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무(按舞)의 저작물성에 관한 연구

        김근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2

        I have a hunch that the language and the movement of body arethe most typical method expressing a thought and a feeling of human invarious ways of expression. Language is thought expecially to be themeans of expression transmitting human thinking for the role which iscommunicating his opinion. au contraire, the movement of human is themost typical means of expression transmitting human feeling such aspleasure, anger, love and enjoyment. In that respect, the song and dancethat language and movement of body are combined is the worthymedium. These song and dance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composite arts. Expecially dance, that is to say, the choreography isnaturally the subject matter of copyright protection in Copyright Act. This choreography in pop music may affect the fate of the song. however the definition and the study of definition on choreography areinadequate in Copyright Act and Court’s ruling. Numerous legalcommentators have analyzed the new copyright protections, but manyquestions remain unanswered for the dance communit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is legal history and themany philosophical issues presented by the copyright of choreographicworks. These issues include the definition of “choreographic work,” the nature of “origin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expression” and “idea.” 인간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수단이 있지만가장 대표적인 것이 언어와 몸짓이 아닌가 싶다. 언어는 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하므로 인간의 생각을 전달하는 표현 수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몸짓은 대개 인간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언어와 몸짓이 결합된 노래와 춤은 인간의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체이다. 이러한 노래와 춤은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는 연극이나 뮤지컬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며, 특히 몸짓으로 표현되는 춤, 즉‘안무(按舞)’는 당연히 노래와 마찬가지로 저작권법상 보호의 대상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무의 저작물성이 대중음악의 영역에서 문제되고있다. 이에 본고는 현행 저작권법상 안무의 정의 규정의 부재에 따른 이에 대한 해석론을 살펴보면서 저작권법상 보호가능한 안무의 저작물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현재의 해석론과 판례를 통해 안무의 개념과 창작성을 도출해 보면, ‘안무’는‘안무가의 사상이나 감정이 표현된 동작의 형(型)’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안무의 고유한 예술적 특질에 따라 창작성 있는‘동작의 형(型)’이라 함은‘연속적인 동작으로 당해 안무 전체’로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무의 저작물성을 판단함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를 안무 고유의 특질에 따라그 판단 기준을 논하여 보았다.

      • KCI등재

        안무가는 무엇으로 무용수를 움직이는가

        임선영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fic elements of choreographed leadership needed for the choreographer to actively collaborate with choreographers and dancers in performing art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six professional choreographers with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in choreograph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their artistic philosophy and how they work with dancers. As a result, choreographer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eight elements of humanity, stimulation of creative activity, inspirational motivation, consciousness of calling, altruistic responsibility, mentoring skill, sensory intuition, and mind - body integrative cognitive ability. In other words, choreographed choreographers who lead the people will be able to create excellent works that increase the value of creative art activities while meeting the social expectation while showing the dynamism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horeographer 's social 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activity range will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 competency method, We expect to provide concrete data on the leadership activities of choreographers who lead the dancers, and important data for recognizing their values. 이 연구는 안무가가 예술활동을 하는데 있어 안무가와 무용수와의 능동적인 협력을 위한 안무가의 역할에 필요한 안무가리더십의 구체적인 요소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무경력 25년 이상의 전문안무가 6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그들의 예술적 철학과 무용수와의 작업방식을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안무가리더십은 인간애, 창조활동 자극, 영감적 동기부여, 소명의식, 이타적 책임감, 멘토링 기술, 감각적 직관력, 심신통합인지력의 8요소로 규명되었다. 즉, 무용수를 이끄는 안무가리더십을 지닌 안무가는 무용수를 성장시키며 자신의 창조활동의 전문성을 발휘할 때 창작예술 활동의 가치를 높이고 동시에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우수한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시작으로 안무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안무가의 사회적 위치를 확립하고 그 활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안무가의 활동 역량 방법개발과 구체적인 연관이 있는 활동과정의 사례 분석 개발이 이어지길 기대하며, 무용수를 이끄는 안무가의 리더십활동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과 그 가치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

