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개와 특성: 생태학과 종교/영성의 결합을 중심으로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화를 위해 네스가 제안한 생태지혜의 특징과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을 살피고,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드볼(Bill Devall)과 세션스(George Sessions)의심층생태학의 특징과 주요 전략을 분석할 것이다. 심층생태학이란 용어를 처음 제안한 네스는 생태위기에 직면해서 종교나 영성을통하지 않고서 심층적인 물음을 묻고 심층적 해결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미 심층생태학에서는 이를 위해 생태적인 영성의 발견 및 계발을 중요시하였고, 네스의 복잡한생태철학적 논의보다는 종교/영성과 결합된 북미의 심층생태학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In the early 1970s, Arne Naess, the Nordic philosopher, invented the term, “Deep Ecology”, which claims on the deep approaches to the ecological problems. Before introducing Naess’s “the deep ecology” to North America, there was an atmosphere of searching to deep-rooted causes of the ecological problems and solving them deeply.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lso a trend of seeking the alternative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In such North American socio-cultural milieux, the deep ecology has grown into an unique direction that is tended to interactively combine and reconcile the ecology and the religion/spirituality. In this paper, I try to look at the deep ecology initially proposed by Arne Naess and try to differentiate the tenets of the deep ecology, particularly developed in the context of North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iliation of religion/ spirituality and the ecology. To do this, I first delineate the critical concepts in Naess's ecology, and look at the features of Naess's ecosophy. Next, I examine the socio-cultural soil of North America before the introduction of Ness's deep ecology and analyze how Bill Devall and Session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North American deep ecology on Naess’s behalf. Naess, created the new terminology of “deep ecology”, seriously faced with the ecological crisis and wanted to ask “deep” questions and explore “deep” solutions but didn’t g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he religion or the spirituality. However, North American deep ecologists emphasized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The tendency of the deep ecology of North America is typically combined with the religion/spirituality which is more widely known worldwide than the complex ecological philosophical discussions claimed by Arne Naess himself.

      • KCI등재

        자연미술의 탈/다중심적 생태미술운동 : 야투아이와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성호 ( Sung-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1981년 창설된 자연미술 그룹인 야투(Yatoo)가 시작한 ≪야투아이프로젝트≫(2011- )와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2014- )를 중심으로, 동시대 자연미술의 탈중심적이고 다중심적인 생태미술운동을 연구한다. 2011년 야투아이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야투의 생태미술운동은 ‘탈중심, 다중심, 통섭의 방향성’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야투아이프로젝트≫는 생태미술운동을 탈중심의 온라인 네트워킹(혹은 유목형 온라인)으로 실행한다. 한편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는 생태미술운동을 다중심의 오프라인 네트워킹(혹은 유목형 오프라인)으로 실행한다. 본고는 야투의 이러한 최근의 생태미술운동을 캐롤린 머천트(Carolyn Merchant)가 ‘근본생태학’의 세 유형으로 고찰한 ‘심층생태학, 정신생태학, 사회생태학’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즉 ‘심층생태학(사계절연구회를 통한 자연미술) → 정신생태학(탈중심의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 → 사회생태학(다중심의 야투아이프로젝트)’처럼 생태학과 연계하여 생태미술을 살펴본다. 아울러 사회생태학자인 머레이 북친(Murray Bookchin)을 비롯한 여러 생태학자들의 심층생태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검토하면서, 오늘날 ‘심층생태학으로부터 전환된 사회생태학’과 ‘통섭의 생태미술운동’이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생태미술운동은 다른 장르와의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와 교차 학문성(transdisciplinarity)에 대한 연구를 요청한다. 오늘날 생태미술운동은, ‘통섭’과 ‘탈중심/다중심’을 통해서, 자연 안에 거주하기보다 자연 밖으로 나와 상호간에 만남으로써 보다 더 풍성한 담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studies a decentralized and multi-centered ecological art movement focusing on Yatoo's “Yatoo-I Project”(2011-) and “Global Nomadic Art Project”(2014-) of Yatoo, which were born in 1981, In 2011, the ecological art movement, starting with the Yatoo-I Project, is aiming for “decentralization, multi-centering, and the direction of consilience” Specifically, the “Yatoo-I Project” implements the ecological art movement as an decentralized online networking (or nomadic online). Meanwhile, the “Global Nomadic Art Project” runs the eco-art movement as a multi-centered offline networking (or nomadic offlin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se recent ecological art movements of Yatoo focusing on ‘deep ecology, spiritual ecology, social ecology’ which Carolyn Merchant considers as three types of ‘radical ecology’. In other words, we will look at ecological art movement in connection with ‘deep ecology’ ('Nature Art' of Four Seasons Research Society) → ‘spiritual-ecology’ (decentralized Global Nomadic Art Project) → social ecology (multi-centered Yatoo-I Project). We will also focus on challenges that ‘social ecology transformed from deep ecology’ and ‘ecological art of consilience’ must address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deep ecology’, that has been studied by social ecologist Murray Bookchin and other social ecologist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art movement today calls for research on ‘interdisciplinarity’ and ‘transdisciplinarity’ with other genres. Today, the ecological art movement forms a richer discourse by meeting people out of nature rather than living in nature through ‘consilience’ and ‘decentralization/multi-centering’.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이재영(Jae-young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 KCI등재

