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모스서 통일성 논쟁에 대한 재고: 아모스의 지진을 중심으로

        방기민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3 Canon&Culture Vol.1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아모스서의 통일성 문제를 재고찰하는데 있다. 학자들 은 아모스서가 한 번에 쓰여진 책이라기 보다는 최소 3단계에서 최대 6단계 에 걸쳐 작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 까닭은 아모스서의 예언이 앗시리아에 의한 북이스라엘 멸망이나 남유다의 멸망 및 재건과 같은 후대의 사건들에 대한 암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원전 750년경에 일어난 규모 7.8-8.2로 추정되는 지진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모스서에 기록된 대부분의 심판이 아모스의 지진 으로 성취되었을 수 있음을 논의하고, 아모스서 대부분이 아모스에 의해 직접 선포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을 입증하려 노력한다. 아모스 지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1) 고고학자들과 지질학자들의 연구, (2) 스가랴와 요세푸스, (3) 시편 46편을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아모스 지진의 양상을 살핀다. 그런 다음 (4)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아모스서 구절들 을 처음부터 끝까지 새롭게 읽는다. 본 연구로 아모스서의 완전한 통일성을 입증하기는 어렵더라도, 아모스 서의 보다 많은 부분이 8세기 중엽에 집필되었을 수 있음을 독자들이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아모스서 1장 1절은 아모스서 전체를 이해하는 핵심 구절이 며, 우리에게 회개를 요구하는 하나님 및 기후위기와 같은 자연재난을 통해 심판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신학적 주제에 대하여 보다 심도 깊은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unity of the book of Amos. Scholars have seen that the book of Amos was written in at least three (Robert Coote) to a maximum of six stages(Hans Walter Wolff), rather than a book written at one time. The reason is that the prophecies in Amos seemed to contain allusions to later events, such as the destruction of northern kingdom (Israel) by neo-Assyria and the destruction and rebuilding of southern kingdom (Judah). This paper suggests that most of the judgments recorded in the book of Amos could have been accomplished by the earthquake of Amo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arthquake estimated to have a magnitude of 7.8-8.2 that occurred around 750 B.C. In order to examine the Amos earthquake, (1) studies by archaeologists and geologists, (2) Zechariah and Josephus, and (3) Psalm 46 are examined, and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the Amos earthquake are examined. Then it re-reads (4) the verses of Amos from cover to cover anew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complete unity of the book of Amos by this study, readers may agree that more of the book of Amos could have been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by Amos the prophet.

