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이성천(Seung-Cheon, Lee)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재만(在滿)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연수는 그동안 한국 현대 시사(詩史)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이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심연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급속도로 전개되었다. 심연수 초기 작품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몇몇 논문을 제외하면 이제까지 선행연구의 공통된 견해는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 “또 하나의 시성(詩聖)” “암흑기의 민족의 별”이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이, 대개가 민족시인 혹은 저항시인으로 그의 문학사적 위상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가 판단하기에 이들의 연구는 단순 착오에서부터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이 글의 2장에서는 시인의 생애와 초기의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전기적(傳記的) 사실에 대한 오류 및 한계를 지적할 것이다. 이후 구체적 작품 분석을 통하여 심연수의 일부 작품이 기존의 연구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민족의식과 저항의식을 드러내기 보다는, 이와는 상반되게 1941년 당시 일제의 정책 이념과 왜곡된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화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3장에서는 『돌아가신 할아버지』라는 작품 해석에 나타난 선행 연구자들의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 작품을 다루면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시 본문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거나 ‘의미의 과잉’이라는 측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윤리적 태도의 문제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본문의 훼손으로 인해 시적 주제 및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앞으로의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4장에서는 심연수가 일본 유학을 떠난 1943년 이후 시인의 행적과 관련된 논의를 펼칠 것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심연수 시인의 일본대학 졸업 일자를 1943년 7월 13일로 규정하고 있는 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이 시기 일본 주요 대학의 졸업 일자는 9월 25일 혹은 9월 26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논문은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도 많은 오류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문제가 학병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고는 이제까지 전개된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몇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최종적으로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 연구자들의 목표와 일치한다는 점을 끝으로 밝혀둔다. This paper studies a Korean poet on Manchuria, Shim, Yeon-Su’s poetry raised some issues which are intended. Sim, Yeon-Su’s early work that takes a critical stanc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apers, the ever previous studies of common opin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 dark days of the typical resistance poet,” “Another great poet” “Dark Ages of the nation’s star,” the phrase implies, As you can usually resist the national poet, or poet, his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 is very highly regarded. However, at the discretion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m from a simple mistake, from a logical contradiction and intentional distortion has exposed serious problems. This paper begins with awareness of these issues. Accordingly, in the second chapter, his early works of the poet’s life by looking at the biographical and about the fact that the error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Specifically, since the number of works by analyzing the abyss of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some work as claimed in national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resistance, rather than exposing, 1941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ver assimilated in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policies that will reveal. Chapter 3, “deceased grandfather” appeared to interpret the work of leading researchers will point out the problem. As this work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rs at the ‘deliberate’ damage or ‘an excess of meaning’ is in terms of committing errors. The researcher’s ethical attitude can not but suspect a problem. Chapter 4, he left to study in Japan since 1943 and a discussion regarding his past. Meanwhile, previous studies of the poet Sim, Yeon-su graduation date July 13, 1943(Nihon University in Japan) to the date of the regulations, which is an obvious error. I got confirmation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Japan this time of the September 25 date of graduation or date of September 26 is recorded. Therefore, the leading liberal paper, empirical research reveals many errors in terms of how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this problem the student conscription system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e in-depth discussion will be deployed.

