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 유효 요소를 이용한 놀이형 광고 미디어 선정에 관한 연구

        이영욱(주저자) ( Young Wook Lee ),한창호(교신저자) ( Chang Ho H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스마트 혁명 시대를 맞고 있는 미디어 시장의 현상황은 미디어 2.0 . 웹 2.0 . AD 2.0 시대의 참여·공유·소통의 ‘새로움’그 이상의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단순한 일방향성 정보 전달 미디어로 뿌리내린 전통 매체는 기피대상 미디어로 인식된지 오래다. 페이스북, 트위터의 대중화, 스마트 기기의 보급은 대중이 크리에이티브 과정의 주체적 세력이자큰 일부분이 되도록 만들었다. 이제 대중들의 전통 매체 소비 감소는 기정사실화 되었고 소비자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는 미디어는 계속해서 창출·개발되고 있다.연구자는 위와 같은 소비자의 접점 변화, 다양한 뉴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이 통용되는 이유를 인류의 본능적인 욕구로 말할 수 있는「놀이」라는 행위로 보았으며, 역사적으로 「놀이」의 성질, 속성, 요소 등을 연구했던 대표적인 학자, 요한 하위징아(JohanHuizinga), 가다머(Hans Georg Gadamer),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의 이론을 통해 놀이형 미디어를 규정하고 소비자의 본능적인 욕구를 통해 자발적, 능동적인 미디어를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세 학자들의 ‘놀이의 정의’에 기반한 ‘놀이 유효 요소’ 12개를 규정하고 ATL(TV, 라디오, 신문, 인쇄), BTL(앰비언트, 모바일,인터넷), 디지털(옥외 증강현실, 프로젝션 매핑)미디어중 ‘놀이 유효 요소’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이러한 요소가 ½ 과반 수 이상(7개 이상) 포함된 미디어를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놀이형 미디어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총 4개(BTL-2개, 디지털-2개)의 미디어를 ‘놀이형 미디어’로 규정하고 기업과 소비자가 놀이형 미디어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친밀감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수평적 소통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놀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변모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는 소통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The present condition of media market which is entering the age of smart revolution, is demanding communication beyond ``something new`` for participation and sharing and interaction of the age of media 2.0 . web 2.0 . AD 2.0. It``s already been long since traditional media, established as simple one-way information delivery tools, have been recognized as persona non grata. The popularization of Facebook and Twitter and the propagation of smart equipments have made the public become independent power and big part of the creative process. Now, it is a definite fact that public consumption of traditional media is reducing, and media tha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in a horizontal position, continues to be created. This study considered that as human``s instinctive desire, 「Play」is the reason for the change in the point of contact of consumers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new media, defined play-type media, based on the theories of representative scholars, Johan Huizinga, Roger Caillois and Hans Georg Gadamer who historically studied properties, attributes and elements of 「Play」, and selected voluntary and active media through consumers`` instinctive desires. After establishing 12 significant elements of play, based on the three scholars`` ``definitions of play``, this study also examined if ATL(TV, Radio, Newspaper and Printing), or BTL(Ambient, Mobile and Internet), or digital(Outdoor Augmented Reality and Projection Mapping) media includes tendencies of individual significant elements, and defined the media which includes more than one half of these elements(6) as play-type media which consum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horizontal communication so that companies and consumers can share affinity more smoothly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of play-type media, and form a bond of sympathy, by defining total 4 media(2 BTL media and 2 digital media) with over 8 significant elements of play as play-type media.

      • KCI등재

        MZ 세대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Public Relations의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조삼섭(Jo, Samsup)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2

        본 연구는 MZ세대가 대부분 조직 구성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최근 환경에서 이들이 사내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PR의 조직-공중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구성원들은 ‘수평적 소통문화’ ‘쌍방향 소통’, ‘투명한 정보제공’을 핵심적인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고, 회귀분석을 통해 조직-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쌍방향 소통’은 신뢰와 만족에, ‘수평적 소통’은 상호통제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직유형별로 민간 기업에 비해 공공조직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만족, 공공, 상호통제성에서 낮은 인식을 보여주어, 공공조직의 사내커뮤니케이션은 좀 더 활성화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사내커뮤니케이션의 효과연구는 매체중심의 제작이나 일방향적 메시지 전달이 아닌,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극 응용하여 소통 연구로 진화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e study explores the core factors of employee communication, which is called MZ generation, applying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framework.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ed three factors ‘horizontal communication culture’ ‘two-way communication culture’ and ‘transparent information.’ Two-way communication culture affected on trust and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culture affected on control mutuality in regression analysis. The employees of public organizations perceiv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communal relationship and control mutuality than those of private sector, suggesting more open communication needs to be activated in public organization.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mutual linkage among trus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rust affects 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leads to commitment subsequently. The study suggests employee communication needs to focus on communication management by adopt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way from the paradigm of channel management and one-way communication.