      • KCI등재

        아모스 3- 6장의 구조와 기능

        김래용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6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in Amos 3-6. For this I analyzed structure, content, syntax, and vocabulary in the pericope. Through this analysis, I found two structures, an indictment structure -Yahweh’s judgment and an exhortation structure - Yahweh’s ability. These structures play a role in justifying Yahweh’s judgment against Israel. On the basis of these structures, Amos 3-6 is divided into three cycles in which the two structures are repeated. The first cycle appears in Amos 3:9-4:13, the second cycle in Amos 5:1-17, and the third cycle in Amos 5:18-6:7. Amos 3:1-8 serves as an introduction and Amos 6:8-14 serves as a conclusion. Amos 3:1-8 becomes a basis for the justification of Yahweh’s judgment by mentioning a covenant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Israel, and explor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at relationship. The first cycle (Amos 3:9-4:13) is composed using a structure of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and of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They mention the sins and judgments of the leaders of fortresses and their wives, and advise that people should return to Yahweh for life. The second cycle (Amos 5:1-17) is composed in the form of two laments, one structured on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and the second structured on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This pericope mentions the sins and judgments of the leaders of Israel, and it exhorts the people to seek Yahweh and maintain justice. The third cycle (Amos 5:18-6:7) is composed using the structure of an exhortation-Yahweh’s ability and of an indictment-Yahweh’s judgment. They mention the sins and judgments of political leaders, and they indicate misunderstandings about Yahweh’s day and about religious festivals, assemblies, and several offerings. And they emphasize that people should maintain justice and righteousness. Amos 6:8-14 serves as a conclusion that emphasizes detailed contents related to Yahweh’s judgment. In particular, Yahweh’s judgments against seven nations in Amos 1-2 show that Yahweh judgment of Israel is justified, and Amos 7-9 shows the fact that the five visions justify Amos’s declaration. In this view, it is sure that Amos 1-9 plays a role in justifying Yahweh’s judgment against Israel. 아모스 3-6장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2종류의 구조를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한마디로 고발과 권면을 통해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부각하며, 이러한 죄로 인해 야웨가 이스라엘을 심판 하게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2종류의 구조를 기준으로 아모스 3-6장을 나누면, 아모스 3:1-8은 서론 역할, 아모스 3:9-6:7은 본론 역할, 아모스 6:8-14는 결론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론 역할을 하는 아모스 3:1-8은 야웨와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 관계와 인과율을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위한 토대를 놓고 있다. 본론 역할을 하는 아모스 3:9-6:7을 2종류의 구조를 한 쌍으로 하여 나누면, 이 단락은 3개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구 조를 지닌다. 첫 번째 사이클(암 3:9-4:13)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를 통해 궁궐의 권력자들과 그들의 부인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께 돌아와야 살 수 있다’는 것을 권면으로 강조한다. 두 번째 사이클(암 5:1-17)은 앞과 뒤에 애가를 배치하고 중앙에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를 배치하여 궁궐 밖의 권력자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를 찾으며 정의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권면으로 강조한다. 세 번째 사이클은(암 5:18-6:7)은 권면-야웨의 능력에 관한 구조와 고발-야웨의 심판에 관한 구조를 통해 정치적 지도자들의 죄악과 심판을 언급하며, 특별히 야웨의 날에 대한 오해와 절기/성회와 재물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며, ‘정의와 공의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권면으로 지적한다. 아모스 6:8-14는 결론 역할을 하는 데, 야웨의 심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강조함으로써 야웨께 돌아오지 아니한 이스라엘 족속의 최후를 언급한다. 이처럼 아모스 3-6장은 2종류의 구조를 통해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 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데, 앞에 배치된 아모스 1-2장은 7개의 열방에 대한 심판 신탁을 통해 심판자로서 야웨의 자격을 강조하고, 뒤에 배치된 아모스 7-9장은 5개의 환상을 통해 야웨의 심판의 선포자로서 선지자의 자격을 보강한다. 이런 점에서 아모스서는 철저하게 야웨의 심판의 정당성을 부각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 연구 –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

        송승규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를 비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아모스 A단계와 예레미야 A단계에 나타난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 아모스가 ?????(ʾebyȏn)과 ???(dal)을 사용한 구절들을 분석하였다. 아모스 2장 6b-7a절, 4장 1절, 5장 11-12절, 그리고 8장 4-6절을 분석하였는데, 아모스는 그의 신 탁에서 ?????(ʾebyȏn)과 ???(dal)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를 나타 냈다. 아모스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대 로 기원전 8세기의 집약농업 역학에서 착취당한 농민들이다. 3장에서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를 분석하였다. 2장 32절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고아와 과부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램버트의 연 구 결과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8세기의 농민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 28절의 ‘가난한 자’는 재판을 공정하게 받지 못하는 부류의 사람들 인 고아, 과부, 외국인 등을 총칭하여 나타낸 단어이다. 20장 13절에 나타나 는 ‘가난한 자’는 예레미야 자신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상황에 놓 인 사람들을 지칭한다. 22장 16절의 ‘가난한 자’는 요시야와 관련하여 나타 난다. 따라서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인식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사이에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동시에 나타난다. 아모스는 엘리트 지배계층에게 착취당 하는 농민들을 명확하게 그 대상으로 하지만 예레미야는 착취당하는 농민들 은 물론, 토라에서 제시하는 고아, 과부, 외국인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 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아모스의 신탁에서 농민에 집중되었던 ‘가난한 자’ 의 의미가 예레미야의 신탁에서는 농민들을 포함하여 예레이먀 당시의 사회 적 약자였던 고아, 과부, 외국인, 그리고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사람들을 총 칭하여 이르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mos an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ts meaning of ?????(ʾebyȏn) and ???(dal) in Amos A and Jeremiah A. In Part 2, I analyzed Amos’ phrases using ?????(ʾebyȏn) and ???(dal). Amos 2:6b-7a, 4:1, 5:11-12, and 8:4-6 were analyzed, with the effects of emphasis 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ʾebyȏn) and ???(dal) in Amos’ oracle. Amos’ understanding of the “the poor” is, as most scholars agree, the peasants who were exploited in the dynamics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8th century BC. In Part 3, I analyze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2:32, it seems to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orphans and widows, including foreigners. However, according to Lambert's study, the poor in this passage were analyzed to be similar to the peasants of the 8th century. “The poor” in 5:28 is a generic term that refers to orphans, widows, foreigners who were judged not with justice. “The poor” in 20:13 refers to those who are in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Jeremiah himself. “The poor” in 22:16 appears in connection with Josiah. Hence, “the poor” in this phrase is in line with Amo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conclus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ppear simultaneously between Amos' “poor” and Jeremiah's “poor”. Amos clearly targets peasants who are exploited by the elite ruling class, but Jeremiah also used the image of the exploited peasants as well as the orphans, widows and foreigners in the Torah.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poor”,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peasants, was expanded to include the collective term for orphans, widows, foreigners, and politically oppressed people who wer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Jeremiah's day.

