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라이 하쿠세키와 아메노모리 호슈 -조선으로부터의 시선

        이호윤 ( Ho Yu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5

        일반적으로 아메노모리 호슈는 근대 일본의 아시아침략과는 대조적으로 근세일본의 `성신외교`의 진력자로서 알려져 있으며 호슈에 대한 연구도 `성신외교`에 주목한 것이 대부분이다. 확실히 아메노모리 호슈는 `성신외교`를 주장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교린제성"이 그 대표적인 서적일 것이다. 아메노모리 호슈는 "교린제성"에서 `성신이라고 하는 것은 서로 속이지 않으며 싸우지 않고 진실로서 교제하는 것이며 조금이라도 상대국의 방법에 응하지 않으면 참된 성신이라고 말 할 수 없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아라이 하쿠세키는 근세일본과 조선의 `우호관계`의 심볼인 아메노모리 호슈의 라이벌로서 이러한 `우호관계`에 지장을 초래한 존재로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런데 근세 조선측의 기록을 보면 아메노모리 호슈와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한 평가는 현대의 이러한 평가와는 반대로 오히려 아라이 하쿠세키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메노모리 호슈는 비난을 받고 있다. 아메노모리 호슈의 `성신`을 평가할 때 근대이후의 `권모술수`적인 외교와는 다른 `친선, 우호`적 주장인 `성신`을 근세기에 있어서 유일하게 주창한 인물이 아메노모리 호슈이며 또한 당시 대부분의 일본, 조선의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상대를`오랑캐`로 보는 경향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인물로서 아메노모리 호슈를 그려왔다. 그런데 아메노모리 호슈를 `성신`이라는 말로`평등, 대등` 또는 `우호,선린`관계의 대표자로서 위치지운다면 `국민국가`의 `외부`에 존재하고 있었던 아메노모리 호슈의 사상 또는 `근세적 외교`의 참모습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이후 조일 양국간에 행해졌던 외교의례인 통신사 사행시 발생했던 긴장관계와 갈등관계를 은폐해버리는 것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통신사가 남긴 사행록과 아메노모리 호슈, 아라이 하쿠세키가 남긴 사료를 통해서 당시의 교류의 참모습을 살피는 것으로 근세 지식인들의 교류 및 관계의 일부분을 규명한 논문이다. In contrast to the perception of most modern Japanese diplomats, Amenomori Hoshu is generally thought of as an "honest diplomat" in early modern history. Studies on Amenomori also reflect this personification of the "honest diplomat," and Amenomori Hoshu`s account in Kourinteisei emboldens this even further. That is, in Korinteisei he writes that this honesty is conceived when two parties interact mutually with faith and without deception or aggression. When one country fails to interact with the other, pure honesty fails to materialize. Arai Hakuseki, considered as a rival to Amenomori Hoshu in his role as representative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early modern Japan and Korea, came to believe that Amenomori actually interfered with these congenial interactions. Moreover, early modern accounts from Korea praise Arai Hakuseki and levy criticism on Amenomori Hoshu.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however, Amenomori Hoshu`s "honesty" is not seen as something derivative of Machiavellian politics but rather he is seen as an atypical figure in a time when most early modern intellectuals in Japan and Korea portrayed each other with contempt and as barbaric. It becomes even more difficult to comprehend early modern diplomacy when we take into account Amenomori Hoshu, in his role outside of the "nation-state," as a symbol of honesty, amity, and equality. In a sense, he was instrumental in concealing the tense and adversarial relationships that had grown between Japan and Korea ever sense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in the late 1500s. This article uses primary sources pertaining to Amenomori Hoshu and Arai Hakuseki`s work in diplomacy to examine their ro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o shed light on one part of early modern Japanese and Korean intellectual exchange.