        < 특집 : 세계문학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상상 > ; 마야의 경전 『포폴 부』에 구현된 심층생태학적 유토피아

        전용갑 ( Yong Gab Jeon ),황수현 ( Soo Hyun Hwa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2 No.-

        본 논문은 마야인의 성서라고 일컬어지는 『포폴 부』를 심층생태학(Deep ecology)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작업으로 준비되었다. 기존의 『포폴 부』 연구가 신화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무엇보다 마야의 창조 신화에 대한 우화적 요소를 소개하는 형태로 전개되어온 만큼 『포폴 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찾기 어려운 생태학점 관점에서 마야-키체의 경전을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신화에 가려진 포폴 부의 민낯을 찾아가는 궤적이 될 것이다. 생태학 혹은 심층 생태학적으로 작품을 고찰하고자 한 것은 무엇 보다 『포폴 부』가 다른 문화권의 창조 신화와는 층위가 다른 생태인식을 배태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심층생태학은 기존의 환경운동을 표층생태학이라고 비판하면서 태동한 개념으로, 자연을 대하는 인간 자신의 도덕적, 윤리적 변화를 촉구하는데,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형이상학적’ 차원의 성격을 띠게 된다. 이렇듯 심층 생태학은 무엇보다 근대 이후의 인간중심주의, 이분법적 사고, 이성중심주의를 탈피할 것을 주창한다. 마야의 『포폴 부』도 이러한인식을 담아낸 텍스트로 심층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 내재한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closely examines Popol Vuh, regarded as the Bible of the May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ep Ecology. Deep ecology is a concept born out of the criticisms on the existing environmental movements as superficial, and encourages the moral and ethical change of the man’s attitude towards the nature, inevitably becoming "metaphysical" in character. As such the Deep ecology advocates the break away from the anthropocentricism, the dichotomous thinking and the rationalism of the modern times. Popol Vuh is a text that contains such concepts and it requires an analysis from the Deep ecological perspective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study that simply focuses on mythological elements.