      • KCI등재

        유랑의 역체험과 시적 개성의 발아 - 심연수의 수학여행 체험 시를 바탕으로

        고재봉 국제비교한국학회 202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1 No.3

        By analyzing the poems ShimYeonsu wrote after his school trip,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ifficulties that colonized people inevitably face in creating literature. ShimYeonsu was an amateur poet in Manchuria, who traveled between Korea and Manchuria on a school trip and created many poems along the way. These works were polit- ically polarizing in their themes. ShimYeonsu’s works dealt with the grief of colonization, and he also promoted the ideol- ogy of Manchukuo through his works. However, although these two types of works contra- dicted each other politically, their methods of creating poetry were almost identical. This shows that colonized literary production can easily be subsumed by imperialism. However, ShimYeonsu, through the figure of a Russian settled in Harbin, recalls his own wandering life in the past, and by reflecting the alienation he experienced in his wandering life in his poems, his poems acquire their own individuality. Since the Manchukuo government promoted the idea of granting equal sovereignty to colonized peoples, literature produced in Manchukuo was susceptible to state ideology. This was the conundrum ShimYeonsu faced when creating his poems. 이 논문은 심연수의 수학여행 체험시를 분석함으로써, 심연수 작품에 대한 대립적 이면서도 상호 모순된 평가를 종합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심연수에 대한 평가는 민족 주의 시인이라는 상찬과 체제 협력적 시인이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본고는 심연수의 수학여행 작품집인 무적보를 검토함으로써, 이 두 가지 대립 항을 옹호하는 작품 이 기실은 동일한 기제를 저변에 깔고 있음을 밝혀보았다. 즉 민족주의를 표방한 「온 정리」와 만주국의 국책을 옹호하는 「신경」은 정치적 방향성은 다를지라도, 수학여행 지의 승경이 뿜어내는 스펙터클에 압도되어 개인의 내면이 사라지는 공통점을 보인 다. 까닭에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개성 없는 상투적 표현과, 인간 세부 삶에 대한 무 관심과 추상화의 과정이 나타난다. 이는 역사적 인식을 드러내는 작품에서도 비슷한경향을 보이는데, 까닭에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역사 인식은 허무주의에 닿아 있었다. 하지만, 심연수는 수학여행 중 들른 하얼빈에서는 시적 개성을 드러내며, 고향으로 부터 이탈한 러시아인에 대한 강한 자기동일시를 보여준다. 이는 러시아 블라디보스 토크로 유랑을 하였던 심연수의 삶과 관계되는데, 그는 하얼빈의 러시아인에 적극 공감하면서, 시적 개성을 돌출시킨다. 즉, 유랑의 역체험이라는 기묘한 경험 속에서 자신에게 내장되어 있는 소외의 감각이 정체성의 근간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 순간 심연수는 단순히 기록 수단으로써의 문학을 초과한 창작으로써의 문학성을 획득한다. 다만, 이 소외의 감각은 때로는 고향, 혹은 주권을 갖고 싶은 강한 욕망으로 드러 날 때도 있다. 수학여행을 전후로 쓴 심연수의 작품에는 이러한 욕망이 주로 ‘대지(大 地)’를 통해 형상화되곤 하였다. 이는 식민지인으로써의 무의식이 언제라도 식민주의 적 의식으로 전화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수학여행 시에서 민족주의와 체제협 력의 극단성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심연수를 비롯한 만주국에서 활 동한 작가들이 처한 난처함이란, 이 대짝으로 놓인 양극단의 경향이 늘 한 몸으로붙어 언제고 돌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심연수의 <일본문학보국회> 참관기 고찰