      • KCI등재

        아모스 8-9장에 나타난 희망의 신탁에 관한 연구

        최종원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show through a compositions approach that Amos 8-9 plays a role as the key to understand the book of Amos as a whole. So far, studies on Amos are limited only to those on its individual units. Amos 8-9 forms a well-organized entity in its literary composition, and the underlying theological thoughts are based on the treaty tradi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Around the theological thoughts, the text provides important clues to the formation of the entire book of Amos. The final form of the text helps us to identify the entire fabric of Amos through a compositions approach, along with literary criticism on Amos 8-9. The last formation of Amos was done by a compositor of Amos 8-9, which is believed to have some deuteronomistic traces. As Julius Welhausen discovered, Amos 8-9 can be traced to have postdeuteronomistic characteristics, and Amos's hope can be a clue to show the features of the post-deuteronomistic theology. Amos 8-9 highlights Amos 9:5-7 in its structure, and each themes are clearly identified symmetrically in its chiastic structure. Finally, this study on Amos 8-9 stresses that the book of Amos took the deuteronomistic treaty tradition, and that the cause of the national disaster of Israel lies in the destruction of the contract with God. This position shows Amo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Israel's theological thoughts of the post- deuteronomistic age in relation to the texts of all the other minor prophets, and thus we can expect new research activities in the future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reaty tradition of the 12 minor prophets and that of the Pentateuch. 본 연구는 구성사적 비평방법을 통하여 아모스서 8-9장이 아모스서 전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아모스 8-9장에 대한 연구는 개별 단위의 연구에 그치고 있다. 아모스 8-9장 전체 내용이 문학적인 구성 속에서 잘 짜여진 통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구조를 이루고 있는 근본적인 신학적 사고는 고대 근동의 계약적 전통에 근거하여 기록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신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본문은 아모스 전체 본문의 형성사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문의 최종적인 모습은 8-9장의 문학적인 비평과 함께 구성사적인 비평을 통하여 전체 아모스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 아모스의 구성은 8-9장의 편찬자에 의하여 형성되어졌으며, 이러한 시도에는 신명기사가적인 흔적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벨하우젠이 발견했듯이, 신명기사가 이후(post-dtr)의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아모스의 희망은 신명기사가 이후의 신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 희망은 8-9장이 구조적인 면에서 아모스 9장 5-7절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각각의 주제들이 서로 나열되고 있는 구조 속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결국 아모스 8-9장의 연구는 아모스서가 신명기사가적인 계약 전통을 받아들이며 이스라엘의 국가적 재난이 하나님과의 계약파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12 소예언서와의 연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포로기 이후의 이스라엘의 신학적 사고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12 소예언서와 오경의 계약전통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 활동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요한계시록의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의 구약 배경