        진윤희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성방안 연구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중 안무자 양성학교 2곳과 일반무용학과 5곳을 선정하여 1~4 학년 재학생 총 314명 표집 하였다. 인식만족도와 필요성 및 개선방안 척도는 김보람(2007), 지도방법 척도는 김석진(2007)의 설문지 문항들을 토대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 설문지의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은 Cronbach'α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족도와 개선방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무자 양성학과가 일반 무용학과에 비해 이론 수업 비중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만족도가 평균값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른 인터뷰 결과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안무관련 수업 방식으로 선택의 폭이 넓고 기준이 분명해지면서 개개인의 안무에 대한 정체성 형성과 안무에 대한 목표의식이 뚜렷해졌고, 수업방식에 대해 구체적이고 새로운 것들을 원하는 반면 일반무용학과 학생들의 경우 현 수업내용은 만족하나 부족한 수업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더 많은 시간배분을 원하고 있어 안무관련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둘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 평균값은 일반무용학과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는 난이도 조절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수업과 여러 강사를 통해서 지도방법에 만족스러운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개개인의 안무형태가 만들어지고 원하는 수업형태와 지도자에 대한 색이 뚜렷해지는 반면 일반 무용학과의 경우 안무수업을 접하는 지도자가 한 학기에 1~2명으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지도방법에 대해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만족도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 모두 안무교과목 필요성과 상호교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개선방안은 상호교류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원했고, 취업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교과목 개설로 나타냈다. To identify satisfaction level towards choreography related curriculum at dance department for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an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to select two schools that cultivate choreographers and five regular dance departments at the four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i. Total of 314 students were selected. Kim Boram(2007), Kim Seok-jin(2007)'s survey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modify for use when it comes to the measure for instruction method.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resolve each research issue. First,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anifested higher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for all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share of theoretical classes compared to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suing interview manifested that the students of both school are satisfied with choreography class. Second,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instruction method was higher in case of the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eanwhile, in case of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eader was higher since the number of leaders who get exposed to choreography class is limited to one or two per semester. Third, students of both the school manifested the need to increase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awareness and problem related areas. Fourth, students of both school s wanted broader range of classes through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improvement measure, and wanted increasingly specialized classes that can lead to employment.

      • KCI등재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

        진윤희 ( Yoon Hee 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

        본 연구는 안무자 양성을 위한 무용학과 안무관련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성방안 연구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중 안무자 양성학교 2곳과 일반무용학과 5곳을 선정하여 1~4 학년 재학생 총 314명 표집 하였다. 인식만족도와 필요성 및 개선방안 척도는 김보람(2007), 지도방법 척도는 김석진(2007)의 설문지 문항들을 토대로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 설문지의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은 Cronbach``α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족도와 개선방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무자 양성학과가 일반 무용학과에 비해 이론 수업 비중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만족도가 평균값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른 인터뷰 결과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안무관련 수업 방식으로 선택의 폭이 넓고 기준이 분명해지면서 개개인의 안무에 대한 정체성 형성과 안무에 대한 목표의식이 뚜렷해졌고, 수업방식에 대해 구체적이고 새로운 것들을 원하는 반면 일반무용학과 학생들의 경우 현 수업내용은 만족하나 부족한 수업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더 많은 시간 배분을 원하고 있어 안무관련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둘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지도방법에 대한 만족도 평균값은 일반무용학과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는 난이도 조절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안무자 양성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수업과 여러 강사를 통해서 지도방법에 만족스러운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개개인의 안무형태가 만들어지고 원하는 수업형태와 지도자에 대한 색이 뚜렷해지는 반면 일반 무용학과의 경우 안무수업을 접하는 지도자가 한 학기에 1~2명으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지도방법에 대해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만족도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 모두 안무교과목 필요성과 상호교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무자 양성학과와 일반 무용학과의 개선방안은 상호교류를 통해 보다 폭넓은 교과목을 원했고, 취업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교과목 개설로 나타냈다. To identify satisfaction level towards choreography related curriculum at dance department for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an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to select two schools that cultivate choreographers and five regular dance departments at the four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i. Total of 314 students were selected. Kim Boram(2007), Kim Seok-jin(2007)``s survey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modify for use when it comes to the measure for instruction method.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resolve each research issue. First,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anifested higher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for all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share of theoretical classes compared to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suing interview manifested that the students of both school are satisfied with choreography class. Second,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instruction method was higher in case of the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chool specialized in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Meanwhile, in case of school regular dance departments, average value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eader was higher since the number of leaders who get exposed to choreography class is limited to one or two per semester. Third, students of both the school manifested the need to increase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awareness and problem related areas. Fourth, students of both school s wanted broader range of classes through interaction when it comes to improvement measure, and wanted increasingly specialized classes that can lead to employment.