        이성천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book "Literature Mission-Report on the Opening Ceremony of the Japanese Literary Society that protects the country Society" by Shim Yeon-soo, a poet of Jae-man, who was published three times in July 1942. The reason why this researcher chose "The Mission of Literature" as his research subject is that he believes that the problems exposed by previous literary researchers for Shim Yeon-soo will be overcome through new text analysis. "The Mission of Literature," written by Shim Yeon-soo while studying at a Japanese university, is very suggestive in that it clearly shows Japan's right-wing ideology, the nature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and, moreover, the distorted ideology of the Empi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a new discussion on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n terms of three-dimensional views of the 1940s poets' historical and real perceptions. Accordingly, Chapter 2 was intended to discuss the value of text in "The Mission of Literature." The current level of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s too biased toward certain regions and organizations to create a fair consensus. This is why this research focused first on Shim Yeon-soo's "The Mission of Literature." In this article, reasonable grounds for making a clear judgment on Shim's national consciousness and view of Japan are found everywhere, especially objective contents that clash head-on with the claims of prior researchers. Nevertheless, in the last 20 years, the "Mission of Literature" has never been dealt with among domestic researchers. Professor Masuo Omura, a Japanese scholar, is the only researcher who directly mentioned "The Mission of Literature" and tried to discuss it. But his paper misses important facts in several respect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Professor Omura's views did not reach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that they showed a large degree of textual illusion, and raised a counterargument against it. Meanwhile, in Chapter 3, this paper looked at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reaffirmed that the Literature and Security Council is a sub-organization of the Great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which lies on the basis of Japanese right-wing ideas, and that it is a literary organization that systematically practices the Japanese imperialistic privatization policy and national ideology. It was also foun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Joseon Literary Society, a leading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Thus, in the final stage, the paper tried to argue that Shim Yeon-su's "The Mission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1942, did not properly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s contained in the distorted governing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or that it did not secure the intensity of its perception of reality. 이 논문은 1942년 7월 <매일신보>에 세 차례에 걸쳐 게재된 재만 시인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文學保國會 發會式을 보고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가 「문학의 사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전 심연수 문학연구자들이 노출한 문제점들을 새로운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심연수가 일본대학 유학시절 작성한 「문학의 사명」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우익사상과 일본문학보국회의 성격, 나아가 ‘제국’의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이 글은 1940년대 시인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심연수 문학연구에 관한 새로운 논의의 단초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2장에서는 「문학의 사명」의 텍스트 가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현 단계 심연수 문학연구는 특정 지역과 단체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탓에 좀처럼 공정한 합의의 장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에 우선적으로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글에는 심연수의 민족의식과 일본관에 대해 뚜렷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들, 특히 그간 선행연구자들의 주장과 정면충돌하는 객관적 내용들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문학의 사명」은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서 단 한 번도 다루어진 적이 없다. 「문학의 사명」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논의를 시도한 연구자는 일본인 학자 오무라 마스오 교수가 유일하다. 하지만 그의 논문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있다. 이 논문은 오무라 교수의 견해가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다분히 텍스트간의 착시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3장에서 본고는 일본문학보국회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문학보국회가 일본 우익사상의 기저로 놓여 있는 대정익찬회의 하부조직이며, 일제의 황국식민화 정책과 국책이념을 조직적으로 실천하는 문학단체라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또한 대표적인 친일문학단체인 조선문인협회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파악했다. 그리하여 최종 단계에서 논문은, 적어도 1942년 <매일신보>에 게재된 심연수의 「문학의 사명」은 일제의 왜곡된 통치이념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거나, 현실인식의 치열성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 KCI등재

        심연수 저작물의 서지학적 가치와 활용의 문제

        김낙현(金洛炫) ( Kim Nak-hyeon ),유춘동(兪春東) ( Yoo Choon-d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4

        본고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尹東柱와 더불어 대표적인 항일 시인으로 일컬어지는 沈連洙 시인 저작물의 書誌學的 가치와 그 활용의 문제를 논의하는 데 있다. 2000년 7월에 중국 용정에서 발굴된 심연수는 시를 비롯하여 시조, 소설, 수필 등 많은 문학 작품을 남겼다. 심연수가 남긴 문학 사료로는 원고류, 노트와 학습장류, 일기와 수첩류, 편지와 엽서, 도서와 사진, 기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심연수의 자료는 대부분 육필원고로서, 작가의 자취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草稿이다. 그가 남긴 이러한 각종 문학 사료는 심연수의 생애를 복원해 볼 수 있는 자료이자,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문인으로서의 심연수의 모습을 再構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현재 확인된 근현대문인들의 문학 사료의 경우, 심연수와 같이 다양한 자료, 생애 전반을 재구해 볼 수 있는 자료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심연수의 文學 史料는 상당히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근현대문학 유산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문화재청의 등록문화재로 등록하여 보존, 관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심연수의 사료는 近代登錄文化財 등록을 위한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기에 등록문화재로 등록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는 이미 DB로 구축된 상당수의 심연수 자료를 국가기관과 연계하여 자료를 공개할 필요가 있고, 近現代文獻 正理 및 保存의 관점에서 체계화하며, 차후 등록문화재로의 등록 준비를 하여 자료의 관리 방안과 연구 확대를 위한 노력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bibliographical value of the works of poet Shim Yeon-su, who is said to be a representative anti-Japanese poet along with Yun D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roblems faced in using his works. Excavated in Yongjeong, China in July 2000, Shim Yeon-su left behind many literary works, including poetry, novels, and essays. Literary materials left by Shim Yeon-su can be I have revised “divided into” to “categorized into” as a word choice revision since manuscripts, notebooks, diaries etc. are categories his work can be classified into. Please check for the intended meaning carefully. categorized into manuscripts, notebooks, study books, diaries, letters and postcards, books and photos, and others. Most of his materials are handwritten manuscripts, drafts in which his traces remain intact. The various literary materials he left behind are works that can reconstruct his life, as well as I have revised “appearance” to “identity” as a word choice revision since appearance only refers to the outward persona, while identity comprises of his thoughts and opinions that he must have produced through his poetry and writing. Kindly check for the intended meaning carefully. his identity as a poet and wri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 have revised this information heavily for structure, readability, language, grammar, and flow. Kindly check for the intended meaning carefully.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confirmed literary sourc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writers, there is no material available to reconstruct his entire life. Therefore, his literary works have considerable material value, and should be recognized as a modern literary heritage. Since his works meet all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as a modern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t should be registered wit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recognition shall result in its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task at present is the disclosure of a considerable volume of deep training data already established as a Do you mean database? Please insert the full form since this is the first mention. DB in connection with national institutions, systematize it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ing and preserving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and prepare for registration as a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n the future. This statement is a bit abrupt, since there is no indication of a link to the previous sentence. Please consider providing some context here. It is an effort to manage data and expand research.

