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성 문제와 연기(緣起)

        현남규 한국과학철학회 1999 과학철학 Vol.2 No.1

        동역학 체계 내에서나 심리철학의 심신문제에서 인과성의 문제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고 있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빨리어나 산스끄리뜨 경전에 나타난 연기 (緣起) 공식에서 이러한 문제의 해법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re are unsolved problems of causation related to the dynamical systems in physics, as well a those arising from the mind-body interaction in the philosophy of mind. In this paper, I suggest a clue to the solution of them from the general Buddhist formula of causality in Pali version, or Buddhist Sanskrit version.

      • KCI등재

        스포츠에서 페어플레이의 정당화: 윤리적 수반

        김현수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ethical premises to exert moral justific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behavior regarding fair play in sports. For this purpose, ontological problems which may take place when fair play is considered as a complete moral rule - i.e. the explanation of attributes of facts and value – are reviewed conceptually in order to assume it as an ethical principle. Historically, fair play is a moral norm imposed to sports players and has been justified as a kind of statement. While the attempt of imotivists who assume fair play as good is independent, as it cannot fully explain ultimate questions of moralit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review of conceptual devices such as supervenience must be made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ent of physical cause and causal power of morality based on philosophy of mind. The ethical supervenience argues that value attribute can extract behavior based on the factual attribute if value attributes have no causal power affecting on physical world fully. Therefore, the ethical supervenience is able to make conceptual explain that the spirit of fair play can lead to practice, i.e., behavior which, in turn, satisfies conditions of justification of fair play.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 페어플레이와 관련한 인식과 행위의 관계에 있어서 도덕적 정당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메타윤리학적 전제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것은 페어플레이와 관련한 언명들을 포괄적 도덕법칙으로 천착하려할 때 발생하는 존재론적 문제들, 즉 사실/존재와 가치/당위의 문제들에 대한 해명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페어플레이는 스포츠 선수들에게 부과되었던 도덕적 규범들로 이해되어 왔고, 이것은 하나의 언명과 같은 형태로 정당화되었다. 그러나 페어플레이를 하나의 선으로 상정하려는 규정주의적 시도는 독자적인데 반해 선이라고 하는 도덕의 궁극적인 질문에 대해 궁색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것을 하나의 윤리학적 원리로 상정하기 위해서는 심리철학을 중심으로 한 물리주의적 인과에 대한 동의와 정신의 인과력을 지킬 수 있는 수반과 같은 개념적 장치들을 검토해야 한다고 보고 이를 검토하였다. 가치 속성이 물리적 세계에 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과적 힘이 없다면 가치속성은 사실 속성에 수반되어 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말하는 윤리적 수반은 페어플레이라는 정신이 실천, 즉 행동으로 이어질 때 이것이 정신으로부터 인도되었다는 인과적 설명을 가능하게 해 주면서 페어플레이의 도덕적 정당화의 기본조건을 충족시켜 주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실체이원론과 김재권의 짝짓기 문제

        이선형 한국분석철학회 2022 철학적 분석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and evaluate Jaegwon Kim’s argument against Cartesian substance dualism. In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Kim argues that an immaterial soul cannot causally interact with anything, whether it is a material thing or another soul, because souls are not located in space. This is what is called “the pairing problem” or “the pairing argument.” This argument has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implicitly presupposes reductionism about causation. However, in support of Kim, I argue that his pairing argument does not depend on reductionism in any obvious way. And I suggest one possible way of solving the pairing problem. 본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적 실체이원론을 반박하는 김재권의 짝짓기 논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김재권은 그의 저서 『물리주의』에서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이 가정하는 비물리적 실체인 영혼(마음)은 전적으로 공간성을 결여하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인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논증을 제시한다. 이른 바, “짝짓기 문제” 또는 “짝짓기 논증”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짝짓기 논증이 성립하기 위해 김재권이 가정하고 있는 암묵적 가정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인과에 관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의해 짝짓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략을 비판한다. 또한 실체이원론자의 입장에서 짝짓기 논증을 반박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논리중심치료의 철학치료적 성격

        이영의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5 No.2

        The causes of a lot of the diseases of mind are not neuro-physical origines but existential ones. In the case of the diseases of mind with neuro-physical causes we have developed efficient methods of therapy according as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dvanced, but things are very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disease of mind from our existential characters. Still, we don’t understand what it is and how we can cure 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therapeutic method of the disease of mind from our existential characters. I shall characterize the object of philosophical therapy as philosophical disease and from the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argue that while medical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are based on the notion of causation, philosophical therapy is based on the practical reason. The paper goes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the two types of philosophical disease and their features. Second, it examines Cohen’s logic-based therapy in comparison to rational-emotive behavior therapy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therapy.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다양한 마음의 병들 중 상당수는 신경생리적 원인이 아니라 실존적 원인에 기인한다. 신경생리적 원인을 갖는 마음의 병의 경우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치료법도 발달해 가는 추세에 있지만, 실존적 원인에 기인하는 마음의 병의 경우는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 우리는 여전히 실존으로 인한 마음의 병의 본질이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해야 할 것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인간의 실존에서 비롯되는 마음의 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구체적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는 데 있다. 나는 철학치료의 대상을 철학적 병이라고 규정하고, 방법론적 측면에서 의학치료와 심리치료는 인과에 근거한 반면에 철학치료는 실천적 이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철학적 병의 두 가지 유형과 그 특징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서 철학치료의 가능성을 코헨(Cohen)이 제시한 논리중심치료(Logic-based therapy)를 중심으로 심리치료 모형과 비교하면서 분석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