      • KCI등재

        아라이 하쿠세키와 아메노모리 호슈 - 조선으로부터의 시선 -

        이호윤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5

        In contrast to the perception of most modern Japanese diplomats, Amenomori Hōshū is generally thought of as an “honest diplomat” in early modern history. Studies on Amenomori also reflect this personification of the “honest diplomat,” and Amenomori Hōshū’s account in Kourinteisei emboldens this even further. That is, in Kōrinteisei he writes that this honesty is conceived when two parties interact mutually with faith and without deception or aggression. When one country fails to interact with the other, pure honesty fails to materialize. Arai Hakuseki, considered as a rival to Amenomori Hōshū in his role as representative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early modern Japan and Korea, came to believe that Amenomori actually interfered with these congenial interactions. Moreover, early modern accounts from Korea praise Arai Hakuseki and levy criticism on Amenomori Hōshū.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however, Amenomori Hōshū’s “honesty” is not seen as something derivative of Machiavellian politics but rather he is seen as an atypical figure in a time when most early modern intellectuals in Japan and Korea portrayed each other with contempt and as barbaric. It becomes even more difficult to comprehend early modern diplomacy when we take into account Amenomori Hōshū, in his role outside of the “nation‐state,” as a symbol of honesty, amity, and equality. In a sense, he was instrumental in concealing the tense and adversarial relationships that had grown between Japan and Korea ever sense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in the late 1500s. This article uses primary sources pertaining to Amenomori Hōshū and Arai Hakuseki’s work in diplomacy to examine their ro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o shed light on one part of early modern Japanese and Korean intellectual exchange. 일반적으로 아메노모리 호슈는 근대 일본의 아시아침략과는 대조적으로 근세일본의 ‘성신외교’의 진력자로서 알려져 있으며 호슈에 대한 연구도 ‘성신외교’에 주목한 것이 대부분이다. 확실히 아메노모리 호슈는 ‘성신외교’를 주장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교린제성”이 그 대표적인 서적일 것이다. 아메노모리 호슈는 “교린제성”에서 ‘성신이라고 하는 것은 서로 속이지 않으며 싸우지 않고 진실로서 교제하는 것이며 조금이라도 상대국의 방법에 응하지 않으면 참된 성신이라고 말 할 수 없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아라이 하쿠세키는 근세일본과 조선의 ‘우호관계’의 심볼인 아메노모리 호슈의 라이벌로서 이러한 ‘우호관계’에 지장을 초래한 존재로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런데 근세 조선측의 기록을 보면 아메노모리 호슈와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한 평가는 현대의 이러한 평가와는 반대로 오히려 아라이 하쿠세키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메노모리 호슈는 비난을 받고 있다. 아메노모리 호슈의 ‘성신’을 평가할 때 근대이후의 ‘권모술수’적인 외교와는 다른 ‘친선,우호’적 주장인 ‘성신’을 근세기에 있어서 유일하게 주창한 인물이 아메노모리 호슈이며 또한 당시 대부분의 일본, 조선의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상대를‘오랑캐’로 보는 경향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인물로서 아메노모리 호슈를 그려왔다. 그런데 아메노모리 호슈를 ‘성신’이라는 말로‘평등, 대등’ 또는 ‘우호,선린’관계의 대표자로서 위치지운다면 ‘국민국가’의 ‘외부’에 존재하고 있었던 아메노모리 호슈의 사상 또는 ‘근세적 외교’의 참모습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이후 조일 양국간에 행해졌던 외교의례인 통신사 사행시 발생했던 긴장관계와 갈등관계를 은폐해버리는 것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통신사가 남긴 사행록과 아메노모리 호슈, 아라이 하쿠세키가 남긴 사료를 통해서 당시의 교류의 참모습을 살피는 것으로 근세 지식인들의 교류 및 관계의 일부분을 규명한 논문이다.