      • KCI등재

        맥락 상실과 복원의 생태학

        이동환(Lee, Dong-hwan)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본 연구는 줌파 라히리(Jhumpa Lahiri)의 『저지대』(The Lowland , 2013)에 나타난 주체의 인식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탈식민주의 생태비평(postcolonial ecocriticism)의 담론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은 대부분 동물 권리(animal right)와 연관된 문제나 환경 파괴 및 기후 변화의 여파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조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면, 이 작품은 식민지의 잔재가 투사된 자연의 뒤틀린 모습과 이에 얽힌 부정적 기억, 자연 물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 지역생태주의(bioregionalism) 실천, 그리고 특정한 자연 물상이 환기시키는 트라우마를 치유하려는 시도를 묘사하며 인물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에 초점을 둔다. 이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은 수바시가 아일랜드의 야생자연 속에서 눈앞의 자연 물상 자체에 집중하면서 유사한 자연 물상에 얽힌 기억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는 대목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인물들은 탈식민적 맥락에서 야생 자연을 경험하거나 타자의 삶을 관조하고 스스로를 객관화함으로써 인간중심주의 혹은 (최소한) 자기중심적 태도로부터 벗어난다. 탈식민주의 맥락에 속한 주체들의 심층생태학적 각성(deep ecological awareness)은 주체의 사회적 위상보다 자연을 대하는 주체의 심리 반응을 조망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비평과 생태비평이 소통하지 않고 각자의 영역에 머문다는 비판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장소의 의미에 관한 깊은 이해와 동떨어져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깊이 사유하지 못하면 주체의 삶과 괴리된 저항 그 자체에 매몰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저지대』는 이산(diaspora)을 체험한 주체들이 물리적 환경들에 얽힌 기억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내용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이 저항 담론에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자아가 친연성을 갖는 공간이 아닐지라도 자아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수바시의 깨달음은 심층생태학과 지역생태주의가 지역과 장소의 순수성으로부터 벗어나 초국가적 맥락에 적용될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작품의 인물들은 각자만의 방식으로 다양성을 포용하여 자아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자연 속에 침잠하여 자아를 둘러싼 장식들을 걷어내고 단순화하는 심층생태학의 통상적인 ‘순수성’ 담론과 차별화된다. 이 작품에서는 주체가 이데올로기로 자연을 포섭하는 반(反)생태제국주의 및 야생 자연에 귀의하는 맹목적 생태중심주의 모두와 거리를 둔다. 이산 체험을 하는 인물들은 풍경에 얽힌 기억들에 사로잡히지 않으려 노력하는 가운데 이질성을 포용하는 각자의 방식을 모색하면서 자기만의 새로운 맥락을 구성하고 자아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와 심층생태학의 조화에 대한 하나의 전범을 보여준 것이다. 21세기의 환경 문제가 지니는 초국가적 속성을 이해하는 것 이외에도, 인간의 이동성 증가에 따라 개별 주체가 다양한 자연을 깊고 폭넓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져 생태중심적 사유가 확산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cts of landscape recollection heal the traumas of postcolonial subjects in Jhumpa Lahiri’s The Lowland. In this novel, the environmental changes done by human agency touches on the topics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those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is usually explained as the simplification of ornamental elements about the (egoistic) self; rather, the characters in The Lowland seek for establishing their sound minds by embracing fragments of diverse memories about the past environments where they have gone through all sorts of troubles. Each character does not cling to the lost landscapes (or contexts) any longer; he or she wants to be faithful to the present moment, reconstructing his or her own mental as well as physical contexts. Such psychological focus implies that this novel has reinterpreted mainstream ecocriticism influenced by deep ecology in the postcolonial context, for postcolonial ecocriticism─which is often typified by the resistance to ecological colonialism─has a tendency to pay littl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responses of each subject within the physical nature.

      • KCI등재

        사회생태학의 관점으로 본 신동엽의 시

        손민달(Son, Min-dal)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2

        이 연구는 지금까지 민중·민족 시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신동엽의 시가 사회생태학의 관점으로 볼 때 더욱 명확하게 해석된다는 점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시집 『금강』을 통해 사회생태학적 시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동엽의 시가 보여준 고대사회에 대한 복고적 경향은 북친 스스로 부족주의에 대해 긍정하고 있으며, 사회생태학 자체가 계층과 계급이 없는 원시 사회에 대한 긍정을 보여주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시는 심층생태학적 특성보다 사회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동양사상에 대한 비판 역시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가 시작된 장로정치(長老政治)와 인간에 대한 자연의 지배가 시작된 엘리트집단의 사회적 위계질서에 비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 계급과 계층이라는 위계구조를 타파하려는 민족적 저항이 신동엽의 『금강』의 주제라는 점을 상기할 때 그의 시는 사회생태학적 관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북친은 1990년대 중반 아나키즘과 결별한다. 아나키즘이 가지고 있는 니힐리즘적 성격과 반사회적 개인주의에 대해 그는 비판하게 된다. 신동엽의 시 『금강』 후화가 ‘도시’를 강조한 북친의 후기 사상과 상통하고 개인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희망적으로 암시하는 것은 아나키스트 신동엽으로 포섭되지 않는다. 이는 북친이 제시한 사회생태학의 후기 주장과 상당부분 겹친다는 점에서 사회생태학적 특성으로 보는 것이 옳다. 전지구적 생태위기의 시대에 생태 문제의 원인 제공자인 인간이 이 문제를 수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북친의 사회생태학은 인간의 생태 윤리적 책무와 자본의 위협 앞에 개인의 가치가 말살되어 가는 신자유주의의 시대상을 곰곰이 돌아볼 때 여전히 유의미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at the poetry of Shin Dong-yeop, who had been regarded as a poet of people and nation, would be interpreted more clearl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cology. For that purpose, the study critically analyzed problems with previous studies and proposed the possibilities of poetry interpretation based on social ecology with his collection of poems The Geum River. Shin’s poetr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logy rather than those of deep ecology in that the retro trend to the ancient society in his poems is in line with Bookchin’s affirmation of tribalism and that social ecology itself depends on the “Mutual Aid Theory” of Kropotkin that was positive about the primitive society with no hierarchy and class. It is also valid to appreciate h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cology in that the criticism of Oriental ideology also blames gerontocracy, which signalled man’s rule over other men, and the social hierarchical order of elite group that initiated man’s rule over nature and that one of topics of his The Geum River is people’s resistance to break dow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lass and hierarchy. Bookchin parted with anarchism in the middle 1990s and started to criticize the nihilistic nature and antisocial individualism of anarchism. The fact that his Huhwa in his The Geum River is in line with the later ideology of Bookchin that emphasized “cities” and hopefully implies individuals’ responsibility for the group does not include the poet in the community of anarchists. It rather seems like a characteristic of social ecology since it overlaps the later argument of Bookchin’s social ecology in considerable parts. It is self-evident that human beings, who have provided the causes of ecological issues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across the Earth, should deal with and solve the issues. Bookchin’s social ecology is still significant when people look back carefully on the periodic images of neo-liberalism in which the values of individuals are being erased before the ecological ethical accountability of man and the threat of capital.