      • KCI등재후보

        안무역량 개발을 위한 안무기능과 구조에 관한 연구

        황인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예술과정의 기본성격, 예술과정의 수행역할, 그리고 안무과정의 상호 작용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무용작품의 완성을 위한 기본적 안무기능, 그리고 안무과정의 구조를 안무역량 개발 및 제고를 위한 기본틀로서 제시하고 있다. 안무과정에서 요구되는 안무기능은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안무가가 행하는 다양한 역할, 즉 창조적 예술가, 작품행위자, 관객, 그리고 비평가로서의 역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무가의 각 역할과 관련하여 기능의 핵심요소들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안무구조는 문제해결과정, 그리고 예술매개체를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예술과정의 기본성격과 특성을 고려하여 무용작품을 중심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환류되는 기본적 요소과정으로 구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안무기능 및 구조는 안무과정에서 수행되는 역할에 따라 요구되는 다면적 기능, 그리고 예술작품 창조과정으로서 안무과정의 본질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시대적 변천에 따라 미적 인식과 태도, 그리고 무용양식 및 개념이 변화되면서 그로 인해 안무과정을 지배하는 미적 질서에 관한 원칙들이 바뀌어 지더라도 여전히 효과적인 안무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틀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oreographic classes are important in the sense that they provide opportunities for dance students to experiment various choreographic propositions based on their dance experiences.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choreographic process is analyzed systematically. A theoretical framework consists of two elements: functions and structure. First, the specific functions required in choreographic process are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forms of artistic participation. Secondly, considering interactive phenomena in choreographic process, the choreographic structure is modeled with structural elements,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active. Because the suggested framework for choreographic process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s of dance form, style, aesthetic concept, etc., it is expected that dance students can utilize this framework to develop their choreographic capabilities.

      • KCI등재

        국내외 뮤지컬 전공학과 내 무용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한 안무교육의 필요성<sup>+</sup>

        전유정 ( Chon Yuch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2 No.-

        본 연구는 미국, 프랑스, 한국의 뮤지컬 전공 학과 내의 뮤지컬 무용 교육 안에서의 안무 교육 실태분석을 통해 뮤지컬 안에서 무용의 통합적인 역할 기능 활성화를 위해 창의적인 안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하는데 목적을 갖으며 기존의 미국 위주의 뮤지컬 자료에 한정 되어있던 자료들을 프랑스 뮤지컬 학교에서의 무용 교육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프랑스 뮤지컬 안무 연구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초기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미국의 경우 무용 이론 수업과 더불어 체계적으로 뮤지컬에 필요한 무용 실기 수업(탭, 재즈, 발레, 현대무용)이 고급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실기를 바탕으로 창작 안무를 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들도 진행을 하고 있어 학생들의 창의력 발휘에 큰 도움을 주고 있었다. 프랑스의 경우도 연극전문 예술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뮤지컬 무용 수업은 미국에 비해 전문 무용 테크닉 수업은 많지 않지만 무용 이론 수업과 함께 창작 무용 수업을 많이 시행하고 있었으며, 창작무용 수업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와의 협업작업으로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에 많은 시간이 할애되고 있어 작품 안에서의 무용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할 수 있는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의 뮤지컬 전공을 하는 대학에서의 교과 내 무용 교육은 대체로 뮤지컬 무용 수업이 기존의 뮤지컬 작품 내의 레퍼토리 무용을 경험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진행이 되고 있어 다양한 무용 장르의 체계적인 무용 수업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생각을 발현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뮤지컬 안무에 대한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뮤지컬 제작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배출해 내고 있는 뮤지컬 전문 대학교육 교과정안에서의 무용 안무 수업은 연기, 노래, 춤 실력을 골고루 갖춘 배우를 양성함과 더불어 다른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창작 작품제작 기회를 자주 갖는 연계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는 뮤지컬 안무 통합 교육의 보강이 이루어져 장차 뮤지컬 연출가나 제작자가 될 인재들에게 뮤지컬에서 안무가 보조가 아닌 연기, 음악과 더불어 주체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보편적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무용 안무 교육을 통해 극을 이해하고 안무를 창작 할 수 있는 안무가 배출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무용 안무 교육은 뮤지컬 교육과정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horeography education as part of musical dance education in music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outh Korea to spread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creative choreography education to expedite the revitalization of the inclusive functions of dance in musical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not only the theoretical dance classes but also advanced practical dance courses (tap, jazz, ballet, and modern dance) necessary for musical education are offered in a systemized way. Furthermore, other courses give students who have taken the practical courses the opportunity to produce their own works through creative choreography. All of these courses enable students to exert their creativity. Similarly, many creative dance courses are offered in France along with theoretical courses, although few professional dance techniques are taught in musical dance classes in professional arts schools specializing in theater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who take creative dance courses are given a lot of time to produce their own work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Indeed, they are educated to be fully aware of the roles of dance in works. In musical dance classes in South Korean colleges, however, there are generally no further attempt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ance in the repertoires of existing musical works. Indeed, current musical choreography education is neither systematic nor professional enough to teach students to come up with creative, inclusive ideas through experiencing a wide variety of dance genres. Fundamentally, the curriculums of the musical departments aim to nurtur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musical production;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and strengthened in these curriculums to foster actors who are skilled at acting, singing, and dancing. In addition, more cooperative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oduce work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In this way, competent human resources will develop into musical directors or producers who are aware that choreography is no longer a supplementary part of musical education but should rather be developed along with acting and music. As this sort of education is expected to nurture capable choreographers who can create choreography with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drama,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seems to be mandatory for a musical curriculum.