      • KCI등재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의 교린교육(交隣敎育)에 관한 연구

        하창민(Ha chang-min),신현정(Shin Hyun-Ju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1668-1755)가 지향했던 교린교육(交隣敎育)의 성립배경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성신지교(誠信之交)’의 교린교육이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교린교육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대마도의 관리였던 호슈는 조선과의 다양한 인적․물적 교류를 통해 진실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외교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성신지교’ 는 타문화 이해와 문화상대주의적 가치관 구현을 통해 대마도민을 경제적 빈곤에서 해방시키고자 하는 호슈식 ‘애민주의’ 의 실천이었다. 셋째, 고도의 상업능력을 갖춘 외교관 육성을 목표로 설립된 대마도의 ‘한어사(韓語司)’는 호슈의 ‘성신지교’를 위한 교린교육의 장이었다. 근세 일본의 외교관이자 교육자였던 호슈가 지향했던 교린교육은 타문화 이해를 통한 ‘문화 상대주의’와 ‘부쟁(不爭)’ 등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근세적 실천이었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lue and meaning of relationship education called ‘Seishinziko’ in today s glob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relationship education that Amenomori Hosyu aimed a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in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Hosyu, who was the administrator of Tsushima, strong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iplomatic relations based on truth and trust through variou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with Joseon. Second, Seishinziko was the practice of ‘love for the people’, which aims to liberate people from economic poverty through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cultural relativism. Third, Tsushima s Korean language school, which was founded with the aim of training diplomat with commercial ability, became the place of relationship education for Hosyu s ‘Seishinziko’. We can find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the relationship education of Japanese educator Hosyu was a prototyp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in the modern era.

      • KCI등재

        享保六(1721)年の陶山訥庵と雨森芳洲

        다사카마사노리 ( Tasaka Masanor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8 No.2

        이 논문은 교호 6년 6, 7월에 에도(江戶)시대 츠시마번(對馬藩) 두 명의 유신(儒臣) 수야마 토츠안(陶山訥庵)과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사이에서 주고받은 서신을 통하여 두 사람의 교류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호 6년은 츠시마에파견된 조선의 도해역관사절(渡海譯官使節) 65명 전원이 가담한 인삼 불법 밀거래가 발각되는 사건이 일어난 해이다. 원래 인삼 밀거래를 저지르면 사형을비롯한 엄별에 처하게 되어 있으나, 여러 사정으로 이 번 밀거래를 저지른 사절단 전원은 면죄가 되었다. 이 때 토츠안과 호슈는 서로 면죄와 엄벌이라는 정반대 의견을 제기하여 격론을 벌인다. 토츠안의 관대한 처치를 주장하는 의견이채택 되자 호슈는 격분하여 조선방좌역(朝鮮方佐役)을 사퇴하기에 이룬다. 반면, 이 두 사람의 대립이 일어나기 이틀 전, 호슈는 장남에게 호주승계 시 유신이라는 가업을 면하기를 원하는 뜻을 번(藩)에 올리는 일을 토츠안에게 상담하여협조를 의뢰하게 된다. 토츠안은 호슈의 의뢰를 전면적으로 받아드려 협조하여,호슈는 이에 더할 나위 없는 고마움을 표하여 전적으로 토츠안을 신뢰한다. 같은 시기에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난 대립과 협조의 모습을 살펴보며 호슈에게지대한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 되는 토츠안이 격분하는 호슈에게 관대한 이해와아낌없는 협조를 배푼 사실을 볼 수가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rerationship with two Confucianism scholar, TotsuanSuyama and Hosyu Amenomori, expecialy in 1721. This year, illegal trade of ginsengis discovered. 65 people all interpreter mission was sent to Tsushima was complicitin the illegal trade. Originally, to be sentenced to severe punishment, suck as deathpenalty after the illegal trade. Mission that the illegal trade of this time, due tocircumstances was exonerated. Totsuan and Hosyu signed a heated debate presentsthe opinions of the opposite of severe punishment exonerated each other at this time. Opinion to claim generous treatment of Totsuan was adopted, Hosyu declined theposition of versus Cheosen Secretary Assistant. On the other hand, two days beforethe conflict of two people takes place, Hosyu had requested the understanding andsupport concerning succession to a family in Totsuan. Totsuan acceptanced acrossthe board the request of Hosyu, and Hosyu was trustful Totsuan represents a deepappreciation. We can se a concert with the conflict that took place between twopeople at the same time. And We can see Totsuan``s gecerous figure to Hosyu.