      • KCI등재

        심연수 문학에 나타난 장소 체험과 의식의 상관성 연구

        김윤정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7 No.-

        2000년 육필 원고가 발굴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 심연수는, 문학적 자료의 양적 성과 및 타국 살이에 따른 의식의 다양성에 의거하여 대체로 민족시인이자 항일시인으로서 중국 연변과 그의 고향인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와 장소는 윤동주의 그것과 겹쳤고 그의 시에 표현된 이국인으로서의 정서는 그를 민족이라든가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고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의 연구들은 그의 문학에 적지 않은 비중으로 자리하고 있는 체제 순응의 흔적들을 고려할 때 보다 정치하고 섬세한 접근이 아쉬운 것이기도 하다. 습작기와 학습기에 집중적으로 쓰여졌던 만큼 내용적으로 체제 수용적인 관점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정서 및 표현 면에서도 다양할 갈피를 지니는 심연수의 작품들은 외적 요인에 앞서 텍스트 자체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읽는 태도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얼마나 객관성을 띠느냐 하는 점 역시 쉽게 평가될 것은 아닐 테지만, 동일 시기에도 서로 상반되는 의식을 드러낸다든가 표현의 기법 상으로도 암시와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는 특성은, 심연수 문학에 대해 더욱 철저한 고증과 면밀한 고찰을 요구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태도는 심연수 문학의 사료적 가치를 의미 있는 것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하는 방편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심연수 문학에 나타나 있는 현상적인 면에 주목하되 그것을 그가 거주하였던 장소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읽음으로써 장소성에 따른 심연수의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강릉에서 태어났지만 주로 타향에서 살았던 심연수는 만주에서의 의식과 조선 본토 방문 시의 의식, 그리고 일본 유학 시의 의식에 있어서 다층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연수의 시는 각각의 장소에 지배되어 쓰여지는 가운데, 그곳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 체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음을 말해준다. 이는 그의 시적 내용의 다양성이자 정체성의 혼란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인바, 이러한 다기성에 대해서 내적이고도 정밀한 고찰이 강제된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This paper is reading and classifying Sim Yeon-su’s poems based on the place where Sim Yeon-su has lived. Sim Yeon-su who had lived in from Manchuria to Japan showed specific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his living place. First, as a Manchurian Sim Yeon-su expressed active acceptance of Manchukuo's founding ideology, including the emotions of displaced people. And when he visited in Joseon and his home, Gangneung, he expressed national consciousness feeling pitiful at Joseon Dynasty’s history. In relation to placeness, the former emphasized the spatiality of the symbol beyond the space of perception, while the symbolism of Joseon was relatively weakened. However, in case of Japan Sim Yeon-su actively entered the symbolic system developed in Japan again. It means Sim Yeon-su paid attention to Japan's politics and policies and also engaged in Japan's literary policies. This indicates that while Sim Yeon-su's poetry was dominated and written according to each place, Sim Yeon-su reacted sensitively to the symbolic system inherent in each place. Sim Yeon-su responded to the system and actively sympathized with the symbol of the system.