        김경식(Kyoung-Shi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3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 7번 사용되고 있는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의 구약 배경을 연구한다. 구약에 하나님 호칭은 수없이 많이 사용되지만, 계시록에 사용된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은 특정하게 아모스서(LXX)에 사용되는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아모스서(LXX)와 계시록 사이에 문자적 유사성이 명백하고, 빈도수로 보더라도 이 호칭이 다른 구약본문에는 1-2회 정도 사용되지만, 아모스서에서는 10회나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모스서(LXX)에서 이 호칭이 사용될 때는 하나님의 창조주, 심판주, 모든 만물의 통치자 되심, 그리고 우상에 대한 공격이라는 주제와 함께 사용된다. 흥미롭게도 계시록에서도 비슷한 문맥에서 이 호칭이 사용되는데, ‘셀 수 없는 많은 무리,’ ‘만국’이라는 단어가 함께 사용되거나, ‘통치’의 개념 혹은 ‘심판’의 개념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계시록에 사용된 전능하신 주 하나님 호칭이 아모스서의 문맥과 주제를 그대로 계시록 본문으로 끌고 들어와 아모스서의 신학과 교훈을 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게 만든다. 계시록은 아모스서의 하나님 호칭을 사용하여, 아모스서의 주제인 우상이 아니라 하나님만이 진정한 예배의 대상임을 상기시키면서, 로마황제라는 우상이 우리의 예배대상이 아니라,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만이 유일한 참 예배의 대상임을 정교하게 드러낸다. 로마황제가 ‘전능하신 주 하나님’이 아니라, 보좌에 앉으신 분이 ‘전능하신 주 하나님’이시다. 그분이 세상을 창조하셨고, 심판하시며 하나님의 백성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통치자이시기 때문이다. 계시록은 아모스서(LXX)의 하나님 호칭을 사용하면서 아모스서의 전체 문맥을 끌어다가 이 주제들을 연상시키며 신학적 권면을 표현하고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of th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that occurs 7 times in the Book of Revelation. Although the divine titles are used in many different forms in the OT, th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in Revelation is closely based on the same divine title in the Book of Amos(LXX)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there is verbal similarity between God’s title in Amos(LXX) and that in Revelation and furthermore the title is employed 10 times in Amos(LXX) whereas it is used only once or twice in other OT books. When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is used in the Book of Amos(LXX), it occurs with other themes such as God as creator, judge, ruler of all things and critique of idol worship. Significantly, the title is employed in similar context in John’s Revelation. It occurs with such phrases as ‘a great multitude,’ ‘nations’ and also with such themes as ‘God’s kingship’ and ‘judgment’. All these indicate that the use of the divine title from the Book of Amos in Revelation takes into and even evoke the broad context and themes in the Book of Amos to express exhortations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Book of Revelation warns about Roman imperial cults as idolatry and encourages believers in Asia Minor to worship only God, by using the divine title from Amos(LXX). The use of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from Amos shows that not Roman emperor but the one who sits on the throne is the only one who deserves worship as ‘the Lord God Almighty.’ This is mainly because God is creator, judge and true ruler of all nations, just as he is in the Book of Amos. The Book of Revelation makes such a warning and exhortations by using the divine title ‘the Lord God Almighty’ and thus evoking the broad context and themes of the book of Amos(LXX).

