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용량에 따른 심근보호 효과 비교

        유경종,강면식,이교준,임상현,박한기,김종훈,조범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9

        배경: 아데노신은 심근의 허혈상태에서 심근세포로부터 분비되어 부정맥과 심근허혈 및 수술후 재관류손상을 억제시키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아데노신의 심근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심정지액 속에 포함시킨 아데노신의 효과에 대하여 이루어 지고 있으나,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적정용량에 대해서는 보고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자체제작한 심폐체외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단일용량의 아데노신(0.75 mg/Kg/min)이 우수한 심근보호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보고한 바 있으나 적절한 용량이었는지에 대한 확신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적정용량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방법은 쥐를 이용하여 심정지시 심정지액(St. Thomas 심정지액)에 첨가한 아데노신의 용량에 따라 1군(0.5 mg/Kg/min), 2군(0.75 mg/Kg/min) 및 3군(1 mg/Kg/min) 으로 나누어 각각 10마리씩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마취 후 적출된 쥐심장의 대동맥과 좌심방에 도관을 삽관한 후에 심폐체외순환 모델에 연결하여 비작업성 순환과 작업성 순환을 시행하면서 혈역학적 수치를 측정하여 이를 대조값으로 이용하였다. 심정지액을 주입하여 심정지를 유도한 후에 90분간 허혈상태로 유지한 다음 비작업성 순환을 시행 후 작업성 순환으로 바꿔 10분, 30분 및 60분에 혈역학적 수치(심박동수, 수축기 대동맥압, 1분간 대동맥 박출량 및 관동맥관류량)를 측정하고, 생화학적 검사(CPK, Lactic Acid) 및 심장의 수분함유량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심정지 전 측정한 대조값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심정지 전에 측정한 대조값 사이에는 세군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심정지액의 주입 후 3군에서 가장 빨리 심정지가 일어났으며(p<0.05), 재관류 후 심박동이 돌아온 시간은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심박동이 빨리 돌아 왔다 (p<0.05). 그러나 1군과 2군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심장의 재관류 후 측정한 심박동수의 회복률에서 10분에 측정한 값은 세군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30분과 60분 에 측정한 값은 1군이 2군과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2군도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수축기 대동맥압의 회복률, 1분 동안의 대동맥 박출량 및 심박출량(1분 동안의 대동맥 박출량과 관동맥관류량을 합산한 값)은 10분, 30분 및 60분에서 모두 2군이 1군과 3군에 비하여, 1군은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관동맥관류량의 회복률은 10분과 30분에 측정한 값은 2군이 1군과 3군에 비하여, 1군은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60분에 측정한 값은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심근의 수분함유량과 관상동맥 관류량의 생화학적 검사결과 CPK와 Lactic Acid는 세군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아데노신을 심정지용액에 첨가시 비교적 적정 용량은 0.75 mg/Kg/min 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denosine is secreted by myocardial cells during myocardial ischemia or hypoxia. It has many beneficial effects on arrhythmias,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fusion ischemia. Although many investigators have demonstrated that cardioplegia that includes adenosine shows protective effects in myocardial ischemia or reperfusion injury, reports of the optimal dose of adenosine in cardioplegic solutions vary. We reported the results of beneficial effects of single dosage(0.75 mg/Kg/min) adenosine by use of self-made Langendorff system. But it is uncertain that dosage was optim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adenosine in cardioplegic solutions. Material and Method: We used a self-made Langendorff system to evaluate the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Isolated rat hearts were subjected to 90 minutes of deep hypothermic arrest(15$^{\circ}C$) with modified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a including adenosine. Myocardial adenosine levels were augmented during ischemia by providing exogenous adenosine in the cardioplegia. Three groups of hearts were studied: (1) group 1 (n=10) : adenosine - 0.5 mg/Kg/min, (2) group 2(n=10): adenosine -0.75 mg/Kg/min, (3) group 3 (n=10) : adenosine -1 mg/Kg/min. Result: Group 3 resulted in a significantly rapid arrest time of the heart beat(p<0.05) but significantly slow recovery time of the heart beat after reperfusion(p<0.05) compared to groups 1 and 2. Group 2 showed a better percentage of recovery(p<0.05) in systolic aortic pressure, aortic overflow volume, coronary flow volume, and cardiac output compared to groups 1 and 3. Group 1 showed a a better percentage of recovery(p<0.05) in the heart rate compared to the others. In biochemical study of drained reperfusates, CPK and lactic acid level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group 2 [adenosine(0.75 mg/Kg/min) added to cardioplegia] has better recovery effects after reperfusion in myocardial ischemia and is the most appropriate dosage compared to group 1 and 3.