      • KCI등재

        심연수 저작물 논란의 쟁점과 맹점

        권선영(Kuean, Sunyoung)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 논문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심연수문학 연구와 『심연수 문학사료전집』의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재만시인 심연수와 그의 문학을 연구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진실의 왜곡과 의미 과장을 우려하는 비판적 연구가 있었지만, 반대로 심연수문학에 대하여 윤동주급의 문학사적 위상, 혹은 근대기록물의 유산의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는 긍정적 연구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 출간 이후 심연수문학 연구는 실증적 자료를 통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심연수의 저작물 일부에서 심연수가 만주국의 정체성을 건국이념을 통해 널리 알리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에서 편집 주체의 의도적 오류나 오기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편집 주체의 사소한 오류와 주석의 비전문성은 신진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들 또한 엄밀하게 연구 윤리를 준수하기를 촉구한다. 심연수의 몇몇의 글에서 친일 성향 논란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글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여 그가 지닌 문학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 열망을 폄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저작물을 왜곡하거나 과도하게 의미부여를 해서도 안 될 것이다. 진실 호도와 사실 왜곡을 바로 잡지 않는 연구자들의 명확한 해명이 요구된다. 나아가 ‘행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구가 아닌 철저한 검증 과정을 통하여 엄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problems of Yeon-soo Shim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verifying Yeon-soo Shim, Korean poet resident abroad in Manchuria, and his literature, there were critical studies that concerned about distortion of truth and exaggeration of meaning. Conversely, positive studies that try to give Yeon-soo Shim’s literary status as Dong-joo Yoon’s level of literary history or the meaning of the legacy of modern records are still in progress. The research on Yeon-soo Shim’s literature has been spurred by empirical data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in 2018.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some of Shim’s works, he tried to publicize the identity of Manchuria through the founding ideology. I was also able to find intentional errors or omissions by the editor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I think researchers should always be wary of minor errors in editors and non-professionalism in comments, which can confuse rising researchers. Accordingly, I urge the editors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to reflect, and I demand that the research ethics of researchers should also be reflected with strictness. Just because we can find articles that raise the possibility of pro-Japanese controversy in some of his writings, we cannot disparage his affectionate gaze and aspiration for literature. Therefore, in the study of Yeon-soo Shim Literature, we should not distort or give excessive meaning to his works. A clear explanation is required from researchers who mislead the truth and do not correct the distortion of fact. Furthermore, the study of Yeon-soo Shim literature should not be an event-oriented study, but rather a rigorous study that has undergone a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