      • 공정사회 실현과 약자의 인권을 위한 아모스의 외침 -아모스서의 사회학적 분석

        이용화(Lee, Yonghwa)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8 No.-

        필자는 “공정사회 실현과 약자의 인권을 위한 아모스의 외침”이라는 주제로 부패한 북이스라엘 사회에 대한 아모스의 비판을 살펴보았다. 기원전 8세기 북이스라엘은 종교뿐만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상당히 부패하였던 때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모스 비판의 중심은 경제적으로 착취당하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에 관련된 것이다. 아모스는 여러 본문에서 사회의 총체적 부패상황과 사회적 약자의 인권이 유린되는 상황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데, 그 중에서 필자는 아모 2,6-8; 5,10-15(아모 2,6-8; 5,10-15)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아모스가 전하고 한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아모스가 제기한 문제의 출발점은 “왜 이스라엘이 계약 공동체로서의 정체성, 곧 평등, 자유, 박애의 정신을 망각하였는가?”이다. 이스라엘은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과 계약을 맺을 당시 모두 한 형제라는 평등사상에서 출발하였지만, 도시화로 인한 양극화로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이 생기에 되었고, 그로 인해 피지배계층에 속한 사회적 약자는 지배계층의 강자들에 의해 인권이 유린되기에 이르렀다. 아모스는 약자의 인권 유린이 부조리한 사회구조에서 비롯되었기에 약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회적인 인도주의적 차원의 도움이 아닌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변혁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약자의 인권보호가 공정사회 실현의 첫 걸음이라고 본다. I looked into the criticism of the corrupt northern Israeli society made by Amos, who is often called a prophet of justice, under the theme ‘Amos Call for fair societies and the human rights of the weak.’’ In the 8th century B.C., northern Israel was a considerably corrupt society, not only religiously but also economically. In such circumstances, Amos was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humanrights of the socially vulnerable, who were being exploited economically. Many parts of the Book of Amos show how the society was corrupt overall, and how the humanrights of the socially vulnerable were violated at that time. While I was sociologically analyzing the passages of Amo 2,6-8; 5,10-15, I studied the messages that Amos wanted to convey. A starting point for the problems Amos raised was, “Why did Israel forget its identity as a covenant community, or the spirit of equality, freedom and benevolence?’’ When Israel made its covenant with God on Mount Sinai, it considered all persons to be equal brothers. The polarization caused by urbanization, however, gave rise to a ruling class and a ruled class. As a consequence, the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vulnerable began to be violated by the powerful. As the violation of the rights of the vulnerable came from the irrational social structure, Amos stresses the necessity of basic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one-time humanitarian help,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vulnerable. Amos also connects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the weak to a fair society, and thinks that when the human rights of the vulnerable are protected, it is the beginning of a fair society.

      • KCI등재

        아모스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 - 아모스 9장을 중심으로

        박지온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3

        이 논문은 아모스 9장을 재해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으로 아모스서는, 이차 첨가로 분류되는 아모스 9:11-15절을 제외하고는 하나님의 심판만을 선포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독자는 정말로 아모스서에서 그런 어두운 하나님의 모습만을 마주하는가? 아모스서에 나타난 다섯 개의 환상은 오직 이스라엘을 향한 심판선포만을 포함하고 있는가? 아니면 하나님의 심판과 함께 구원에 대한 희망도 반영되어 있는가? 이러한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 아모스 9장을 세 부분 즉 1-6절, 7-10절, 11-15절로 나누어 심도 있게 분석하고, 그 안(최종형태의 아모스서)에 명시되어 있는 짧지만 확실한 구원에 대한 야웨의 의지를 논증한다.

      • KCI등재후보

        아모스 6:4-7의 <마르제아흐> 비판: 혼합종교에 대한 것인가, 사회적 불의에 대한 것인가?