      • SCIESCOPUSKCI등재
      • 아데노신 키나제 억제제가 이질통을 억제하는 작용을 중개하는 척수 수용체의 약리학적 특성

        이윤우(Youn Woo Lee),(Tony L. Yaksh) 대한마취과학회 1997 영문부록 Vol.- No.-

        서 론: 흰쥐에서 말초신경 손상후 통각과민과 이질통이 나타나며 이는 인체에서 교감신경의존성 통증을 대표하고 있다. 저자는 i) 척수의 아데노신 대사를 억제한 경우 이질통에 미치는 영향과 ii) 이질통에 관계된 아데노신 수용체의 약리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방 법: 제5 및 제6 요추신경을 결찰하여 이질통을 야기시킨 흰쥐의 지주막하강에 PE-10 카테터를 거치하고 아데노신 키나제 억제제(GP-B)를 투여하였다. 촉각에 대한 이질통의 역치는 von Frey hairs가 뒷발바닥에 닿을 때 회피반응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운동약화반응 점수는 standing/placing reflex의 정도를 0; 정상, 1; 약화, 2; 없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결 과: 지주막하 GP-B는 용량에 비례적으로 이질통의 역치를 증가시켰다(ED50 = 0.8 g). 고용량에서는 운동약화작용을 보였다(ED50 = 3.7 g). GP-B에 의한 이질통 억제작용과 운동약화작용은 불특정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인 xanthines〔(caffeine 또는 8-(p-Sulfophenyl)theophylline)〕전처치로 길항되었다. CPT(8-Cyclopentyl-1,3-dimethylxanthine; A1 수용체 길항제) 전처치는 GP-B에 의한 이질통 억제작용을 길항한 반면 운동약화작용은 길항시키지 못하였다. DMPX(3,7-Dimethyl-1-propargylxanthine; A2 수용체 길항제) 전처치는 GP-B에 의한 이질통 억제작용을 길항하지 못한 반면 운동약화작용을 길항시켰다. 결 론: 척수에서 아데노신 키나제 억제제는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이질통을 억제할 수 있으며 운동 약화를 야기시킨다. 한편 이질통 억제작용은 척수의 A1 수용체 활성에 의하며, 운동약화작용은 A2 수용체 활성에 의한다. 말초신경 손상 후 척수에서 아데노신이 분비되며 그 대사를 억제할 경우 약리학적으로 의의있는 항이질통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Korean J Anesthesiol 1997; 33: S28∼S36)