      • KCI등재

        스마트 프리젠테이션의 성공적인 전략설계 연구

        김재원(Jae W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21세기 지식 경영 시대의 사회에서는 보다 빠른 정보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마트 프리젠테이션은 시대적요구와 필요에 의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이다. 정보전달 체계로서 복잡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는 프리젠테이션을 제작하는 데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효과적인 스마트프리젠테이션은 ‘시대적 필연성의결과’인 컴퓨터그래픽이 근간이 될 멀티미디어 전달자와 피전달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오차를 최소화하여 표현을 극대화해주는 수단이며 독창적인 디자인행위를 보장해주는 과정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와 기술력의 조화로 시각과청각에 호소하는 전달방법은 제한된 시간에 수용자들 에게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하나의 예술적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대적 요구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효과적인 정보전달방법의 연구로서 프리젠테이션의 파워포인트디자인을 주요한 수단으로 의미와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고, 시각자료를 구성하는 프리젠테이션 테크닉에 관한 기본과정을 이해하고 성공적인전략이 가능하도록 모색해본다. 이에 스마트 프리젠테이션은 청중들과 교감할 수있는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힘’을 가진 국가와기업이 성공하는 스토리 경영시대를 살아 숨 쉬는 이야기를 만드는 능력이 바로 프레젠테이션을 잘할 수 있는 지름길이며 21세기 창의경영의 시작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디지털 비주얼(Visual) 프리젠테이션’ 장면은 일반인들에겐 영화 속 한 장면으로 생각되곤 했었다. 하지만 IT 기기의 대량 보급으로 이제는 학교나 기업, 관공서, 회의실, 강당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 되었다. 사회적 기능면에서 프리젠테이션은 직장인에게 성공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도구이자 기회이며, 그 효과면에서도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수단이자 CEO를 비롯한 리더십 발휘의 도구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은 단순한 정보전달과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새로운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토론하며 같은 정보를 다르게 해석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통찰력을 얻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시각과 통찰력을 갖게되며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시각과 청각에 호소하는 비주얼 프리젠테이션으로 발전하기를 바란다 In the knowledge management-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mart presentation for faster information link has become an indispensable communication tool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and needs of the times. As back tell system, multimedia to pass complex information visually accounts for a lot of weights while manufacture presentation. It is that effective smart presentation be means that maximize representation because computer grahics is ‘Result of period consequentiality’, minimizes communication error between multimedia messenger and communicatee to become foundation and guarantee unique design activities process. The method, which is employed for conveying the information through visual and auditory senses based on harmony of various multimedia elements and 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a form of artistic communication that induces understanding and empathy among recipients of information within a limited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effective method of information conveyance which could meet the requirements and needs of the times as described above, investigating into the meaning and type of PowerPoint design as major instrument for presentation, and furthermore, look into basic process of techniques for presentation forming the visual materials and explore the strategy for successful presentation. Hereupon, it is SMART presentation story management age that country and company, which have ‘Force that can make story’ that can sympathize with audiences, succeed capability that flesh makes story that draw breath shortcut that can do well presentation justly be and management of 21th century window beginning. Only one several years ago, ‘Digital visual presentation’ scene used to think to movie a inside place to the publics. However, was spectacle that can see in school or company, public office, boardroom, auditorium etc. now as large quantity supply of IT devic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functionality, presentation is a tool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works at companies and presents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Moreover, presentation is a tool that can move the hearts of people and make CEOs and other officials exercise their leadership from the angle of effectiven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mart presentation helps gain new perspective and insight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that induces the exchange and debate of new information and different interpretation of same information, rather than simple conveyance of information and one-way communication. This researcher hopes that such changes would bring new perspective and insight through various multimedia,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visual presentation that appeals to visual and auditory sense by using a variety of multimedia visual elements.

      • KCI등재

        국내 입법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특징

        이완수(Wan-Soo Lee),김찬석(Chan-Souk Kim),이민규(Min-Kyu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0 No.4