        김태훈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4 No.2

        Indictment on Marzeah in Amos 6:4-7: On Syncreticism or Social Injustice? With the issue of the purpose of the marzeaḥ, some scholars emphasize the funerary aspect. They argue that In the feast participants offered comfort by sharing meals and drinks with the mourners. Others emphasize the memorial aspect. They consider the marzeaḥ as the feast for and with ‘deceased ancestors’ or ‘deceased heros.’ Recently Greer insists that the marzeaḥ as described in Amos 6:4-7 was a religious event. According to him, the use of mizraq vessel in Amos 6:6 is definitively syncretistic practice adopted from the nations around Israel. Epigraphic and iconographic evidence suggests that ritual vessels were used at cultic banquets in the ancient Near East. In Greer’s opinion, the cause of woe was the offense of syncretism, rather than the luxurious life. The present writer argues that Amos's indictment of the feast described in Amos 6.4-7 was not religious but social. Wealth and high-rank in the society apparently were prerequisites for participation. Amos 6:4-7 should not be dealt with separately. This unit is one of his judgment speeches on the doom of the elites of Israel and its luxury-living society. In addition, there is no reference to the pagan religion, nor to any form of communication with the deceased ancestors or heroes in Amos 6:4-7. The target is toward "participants" in such banquets. The reason for the destruction is the luxury-living of the elites at the cost of the poor and Israel's failure to bring forth the fruit of justice in the society. <마르제아흐>가 무엇인지, 어떤 성격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서 최근 20-30년 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부분이 밝혀졌으나 여전히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는 주제들이 있다. 최소한 아모스 6:7에서의 <마르제아흐>에 대한 비난은 백성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이스라엘의 사회-경제 엘리트들을 대표하는 제도로 오랫동안 인식되어왔으나, 최근에 다시 아모스의 <마르제아흐>가 이스라엘 엘리트들의 이교적이며 혼합적인 종교행태를 반영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마르제아흐>의 성격과 중요 요소, 그리고 목적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아모스 6:4-6 본문에서 <마르제아흐>에 대한 언급이 경제-사회적 비판인지 아니면 종교행태에 대한 비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마르제아흐> 모임의 일차적인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학자들의 주요 주장들을 파악하고 평가한다. <마르제아흐>가 비록 종교적인 성향, 그리고 “죽은 자를 위한 제의”와의 상관성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으나, 이런 결론이 주전 8세기 아모스의 특별한 상황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아모스가 비난하는 <마르제아흐>는 아모스 본문과 그 시대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아모스의 <마르제아흐> 비난은 혼합주의적인 종교 행태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제도 혹은 잔치가 대변하는 사회 지도자들의 사치와 불의에 대한 것이다.

      • KCI등재

        아모스서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

        구자용(Cha-Yong Ku)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이 논문은 아모스서가 가진 독특한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첫 부분에 나오는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이 그 자체뿐 아니라, 아모스서 전체의 구성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연구한다. 이것을 위해 먼저 아모스서의 전체적 형성 과정을 염두에 두고, 아모스 초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을 고찰한다. 그리고 통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여지는 없는지를 내용적 그리고 구성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나아가 아모스서에는 전체 구성적 관점에서 볼 때 초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뿐 아니라 종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서술들’의 배열을 통해 형성되는 ‘신학적 틀’이 있는데, 그것을 아모스서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 중의 하나로 주목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대변되는 이스라엘과 이방민족들 간의 관계성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결론으로 그것은 이스라엘이 이방민족들과 함께 여호와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의 동일한 대상일 뿐 아니라 구원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상대화된다는 것임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placement of ‘Amos’s oracles against the nations’ means to say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which is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of Amos in itself as well as its whole composition. For this purpose, I will first look into the ‘oracles against the nations’ in the first part of Amos, with the whole formation process of Amos in mind.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o think differently about the diachron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composition. Furthermore, in Amos, there is a ‘theological frame’ formed by the constructive arrangement of the ‘oracles of the nations’ as an opening frame as well as the ‘descriptions of the nations’ as a closing frame. That is noted as one of the other unique features in Amos. Further I try to find ou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the nations represented by it.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Israel is not only the same object of the severe judgment of JHWH Elohim with the nations, but also thoroughly relativized in salvation.

      • KCI등재

        ‘토라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아모스 선지자의 공공담론: 아모스 2장 6-7절의 재해석

