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악천후 대응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개발

        김용석,이석기,김솔람,강원평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악천후 관련 대형 추돌사고 및 빗길 대형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악천후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라 악천후에는 감소의 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운전자 스스로 기상상황에 맞추어 적정 속도로 주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 서, 교통관리 운영자가 기상조건을 정확하게 검지하고 도로 및 기상상황에 따라 적정 제한속도를 표출해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영종대교 시범운영구간을 제외하고는 국내 적용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악천후 시 기상조건을 정확하게 검지하고 도로상황을 감안한 제한속도를 표출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기상검지기, 표출시스템, 속도 관리 전략 및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기상검지기는 눈, 비, 안개, 바람, 노면온도 등을 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저비용 보급형 실현을 위해 통합형 기상검지기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인성 향상 표출부는 야간 및 악천후에도 시인이 가능한 수준의 휘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운영전략은 도로 및 기상상황에 따른 적정 제한속도 선정 및 교통류를 감안한 운영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기대효과로, 도로교통법에 규정된 악천후 시 감속 관련한 안전규정을 실 효성있게 도로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악천후 시 운전자들에게 적정 제한속도를 표출함 으로써 운전자간 속도편차를 줄여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류 흐름을 최대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교통관리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악천후 시 운전자 기대심리와 가변 제한속도간 관계정립을 위한 가상주행 시뮬레이터 연구

        김용석,이석기,김솔람 한국ITS학회 201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5 No.6

        The study review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 speed limit under adverse weather conditions by using a driving simulator. The study assumed that the display of the reduced speed limit without any change of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display of the same speed limit under the change of the weather conditions violate the expectancy of drivers, so it brings the negative effects on the safety. The study regards drivers conformance as the index of the degree of the compliance of driver expectancy, and utilizes the cumulative probability density within the certain range of the speed including displayed speed limit as the quantitative measure of effectiveness. The study reviewed this assumptions by using a driving simulator. As the results, the cases assumed to violate the expectancy of drivers showed the negative effects on the driving behaviour of driver relatively. 본 연구는 가상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을 통해 악천후시 가변 제한속도 표출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기상변화 없이 제한속도를 낮추어 표출한 경우와 기상이 변화되었는데도 제한속도를 낮추어 표출하지 못한 경우는 운전자의 기대 심리를 위배한 것으로 기상 변화에 따라 속도를 감속 표출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가정하고 이를 가상주행 시뮬레이터 결과를 통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기대심리에 부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운전자 순응도를 선택하였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출 제한속도를 포함한 일정 속도구간 내 누적확률밀도를 이용하였다. 검토결과, 운전자의 기대심리를 위배하였다고 가정한 조건들이 비교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운전자의 주행행태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강설에 따른 고속도로 용량 변화에 관한 연구

        손영태,이상화,임지희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지 Vol.31 No.6

        Under the consumption of bad weather situation affects traffic flows, the study scope is focused on highway capacity and speed variations among other highway traffic flow characteristic changes according to snowfall density. Thus, this study carried out through the data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by focusing on capacity and speed changes. Traffic volume, speed and density were selected as factors to explain the property change of a traffic flow for analysis, and 7 basic sections such as 3 highways in Gyeonggi-do and 4 highways near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y were selected as survey points for data collection. Snowfall levels were classified into 3 steps(Light, Medium, Heavy Snow) to analyze the capacity change by snowfall level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hange of capacity depending on snowfall levels decreased 13.2% in case of light snow compared to a good weather, 18.6% in case of medium snow and 32.0% in case of heavy snow, so the capacity reduction rate increased as the snowfall level increased. The worsening weather appeared to have a very big possibility to act as a factor to redu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a road, so a road design and operation method considering this should b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악천후가 교통 흐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하에 악천후 상황 중 강설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류 특성 변화 중에서도 용량 및 속도 변화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수집과 통계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통류 특성 변화를 설명하는 요소로 교통량, 속도, 밀도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수집 대상은 경 기도권내 3개 기상관측소 인근 4개 고속도로 7개 기본구간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강설수준별 용량 변화를 분 석하기 위해 강설수준을 3단계(Light, Medium, Heavy Snow)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강설수준에 따른 용량 변화를 살펴보면, 기후 양호시 대비 Light Snow(약한 눈)인 경우 13.2% 감소하였으며, Medium Snow(보통 눈)은 18.6%, Heavy Snow(강한 눈)은 3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설수준이 높아질수록 용량 감소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기상악화는 도로의 운영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향후 이를 고려한 도로 설계 및 운영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 강설시 시정거리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류 특성 변화 연구