        입법안은 법률조문 자체로 이해하기 보다는 입법 주체간의 정치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입법안은 국회의원이나 공무원의 고유권한이라기 보다는 정당, 시민단체, 이익집단, 미디어 등 다양한 입법 주체간의 참여와 역동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달성된다. 이 연구는 입법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특징과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입법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별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입법형성 과정은 입법주체 간의 역동적 상호소통 관계 축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 과정에 커뮤니케이션의 난맥으로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입법의제를 산출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국내 입법형성 과정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과거에 비해 행정부라는 폐쇄적인 공간에서 국회라는 정치적 공론장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입법과정에 전문가 집단의 영향력 확대와 시민단체들의 세력화가 두드러지게 강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국회 입법 보좌관을 비롯해 국회 입법조사관, 국회 전문위원, 국회입법 심의관 등 입법 실무자들이 법안 형성과정에 보이지 않게 영향을 미치는 ‘인사이더(insider)’ 역할을 했으며, 동시에 과거 입법형성 과정에 소외됐던 NGO 등 시민단체들의 부상은 주목할 만한 변화였다. 넷째, 의제형성 과정에서 미디어는 국회에 대해서는 공적이슈 개발의 주체이자 입법의제의 전달자로 그 영향력이 컸지만, 정부에 대해서는 입법의제 형성에 미치는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 논문은 국내 입법안 과정에 커뮤니케이션이 왜 중요하며, 그 과정에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Legislation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a political, societal relationship among lawmaking bodies rather than by legal provision itself.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functions of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s well a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domestic legislative process has been made by active interactions among lawmaking subjects, it was hard to conclude that this procedure is providing effective and productive legislative agenda because of chaotic communications made along the proces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national legislative process has been gradually moving, although restricted, to an open political space, the National Assembly, from a closed space, the executive branch. Third, the study found a remarkable feature including growing influence of experts groups and civic organizations in the legislative process. It is a significant change that legislative staff such as National Assembly aides, investigators, expert committeemen and deputy director generals played a role of “insiders,” unnoticeably influencing the legislative process, and that civic organizations and NGOs, which have been excluded in the previous legislative processes, emerged as a new influencing circle in the process. Lastly, the study found that media organizatio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genda, had a strong impact on the National Assembly as a subject forming public issues and as a messenger of the legislative agenda while they played a limited role in affecting the government. This study discusses why communication in the domestic legislative process is important and what are some hindering and facilitating factors in the process.

      • KCI등재

        위기 상황에서의 정보은폐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전영상(Young Sang Jun),이진복(Jeen Bock Rhee) 한국아시아학회 2012 아시아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한국의 고리 원전 사고를 사례로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정보은폐 상황을 비교한 연구이다.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요인으로 우선시 되는 이념과 가치, 조직구조의 유연성과 경직성, 외부공중에 대한 개방성과 폐쇄성, 의사결정자의 성향과 의지, 원자력산업의 사회·경제적구조를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우선주의, 조직구조의 경직성, 외부공중에 대한 폐쇄성, 의사결정자들의 정보은폐 성향, 원자력산업의 독점구조 등의 문제가 한국과 일본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의 유연화와 통합 네트워크화,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역사회와의 동반자적 관계의 형성, 인사의 공정성 확보와 안전우선의식 함양, 경쟁공기업화 등의 정책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the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information hiding on the Crisis communication situation of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in Japan and the Gori nuclear power station accident in Korea. Influence factors of the crisis communication are set as the following: 1) the safety or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oriented value, 2) the flexibility or the spasticit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3) the openness or the closenes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4) decision-makers` the propensity and the intention of the opening to the public, 5)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nuclear power industry. And the cases are analyzed by these influence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fluence factors of the Korea cas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apan c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conomic efficiency-first-principle, 2) the spasticit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3) the closenes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ublic, the tendency of the information hiding of decision-makers, 4) the monopoly structure of nuclear power industry. In order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he following are proposed: 1) making flexible and integrated network of the organization, 2) the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partnership with local community, 3) the establishment of the fairness of personnel appointments and the cultivation of safety-first-consciousness, 4) the conversion into the competitive public enterprise.

      • KCI등재

        온라인 코디자인 워크숍 참여 촉진을 위한 연구 -선행연구사례 중심으로-

        김인정,이연준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As non-face-to-face services accelerated by COVID19 become commonplace, the nose design workshop methodologies, which were conducted in a face-to-face manner, are being converted online. However, research based on the specificity of online co-design such as 'interactivity' and 'two-way communication' is still insignificant. This study collected precedent studi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co-design research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channel types currently used and the roles of participants and design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design workshop. In addition, factors that can promote participant participa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compositional aspect of sessions and tools, participant aspect, and designer aspect.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to promote particip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y the online co-design workshop. COVID19로 가속화된 비대면 서비스가 일상화되면서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던 코디자인 워크숍 방법론들은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상호작용성’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온라인 코디자인의 특수성에 기반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사례연구들을 수집하여 온라인 코디자인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사용되는 소통 채널 유형 특성과 코디자인 워크숍 목적에 따른 참여자와 디자이너 역할을 분석하였다. 또한 온라인 환경에서도 참여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들을 세션 및 도구의 구성적 측면, 참여자 측면, 디자이너 측면으로 유형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코디자인 워크숍만의 특성을 고려한 참여 촉진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정책 혁신속성에 따른 효과적인 PR 커뮤니케이션 전략 쌍방향균형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신뢰도의 조절 효과

        박건희 ( Geon Hee Park ),이유나 ( Yun Na Rhee ),김유경 ( You Kyung Kim ),최보람 ( Bo Ram Choi ) 한국PR학회 2013 PR연구 Vol.17 No.4

        In this research, we adopt the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e of government public relations.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how the different attributes of innovation such as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and trialability in public policy affects public attitude and diffusion intention. We also focused on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wo-way symmetrical communication and level of media credibility.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innovation attributes had different impact on publics` attitude according to the differing policy areas. Moderating effects of symmetrical communication and credibility toward communication chann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s` attitude toward policies and policy diffusion intentions were also verifi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