      • KCI등재

        심층생태학과 사회생태학의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송명규(Song Myung-Kyu) 한국도시행정학회 2003 도시 행정 학보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debate between deep ecology and social ecology in a critical perspective. They are both direct offshoots of the counter-cultural movement of the 1960s. They constitute modern radical ecological philosophy together with ecofeminism. As the inheritors of counter-cultural movement's utopian vision, they have much in common. They all demand fundamental changes in social systems, structures, attitudes and values, and paradigms. Nevertheless, they reveal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the causes of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key to its solution. Deep ecology explains the crisis as the outcome of the anthropocentric thought and calls for a shift from it toward an ecocentric thought guided by the norm of self-realization for all organisms including human be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Social ecology explains it as the result of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s, embodied most perniciously in capitalism and calls for anarchistic societies without any kinds of social hierarchy. Deep ecologists regard social ecology as a type of anthropocentrism disguising "green". Social ecologists charge that deep ecology adheres reactionary, antihumanistic, and irrational assumptions and has some dangers to become an ideology forming and supporting ecofascism. The heated dispute between them has contributed to widening the philosophical gap between them and made it more difficult to form a united front of the green movement.

      • KCI등재

        불교생태학의 현황과 과제

        이찬훈 ( Chan Hun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현대 생태론의 발달과 더불어 ‘생태불교학’이 대두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수용하면서 ‘불교생태학’의 연구와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불교생태학에서는 심층생태론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생태계의 파괴를 불러일으킨 근본원인으로 서양의 여러 가지 사유방식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불교생태학의 연구는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된 서구의 사유방식을 극복할 대안이 될 수 있는 원리들을 불교 속에서 찾아내는 일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불교생태학은 그동안 인류를 지배하면서 생태계를 위기로 몰아넣은 자본주의의 특징과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깊이 다루지 못했다. 그러므로 불교생태학이 앞으로 한 걸음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불교의 지적 전통 속에 들어있었던 생태학적 지혜를 살려내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한 자본주의 산업문명을 어떻게 변혁해 나갈 것인가를 연구해야 한다. 이 글은 그동안 불교생태학에서 제시해 온 불교의 생태적 지혜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봄으로써 그간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 불교생태학이 자본주의 사회체계가 초래한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고 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들이 평화롭고 조화로운 행복의 세계로 나아가는 문명의 대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해야 할과제들을 제시해보았다. EcoBuddhism have rised in company with growth of the modern Ecology. Along with the rising of EcoBuddhism, Buddhist Ecological study have progressed in Korea. Buddhist Ecology accepted the views of Deep Ecology, so regarded the root cause of ecosystem’s destruction as western ways of thinking. Until now Buddhist Ecological study have laid emphasis on finding alternative principles of Buddhism that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western ways of thinking. But Buddhist Ecology have not studied deep into the features and mechanism of capitalism that have destroyed ecosystem so far. Therefore Buddhist Ecology must study the ways to change capitalist industrial civilization in order to take a step forward.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organize the research results of Buddhist Ecology systematically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of Buddhist Ecology in order to overcome ecosystem’s crisis which is caused by capitalist social system.

