO 9186-1_2014)과 인간공학의 시각적 위험신호-일반적인 요구사항, 설계와 평가(KS A ISO 11428_2008)을 검토하여 기준에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청각적 체계에서는 KS 기준을 근거로 하여 경보 및 예방시스템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안은 인간공학적 요소가 구현된 농업생산기반 안전시설 설치기준으로서 안전관리 대책시설 설치의 관렵된 법령의 개정 및 제도개선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공학적방법을 이용한 농업기반안전대책시설물 안전기준 및 유지관리 방법 개선 연구

        김도 ( Do Kim ),김현기 ( Hyun-ki Kim ),박성기 ( Seong-ki Park ),김광용 ( Kwang Yong Kim ),전지홍 ( Ji-hing Jeon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매년 다양한 형태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대부분 안전시설의 미비와 시설에 대한 세부적 설계기준, 설치기준 등의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다. 농업기반시설의 안전관리대책은 “농업기반시설관리지침(안전관리 대책시설 설치 및 관리편)”에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반시설관리지침(안전관리 대책시설 설치 및 관리편)의 공학적인 설치 및 관리기준 마련을 위해 안전시설에 관한 지침들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 지침들인 “농업기반 시설관리지침(안전관리대책시설 설치 및 관리편)”과 “항만시설물의 안전시설 설계지침”,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농도편)”을 각각의 시설물별로 설계, 설치, 점검에 관해 분석한 뒤 기존 지침안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표지판, 방호울타리, 시인성 증진시설, 조명 및 구명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설치가 필요한 안전관리대책 시설로는 방배수로의 수문 개방 및 양배수장등의 침수로 피해가 예상이 되는 경우 인명의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방송·경보 및 긴급통보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현장조사 결과 방송 및 경보시스템은 구축되어 있으나 현행 지침에는 이와 관련한 규정이 없어 안전관리대책 시설 중 방송·경보와 긴급통보시설의 추가 작성을 제안하였다. 안전관리대책 시설의 관리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기점검시스템은 점검자가 주기적으로 점검주기에 해당하는 점검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유지관리방안을 수립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며,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은 널리 적용되고 있는 교량의 경우에 있어서 과적차량에 통행, 강풍 등 예상치 못한 하중에 의한 손상 파악 및 즉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명 및 재산상의 큰 피해가 발생하는 등 시스템 적용에 장점이 있으나 농업기반시설의 안전관리대책 시설의 경우 모니터링 해야 하는 구조물의 개소수가 많아 센서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 그 목적 및 중요도에 비해 효용성이 작다. 따라서 최적 유지관리 방안으로 정기점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남자 체조선수의 안전사고실태와 대책방안

        남승구,김두현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체조선수의 안전사고실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최근 발생한 남자 체조선수들의 안전사고의 사례를 재조명해보고 그에 따른 대책방안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사례조사 를 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원인과 그에 따른 문제점 및 대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체조연습상황이나 경기상황에서 부상을 줄이거나 예방을 하기위해서는 지도자와 코치는 선수들의 신체적․정신적 컨디셔닝을 철저히 점검하여야 한다. 둘째, 체조경기장 및 연습장 등에 대한 주변시설의 환경을 잘 살펴보고 각종 보조장비의 점검을 철저히 하여야 하며, 지 도자와 코치가 부재 시에는 훈련을 지양하여야 한다. 셋째, 선수들의 안전교육을 의무화하고 체조경기장 이용에 대한 안전수칙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넷째, 체조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체조지도자 및 선수들에 대한 안전 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cases for safety incidents of man's artistic gymnasts and to consider counter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In this research, researcher draws upon various data(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to analyze causes of safety incidents, to point out problems and to propose its countermeasure. Firstly,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injuries of gymnasts during both the training and competition, coaches should check out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for gymnasts. Secondly, they have to carefully inspect facilities, gymnastic equipments. If coaches are absent, training should be avoided. Thirdly, Korean Gymnastics Federation should provide safety training to coaches and gymnasts and institutionalize safety procedure for gymnastic facilities and equipments. Lastly, Korean Gymnastics Federation should develop a manual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 거리응원 안전대책의 발전과제

        박동균 ( ),김태민 ( ) 한국행정학회 201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거리응원을 통한 국민 단합, 국가 이미지 향상 등의 많은 성과를 거두고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002 한·일 월드컵축구대회(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TM)에서 한국사회는 연인원 2천2백여만명이 거리응원에 참여하였으며, 온 국민들은 흥분과 열정을 경험한 바 있다. 한국 축구대표팀의 첫 ``원정 16강``이라는 쾌거를 이룬 2010년 남아공월드컵에서도 그 열기는 계속 이어져, 태극전사가 출전한 4번의 경기에 모두 392만 명의 인파가 거리응원에 나섰다. 거리응원장과 같은 대규모 군중이 운집하는 행사장은 특성상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경찰과 민간경비의 안전대책작용은 물론 관계기관의 지원과 관리?감독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 연구는 거리응원 안전대책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리응원에는 많은 응원객이 모이기 때문에 각종 사건사고가 잠재한다. 시민의 질서의 식, 행사장 공간확보, 차량통제 및 주차, 경찰력의 지원, 안전요원의 행사진행과 전문성, 안전관리 부문의 예산 문제 등으로 크고 작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축구 대회에서는 1,210명, 2006년에는 449명이 크고 작은 안전사고를 당했으며, 탈진 등 응급환자 발생, 압사사고, 소매치기, 성추행, 폭력사건, 음주소란, 교통사고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거리응원 안전대책은 근본적으로는 시민 질서의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치안체계 구축, 경비업체의 전문성 확보, 자원봉사 및 자율방범대의 활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운영적으로는 거리 응원 장 안전대책 매뉴얼 이 구체화되어야 하고, 출입통제대책과 3선 경비대책마련 등 다각도에서 구체적인 안전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화재사례분석을 통한 문화재 화재안전 대책

        박대우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1

        문화재는 국가의 전통과 역사성을 대표하는 지표로 국가의 어떠한 시설보다 안전하게 관리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중요 문화재를 화재로부터 절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화재안전대책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에서 발생한 화재사례를 통하여 문화재 화재에 관한 안전체계를 검토하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유형문화재에 관한 화재안전대책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대상에 모든 종류의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유형문화재 중 목조문화재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과 사례분석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연구과제로서 유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에 관한 화재사례 분석이 필요하며, 다양한 문화재 종류에 따른 화재안전대책연구가 필요하다.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protected more than other facility because of its symbolization of a nation's historic and conservative value. So proper and effective actions for the management of our legacies is necessary. On this study, we'll research cases of cultural properties fires and manage to show the safety system of legacy and analyze problems of the system so that we can result in improvements for the safety of our treasures.This study is not to include almost all kind of cultural assets but only confined in a category of wooden materials, so there's limit of this study. And we should consider fires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ouvenirs and folk materials later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