        이성천 ( Lee Seung-cheon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천 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재만 시인 심연수(1918.5.20-1945.8.8) 문학에 대한 논의를 꾸준히 거듭해 왔다. 그런데 본 연구자가 판단하기에, 그동안 전개된 심연수 문학 연구는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한계를 노출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의 논의들마저도 앞선 연구결과를 무분별하게 수용하며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선행연구가 노출한 논리적 모순과 한계, 실증적 자료 확보의 미숙성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텍스트 해석과정에 나타난 선행연구의 오류, 시인의 전기적 사실과 관계된 역사적 모순, <일본대학> 졸업일자의 실증적 고찰 등은 그 세부 내용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연구자가 어떤 텍스트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시적 주제의식이 다르게 파악될 수 있다는 것, 이런 측면에서 선행연구는 다소 객관적이지 못했다는 사실을 이본(異本) 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시인의 전기적 생애와 관련된 기존 논의의 한계성은 1차 자료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지적한 후, 중학시절의 심연수가 소설가 강경애에게 문학수업을 받았다는 선행연구와 1943년 7월에 학병을 피해 만주로 돌아왔다는 그간의 논의에 대해 재고를 요청했다. 한편 본 연구자는 심연수 시인이 다녔던 <일본대학>의 1943년 졸업식 일정을 공지한 『일본대학 신문』 및 졸업생 명부록(名簿錄), <전문부예술과창작>과 명단과 같은 실증적 자료를 새롭게 발굴하고, 논문에 첨부함으로써 후속 논의의 진전을 도모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연구자들의 목표와 최종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을 거듭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vely consider the literature of Shim, Yeon- 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research from China and Korea, on Shim, Yeon-Su(1918.5.20-1945.8.8), who wro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I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re had been serious limitations on the existing researches for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including all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willful distortion. The latest researches, nevertheless, indiscriminately embrace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continuously reproduce what had been already done. This research gradually reviews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and immaturity over procuring positive reference which had been expos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The details would include the error of the previous researches during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historical contradiction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facts of the poet and positivist consideration of the graduation date of the < Japanese University >. This research proposes, with the help of the research on rare books, that the poetic subject consciousness may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what type of text were chosen and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did not hold somewhat an objective view in them.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also made an request for the re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him was taught the literature class from Kang, Kyung-Ae, the novelist during his academic days in middle school and the fact that Shim had returned to Manchu trying to avoid the student soldier in July 1943. While conducting researches on Shim, I have discovered new positive references including < Japanese University Newspaper > and alumni directory which had details of the graduation ceremony of < Japanese University > in 1943 where Shim had attended and the list of < Professional Arts and Creation >, and have attached them in the research so that the follow-up discussion may be proceeded. It should be certainly noted th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dentical to the on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ough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uth of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 KCI등재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이혜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글은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문학을 동아시아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상흔문학의한 사례로 자리 매김하기 위한 가능성을 가늠해본 것이다.한국의 강릉과 구소련의 블라디보스토크,만주,일본을 경유한 심연수는 문단에 소속되지 않은 이른바 ‘문청’을지향하면서 꾸준히 문학 활동을 이어간 가운데 재만조선인이 가졌던 독특한 식민지적 (무)의식을 엿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그런 점에서 이 글은 심연수의 문학을 문학비평의 매개로 삼기보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증언적 사료로 삼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삼았다.여기서는 먼저 1937년 만주국의 ‘신학제’ 개편에 따라 심연수가 (이전의6년제 중학교 과정이 아니라) 4년으로 축소된 중학교 교육을 받았음을 밝혔다.이것은당시 일본인에 대한 치외법권 철폐와 일본의 ‘국어상용정책’이 재만조선인들의 입학난을 가중시킨 결과로 나타난 것이었는데,이런 변화된 교육정책이 심연수가 경험한 학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그의 일기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또한 ‘일본문인보국회’가 설파한 ‘문학의 사명’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는 점과 함께 레니 레펜슈탈의 다큐영화<민족의 제전>과 히노 아시헤이 소설을 영화화 한<土と兵隊>에서 보이는 프로파간다에 그대로 몰입해 있었다는 사실을 통해 심연수의 정념과 현실 사이에서 보이는 커다란 격차는 만주국만의 독특한 국가 효과가 작동한 중요한 사례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논증했다.

      • KCI등재

        재만 조선인 작가 심연수의 수학여행 관련 문학 사료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조윤정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30

        This study deals with literary works of Simyeonsu, including his travel essays, the Sijo (時調) diary from his school trip (May 5-22, 1940). He published a series of travel essays in Manseonilbo based on three travel essays and Mujeokbo (無跡步), a compilation of sixty-seven handwritten poems. These works provide information on school trips and emotional attachment to place through travel. Through his works, readers can understand the migration and the emotional impact of Simyeonsu’s first steps on Joseon land. This paper analyzed the intertextuality among Simyeonsu’s works. It focuses on the gap between Manchuria’s educational ideal and students’ internalization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essay writing. Using a cross-comparison of Simyeonsu’s handwritten manuscript and newspaper serial text, this study showed how censorship during Japanese imperialism affected his writing. Simyeonsu’s journeys elicited his emotions that fueled his writing, rewriting, and genre changes, but also led to moments of writing inactivity. He thus diversified his space for writing with contributions to Manseonilbo. During late Japanese imperialism, officials propagandized the spirit of five races under one union(五族協和) and the realm of peace and prosperity(王道樂土) to the Joseon people living in Manchuria. Simyeonsu’s writing revealed the difficulties of internalizing these ideas. His writings related to, and while on, school excursions also elucidate practical limits to Japan’s educational plans, which expose Joseon students’ inabilities to accept these ideas while living in Manchuria. 이 논문은 재만 조선인 작가 심연수가 1940년 5월 5일~22일 수학여행을 다녀와 쓴 기행문과 시조 등의 문학 사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심연수는 수학여행 전후의 일기, 「일만 리 여정을 답파하고서」를 포함한 육필 기행문 3편, 이 육필 원고를 저본으로 삼은 『만선일보』 연재 기행문 「槿域을 찾아서」 1편, 육필 시조 67편을 모은 『無跡步』를 남긴다. 이 작품들에는 당시 수학여행을 둘러싼 사정, 재만 조선인 학생이 수학여행지로 들렀던 장소, 그곳에서 느낀 감상 등이 담겨 있다. 특히 그의 작품은 조선→만주가 아니라, 그 역방향인 만주→조선으로의 여행 기록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고향을 떠난 이민자가 국경을 넘어 다시 조선 땅을 밟은 때와 여행을 끝내고 만주로 돌아간 순간의 심정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심연수가 남긴 작품들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고, 만주국의 교육적 이상과 학생의 내면이 담긴 글쓰기 사이에서 발생한 간극에 주목했다. 또한, 육필 원고와 신문 연재본을 비교 대조하여 일제 말기 검열 환경이 심연수의 글쓰기에 미친 영향을 살폈다. 심연수는 이어 쓰기, 다시 쓰기, 장르 바꾸기뿐 아니라, 쓰지 않기로도 여행의 감정을 표현한다. 또한, 그는 자신의 글쓰기 공간을 이분화하여, 『만선일보』를 문인 되기의 수단으로 삼는다. 일제 말기 오족협화나 왕도낙토의 정신은 재만 조선인에게 지속적으로 교육되었다. 그러나 그의 글쓰기 방식은 그 신념을 내면화하는 일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만다. 작가 심연수의 수학여행 관련 사료는 일제 말기 제국의 교육적 기획을 알려줌과 동시에 그 정치적 이상이 재만 조선인 학생에게 관철되지 못했던 정황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심연수 문학을 통해 본 만주국 이념과 이주 조선인 사회