      • KCI등재후보

        흰쥐의 수면 및 뇌파에 대한 카페인의 효과

        권도훈(Do Hoon Kwon),원승희(Seung-Hee Won),김기민(Ki Min Kim),장수민(Su Min Chang),김상헌(Sang Heon Kim),이만기(Maan Gee L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카페인은 기저전뇌의 아데노신의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각성을 유발하고 피질에서 서파 활동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카페인은 용량-의존적인 각성상태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카페인의 각성 효과는 아데노신의 뇌 조직 내 농도가 증가하여 수면 압력이 상승되어 있고 각성 중추의 활동이 감소된 상태의 각성인 반면, 정상 각성 상태는 아데노신의 농도가 낮아 수면 압력이 없이 각성 중추의 활동이 증가된 상태의 각성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각성의 서로 다른 상태가 피질 영역별 활동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는지 보기 위하여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의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더 나아가 수면박탈로 수면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의 각성과 비교하여 카페인과 아데노신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쥐 8마리를 마취하에 뇌파 및 근전도 전극을 전두엽, 두정엽, 그리고 목근육에 각각 설치하고, 수술에서 회복된 후 뇌파/근전도 기록을 시작하였다. 기록은 10:30부터 시작하여 17:30까지 수행되었으며 13:30경에 카페인 7.5, 15, 또는 30㎎/㎏을 복강내 주사한 후, 각각의 수면-각성 단계와 그 기간 및 변화 방향을 계산하였다. 수면에 대한 카페인의 주된 효과는 활동각성의 증가와 수면의 감소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카페인 용량에 의존적이었다. 활동각성 기간의 증가는 그 단계의 유지기간의 증가로 야기되었고 서파수면의 감소는 서파수면 상태로 변화되는 빈도의 감소에 주로 야기되었다. 활동각성 단계에서 정적각성, 서파수면 단계로 변화가 감소되었고 그 반대로 변화는 증가되었다. 한편 수면박탈은 서파수면의 반동 증가를 초래하지 못했고 활동각성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지 못했다. 그러나 역설수면 기간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뇌파 스펙트럼 프로파일에서 수면박탈이 델타의 상대적 증가를 초래한 것을 제외하고는 수면박탈과 카페인 투여 모두 알파의 상대적 감소 및 감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제 진폭은 전두피질에서 2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 두정피질에서 3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를 야기하였다.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 쎄타, 알파의 감소가 있었고 감마의 증가가 있었다. 감마의 증가는 전두피질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페인에 의한 각성의 촉진은 수면-각성 상태의 천이를 한 방향으로 가속화함으로써 발생되며 그 방향은 수면박탈에 의한 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수면박탈에서는 아데노신이 축적되어 수면 압력을 증가시키고, 수면 압력의 증가는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델타 대역의 감소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소 용량 투여 후 포화되어 최대 효능을 보인다. 이것은 뇌파의 주파수별 파워의 측정이 수면기간이나 각성기간과 같은 행동적 지표보다 더 민감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사람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카페인 투여에 의한 동물에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Caffeine induces arousal and reduces slow-wave activity of the cortex by blocking adenosine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Caffeine induces dose-dependent arousal. Therefore, caffeine-induced arousal may be a different state from an arousal in waking subjects. So we compared EEG spectra between of a state produced by intraperiotoneal caffeine injection and of a state produced by 3-hour sleep deprivation. A total of 8 Sprague-Dawley male rats underwent EEG/EMG recording session from 10:30 to 17:30. They received intraperitoneal caffeine injection(7.5, 15, and 30mg/kg) at 13:30 and some cases received sleep deprivation from 10:30 to 13:30. Caffeine dose-dependently reduced the duration of slow-wave sleep and increased the duration of waking state. The increase of waking stat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maintanence of the state while the reduction of sleep state resulted from the decrease of transition from waking to sleep. Sleep deprivation did not show rebound increase of sleep but it decreased the period of paradoxical sleep. In spectral profile, sleep deprivation in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delta activity and both caffeine and sleep deprivation de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power in alpha band and increased in gamma band. Caffeine decreased the absolute power of delta and alpha bands and increased absolute power of gamma band which was more prominent in the frontal cortex. In conclusion, caffeine promoted waking state by acceleration of transition to waking state from other states which was reverse in sleep deprivation. Therefore, adenosine may accumulate during sleep deprivation and mediate sleep pressure and caffeine may block its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The comparison of the spectral profiles indicates that caffeine-induced waking state may differ from normal awake state and from awake state after sleep deprivation.