      • KCI등재후보

        한국신종교의 심층생태학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양편승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8 No.-

        Deep Ecology was started by the ecological movement of Norway's Philosopher A. Neass, as the only way to fundamentally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Deep Ecology holds that we must establish an environmentalistic ideology that changed to nature-centered values, on the viewpoint that assumed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environmental problems has to do with human consciousness. In the Unification Church, which is one of Korea's new religions, its doctrinal book of the Divine Principle explains the fundamental problems relating to life, the universe, and history. Especially, the Divine Principle has a special reference regarding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this thesis, we would like to research methods to solve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s we search for common ground between the Divine Principle and Deep Ecology. The element of Deep Ecology that the Divine Principle asserts, explains the understanding of God's Shimjeong, the content aboutthe individual truth incarnation regarding human's and the creation's resemblance of God's attributes, the content regarding the dual purpose and both character and form of the existing creation, and the enactment of the Unification Church's holiday, the Day of All Things. 심층생태학은 노르웨이 철학자인 A. Neass에 의해서 출발된 생태운동으로서 환경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심층생태학은 환경문제 발생의 원인이 인간의 의식구조에 있다고 전제한 관점으로 자연중심적인 가치관으로 바꾸는 환경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수립해야 한다. 한국 신종교의 하나인 통일교는 그의 교리서인 원리강론에서 인생과 우주 그리고 역사에 관한 근본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원리강론은 환경보존에 관한 특별한 언급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리강론과 심층생태학의 접점을 찾아서 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원리강론이 주장하는 심층생태학적 요소는 하나님의 심정이해, 하나님의 속성을 닮은 인간과 만물에 대한 개성진리체에 대한 내용, 존재하는 피조물의 이중목적과 연체에 대한 내용 그리고 통일교의 축일로서 만물의 날 제정 등을 설명하고 있다.

      • 이병기 시의 유교적인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김옥성 ( Ok Sung K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본고는 이병기 시의 유교적인 생태학적 상상력을 탐구한다. 같은 동양 종교이지만 불교와 도교의 생태학은 생명중심주의에 해당하는 반면, 유교적 생태학은 포용석 휴머니즘에 해당한다. 이병기는 유교와 깊이 관련된 삶을 살았을 뿐 아니라 일기를 비롯한 다양한 산문에서 자신의 유교 생태학적 사유를 드러내고 있다. 본고는 이병기의 시조에 나타난 유교 생태학적 상상력을 ``생명 평등 의식’. ``양화의 상상력``. ‘자연과 문화의 이원론적 일원론’. ‘농촌 공동체의 상상력’ 등의 네 차원에서 탐구한다. 이병기의 유교적 생태시학은 심층생태학의 보편적 토대인 생명 평등 의식을 포함하면서, 유교적 생태학 고유의 면모를 다채롭고 깊이 있게 전개하고 있다. 이병기의 유교적 생태시학에서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참여, 그리고 인 위와 문화에 대한 존중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의 생태시학의 이상은 자연, 인간, 문화의 하모니이다. 지금까지 한국 현대시의 유교적 생태시학에 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한국현대시사에 잠재하는 유교적 생태시학의 계보에 대한 탐구의 장로(長路)을 향해 내디딘 작은 시론(試論)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다.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Lee Byeong-gi`s Poetry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In the Confucian thought. all things are equal,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he same ch`i(氣). So, a11 living things are equal in the deepest dimension of the Lee`s ecological imagination. The consciousness of life equality is imagined by the method of deep- ecological identification. Lee`s experience of floriculture is internalized in his poetry. By the identification with the plants, the narrator extend the self toward the cosmos. This imagination is similar to the deep-ecological Self-realization. In the Confucian ecology. li(理) mediate the cosmos and the human society-culture. Bath are different but connected by li. Therefore Confucian ecology is dualistic monism. The imagery of the room in the Lee`s poetry is the Confucian ecological space reflecting the harmony of the cosmos and the culture. The ideal ecological community is the agricultural community in the Lee`s poetics. The cultivation enriches the human society and the land and all living thing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the human society and the nature and all living things are in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