      • KCI등재

        湖廣行省 軍民安撫司다루가치와 원의 중층적 西南변경 지배

        조원(Cho, Won)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이 글에서는 원대 湖廣行省에 설치했던 軍民安撫司와 이곳에 파견되었던 다루가치들에 주목하여 원의 西南변경 지배 양상을 고찰하였다. 원제국에서 軍民安撫司다루가치가 파견되었던 곳은 湖廣行省서북부의 八番과 서남부의 南丹州및 탐라였다. 이 가운데 湖廣行省에서 軍民安撫司가 설치되었던 지역은 전통적으로 ‘西南蠻夷’로 불려왔던 소수 종족들이 분포했던 지역이었다. 이들은 당송대 羈縻체제의 경계에 분포하며 중원왕조에 복속과 저항을 반복하면서 독립을 유지했으며 남송 정복 전쟁 과정에서 원제국에 편입되었다. 원은 제국의 重鎭이자 해외 진출의 교두보였던 湖廣行省서북부와 서남부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軍政기구인 宣慰司都元帥를 설치했고, 변경의 부락 수령들에게 安撫使, 宣撫使등의 관직을 하사했다. 이 지역에 파견되었던 軍民安撫司다루가치들은 세력 규모가 비교적 큰 소수 종족 집단들을 감독하고 경제·군사적 의무를 관할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원이 西南변경 지역가운데에서도 湖廣行省에 宣慰司都元帥-軍民安撫司다루가치-安撫使蠻夷官의 중층적 지배질서를 수립한 것은 원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웠던 변경 지역에 대한 관할을 강화하고 원의 군사적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While the military campaign against the Southern Song, Mongol established the office of the military commission, An-fusi(安撫司) at conqured regions and dispatched Darughachi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uthern Song, these military offices were replaced into Luzongguanfu(路總管府), the local administration. In this situation, An-fusi disappeared in most of areas except for particular regions located in the southern frontiers. According to the Yuandianzhang(元典章), the compilation of code of Yuan, the eight tribes(八番) rigion in the southwest part of the Huguang Hsing-sheng(湖廣行省) and the Tamra island plac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Goryo were depicted as the regions dispatched the Military Civilian Anfusi(軍民安撫司) Darughachis. While the system of the Anfusi with dispatching Darughiachis in Tamra was maintained for 10 years but abolished for the compromise between Yuan and Goryo, the system in the Huguang Hsing-sheng were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collapse of the Yuan. In the western and southern regions of the Huguang, there were scattered the minority tribes, traditionally called the southwestern Barbarians(西南蠻夷). The Yuan firstly submitted large-scale tribes, such as eight tribe(八番), which had built a connection with the Chinese dynasties with paying the tribute. The Yuan government granted the An-fu-si(安撫使) or Hsuan-fu-si(宣撫使) position to the chief of the tribes. The obligations of the An-fu-si(安撫使), the native office was not only the tax and tributary payments, buy they were also obliged to dispatched troops during the Mongol’s military campaign. The geopolitical and military importance of the Huguang region was emphasized during the expansion of the Yuan empire toward the Southern regimes like Annam, Champa and Pagan. At that time they cooperated with the Military Civilian An-fu-si(軍民安撫司) Darughachis under the control of the Pacification office, the Hsuan-wei-si(宣慰司) and the Hsing-sheng(行省). Through the system of the Military-Civilian Anfusi Darughachis in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Huguang Hsing-sheng, it is confirmed that the superimposed ruling system at the southwestern frontier included the Branch Secretariats(行省), Pacification office(宣慰司), the Military Civilian Anfusi Darughachi of the military commission(安撫司) and the native office, Anfusi(安撫使).