      • KCI등재

        목질바이오칩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발효-소멸반응에서의 아데노신3인산의 변화

        오정익(Jeong Ik Oh)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아데노신3인산의 측정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소멸반응에서의 미생물이 발생 및 활성정도를 총괄할 수 있는 인자를 도출할 수 있었다. 목질바이오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소멸에서 무게감량 및 유기물 분해 율이 높아질수록 아데노신3인산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아데노신3인산은 목질바이오칩의 종류별 유기물 분해 및 무게 감량에 대한 성능 선택성 설정에 유용한 인자로 활용 기대된다. The overall indicator of microbial activity in the fermentation-extinction reaction of food waste by using bio wood-chips were investigated by considering adenosine tri-phosphate(ATP). Degradation rate of organic compounds, which was represented by chemical oxygen demand(COD) and total nitrogen(TN), was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during fermentation-extinction reaction of food waste by using bio-wood chips. With this view, the ATP would be one of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or of organic degradation in the species of bio-wood chip for the fermentation-extinction of food waste.

      • SCOPUSKCI등재

        심근의 허혈시 아데노신을 함유한 심정지액의 심근보호 효과

        유경종,강면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9

        Although the effects of adenosine on the heart, including the clinical suppression of cardiac arrhythmias, have been recognized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it is only in the last decade that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denosine has been recogni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ugmentation of myocardial adenosine levels during global ischemia improves functional recovery after reperfusion. We used to modified Langendonf system to evaluate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Isolated rat hearts were subjected to 90 minutes of deep hypothermic arrest(15$^{\circ}C$) with modified St. Thomas'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used to provide myocardial protection. Myocardial adenosine levels were augmented during ischemia by providing exogenous adenosine in the cardioplegic solution. Two groups of hearts w re studied: (1) control group(n=10) cardioplegia alone; (2) adenosine group(n=10) adenosine(0.75mg/kg/min) added to the cardioplegic solution. Significantly better percent recovery(p<0.01) in hemodynamics(except heart rate) at 60 minutes after reperfusion was evident compared to baseline values in the adenosine group. (systolic no란ic pressure : 78.5$\pm$3.6% vs 66.6$\pm$5.9%, airtic overflow volume : 61.7$\pm$ 11.6% vs 37.2$\pm$ 15.4%, coronary flow volume 77.1$\pm$7.5% vs 57.2$\pm$ 11.1%, and cardiac output : 65.6$\pm$ 11.5% vs 44.2$\pm$ 12.4%). Heart rate was similar in two groups(94.4$\pm$4.8% vs 95.3 $\pm$ 6.8%). Adenosine groups resulted in significantly rapid recovery time of heart beat after reperEusion(p<0.01) (24.5$\pm$7.6 sec. vs 179.0$\pm$ 131.1sec.). In biochemical study, CPK levels(0.1 $\pm$0.3U/L vs 1.4$\pm$0.8U/L) and lactic acid levels(0.08$\pm$0.Immol/L vs 0.34$\pm$0.2 mmol/L) were significantly low in adenosine groups(p<0.01). We concluded that adenosine included cardioplegia have better recovery effects after r perfusion in myocardial ischemia compared to adenosine free cardioplegia.

      • KCI등재

        ATP 측정과 미생물 배양검사를 이용한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 보유환자 병실 환경 오염 및 환경 소독 효과 평가

        김지은(Kim Ji Eun),정재심(Jeong Jae Sim),김미나(Kim Mi Na),박은숙(Park Eun Suk)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4

        Purpose: To determine the ext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around patients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using adenosine triphosphate (ATP) measurements and microbial culture tes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patients hospitalized in a single room due to CRE from April 13 to 21, 2021. One hundred and sixty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cotton swabs from the patients’ environment including the surface and drain of sinks and toilet seats before and after disinfection of the room after discharge. Twenty-o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nurs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keyboards, and computer mice before disinfection. The relative light units (RLUs) and CRE colony-forming units (CFU) of 181 samples were measured using ATP test equipment and chrome agar plates, respectively. Results: The highest RLUs were measured at the sink drains before and after disinfection. Four CRE samples from the sink drains (2), sink surface (1), and toilet bowl (1) before disinfection were cultured. Based on the failure criteria (≥250 RLU/cm2 and ≥1 CFU/100 cm2), 90 % and 50 % of the samples from the drain exceeded the failure criteria before and after disinfection, respectively. In the culture tests, CRE was not detected after disinfectio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LU and CFU measurements of drain samples, disinfection was not effective. Thus, improvements in the disinfection methods of drains, as well as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evaluation tools, are need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in various places.