      • KCI등재

        아메노모리 호슈의 외교와 사상 - 18세기 조일간 상호인식과 외교가로서의 호슈 -

        김태영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59 No.-

        In order to check the gap of mutual perception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like this, it studied diplomacy and thought of Amenomori Hosyu, the diplomat, thinker, and educator who was responsible for diplomatic business at that time. Shin, Yuhan of the Joseon Dynasty described the contents of experiencing and learning knowledge of Japan in detail by visiting it as a document official of Gihae Tongsinsa in Haeyurok . Arai hakuseki, the Shogunate advisor in Tokugawa shogunate‘s 6th Shogun Ienobu period, had a view of despise the Joseon Dynasty, defied convention to be decided by the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and made a reform of the diplomatic ceremony by unilateral notice to the Joseon Dynasty when he was an official Japanese ambassador in 1711. Amenomori Hosyu argued that armaments of Tsushima Island are important putting forth a logical argument of Bilateral Relations through his writings, Ingyosimalmuleo and 「Joseonpungsokgo」 as the arguer of 'the japanese Hua-Yi theory'. Hosyu's argument like this connects arguments that appear in Japanese diplomacy since the modern age. However, It is thought that Amenomori Hosyu looked at the Joseon Dynasty based on accurate knowledge, was a great command of Korean, and was the diplomat who engaged in himself in diplomacy of the Joseon Dynasty with knowledge learnt by himself and regarded practical interests as important unlike Arai Hakuseki.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일간 상호인식의 간극을 확인한 위에 당시 외교 실무를 담당한 외교가이자 사상가, 교육자인 아메노모리 호슈의 외교와 사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조선의 신유한은 1719년 기해통신사 제술관으로 일본을 왕환하면서 문견(聞見)한 내용을 해유록 에 자세히 기술하였는데, 신유한 자신이 느낀 감상을 솔직하게 기술하면서도 새로운 도시에 대한 문견의 내용을 기술하는 경우에는 사실 중시의 태도로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유한은 일본에 대해 객관적 시각을 견지하려 노력하였지만, 그 역시 당시 지배적 시각인 주자학적 시각 안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진면목을 보는 데에는 방해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6대 쇼군 이에노부(徳川家宣) 시기의 막부 고문 아라이 하쿠세키는 대조선 멸시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1711년 통신사 당시 조일 쌍방이 합의로 정하기로 한 관례를 무시하고 조선에 대한 일방적인 통고로 빙례 개혁을 단행하였다. 아메노모리 호슈는 ‘일본형 화이사상’ 논자로서 저작 인교시말물어 와 「조선풍속고」에서 순망치한의 논리를 펴면서 쓰시마의 무비(武備)가 중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호슈의 이와 같은 주장은 근대 이후 일본의 외교에서 나타나는 주장과도 통하는 것이다. 호슈는 하쿠세키와 달리 조선을 정확한 지식에 입각하여 바라보고 있었고, 조선어에 능통하였으며, 호슈 자신이 체득한 조선 지식을 가지고 대조선 외교에 임했던 실리중시적 외교가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18세기 初 朝日間 ‘誠信外交’에 대한 고찰