      • KCI등재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창작 방법에 관한 경험적 특징

        안창용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 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안무창작 과정과 경험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TV방송을 통해 춤을 접하고 입문하게 되었으며, 이후 댄스팀 결성과 댄스트 레이너로 활동 중 아티스트들에게 춤을 가르치게 되면서 점차 안무가와 강사로서 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획사로부터 안무의뢰를 받게 되면 전략적 창작 방법으 로 가장 먼저 음악에 대한 ‘청각적 관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으로 음악 들으면서 곡의 분위기나 멜 로디 가사 등을 효과적이고 독창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모티브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안무 창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안무자의 성향에 따라 은둔창작방법과, 협업창작방법으로 나뉘어져 안무를 창작하고 있으며, 창작된 안무를 시현하기 위해 주변 동료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안무를 수정해 가면서 창작해 가는 과정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창작과정을 거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창작 된 안무가 실현하는 것에 대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작 게나마 K-POP댄스에 대한 학문적 담론을 형성하고 무용장르로서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process of creation and experiential features of choreographers who create K-POP d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4 research participants who work as a current K-POP choreographer were interviewed. Two points of view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choreograph have been concluded. Fri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ncountered dance with TV broadcast in common, and after forming of dance team of their own and working as a dance trainer who teaches artists dance, their complex roles of both choreographer and instructor had been started. Secon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create choreograph by a management company, auditory observation was preceded as strategical creative methods. A variety of motivated sources from moods or lyrics of a song which were used to express effectively and originatively through listening the music repetitively, were verified to comprehend the process to create choreograph. Finally, according to a choreographer’s tendency, a choreograph was proceeded with either reclusive creation method or collaborative creation method. And a process was created and modifi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for demonstration of original choreograph. By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of being realizing original choreograph were show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n academic discourse on K-POP dance and its spread to the dance genre.

      • KCI등재

        확장된 안무의 장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

        김재리 무용역사기록학회 2019 무용역사기록학 Vol.54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formativity of dramaturgy with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I look into the concepts of expanded choreography after the 1990s and discuss Jeroen Peeters’s dramaturgy in the respect of perform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ed choreography are as follow. First, choreographers are capable of producing knowledge rather than an artifact. The knowledge that can be produced is not rigid but more comprehensive. Second, the choreographers carry out experimental choreography with the paradigm of interdisciplinary and meta-media performing arts. They All the collaborators can be considered as an author which used to be given to only choreographers. Third, many choreographers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ociety. They consider the social engaging of dance into the choreography. To examine how dramaturgs elaborate their own performativity in the area of expanded choreography, I have chosen the physical dramaturgy of Jeroen Peeters. I found results as below. First, a theory can be discovered in the choreographic practice. Materials can be chosen not only body gestures and movements but also other media, philosophy, and theories. Second, the dramaturg should approach to the process of choreography with empirical research. The practice of dramaturgy is involved in embodied thinking, in structuring, and performative operation of whole process. Third, the role of dramaturgy is performatively changed in every individual work. In contrast with the classical dramaturgy, the new dramaturgy in contemporary dance not deal with the abstraction of knowledge but practice in the way of performativity.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안무의 미학적, 형식적 변화와 함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를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확장된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고 드라마투르기 작업 사례를 분석하여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적, 실천적 논의를 전개했다. 컨템퍼러리 댄스에서는 무용의 자율적인 매커니즘을 벗어나 타매체와의 교류와 합류를 통해 창작의가능성을 발견하고, 안무의 과정에서 담론과 이론 등 지식생산을 춤의 주요한 과업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안무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매체의 다양성, 담론 생성, 협업 등을 토대로안무의 실험이 전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움직임의 나열과 구성에 초점을 맞춘 좁은 의미에서의 안무를벗어나 ‘확장된 안무’로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컨템퍼러리 댄스의 안무 개념 및 실천과 변화의 배경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에 관한개념적 논의와 유럽의 드라마투르그 예룬 피터스(Jeroen Peeters)의 드라마투르기를 사례를 중심으로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수행적 드라마투르그는 고전적 드라마투르기에서 강조되었던 텍스트 중심의 역할에서 해방되어 창작 과정에서의 실천을 강조한다. 드라마투르그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아니라 창작의 과정에서 자유로운 ‘행위’를 통해 매번 변화한다. 둘째, 안무의 재료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강조한다. 안무의 과정에서 수집되는 재료들은 드라마투르그와 같은 협업자들이 ‘공동의’ 감각과 이미지를 발생시키고 대화를 만들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 협업의 방법론에 대한 요구이다. 작업의 과정에서 협업자들은 각자의 관점과 감각으로 참여하며 이들의 실천은 무대 위에서 이질적으로 존재한다. 공동의 작업을 위한 안무의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은 안무의 재료를 선정하고 질문을 구체화하며, 장면의 구성을 위해서 중요한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드라마투르기의 수행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살피고 드라마투르기를 새롭게 변화하는 안무의 맥락 안에 위치시키고자하며, 21세기의 춤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한국 창작뮤지컬 안무의 시대적 흐름에 관한 고찰