        염문정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Manchukuo and Japan's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wartime regimea war footing through the works of Sim Yeon-soo, a migrant Korean literature writer in Manchuria, and how he recognized Manchuria and agreed to the Manchurian ideology. Sim Yeon-soo had no sense of problem with the life of Manchuria of the actual migrant Koreans, which is well illustrated in his literature as well. He sympathized with the fantasy of Manchuria, which is touted as the ‘Nakto’-ideologie of Manchuria, and had no sense of criticism of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that the real migrant Korean society had to have. His pro-farming ideas and agribusiness-centered thinking were also used to encourage migrant Korean farmers to perform state projects well. The Koreans in Manchuria were in a very dm ifficult situation, but Sim Yeon-soo didn't really recognize this reality. In particular, Sim Yeon-soo's perception of the wartime system is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ry history's assessment of him as a poet of resistance. He praised the modern city of Manchukuo and did not perceive it negatively. It is well illustrated not only in his poetry, but also in his diary, essay,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Manchuria as a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how Manchuria had a distorted perception of reality by referring to newspaper articles at the same time, and to find another aspect of Manchuria that previous studies could not capture . 본 연구는 만주국 건립이념과 그것을 둘러싼 일본의 대동아공영 및 전시체제를 만주국의 이주 조선인 문학가 심연수의 작품을 통해 살피고, 심연수가 만주국을 어떤 방식으로 인식했는지, 또 만주국 이데올로기에 어떻게 동의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심연수는 실제 이주했던 조선인들의 만주 생활에 대해 문제의식이 없었고, 그것은 그의 문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만주국의 낙토이데올로기가 포장하고 있는 만주환상에 동조하여, 실제 이주 조선인 사회가 가질 수밖에 없었던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이 없었다. 또한 그의 친 농민적인 사상과 농본중심의 사고 역시 미곡증산을 위한 것으로, 이주 조선인 농민들이 국가사업을 잘 수행하도록 장려하는 차원에서 사용되었다. 만주국 내의 조선인들은 소작농을 벗어나지 못하고, 매우 곤궁한 처지였으나 심연수는 이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않았다. 특히 전시체제에 대한 심연수의 인식 역시 기존의 문학사가 그를 저항시인으로 평가하는 것과는 매우 다르다. 그는 만주국의 근대 도시를 칭송했으며, 대동아공영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그것은 그의 시뿐만 아니라, 일기, 수필 등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본 연구가 같은 시기 신문 기사 등을 참고하여 심연수가 얼마나 왜곡된 현실인식을 갖고 있었는지 논의하는 것은 만주국을 다각도로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포착하지 못한 만주의 또 다른 모습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