      • KCI등재후보

        Adenosine Deaminase 수치가 높은 골수종 흉수 1예

        문한주 ( Han Ju Moon ),신동엽 ( Dong-yeop Shin ),김혜련 ( Hye Ryoun Kim ),박연원 ( Yeon Won Park ),우승민 ( Seung Min Woo ),차진훈 ( Jin Hoon Cha ),한강희 ( Kang Hee Han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1 No.3

        Multiple myeloma is a plasma cell neoplasm mainly involving the bone marrow and skeletal system.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is rare, accounting for less than 1%. In cases with high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with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irst. We report herein a rare case of a unilateral pleural effusion in a patient who wa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multiple myeloma, with an ADA level of > 100 IU/L and lymphocytic exudate in the pleural fluid. An acid fast bacillus stai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for tuberculosis were negative. Consequentl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myelomatous pleural effusion with elevated ADA activity. (Korean J Med 2016;91:316-320)

      • 여성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adenosine triphosphate 정맥주사요법이 통증과 피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조미라(Mi-Ra Cho),박진경(Jin-Kyoung Park),조아라(A-Ra Cho),최원준(Won-Jun Choi),이용제(Yong-Jae Lee) 대한기능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 Vol.1 No.1

        배경: 섬유근육통은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과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복합 증상을 동반하는 만성 질환이다. 섬유근육통은 발병 원인이 뚜렷하지 않고, 임상적으로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므로 근치적 치료보다는 대증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아데노 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 정맥 투여 전 후를 비교하여 ATP 정맥주사요법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통 증과 피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7월 30일까지 연구가 수행되는 동안 강남세브란스병원의 가정의학과에 내원하여 섬유근육통이 진단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여성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총 2회의 ATP 정맥주사요법을 시행하였다. 정맥주사요법 시행 전과 1회, 2회 시행 후 통증 및 피로도 개선 여부는 ATP 정맥주사요법 전후의 숫자통증강도척도(numeric pain intensity scale, NPS),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FIQ), 전신통증지수(widespread pain index, WPI), 증상중증도척도(symptom severity scale, SS), 피로감중증도점수(fatigue severity score, FSS)를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49.29세였다. 중도 탈락자는 없었으며, 24명을 최종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5개의 통증 및 피로도 척도 중에서 전신통증지수(WPI)를 제외한 숫자통증강도척도(NPS),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Q), 증상중증도(SS), 피로감중증도점수(FSS) 4개 항목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통증, 수면장애, 기분, 삶의 질을 포괄하는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Q)는 63.08±15.03에서 47.92±17.84로 호전되었다(P=0.004). 결론: 섬유근육통 여성 환자에게 ATP 정맥주사를 투여 후 통증 및 피로도 척도가 호전되었다. Background: Fibromyalgia is characterized by chronic, widespread, musculoskeletal pain accompanied by fatigue, psychiatric symptoms and multiple somatic symptoms. Treatments for fibromyalgia include various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 therapies to minimize symptoms and improving gener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venous adenosine triphosphate (ATP) injection on pain and fatigue in female patients with fibromyalgi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Gangnam Severance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June 1, 2017 to July 30, 2017. The participants received ATP injection twice a week apart and the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the severity of pain and fatigue scores such as numeric pain intensity scale (NPS),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FIQ), widespread pain index (WPI), symptom severity scale (SS), fatigue severity score (FSS) at the initial (0 week), 1st (1 week), and final (2 weeks) visits. The changes of five symptom scores were compared with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est.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49.29±8.52 years. Compared with the symptom scores before ATP injection, most of the pain and fatigue scores except WP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TP injection (All P-values<0.05). In particular, FIQ, which i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to assess pain, sleep disturbance, mood and quality of life of fibromyalgia, was remarkably decreased from 63.08±15.03 to 47.92±17.84 (P=0.004).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TP injection may be helpful to improve the severity of pain and fatigue scores pain in female patients with fibromyalg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