        전유정 ( Chon Yuchong ),전은자 ( Jun Eunj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 창작 뮤지컬의 역사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되짚어 봄으로써 창작 뮤지컬 작품들 속 안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의 창작뮤지컬은 시대적으로 뮤지컬 발아기(1940년대~1950년대), 토착기(정착기)(1960년대~1980년대), 성장기(1990년대~2010년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발아기에는 악극 형태의 독자적인 뮤지컬 형태가 행해졌으며 비록 우리가 알고 있는 서구 형태의 뮤지컬이라는 형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나 한국적 소재와 다양한 무용을 접한 안무가들의 참여로 뮤지컬의 초기 형태를 띠어 한국 창작뮤지컬이 본격적으로 발달할 수 있게 그 기반 역할을 해주었다. 토착기에는 한국 창작뮤지컬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시기로 국가주도의 극단 `예그린악단`과 민간 극단들의 활동으로 뮤지컬에 대한 관심과 관객의 폭도 늘고 뮤지컬의 대중화, 토착화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던 시기이다. 또한 외국의 뮤지컬들의 수입으로 뮤지컬 시장이 다양화, 대형화, 전문화되어 상업성을 띠기 시작하였다. 이시기는 국가적으로 전통의 현대화 및 대중화와 전통예술의 국제화가 주요정책으로 국제적 행사들로 보여주기 위한 효과를 위해 대작에 스펙타클한 대형 군무, 화려한 춤과 함께 기존의 한국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을 갖춘 대중성 있는 안무들을 선보여 한국적 창작 뮤지컬 안무의 국제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주요 안무가들로 김백봉, 임성남, 최현, 백성규 등이 활동을 하였다. 성장기에는 많은 전문 민간단체들이 생겨 뮤지컬의 제작 편수도 많이 늘고 대극장이 아닌 소극장에서도 창작뮤지컬들이 제작되었다. 해외라이센스뮤지컬 작품들의 흥행성공으로 뮤지컬이 산업화되어 창작 뮤지컬 안무도 기존의 한국무용에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쇼적 분위기를 선보이며 극의 현대화와 한국적 색깔의 안무로 대중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대표적인 뮤지컬 전문 안무가로는 한익평, 서병구 등이 있다. 한국 창작 뮤지컬의 안무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아 안무의 내용과 형태가 달라졌으며 극에서의 안무 비중은 커졌지만 창작 작품의 위축으로 안무의 역할 위치는 예전에 비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This thesis presents an interpretation of Korean musical histor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of each era.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al theatr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ages. In the antecedent stage (1930s-1950s), the first musical production were like operas, but these were very different from Western musical theater. Korean traditional dance also remained popular. The dance themes focused on politics or parodied current events.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were Kim Minja and Jang Chuhwa. In the development stage (1960s-1980s), Western influence on Korean musical theatre was pronounced. Commercial efforts were made to develop a music industry. Spectacular shows were produced, and these represented an attempt to target global markets.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included Kim Bekbong, Lim Sungnam, Choi Hyun, and Bek Sungku. The golden age (1990s-2010s) brought dramatic change to Korean musical theater. While the original Korean musicals had been established as the basic form of musical theatre, Western musicals became a major branch in the Korean music industry. Each branch was a thriving institution, artistically and commercially, and each had its own place and purpose.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included Han Ikpung and Seo Byungku. Korean musical theater has been a part of the dramatic presentations of the times. Due to the emergence of modern Western musical theater, many structural elements changed, and choreography in musical theater became an important part of prod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