        한규승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 discourses (prophetic ministrie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 Amos and to prove that his publicness was rooted in the publicness of the Torah, that is, the Covenant Code (Exod 20-23) and the Deuteronomic Code (Deut 12-26). For this, I traced the modern concept of publicness and then analyzed the public discourses of Amos on the basis of it. I analyzed the publicnes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with a focus on the three elements (populus, salus publica, Publizität), which constitute publicness on the basis of the publicness ideas of the two scholars—Rudolf Smend and Cho Han Sang. These three elements of publicness are found in the oracles of the four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For them populus was the free peasants of Israel in the land of inheritance, salus publica means the enjoyment of rest there, and Publizität refers to the publicly delivered oracles in the public places such as the city-gate square, the sanctuary, and the palaces. The prophets of Israel, especially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incessantly ran the risk of being endangered to suffer persecu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Torah-based publicness’ of the Yahwistic faith. The publicness of the Israelite prophets was embodied in the Torah-based publicness and it strikes root in the ‘theology of the land.’ This study touched the ‘theology of the land’ in the laws of the Torah, which is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e land for the ancient Israel meant more than an arable soil for securing food and connoted all the economic activities done on and for it. Thus the Torah-based publicness is the economic publicness that seeks to protect the God-given rights and life of the free peasants so that they may not be victimized for lack of economic injustice. The Torah-based publicness penetrates the public discourses of the prophets of Israel, specifically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Therefore, In order to interpret the public discourse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properly, a socio-scientific exegesis based on the ‘Torah-based publicness’ is needed. As such an example, I tried to do an intertextual exegesis on Amos 2:6-7 socio-scientifically on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us, in Amos 2:6 the preposition ‘ב’ is interpreted as “by means of” and thus the phrase ‘rWb[]B’ as “any practical action”(e;rgoj). Besides, though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that Amos 2:7c generally means sexual depravation in a family, I understood it to mean that a family faced the loss of hypothec economically, which was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free peasants of the time. In this way I tried to make it clear t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mos 2:6-7 was a public discourse of the prophet Amos which criticize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he 8th century B.C. Israel on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rough this study, by illuminating the publicness of the Old Testament, which has been remarkably formed in the long historical proces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Torah, the activities of the prophets, and so forth, we come to notice that the Old Testament is the genuine text for the publicness of the church and Christian theology . 본 논문의 목적은 주전 8세기 이스라엘 예언자 아모스의 공공담론(예언 활동)을 탐구하여 이러한 공공성이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것임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적 공공성의 개념을 먼저 정립하고 이를 기초로 아모스 예언자의 공공담론을 분석하였다. 독일의 헌법학자 루돌프 스멘트와 법학자 조한상 등의 공공성 이론에 착안하여 공공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즉 인민, 공공복리, 공개성이라는 요소에 비추어 볼 때 주전 8세기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에게 인민은 약속의 땅에서 생존경제로 살아가던 자유농민들이며 공공복리는 약속의 땅에서 누리는 안식이며, 공개성은 예언자들의 공론의 장이 되었던 성문 앞 광장을 비롯한 궁중, 성소 중심의 예언 행위가 될 것이다. 이스라엘의 예언자들 특히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은 야웨 종교의 ‘토라적 공공성’을 지켜내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난을 자처한 인물들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공공성은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하며 ‘토라적 공공성’은 ‘땅신학’에 기초한다. 본 논문에서는 토라적 공공성의 알짬이 되는 토라 내 법전들의 ‘땅신학’을 고찰하였다. 땅은 단순히 토지를 넘어서는 것이며 토지 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을 환유한다. 따라서 토라적 공공성은 자유농민의 천부적 권리와 삶을 지켜내는 경제적 공공성이다. 이러한 토라적 공공성이 이스라엘 선지자들 특히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공공담론을 관통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주전 8세기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공공담론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사회과학적 주석이 필요하다. 그러한 예로서, 아모스 2장 6-7절에 대한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사회과학적 주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아모스 2장 6절의 베트(ב)를 “~을 수단삼아”로 해석하고 ‘바아부르’(rWb[]B;)를 “어떤 구체적인 행동”(e;rgoj)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2장 7c절을 전통적으로 성적 타락으로 해석하는 것과 달리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저당권 상실’ 상태에 처한 당시의 자유농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본문으로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이 본문이 전통적인 해석과 달리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비판하는 예언자 아모스의 공공담론이었다는 것을 더 분명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토라의 형성과 예언자들의 활동 등 오랜 역사적 과정에서 형성된 구약성경의 현저한 공공성을 조명하면서 구약성경이야말로 교회와 기독교 신학의 공공성의 진정한 텍스트임을 주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