        손영태(Son, Yeong-Tae),유형목(YOO, Hyung Mok),전성욱(JUN, Sung Uk),전진숙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우리나라 기상청의 관측 자료에 의하면 강설일수가 2010년 18.5일로 전년 대비 2.3일이 증가하였고, 전국 평균 적설량은 40.1cm 로 평년 대비 약 7cm 정도 증가하였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기상악화는 도로의 운영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며, 특히 강설은 차두간격과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기존에 도로가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은 2010년 도로용량편람 개정판(이하, USHCM)을 통해 도로 운영 효율을 저하시키는 강설시 최대교통류율 및 서비스수준 분 석 방법을 보완하여 제시하는 등 악천후에 대한 교통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설시 시정거리 수준을 5단계로 분류하여 연속류 도로의 대표적 성격인 고속도로 기본구간을 대상으로 교통 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정거리 수준에 따라 평균통행속도 차이가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 이 기상악화는 도로의 운영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충분한 자료 확보를 통해 향후 이를 고려한 도로설계 및 운영방법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자율주행 악의상황 데이터 클린징을 위한 유효특징 분석 기술

        김지은(Jieun Kim),정찬영(Chan-young Jung),노형주(Hyeong-ju Noh)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3 No.5

        This research has been motivated for developing an robust automotive data cleansing in adverse weather condition. To demonstrate this analysis of superiority, result was varified with conventional method using random forest ensemble classifier, Cat Boost classifier, XGB Boost classifier. The valid feature of our results was GLCM Sum Entropy , GLCM Run length nonuniformity.

      • 악천후 대응 에너지 독립형 낮은 조명 시스템 개발

        박원일,이석기,진민수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도로조명은 야간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해 주어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표적 공공 사회 기반 시설이다. 전통적 도로조명인 폴 형태의 가로등은 광원과 노면의 높이차로 인한 구조적・성능적 한계 로 야간 시인성(안전) 확보의 최소 근거인 도로 조명 성능 기준 만족 및 악천후 시 시인성 확보(선형 및 위험요소, 차선확인 등)가 근본적으로 불가하다. 이러한 폴 가로등이 가지는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낮은 조명 시스템은 광원 높이 및 적용 광학계의 한계로 등기구 가격 상승 및 도로 조명 기준 만족을 위한 설치 간격조밀화를 수반하여,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하여 시장 진입 확대에 난항을 겪고 있다. 따라 서, 기존 낮은 조명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가격 경쟁력 및 악천후 대응력을 추가로 확보하고, 이와 더불어 전 세계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에너지, 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 자립 고성능・저가격의 조명 시스 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 낮은 조명시스템의 광학계 및 재료・기구적 개 선을 통해 가격 경쟁력 및 안개 등 악천후 시 시인성 성능을 확보하고, 태양광 기반 전력 공급시스템 충전 효율성 및 전력 공급 안정성, 장수명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적용한 그림 1과 같은 악천후 대응 에너지 독립형 낮은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낮은 조명 시스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핵심 기술은 첫째, 저가격, 고효율 낮은 조명 기술개발, 둘째, 야간 악천후 대응 최적 시인성 확보 기술 개발, 셋째, 태양광 기반 에너지 자립형 전력 공급기술 개발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 및 테스트, 검·인증 과정을 거쳐 국내・외 시장에 확대・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본 연구의 성과를 활용한다면 안개 상습 취약 구간과 같이 악천후 대응이 필요한 구간 및 교량, 인터체인지 등 높은 조명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구간에 활용이 가능하며, 국내 도로조명의 패러 다임 변환으로 도로조명분야 신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