        조인희(Cho, In Hee)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6 No.-

        본고는 18세기 초 조선과 쓰시마(對馬) 간의 교섭 과정을 ‘성신외교’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에서 말하는 ‘교린(交隣)’과 일본, 특히 그 중에서도 쓰시마에서 말하는 ‘인교(隣交)’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린의 道’로서의 ‘성신과 ‘인교의 道’로서의 ‘성신’의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조선의 ‘교린’과 쓰시마에서 말하는 ‘인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조선의 ‘교린’의 이념은 조선 시대 전후반기를 관통하는 개념인 반면,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로 대표되는 쓰시마의 ‘인교’는 도쿠가와 막부의 성립 이후에 만들어진 개념이다. 두 번째로, 조선의 ‘교린’은 유교에 근거한 대외 정책 이념인 반면, 아메노모리 호슈의 ‘인교론’은 도쿠가와 막부의 ‘무위’에 기반을 둔 것이며 쓰시마의 ‘무비’를 갖추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 번째로, 조선의 ‘교린’은 문화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우월의식을 내재하고 있지만, ‘인교’는 양자 간의 대등성을 강조한 개념이다. 이상과 같은 차이를 바탕으로 조선과 쓰시마에서 말하는 ‘성신’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조선과 쓰시마에서 말하는 ‘교린의 道’로서의 ‘성신’은 구례를 존중하는 경향이 강함을, ‘인교의 道’로서의 ‘誠信’은 무비를 존중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이는 ‘성신’이라는 유교도덕적 명분을 바탕으로 명분과 실리를 일치시키고자 한 양측의 치열한 대결이 빚어낸 결과였으며, 이와 같은 양상은 아메노모리 호슈가 작성한『성신당기(誠信堂記)』에도 잘 드러나 있다. The following essay refers to negotiation between Chosun and Tsushima through the idea of `Sungsin Diplomacy`. Here, comparison on `Gyorin` in Chosun and `Rinkou` in Tsushima had performed, and differences between `Sungsin` as `the way of Gyorin` and `Sungsin` as `the way of Rinkou` was unveiled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Gyorin` and `Rinkou` is as followed. First, the idea of `Gyorin` in Chosun penetrates the whole reigning era, `Rinkou` was mad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okugawa Bakuhu. Second, `Gyorin` in Chosun was based on confucianism, while `Rinkou` was based on military power of Tokugawa and Tsushima. Also the objective of `Rinkou` was to reinforce the financial affairs of Tsushima. Third, `Gyorin` in Chosun was based on self perception of cultural superiority, while `Rinkou` emphasized equivalency of both sides. Based on the followed differences, Analysis on the meanings of `Sungsin` in Chosun and Tsushima was made. As a result, It was unveiled that `Sungsin` as `the way of Gyorin` respected traditions and treaties of past, while `Sungsin` as `the way of Rinkou` put emphasis on financial affaires of Tsushima. The Differences was a product of struggles between Chosun and Tsushima to justify themselves. Such an aspect is well depicted on 『Sungsindanggi(성신당기)』 which was written by Amenomori Hoshu.

      • KCI등재

        「酉年工夫」 의 형성과 한국어 문화 교육 교재

        김준형(Kim Joonh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이 글은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가 초량왜관에서 근무하던 1876년에 필사한 한국어 학습 교재「유년공부」에 주목하였다. 쇼지로는 조선에 선발된 통역관인데, 그는 초량왜관에서 한국어 학습을 위한 6편의 문학 작품을 필사한다.「유년공부」는 그 중의 하나다. 본래「유년공부」는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가 1705년에 편찬한 텍스트인데, 1876년에 쇼지로가 이 텍스트 를 필사하였다. 호슈의 책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으니, 아직까지는 이 책이 유일본인 셈이다. 그러니「유년공부」는 19세기에 필사되었지만, 17세기 말 조선의 풍경을 담은 책이라 할 수 있다. 호슈는 “목숨을 5년쯤 단축하는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이루리라”는 각오로 이 책을 썼다. 호슈가 조선의 책을 짓는 행위는 단순한 오락이나 일탈이 아니었다. 외교 철학이라 내세웠던 성신외교(誠信外交)의 전제가 조선인의 인정(人情)과 사세(事勢), 즉 조선의 풍속과 관습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비롯되니, 조선의 풍경을 가장 잘 반영된 설화를 통해 ‘문화 교육’을 이루겠다는 의무에서 비롯된 치열한 행위였다.「유년공부」에는 총 56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56편 중 5편은 향약(鄕藥) 관련 정보니, 순수한 이야기는 총 51편이다. 51편 중 성(性) 관련 소화는 26편, 치우담(癡愚談)과 지략담(智略 談)이 각각 11여 편, 단순 소화는 4편이다. 「유년공부」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을 갖는다. 첫째, 형식적으로 구술 방식을 취한 점. 둘째, 내용적으로 성(性) 이야기를 포함한 조선의 인정물태를 다룬 작품이 많다는 점. 셋째, 패설사적 측면에서 패설의 흐름과 변이 양상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This study focuses on YunyeonGongbu (酉年工夫), a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which was transcribed by Nakamura Shojiro in 1876 while he was working at Choryang Waegwan. Shojiro was an official interpreter selected for Chosun, and when he was staying in Waegwan, he transcribed six pieces of literary works to learn Korean. YunyeoGongbu is one of them, and it was what was compiled by Amenomori Hoshu in 1705 and then again transcribed by Shojiro. Hoshu wrote this book with a resolution “to complete it for sure even if it might shorten his life about five years or so”. To Hoshu, the act of writing books of Chosun was never a mere play. It was indeed a textbook for some sort of ‘culture education’ to take a glance at the culture of Chosun people. It was because the fact that ‘he could learn the culture of Chosun through stories’ never changed. YunyeonGongbu contains total 56 pieces of works. Among the 56 pieces, 5 pieces from episodes 33 to 37 deal with information about Hyangyak 鄕藥), so pure stories are total 51 pieces. Out of the 51 pieces, 26 episodes deal with sex, 11 are about a foolish person and about a witty person respectively, and 4 are simple episodes. Regarding the works’ internal factors aside from external factors, for example, the bibliography of the text or distribution,「YunyeonGongbu」involves crucial messages. It i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tories in Korea, and the phenomena can be largely summed up as three factors. First, they take the form of verbal statement. Second, in terms of contents, many of the works deal with human lives and social circumstances such as sexual stories. Third, regarding the history of stories, they provide clues about the trends or changes of stories.

      • KCI등재

        18세기 한일 교류에서 雨森芳洲의 역할에 대한 일고찰

        이효원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what "role" Hoshu performed while performing actual envoys, and examined relation with recognition of Korea. First, Hoshu served as an equilibriumist to end the long-standing dispute between Mt. Geumgang and Mt. Fuji with rational judgment. The dispute over the merits and demerits of Mt. Fuji and Mt. Geumgang has become an annual event for Tongshinsa exchanges. Both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claimed the superiority of Mt. He also said it was foolish to argue without any connection between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And the decline of the mountain, and criticized both news agencies and Japanese literature for arguing in a balanced manner that there was no practical benefit. Both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claimed the superiority of Mt. He also said it was foolish to argue without any connection between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He criticized the dispute from a balanced point of view, both the Tongshinsa and the Japanese literature, which had no practical advantage. Second, Hosh was also a coordinator who mediated the sudden conflict at the diplomatic scene. In the process of settling the issue of rituals with Tsushima and in the process of Tongshinsa protesting against the Daibutsu shrine's receptions, Hoshu did not hesitate to speak for the interests of Tsushima and the Shogunate. This attitude,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his faith diplomacy(誠信外交論), seems to be a desperate measure to coordinate the inevitable conflicts that arise in the diplomatic arena. Thirdly, Hoshu tried to introduce Japan's talented literati and valuable books. Hoshu tried to introduce Japan's academic achievements to Choson by helping Japanese writers such as Toriyama Shiken and Karakane Baisho to be known to Tonshinsa. He also played a role in making Sorai School’s literati Ymagata Shunan to gain national prestige in Japan. In 1711, the reputation of Sorai School has spread all over the country. When the wind began to blow, there was the presence of Amenomori Hoshu. 본고에서는 호슈가 실제 통신사를 배행하면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이것이 조선에 대한 인식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조선과 거짓 없이 교제할 것을 주장한 성신외교론은 근대 일본의 조선침략과는 대비되는 평화의 사상으로 조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호슈의 타자 인식은 성신외교론이나 평등외교론으로 규정할 수 없는 다층적인 면모를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성신외교론에서 호슈가 주장했던 바, 신뢰를 바탕으로 교류해야 한다는 추상적인 명제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면모가 외교 현장의 갈등이나 필담을 통한 첨예한 논쟁에서 드러난다. 또한 그리고 한일 문사 교류의 구심점이 되고 새로운 학문의 전파자가 되었던 호슈의 역할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을 조일 외교의 현장에서 수행한 호슈의 역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첫 번째로, 호슈는 오랜 논쟁 거리였던 금강산-후지산 우열 논쟁을 합리적인 판단으로 매듭 짓는 균형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후지산과 금강산의 우열 논쟁은 통신사 교류의 연례 행사와 같은 것이 되었다. 조선과 일본의 문사는 서로 자국 산의 우월함을 주장했는데, 호슈는 후지산의 우월함을 주장하는 일본인이나 여기에 대해 금강산을 들어 반박하는 조선인이나 모두 ‘好勝心’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나라의 성쇠와 산은 아무 관계가 없는데 이것을 가지고 논쟁을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며 ‘와각지쟁’일 뿐이라 하며 통신사와 일본 문사 양쪽 모두 실익이 없는 논쟁을 하고 있음을 균형 잡힌 시각에서 비판하였다. 두 번째로, 호슈는 외교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벌어지는 갈등을 중재하는 조정자이기도 했다. 쓰시마 도주와의 의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大佛寺의 연회가 통신사를 조공사절로 연출하기 위한 것임을 알아챈 통신사가 항의하는 과정에서 호슈는 쓰시마와 막부의 이익을 대변하는 중재자로서 통신사를 위협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성신외교론과 어긋나는 이러한 태도는 외교현장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세 번째로, 호슈는 일본의 재능있는 문사나 가치 있는 서적을 조선에 소개하고 전달하거나 일본 내에 알리는데 힘썼다. 호슈는 鳥山芝軒, 唐金梅所 등 일본 문사의 저술이 조선에 알려지는데 도움을 주기도 했고, 일본의 학술 성과를 조선에 전하고자 노력하기도 했다. 또한 山縣周南과 같은 徂徠學派의 문사가 일본에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을 수 있도록 소통하는 역할도 맡기도 했다. 1711년 통신사를 통해 신생학파였던 徂徠學派의 명성이 일거에 전국으로 퍼져나갔으며 이후 약 반세기에 걸쳐 일본 학계를 풍미하게 된다. 그 바람이 불기 시작한 시점에 바로 아메노모리 호슈의 존재가 있었다.

      • 雨森芳洲와 新井白石의 言語觀 : 언어 연구에 대한 두 사람의 태도 비교

        오바타 미치히로 평택대학교 2006 論文集 Vol.20 No.-

        근세 일본의 지식인 아메노모리 호슈와 아라이 하쿠세키는 주목할 만한 타문화 인식을 보여 준 사람들이다. 특히 두 사람의 타문화 인식의 바탕에는 언어가 아주 큰 비중을 가지고 있었다. 타문화를 생각하기 위한 바탕으로서의 언어관을 비교해 보면 두 사람은 언어에는 역사적 차이와 지역적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는 데에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두 사람이 언어 나아가서 타문화를 생각하는 보편적 경향으로 인식된다. 한편 두 사람은 외국어 구사능력의 유무로 인해 타문화에 대한 거리감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라이는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언어연구를 했으나, 본인이 실제로 외국어를 구사하지 못했다. 한편 아메노모리는 아라이와 같은 체계적인 언어 연구는 하지 않았으나 한국어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었고 그것이 그의 언어관에 현실감을 부여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다와레구사(たはれ草)』에 나타난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의 ‘리(理)’

        金錦善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90 No.-

        In this study, we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expressions of “reason” employed in Tawaregusa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se expressions are used to represent learning, politics, language, and culture.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Hoshu Amenomori expounded the concept of “格物致知”(the principle of pursuing the reason and nature of things and lea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m), its underlying reasons of “knowledge” and “practice,” the right of Tadataka, and the right of understanding in learning. Secondly, About politics, Hoshu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hree Essential Virtues” consisting of “justice,” “clarity,” and “martial arts” by discussing “the Three Sacred Treasures”. Also, he stated that politics should be conducted not by scholars but by wise politicians. Thirdly, he stated that the language of each country emerges from the reason of nature, and also pointed out the thre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learning of the Chinese language, which reveals his linguistic erudition. Fourthly, he discussed culture, raising his concerns about the nation and households based on the “falling cherry blossom” reason of nature and taking music and poem as examples to expound the reason of nature and the necessity of conforming to the state-of-affairs of the country and the era. These points clearly indicate Hoshu’s recognition of diverse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